KR200419259Y1 - apparatus for synthetic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of rubber dam having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ynthetic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of rubber dam having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259Y1
KR200419259Y1 KR2020060008753U KR20060008753U KR200419259Y1 KR 200419259 Y1 KR200419259 Y1 KR 200419259Y1 KR 2020060008753 U KR2020060008753 U KR 2020060008753U KR 20060008753 U KR20060008753 U KR 20060008753U KR 200419259 Y1 KR200419259 Y1 KR 200419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rubber
controller
beams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75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기연
Priority to KR2020060008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25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25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a rubber dam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개시한 본 고안은 고무보들의 계통도를 소정의 그래픽으로 표시하고 터치화면을 면 분할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운전표식메뉴 및 고무보들의 운전상태를 문자로 표시하여, 관리자의 화면터치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터치패널 데이터 및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고무보들의 운전 데이터를 인식하여 소정의 표시명령들을 터치스크린으로 출력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터치패널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부; 제어부와 터치스크린 제어부의 입출력 데이터들을 송,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고무보들의 계통도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고무보의 운전이력, 고장이력, 현 운전 상태 등을 터치스크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저장·출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The disclosed invention displays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rubber beams in a predetermined graphic and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eset operation marker menu and the rubber beams by text by dividing the touch screen into characters, and receives and outputs the screen touch of the manager. touch screen; A touch screen controller for recognizing touch panel data and driving data of rubber beams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to output predetermined display commands on a touch screen, and to process and output touch panel data to the controller; A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put / output data of the controller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It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rubber beams as a database and storing and outputting the operation history, fault history, current operation state, etc. of the rubber beams provided by the controller at the request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이에 따라 고무보의 운전이력, 고장이력 및 현 운행 상태 등을 액정 터치스크린 화면상에서 일목요연하게 대화방식으로 관리·제어함으로써, 조작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또 현장에 가지 않고도 터치스크린 화면상에서 고무보들의 운전상태와 기기들의 작동여부를 신속 편리하게 자가 점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on history, failure history and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rubber beams can be managed and controlled in an interactive manner on the liquid crystal touch screen screen at a glance,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the rubber beams on the touch screen screen without going to the fiel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self-check the operation status and operation of the equipment.

Description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장치{apparatus for synthetic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of rubber dam having touch screen}Apparatus for synthetic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of rubber dam having touch screen}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복식 고무댐의 무인작동장치를 나타내어 보인 구성도이고,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unmanned operation device of the undulating rubber da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어 보인 구성도이고,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the rubber dam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e는 도 2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도이고,3A to 3E are screen configuration diagram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FI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서 제공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부에서 고무보를 운전시키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4 is a signal flow chart for driving the rubber beam in the control unit in accordance with the data provided from the touch screen in the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method of the rubber dam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터치스크린 102 : 표시부100: touch screen 102: display unit

104 : 터치패널 110 : 터치스크린 제어부104: touch panel 110: touch screen controller

120 : 메모리 130 : 인터페이스부120: memory 130: interface unit

140 : 폐회로 텔레비젼부 150 : 프린터140: closed circuit television unit 150: printer

본 고안은 예컨대, 강이나 하천 등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의해 고무보의 기립(起立)과 도복(倒伏)으로 저수량을 조절하는 고무댐(RUBBER DAM)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보의 기립과 도복을 대화식 시스템으로 운전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하되, 이러한 운전과 관리를 액정 터치스크린 화면상에서 일목요연하게 대화식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or example, a rubber dam (RUBBER DAM) disposed across a river or a river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rubber beams by the inlet and outlet of the rubber beam. In order to operate and manage the rubber beams, the rubber dams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can be operated and managed in an interactive manner. The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근래에, 저수지 또는 농업/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등의 둑으로서 절첩식 및 유체 팽창식 등의 많은 고무댐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효과적인 저수량의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고무댐의 높이를 공기압력으로 조절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둑으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Recently, many dams, such as collapsible and fluid-inflatable dams, have been developed as banks of reservoirs or agricultural / industrial intakes, taps for water supply, and freshwater forebos, which are effective in mountainous areas or in places with poor terrain conditions. It is attracting great attention as a bank for embankment because it is easy to secure low water quantity, install and install, and control the height of rubber dam by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target water level.

이와 같은 고무댐들의 대부분은 그 고무보의 팽창·기립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 있고, 또 하상 콘크리트와 제방에 고무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와 공기를 발생하는 공기공급장치로서의 모터 및 송풍기와, 상기 발생된 공기를 고무보 내로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배관설비와,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를 갖는 것들로서, 특히 상기 고무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운전하기 위한 고 무댐의 무인작동장치의 예를 들면, 본인이 선출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07602호(명칭: 기복식 고무댐의 무인작동장치)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Most of these rubber dams are filled with air to expand and erect the rubber beams, as well as fixing devices for fixing the rubber beams to the concrete and embankments, and motors and blowers as air supplying devices to generate air. And, having a plumbing facility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the generated air into the rubber beam, and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n particular an example of the unmanned operation device of the rubber dam for operating the rubber beam automatically or manually For example, it is known by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07602 (name: unmanned operation device of a undulating rubber dam) registered and elected by the person.

도 1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07602호에 기재된 그와 같은 기복식 고무댐의 무인작동장치의 하나를 표시한 것으로서, 고무보(10)의 공기관(11)의 선단부에 모터(60)로 구동되는 송풍기(61)를 연관 설치한 것에 있어서, 공기관(11)의 중간부에 복수개의 배기관(42)을 관접 형성하여 각 배기관에 전자밸브(40),(41), 모터밸브(43)를 각각 설치하고, 그 측방에 압력계(50)를 설치하여 각 도선을 전기적으로 제어부(30)에 연결하고, 저수지의 일 측에는 초음파 수위감지기(20)를 설치하여 송출된 수위감지 정보에 의하여 제방 일측의 조작실에 설치된 제어부(30)에서 송풍기(61)와 각 밸브(40)(41)(43)를 작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Figure 1 shows one of the unmanned operation device of such a undulating rubber dam described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07602, which is driven by a motor 60 at the tip of the air pipe 11 of the rubber beam 10 In the installation of the blower 61 in association, a plurality of exhaust pipes 42 ar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air pipe 11 to provide solenoid valves 40, 41, and motor valves 43,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ressure gauge 50 is installed on the side thereof, and each wir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 On one side of the reservoir, the ultrasonic level sensor 20 is installed, and the operation room of one side of the bank is sent by the level detection information sent out. The control unit 30 installed in the blower 61 and each of the valves 40, 41, 43 is configured to operate.

또한, 송풍기(61) 전단의 공기관(11)에는 송풍기(61)의 구동 정지 때, 고무보(10) 내의 공기가 송풍기(61) 쪽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크밸브(61a)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check valve 61a is installed in the air pipe 11 in front of the blower 61 to prevent the air in the rubber beam 10 from leaking toward the blower 61 when the blower 61 stops driving.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복식 고무댐의 무인 작동장치는 조작실 내에 설치된 조작패널의 스위치를 자동으로 두었을 경우, 제어부(30)는 배기관(42)의 모든 밸브(40)(41)(43)를 닫은 후 모터(60)를 구동시키면 그 모터(60)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기(61)에 의하여 고무보(10)에 공기가 주입되어 고무보(10)가 기립된다.In the conventional unmanned operation device of the undulating rubber da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witch of the operation panel installed in the operation room is automatically set,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all the valves 40, 41, 43 of the exhaust pipe 42. When the motor 60 is driven after closing, air is injected into the rubber beam 10 by the blower 61 driven by the motor 60 so that the rubber beam 10 stands.

이때, 고무보(10) 내의 공기압력은 압력계(50)에 의하여 파악되며 압력계(50)의 데이터는 곧 고무보(10)의 높이를 지시한다. 따라서 압력계(50)의 지시에 의하여 조작실 내에 설치된 제어부(30)에서는 댐이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면 모터 (6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구동을 정지시킨다.At this time, the air pressure in the rubber beam 10 is grasped by the pressure gauge 50 and the data of the pressure gauge 50 immediately indicates the height of the rubber beam 10. Therefore, when the dam reaches the predetermined height, the control unit 30 installed in the operation room by the instruction of the pressure gauge 50 interrupts the power supply of the motor 60 to stop the driving.

초음파 수위감지기(20)에 의하여 댐의 수위가 감지되면 그 감지된 수위 데이터는 조작실의 제어부(30)로 보내진다. 제어부(30)에서는 데이터를 분석·설정하여 둔 기준 하수위와 기준 상수위 값과 대비하여 기준 상수위 이상으로 수위가 높게 되면 고무보(10) 위로 물이 넘쳐 흘러서 댐이 안전상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전자밸브(40)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그 전자밸브(40)가 개방되며, 이에 따라 고무보(10)에 충전된 공기가 공기관(11) 및 개방된 전자밸브(40)를 통해 배기관(42)으로 배기되므로서 고무보(10)가 도복되어진다. 고무보(10)가 도복되어지면 담수된 물이 그 고무보(10)를 통해서 다량으로 배수된다. 이때 담수된 수위가 위험 수위에서 정상의 수위로 조절되었을 때,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전자밸브(40)가 닫히게 됨으로써, 그 이상의 배기작용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When the water level of the dam is detected by the ultrasonic water level sensor 20, the detected water level data is sent to the controller 30 of the operation room. In the controller 30, when the water level rises above the reference constant level compared to the reference sewage level and the reference constant value, which is analyzed and set, the water flows over the rubber beam 10 and the dam is not preferable for safety. The solenoid valve 40 is opened whil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solenoid valve 40 by the control of 30. Accordingly, the air filled in the rubber beam 10 is air pipe 11 and the solenoid valve 40 opened. The rubber beam 10 is covered by being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ipe 42 through. When the rubber beam 10 is coated, fresh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rubber beam 10 in a large amount. At this time, when the fresh water level is adjusted from the dangerous level to the normal level, the solenoid valve 40 is clos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 so that no further exhaust action occurs.

또한, 전술한 초음파 수위감지기(20)에서 감지한 수위가 설정된 기준 하수위에 도달하면 제어부(30)는 댐의 수위를 기준 수위로 높힐 필요가 있으므로 모든 배기밸브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송풍기(61)의 모터(60)에 전원을 공급하여 송풍기(61)를 가동시키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above-described ultrasonic water level sensor 20 reaches the set reference sewer level, the controller 30 needs to raise the water level of the dam to the reference level, so that all of the exhaust valves of the blower 61 are closed. The blower 61 is operated by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60.

송풍기(61)의 가동에 의해서 공기관(11) 및 체크밸브(61a)를 통하여 공기가 고무보(10)에 충전이 되면 그 고무보(10) 내의 공기압력은 서서히 증가하며, 이것에 의해 고무보(10)가 서서히 기립되어진다. 이때 압력계(50)는 고무보(10) 내의 공기압력을 검출하여 제어부(30)에 제공한다. 제어부(30)는 압력계(50)에서 검출한 공기압력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고무보(10)의 기복되는 높이를 감지하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모터(6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가동을 정지시킨다.When air is filled in the rubber beam 10 through the air pipe 11 and the check valve 61a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61, the air pressure in the rubber beam 10 gradually increases, whereby the rubber beam (10) gradually stands up. At this time, the pressure gauge 50 detects the air pressure in the rubber beam 10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30. The controller 30 senses the ups and downs of the rubber beam 10 with the data on the air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gauge 50 and stops the operation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60 when the set height is reached. Let's do it.

또한, 일시적으로 다량의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고무보(10)에 충전된 공기를 신속하게 배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모터밸브(43)를 열어주고, 점검이나 비상 시에는 수동으로도 조작되는 전자밸브(41)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quickly exhaust the air filled in the rubber beam 10 in order to drain a large amount of water temporarily, the motor valve 43 is opened, and the solenoid valve is operated manually in the case of inspection or emergency. (41) can also be used.

또한, 고무보(10) 내의 공기압력이 규정치로 되어 전술한 송풍기(61)의 구동이 정지하게 되면 송풍기(61)의 전단에 설치된 체크밸브(61a)가 닫혀지게 되므로 고무보(10) 내의 공기압력이 송풍기(61) 쪽으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when the air pressure in the rubber beam 10 becomes a prescribed value and the driving of the blower 61 is stopped, the check valve 61a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lower 61 is closed, so that the air in the rubber beam 10 is closed. The pressure is prevented from leaking toward the blower 61.

그리고 전술한 고무댐이 자동으로 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정전이 되었을 경우 무정전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자동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above-mentioned rubber dam is automatically operated, when a power failure occurs, power is supplied from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o maintain the automatic operation state.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실용신안등록 제107602호(명칭; 기복식 고무댐의 무인 작동장치)는 초음파 수위감지기, 제어부, 송풍모터, 압력계 및 전자밸브, 체크밸브 등으로 구성하여,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공기압력으로 고무보의 높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하여 저수량을 확보·관리하고, 또한 정전 시에 무정전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됨을 알 수 있다.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07602 (name: unmanned operation device of a undulating rubber da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n ultrasonic water level detector, a control unit, a blower motor, a pressure gauge and a solenoid valve, a check valv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air pressure, the height of the rubber beam can be adjus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secure and manage the low water supply, and it can be seen that it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n case of power failur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복식 고무댐의 무인 작동장치에 있어서는 관리자가 강이나 하천 폭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고무보들을 통합적으로 운전 제어하기 위해서는 조작실 내의 조작패널에 설치된 많은 스위치들을 조작, 예컨대 고무보의 개별모드 또는 전체모드 설정, 수위설정, 자동운전 또는 수동운전 설 정 및 압력 설정 등을 각각 스위치들을 이용하여 조작해 주어야 함으로, 숙련된 관리자만이 운전설정이 가능하고, 또 숙련된 관리자라 할지라도 항상 고무보들의 운전조작 순서를 숙지하여 조작해 주어야 함으로써, 운전설정 시간이 상당히 지연됨은 물론 그와 같은 운전설정을 관리자가 항상 숙지하고 있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다.However, in the unmanned operation device of the undulating rubber da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manager operates many switches installed in the operation panel in the operation room in order to integrally control the rubber beams installed in the river or river width directions. For example, only the experienced administrators can set the operation because only the individual mode or the whole mode setting of the rubber beam, the water level setting, the automatic operation or the manual operation setting and the pressure setting should be operated using the switches. Even if the manager has to be aware of and operate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rubber beams at all times, the operation setting time is considerably delayed, and there is a difficulty that the administrator must always be aware of such operation setting.

또한, 고무보의 운전이력, 고장이력 관리 및 현 운행상태 등을 모니터링 하는 기능이 확보되어 있지 않아 관리자가 현장에서 직접 고무보의 고장 또는 운전상태 등을 점검하여 별도로 구비된 운행기록파일에 수기로 기록하게 됨으로써, 고무댐을 관리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며, 또 고무보의 운전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위급한 상황에 대처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 to monitor the operation history, fault history management and current operation status of the rubber beam is not secured. By recording, there is a considerable difficulty in managing the rubber dam, and it is pointed out a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 in dealing with an emergency situation because there is no function to monit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rubber beam.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무보의 운전과 운전이력, 고장이력 및 현 운행 상태 등을 액정 터치스크린 화면상에서 일목요연하게 대화식으로 관리·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장치 및 방법은 조작실 내에 설치되어 송풍기, 압력계, 배기밸브, 수위감지기 등을 제어하는 통상의 제어부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현장의 조작실에 터치스크린보드를 설치하여 통합 연결해 줌으로써 달성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under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rubber beam operation and driving history, fault history and current operating state, etc. on a liquid crystal touch screen screen at a glance The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device for a rubber dam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is provided. The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the rubber dam are installed in an operation room to control a blower, a pressure gauge, an exhaust valve, and a water level sensor. It is achieved by installing a touch screen board in the operating room of the field to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he interface unit of the integrated connectio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현장에 가지 않고도 터치스크린 화면상에서 각 고무보들의 운전상태와 기기들의 작동여부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자가 점검할 수가 있도 록 하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he rubber dam equipped with the touch screen function, which allows the user to quick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rubber beam and the operation of the devices on the touch screen without going to the field. In providing a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장치에 의하면, 강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수위감지기 및 압력계에서 감지한 수위와 압력에 따라 제어부에서 송풍기, 배기밸브들을 제어하여 각 경간의 고무보들을 기립 또는 도복시켜 저수량을 조절하는 고무댐에 있어서, 상기 고무보들의 계통도를 소정의 그래픽으로 표시함과 아울러 터치화면을 분할하여 설정된 운전표식메뉴 및 상기 고무보들의 운전모드, 운전상태, 압력값 등을 문자로 표시하고 관리자의 화면 터치입력을 터치패널 데이터로 입력받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널 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각 고무보들의 운전 데이터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한 소정의 표시명령들을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출력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터치패널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등 기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부의 입출력 데이터들을 송,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고무보들의 계통도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며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부의 터치패널 데이터 처리에 따른 동작 프로그램 및 동작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소정의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고무보의 운전이력, 고장이력, 현 운전 상태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화된 고무보들의 계통도 등을 상기 터치스크린 제 어부의 요청에 따라 저장·출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of the rubber dam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t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ccording to the level and pressure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and pressure gauge, In a rubber dam that controls the exhaust valves to adjust the water storage by standing or inclining the rubber beams of each span, the operation diagram menu and the rubber set by displaying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rubber beams in a predetermined graphic and dividing the touch screen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state, the pressure value, etc. of the beams by text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screen touch input of the manager as touch panel data; Recognizes touch panel data of the touch screen and driving data of the rubber beams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to output predetermined display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to the touch screen and to process the touch panel data to the controller. A touch scree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such as an output; A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put / output data of the controller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And storing a system diagram of the rubber beams as a database, and generating predetermined data genera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program and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touch panel data processing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operation history, failure history, and the like of the rubber beams provided by the controller. And a memory for storing and outputting a current operation state and a system diagram of the database-based rubber beams, etc. at the request of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부 및 터치스크린 제어부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고무보들의 운전이력과 고장이력 및 현 운전 상태 등의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인쇄하는 프린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Optionally, data such as driving history, failure history and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rubber beams stored in the memory may be printed at the request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to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so as to be able to transmit / receive with the controller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inter.

선택적으로, 상기 고무보들이 설치된 제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 및 터치스크린 제어부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어 상기 각 고무보들이 설치된 현장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상카메라로 촬영·녹화한 후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인표시부에 표시하는 폐회로 텔레비젼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Optionally, the rubber beams are installed on the embankment in which the rubber beams are installed and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to en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control unit and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And a closed circuit television unit to be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at the request of the screen controller.

이와 같이하면, 관리자가 고무보들의 운전 조작을 위해 조작실 내의 조작패널에 설치된 많은 스위치들을 일일이 조작하지 않고 간편하게 액정 터치스크린 화면상에서 대화식으로 고무보의 운전을 조작할 수가 있으므로 별도로 고무보들의 운전설정을 숙지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고무보의 운전이력과 고장이력 및 현 운행 상태 등을 별도의 기록지에 기록하지 않고도 고무보들 전체를 통합 관리할 수가 있게 됨을 알 수 있다.In this way,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operate the rubber beams interactively on the LCD touch screen without operating many switches installed on the operation panel in the operating room for the operation of the rubber beams. There is no need to be aware of thi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ntire rubber beams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without recording the operation history, the failure history, and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rubber beams in a separate record sheet.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And, there may be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preferr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better understand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a rubber dam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In addition, in each drawing used for descrip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component,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may be abbreviate | omitted.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어 보인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the rubber dam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수의 고무보(10)는 하천 또는 강폭에 비례하여 동일 선상으로 각각 설치된다.A plurality of rubber beams 1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same line in proportion to the river or river width.

그리고, 고무보(10)들에는 공기관(11)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공기관(11)의 선단부에는 모터(60)로 구동되는 송풍기(61)를 연관 설치하며, 공기관(11)의 중간부에는 복수개의 배기관(42)을 관접 형성하여 각 배기관들에 전자밸브(40)(41) 및 제1 모터밸브(43)를, 그리고 송풍기(61) 전단의 공기관(11)에는 송풍기(61)의 가동중단 때 고무보(10) 내의 공기가 송풍기(61) 쪽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모터밸브(61a)를 각각 설치하고, 그 측방에는 고무보(10)의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50)를 설치한 후 초음파 수위감지기(20) 및 압력계(50)에서 측정한 수위 및 압력에 따라 전자밸브(40)(41), 제1, 제2 모터밸브(43)(44) 및 송풍기(61)를 제어하여 고무보(10) 내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하는 것에 의해 고무보(10)를 기립 또는 도복시키는 제어부(30)로 구성되는 통상의 고무댐에 있어서, 상기 고무보들의 운전과 운전이력, 고장이력 관리 및 현 운행 상태 등을 액정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서 일목요연하게 대화식으로 관리·제어하고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서 각 고무보들의 운전상태와 기기들의 작동여부를 자가 점검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장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보(10)들의 계통도를 소정의 그래픽으로 표시함과 아울러 터치화면을 분할하여 설정된 운전표식메뉴 및 고무보(10)들의 운전상태를 문자로 표시하고 관리자의 화면 터치입력을 터치패널 데이터로 입력받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100)과, 터치스크린(100)의 터치패널 데이터 및 제어부(30)에서 제공되는 고무보(10)들의 운전 데이터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한 소정의 표시명령들을 터치스크린(100)으로 출력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터치패널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어부(30)로 출력하는 등 기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부(110)와, 제어부(30)와 터치스크린 제어부(110)의 입출력 데이터들을 송,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130)와, 고무보(10)들의 계통도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며 터치스크린 제어부(110)의 터치패널 데이터 처리에 따른 동작 프로그램 및 동작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소정의 데이터와 제어부(30)에서 제공되는 고무보(10)들의 운전이력, 고장이력, 현 운전 상태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화된 고무보들의 계통도 등을 터치스크린 제어부(110)의 요청에 따라 저장·출력하는 메모리(120)와, 제어부(30) 및 터치패널 제어부(110)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부(130)에 접속되어 메모리(120)에 저장된 고무보(10)들의 운전이력과 고장이력 및 현 운전 상태 등의 데이터를 터치스크린 제어부(110)의 요청에 따라 년 또는 개월 단위로 인쇄용지에 인쇄하는 프린터(150)와, 제어부(30) 및 터치패널 제어부(110)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부(130)에 접속되며 각 고무보(10)들이 설치된 현장을 수 개의 촬상카메라로 촬영 하여 녹화한 후 터치스크린 제어부(110)의 요청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전송하여 터치스크린(100)에 표시하는 폐회로 텔레비젼부(Closed circuit television : CCTV)(140)와, 고무댐을 운전 관리함에 있어서, 운전 중에 위험상황이 발생될 때 경보를 발생하는 안내방송부(160)로 구성된다.One end of the air pipe 11 is connected to the rubber beams 10, and an air blower 61 driven by a motor 60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air pipe 11, and an intermediate part of the air pipe 11 is provided. A plurality of exhaust pipes 42 are form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operate the solenoid valves 40 and 41 and the first motor valve 43 in each of the exhaust pipes, and to operate the blower 61 in the air pipe 11 in front of the blower 61. A second motor valve 61a is installed to prevent air in the rubber beam 10 from leaking toward the blower 61 at the time of stopping, and a pressure gauge 50 for measuring the air pressure of the rubber beam 10 on the side thereof. ), The solenoid valve 40, 41, the first and second motor valves 43, 44 and the blower 61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nd pressure measured by the ultrasonic level sensor 20 and the pressure gauge 50. ) Is a conventional rubber composed of a control unit 30 for standing or overhanging the rubber beam 10 by injecting or discharging air into the rubber beam 10 by controll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and driving history of the rubber beams, operation history, fault history management, and the current driving state are interactively managed and controlled on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touch screen in an interactive manner, and the operation state and the device of each rubber beam on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the rubber dam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self-checking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ure 2, displays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rubber beams 10 in a predetermined graphic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100 and the touch screen 100 to display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marker menu and rubber beams 10 set by splitting the touch screen as text and to receive and output the screen touch input of the administrator as touch panel data. The touch panel data of the control panel and the driving data of the rubber beams 10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30, and predetermined display commands corresponding theret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such as output to the display screen 100 to process and output the touch panel data to the controller 30, the controller 30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 The interface unit 13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input and output data of the 110 and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rubber beams 10 are stored as a database,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program 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touch panel data processing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The predetermined data generated and the operation history of the rubber beams 10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30, the failure history, the current operating state, and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database-based rubber beams are stored at the request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The rubber beams 10 stored in the memory 120 ar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30 to transmit and receive the memory 120 and the control unit 30 and the touch panel control unit 110. Printer 150 for printing data such as transfer history, failure history and current operation state on printing paper in units of years or months at the request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and the controller 30 and the touch panel controller 110.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30 to en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recording the site where each rubber beam 10 is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imaging cameras, and then recording the site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at the request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140 that transmits and displays on the touch screen 100, and guide broadcasting unit 160 for generating an alarm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during operation in the operation management of the rubber dam It consists of.

상기에서, 터치스크린(100)은 표시부(102)와 터치패널(104)로 구성되며, 표시부(102)로는 액정표시기(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02)는 도 2 및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화면이 면 분할되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화된 각 고무보(10)들 중에서 선택된 고무보의 계통도를 소정의 그래픽으로 표시하고 또 폐회로 텔레비젼부(140)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표시부(102a)와, 터치화면을 면 분할하여 상기 설정된 운전표식메뉴 및 고무보(10)들의 운전상태를 문자로 표시하는 서브표시부(102b)로 이루어진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ouch screen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02 and a touch panel 104,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may be used as the display unit 102. As shown in Figs. 2 and 3A, the display section 102 displays a system diagram of the rubber beams selected from the rubber beams 10, which are screened and divided into one screen, in a predetermined graphic. The main display unit 102a for displaying an image provided from the 140 and the sub-display unit 102b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t operation marker menu and the rubber beams 10 by dividing the touch screen into characters.

그리고 터치패널(104)은 객체 지향적인 관리자 정보 입력수단으로서, 관리자가 손이나 필기구 등을 통해 스크린 위의 일정 부위를 터치함으로써,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그 위치를 인식하여 터치패널 데이터를 발생한다. 또한, 터치패널(104)은 메인표시부(102a) 및 서브표시부(102b)의 표면 위에 장착되지만 투명한 재질인 바, 메인표시부(102a), 서브표시부(102b)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 관리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ouch panel 104 is an object-oriented manager information input means. When a manager touches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screen by using a hand or a writing instrument, the touch panel 104 recognizes the position and generates touch panel data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In addition, the touch panel 104 is mounted on the surfaces of the main display unit 102a and the sub display unit 102b, bu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screen displayed by the main display unit 102a and the sub display unit 102b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as it is. It is configured to be.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장치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device for a rubber dam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본 고안에서 터치스크린(100)의 터치패널(104)의 입력에 따라 표시부(102),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브표시부(102b)에 내용을 나타내는 상태를 터치스크린 동작모드라 부르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2 and more specifically, the sub display unit 102b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touch panel 104 of the touch screen 100 will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operation mode.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장치에 전원이 입력되면 터치스크린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00)의 표시부(102)에 초기화면을 표시한다. 즉 도 3a와 같이, 표시부(102)의 한 화면을 메인표시부(102a)와 서브표시부(102b)로 면 분할함과 아울러 서브표시부(102b)를 터치화면으로 각각 면 분할한 후 그 분할된 터치화면들에 각각 수위, 압력, 운전선택, 운전상태 등의 설정된 운전표식메뉴를 문자로 표시한다.When power is input to the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of the rubber dam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displays an initial screen on the display unit 102 of the touch screen 100.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3A, on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02 is divided into the main display unit 102a and the sub display unit 102b, and the sub display unit 102b is divided into the touch screens. Display the set operation marker menu such as water level, pressure, operation selection and operation status in letters.

이때, 관리자가 서브표시부(102b)에 표시된 운전표식메뉴 중에서 압력체크모드의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100)의 터치패널(104)은 이를 터치패널 데이터로 하여 터치스크린 제어부(110)에 제공하게 되고, 터치스크린 제어부(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라 터치패널(104)로부터 인가되는 터치패널 데이터를 인식하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어부(30)로부터 각 경간의 고무보(10)들의 압력 값들을 읽어들인 다음 그 압력 값들을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경간과 함께 서브표시부(102b)에 문자로 표시하여 주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manager touches the screen of the pressure check mode among the operation marker menus displayed on the sub display unit 102b, the touch panel 104 of the touch screen 100 provides the touch panel data t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recognizes the touch panel data applied from the touch panel 104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oper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20, and the respective spans from the controller 3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After reading the pressure values of the rubber beams 10, the pressure values are displayed in letters on the sub display section 102b with each span as shown in FIG. 3B.

또한, 관리자가 서브표시부(102b)에 표시된 운전표식메뉴 중에서 운전선택모드의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 제어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터치스크린(100)의 터치패널(104)로부터 인가되는 터치패널 데이터를 인식하고 터치스크린(100)의 서브표시부(102b)를 도 3c와 같이, 터치화면으로 각각 면 분할한 후에 그 분할된 터치화면들에 메모리(120)에 기 설정된 터치스크린 동작모드, 예컨대 고무보(10)들의 운전을 선택함에 있어서, 고무보(10)들 전체를 자동 또는 반자동 또는 수동으로 운전시킬 것인지 아니면 고무보(10)들을 개별로 선택하여 자동 또는 반자동 또는 수동으로 운전시킬 것인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면 분할된 터치화면에 각각 전체모드, 개별모드, 자동모드, 반자동모드, 수동모드 및 그리고 반자동 모드와 수동모드의 선택 때, 각 경관의 고무보(10)들을 기립시킬 것인지 아니면 도복시킬 것인지 또는 정지시킬 것인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manager touches the screen of the operation selection mode among the driving marker menus displayed on the sub display unit 102b,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is applied from the touch panel 104 of the touch screen 10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fter recognizing the touch panel data and subdividing the sub display unit 102b of the touch screen 100 into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3C, the touch screen operation mode preset in the memory 120 on the divided touch screens, For example, in selecting the operation of the rubber beams 10, whether the entire rubber beams 10 are operated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or manually, or whether the rubber beams 10 are individually selected to be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Read the data for displaying the message to query the full screen, individual mode, automatic mode, semi-automatic mode, manual mode and semi When the automatic mode and the manual mode are selected, a message is displayed to inquire whether the rubber beams 10 of each officer are to stand, to be slaughtered or to be stopp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관리자가 서브표시부(102b)에 표시된 터치스크린 동작모드, 예컨대 전체모드의 화면을 터치하고 자동모드의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 제어부(110)는 터치패널(104)로부터 인가되는 터치패널 데이터를 인식하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어부(30)에 전송하게 된다. When the manager touches the touch screen operation mode displayed on the sub display unit 102b, for example, the full mode screen and touches the screen in the automatic mode,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applies a touch applied from the touch panel 104. The panel data is recogniz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제어부(30)는 인터페이부(130)를 통해 데이터가 입력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재 진행중인 모드를 초기화하고(S10) 초기화 해제후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가 자동운전 모드인지 반자동운전 모드인지 또는 수동운전 모드인가를 판단한다(S12). 단계(S12)에서 판단한 모드가 전체모드이고 자동운전 모드인 경우에 제어부(30)는 먼저 고무보(10)들에 의해 담수된 저수량의 수위를 초음파 수위감지기(20)로부터 측정하고 그 측정된 수위와 설정된 수위(예컨대 1.2m)를 비교하여(S14), 측정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상이면 고무보(10)들 위로 물이 넘쳐흘러서 댐이 안전상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도복밸브를 개방, 즉 도 2에 나타내는 전자밸브 (40)를 개방시킨다(S16). 이에 따라 고무보(10)들에 충전된 공기가 공기관(11) 및 개방된 전자밸브(40)를 통해 배기관(42)으로 배기되므로서 각 경간들의 고무보(10)들이 서서히 도복되어진다(S18). 고무보(10)들이 도복되어지면 담수된 물이 그 고무보(10)들을 통해서 다량으로 방류된다. 이때 담수된 수위가 정상 수위, 즉 설정 수위로 조절되었을 때,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전자밸브(40)가 닫히게 됨으로써, 그 이상의 배기작용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When the data is input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the controller 30 initializes the current mode as shown in FIG. 4 (S10). After the initialization is released, whether the input data is in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the semi-automatic operation mode, or the manual oper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mode (S12). When the mode determined in step S12 is the full mode and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the control unit 30 first measures the water level of the fresh water stored by the rubber beams 10 from the ultrasonic level sensor 20 and the measured water level. Compared with the set water level (for example, 1.2m) (S14), if the measured water level is above the set water level, the water overflows over the rubber beams 10, so that the dam is not preferable for safety. Open the valve 40 (S16). Accordingly, the air filled in the rubber beams 10 is exhausted to the exhaust pipe 42 through the air pipe 11 and the open solenoid valve 40, so that the rubber beams 10 of the respective spans are gradually inclined (S18). ). When the rubber beams 10 are coated, fresh water is discharged in large quantities through the rubber beams 10. At this time, when the fresh water level is adjusted to the normal level, that is, the set level, the solenoid valve 40 is clos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 so that no further exhaust action occurs.

또한, 전술한 초음파 수위감지기(20)에서 측정한 수위가 설정된 수위보다 낮으면 제어부(30)는 댐의 수위를 설정 수위로 높힐 필요가 있으므로 모든 도복밸브, 즉 전자밸브(40)(41) 및 제1 모터밸브(43)의 닫힘 여부를 판단하여(S20), 상기 도복밸브가 열려있으면 그 열려있는 도복밸브들을 닫고(S22) 기립밸브, 예컨대 제2 모터밸브(44) 만을 개방(S24)한 상태에서 송풍기(61)를 가동시켜 준다(S26).In addition, if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above-described ultrasonic water level sensor 20 is lower than the set water level, the controller 30 needs to raise the water level of the dam to the set water level, so that all the check valves, that is, the solenoid valves 40 and 41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motor valve 43 is closed (S20). If the doped valve is open, the open doped valves are closed (S22), and only the standing valve, for example, the second motor valve 44, is opened (S24). The blower 61 is operated in the state (S26).

송풍기(61)의 가동에 의해 고무보(10) 내의 압력은 서서히 증가하고, 이것에 의해 고무보(10)들이 서서히 기립되어진다. 이때 제어부(30)는 압력계(50)로부터 고무보(10)들의 공기압력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설정된 제1 규정내압 범위 내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8). 여기서, 상기 제1 규정내압은 설정수위(1.2m)에 대응한 고무보(10)들의 기립조건에 맞도록 설정되어진 제1 압력규정치와 이 압력규정치보다 약간 높게 설정된 제2 압력규정치로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단계(S28)에서 측정된 공기압력이 제1 규정내압 범위 이하로 판단되면 단계(S20)(S22) 이후의 과정을 반복하여 계속 각 경간들에 공기를 주입, 즉 각 고무보(10)들에 공기를 주입하여 기립시키고, 제1 규정내압 범위 내에 도달하면, 즉 제1 압력규정치와 제2 압 력규정치 사이에 존재하면 먼저 송풍기(61)의 가동을 중지하고(S30) 기립밸브, 즉 개방된 제2 모터밸브(44)를 닫아준(S32) 다음 자동운전 모드로 리턴(S34) 한다.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61, the pressure in the rubber beam 10 gradually increases, whereby the rubber beams 10 stand up gradually.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0 periodically measures the air pressure of the rubber beams 10 from the pressure gauge 50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sure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internal pressure range is set (S28). Here, the first prescribed internal pressure is composed of a first pressure regulation set to meet the standing conditions of the rubber beams 10 corresponding to the set water level (1.2m) and a second pressure regulation set slightly higher than the pressure regulation. Subsequent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pressure measured in step S28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prescribed internal pressure range, the process after steps S20 and S22 is repeated to continuously inject air into the respective spans, that is, each rubber beam 10.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and stands within the first prescribed pressure range, that is, between the first pressure regulation value and the second pressure regulation value, the blower 61 is first stopped (S30). That is, the second motor valve 44 is closed (S32) and then returns to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S34).

한편, 관리자가 터치스크린(100)의 서브표시부(102b)에 표시된 터치스크린 동작모드, 예컨대 전체모드의 화면을 터치하고, 이어서 반자동 운전모드의 화면을 터치한 후에 기립 또는 도복모드의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 제어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화면의 터치위치를 확인한 후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어부(30)에 터치패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30)는 반자동운전 모드에서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가 기립모드인지 또는 도복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6). 단계(S36)에서 판단한 모드가 도복모인 경우에는 도복밸브, 예컨대 전자밸브(40)를 개방시켜(S38) 모든 경간, 즉 모든 고무보(10)들을 도복시키고, 단계(S36)에서 기립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자동운전 모드에서의 기립모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계(S40 내지 S52)를 수행하여 상기 경간들, 즉 상기 고무보(10)들 전체를 기립시키고 완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dministrator touches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operation mode, for example, the full mode displayed on the sub display unit 102b of the touch screen 100, and then touch the screen of the semi-automatic operation mode, and then touch the screen of the standing or dobok mode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transmits the touch panel data to the controller 3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after confirming the touch position of the screen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data is in the standing mode or the dodging mode (S36). If the mode determined in step S36 is a domomo, the dobo valve, for example, the solenoid valve 40 is opened (S38) to cover all the spans, that is, all the rubber beams 10, and the stand-up mode is determined in step S36.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tanding mode in the automatic driving mode, steps S40 to S52 are performed to stand and complete the spans, that is, the entire rubber beams 10.

또한, 관리자가 터치스크린(100)의 표시부(102b)에 표시된 전체모드의 화면을 터치하고 이어서 수동운전 모드의 화면을 터치한 후에 기립 또는 도복모드의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 제어부(110)는 화면의 터치위치를 확인한 후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어부(30)에 터치패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30)는 수동운전 모드에서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가 기립모드인지 또는 도복모드인지를 판단한다(S54). 단계(S54)에서 판단한 모드가 도복모드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전자밸브(40)를 개방시켜(S56) 고무보(10)들 전체를 도복시키고, 단계 (S54)에서 기립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기립밸브, 즉 제2 모터밸브(44)를 개방하고(S58) 송풍기(61)를 가동시켜(S60) 모든 고무보(10)들을 서서히 기립시킨다. 그리고 압력계(50)로부터 고무보(10)들의 공기압력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설정된 제2 규정내압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62). 여기서, 상기 제2 규정내압은 전술한 제1 규정내압의 제1 압력규정치와 동일한 값을 갖는다. 계속해서, 단계(S62)에서 측정된 공기압력이 제2 규정내압 이하로 판단되면 단계(S54) 이후의 과정을 반복하여 계속 고무보(10)들에 공기를 주입하여 기립시키고, 제2 규정내압에 도달하면 송풍기(61)의 가동을 중지하고(S64) 개방된 제2 모터밸브(44)를 닫아(S68) 기립을 완료한다.In addition, if the manager touches the screen of the full m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2b of the touch screen 100 and then touches the screen of the manual operation mode, then touches the screen of the standing or douging mode,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After confirming the touch position of the screen, the touch panel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and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data is in the standing mode or the dodging mode in the manual operation mode. (S54). If the mode determined in step S54 is the doping mode, the solenoid valve 40 is open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S56), the entire rubber beams 10 are rolled over, and in step S54, the standing mode is determined. When the standing valve, that is, the second motor valve 44 is opened (S58) and the blower 61 is operated (S60), all the rubber beams 10 are gradually raised. The air pressure of the rubber beams 10 is periodically measured from the pressure gauge 50 to determine whether the set second internal pressure is reached (S62). Here, the second prescribed internal pressure has the same value as the first pressure prescribed value of the first specified internal pressure. Subsequent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pressure measured in step S6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prescribed internal pressure, the process after step S54 is repeated to continuously inject air into the rubber beams 10 to stand, and the second prescribed internal pressure is established. When the air blower 61 is reached, operation of the blower 61 is stopped (S64), and the opened second motor valve 44 is closed (S68) to complete the standing.

한편, 상기에서 반자동 운전모드와 수동운전 모드에서 고무보들의 기립선택은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00)의 서브표시부(102b)에 표시된 각 경간의 고무보(10)들의 압력 값이 낮았을 때 관리자가 이를 참조하여 선택하는 모드이며, 또한 반자동운전 모드와 수동운전 모드에서 정지모드는 현재 선택되어 진행중인 모든 고무보들의 기립 또는 도복을 중지하는 모드로서, 전체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경간들 전체, 즉 고무보들의 전체를, 그리고 개별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경간, 즉 해당 고무보의 기립과 도복을 중지시키는 것이다.Meanwhile, in the semi-automatic operation mode and the manual operation mode, the standing selection of the rubber beams is performed by the pressure values of the rubber beams 10 displayed on the sub display unit 102b of the touch screen 100 as shown in FIG. 3B. When it is low, it is the mode that the administrator selects with reference to this. Also, in the semi-automatic operation mode and the manual operation mode, the stop mode is a mode that stops standing or dotting of all the rubber beams currently selected and in progress. The entire field, ie all of the rubber beams, and if the individual mode is selected, stops the span, ie the rubber beams from standing and lodging.

그리고, 도 3b의 개별모드는 각 고무보(10)들을 개별적으로 자동 또는 반자동 또는 수동으로 운전시키기 위한 모드로서, 예컨대 서브표시부(102b)에 표시된 개별모드의 화면을 터치하고 그 화면 상부에 위치한 1경간의 화면을 터치한 후 자동 또는 반자동 또는 수동모드의 화면을 터치하면 상기 1경간의 고무보만 자동 또 는 반자동 또는 수동운전 모드로 운전되고 나머지 경간들, 즉 나머지 고무보들은 이전에 선택된 운전모드로 운전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individual mode of FIG. 3B is a mode for operating each rubber beam 10 automatically, semi-automatically or manually. For example, the individual mode screen displayed on the sub display unit 102b is touched and 1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Touch the screen of span and then touch the screen of automatic, semi-automatic or manual mode. Only the rubber beam of 1 span is operated in automatic, semi-automatic or manual operation mode and the other spans, ie the remaining rubber beams, are moved to the previously selected operation mode. I'm driving.

또한, 관리자가 서브표시부(102b)에 표시된 운전표식메뉴 중 운전상태체크 모드의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00)의 터치패널(104)로부터 인가되는 터치패널 데이터를 인식하고 터치스크린(100)의 서브표시부(102b)를 터치화면으로 각각 면 분할한 후에 그 분할된 터치화면들에 어떠한 경간(고무보)들의 운전상태를 확인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관리자가 터치화면에 표시된 여러 경간 중에서 하나의 경간, 예컨대 1경간의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 제어부(110)는 그 1경간에 해당하는 고무보(10)의 현 운전모드, 압력 값 등을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어부(30)로부터 전송 받아서 도 3d와 같이, 면 분할된 서브표시부(102b)의 터치화면에 표시하여 주고, 또한 메모리(120)에 데이터 베이스화되어 저장된 상기 1경관에 대한 고무보의 계통도를 읽어들여 면 분할된 메인표시부(102a)에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주게 된다. 이와 같이, 관리자의 경간 선택에 따라 그 경간에 해당하는 운전모드와 압력 값 및 데이터 베이스화된 고무보의 계통도를 차례대로 서브표시부(102b) 및 메인표시부(102a)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nager touches the screen of the driving status check mode among the driving marker menus displayed on the sub display unit 102b,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recognizes touch panel data applied from the touch panel 104 of the touch screen 100. After sub-dividing the sub display unit 102b of the touch screen 100 into the touch screens, a message is displayed on the divided touch screens to inquire which spans (rubber beams) to check driving conditions. At this time, when the manager touches one of the several spa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for example, one span,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interfaces the current operation mode and the pressure value of the rubber beam 10 corresponding to the one span. The rubber for the one landscape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30 through the unit 13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sub-divided display unit 102b, which is divided into parts, and is database-stored in the memory 120. When reading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beam, it is displayed graphically on the divided main display unit 102a. In this manner, according to the manager's selection of the span, the oper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span, the pressure value, and the system diagram of the database-based rubber beams can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sub display unit 102b and the main display unit 102a.

또한, 관리자가 서브표시부(102b)에 표시된 운전표식메뉴 중 점검모드의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 제어부(110)는 서브표시부(102b)의 화면에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폐회로 텔레비젼부(140)의 촬상카메라들과 라이트(light)의 선택, 그 선택된 촬상카메라들의 상하좌우 및 줌(ZOOM) 조절, 그리고 메인표시부(102a)의 화면 을 분할 또는 전체화면으로 하여 볼 수 있도록 조절표식메뉴들을 도 3e와 같이 문자 및 기호로 하여 표시한다. 이때 관리자가 각 경간의 고무보(10)들의 상태를 보다 상세히 점검하기 위해서 서브표시부(102b)의 터치화면에 표시된 조절표식메뉴들 중에서 1번 촬상카메라 또는 2번 촬상카메라의 화면을 터치하고 상하좌우 또는 줌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 제어부(110)가 이를 인식하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어부(30)에 제공함으로써, 제어부(30)가 폐회로 텔레비젼부(140)의 1번 촬상카메라 또는 2번 촬상카메라를 상하좌우로 또는 줌을 조절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폐회로 텔레비젼부(140)는 상기 촬상카메라들을 통해 각 경간의 고무보들이 설치된 현장을 촬영하여 녹화하였다가 터치스크린 제어부(110)의 요청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서 터치스크린(100)의 메인표시부(102a)에 표시하여 주게 되는데, 이때 관리자가 1번 촬상카메라 또는 2번 촬상카메라를 선택하고 전체화면 모드를 선택하면 1번 또는 2번 촬상카메라로 촬영한 현장을 메인표시부(102a)의 전체 화면에 표시하고, 4분할화면 모드를 선택하면 메인표시부(102a)의 화면을 4화면으로 면 분할하여 그 분할된 화면 각각에 상기 1번 또는 2번 촬상카메라로 촬영한 현장을 표시하여 주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anager touches the screen of the check mode among the operation marker menus displayed on the sub display unit 102b,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captures an image of the closed circuit television uni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on the screen of the sub display unit 102b. Selection of cameras and light, adjustment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and zoom of the selected cameras, and adjustment marker menus to view the screen of the main display unit 102a in divided or full screen mode as shown in FIG. 3E. Displayed as letters and symbols. At this time, the manager touches the screen of the first imaging camera or the second imaging camera among the adjustment marker menu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sub display unit 102b to check the state of the rubber beams 10 in detail. Alternatively, whe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recognizes this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controller 3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whereby the controller 30 is the first imaging camera or the second camera of the closed circuit television unit 140. You can adjust the zoom camera up, down, left and right or zoom. In addition, the closed-circuit television unit 140 photographs and records a site where rubber beams of each span are installed through the imaging cameras, and then, upon request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the closed screen television unit 140 of the touch screen 100 is used. If the administrator selects the first camera or the second camera and selects the full screen mode, the scene captured by the first or the second camera i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02a. When the full screen is selected and the 4-split screen mode is selected, the screen of the main display unit 102a is divided into four screens, and the scenes photographed by the first or second imaging cameras are displayed on each of the divided screens. .

그리고 야간에 각 경간의 고무보들을 점검 및 촬영 녹화하기 위해 상기 조절표식메뉴들 중에서 1번 라이트 또는 2번 라이트 또는 1번과 2번의 라이트의 화면을 터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부(30)가 고무보(10)들의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라이트들을 점등시켜 빛을 밝혀주게 됨으로써, 폐회로 텔레비젼부(140)의 촬상카메라들이 각 경간의 현장, 즉 고무보들의 현장을 촬영·녹화하여 메인표시부 (102a)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점검모드에서 이전의 점검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이전모드의 화면을 터치하면 이전에 행했던 각 경간의 현장 영상, 즉 고무보들의 현장 영상이 메인표시부(102a)에 표시된다.In order to check and photograph the rubber beams of each span at night, the controller 30 may be touched by touching the screens of the first light or the second light or the first and second light among the adjustment marker menus. Lights up the lights installed at the sites of the rubber beams 10 to illuminate the light, so that the imaging cameras of the closed circuit television unit 140 capture and record the scenes of each span, that is, the sites of the rubber beams. 102a). In addition, when the screen of the previous mode is touched to check the previous inspection state in the inspection mode, the scene image of each span, that is, the scene image of the rubber beams, which has been previously performed, i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02a.

또한, 관리자가 각 경간의 고무보들의 운전이력과 고장이력 및 현 운행상태 등을 관리 점검하기 위해 서브표시부(102b)에 표시된 운전표식메뉴들 중에서 인쇄모드의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 제어부(110)가 이를 인식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각 고무보들의 운전이력과 고장이력 및 현 운행상태의 데이터를 년 또는 개월 단위로 읽어들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프린터(150)에 제공함으로써, 프린터(150)가 입력된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manager touches the screen of the print mode among the driving mark menus displayed on the sub display unit 102b to manage and check the driving history, the failure history, and the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rubber beams in each span,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Recognizing this, the driving history and failure history of each rubber beam stored in the memory 120 and data of the current driving state are read in units of years or months and provided to the printer 15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thereby providing a printer ( 150) prints the input data on the printing paper.

한편, 상기와 같이 제어부(30)와 터치스크린 제어부(110)가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수하면서 고무보들의 운전을 수행하는 중에 위험상황이 발생되면 제어부(30)가 안내방송부(160)를 통해 위험에 대처하도록 경보를 발생하여 주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roller 30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10 transmits data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and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while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rubber beams, the controller 30 guides the broadcast unit ( In step 160, an alarm is generated to cope with the danger.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강이나 하천 폭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고무보들을 통합적으로 운전 제어하기 위해 관리자가 고무보의 운전조작방법을 항상 숙지하였다가 조작실 내의 조작패널에 설치된 많은 스위치들을 일일이 조작해 주어야 하고, 또 관리자가 고무보의 고장 또는 운전상태 등을 점검하여 별도의 운행기록파일에 기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조작실 내에 설치되어 송풍기, 압력계, 배기밸브, 수위감지기 등을 제어하는 통상의 제어 부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현장의 조작실에 터치스크린보드를 설치하여, 고무보들의 운전, 고장이력 및 운행상태 등을 간편하게 조작·관리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comparative example, in order to integrally control and control the rubber beams installed in the prior art, that i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iver or the river, the manager always knows how to operate the rubber beams, Unlike the need to operate the switches manually and the administrator has to check the rubber beam failure or operation status and record in a separate driving record fil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operating room, and the blower, pressure gauge, exhaust A touch screen board is installed in the operating room of the site to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normal control unit and the interface unit for controlling valves, water level sensors, etc., so that the operation, failure history, and driving conditions of rubber beams can be easily operated and managed. It can be seen that.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고무보의 운전이력, 고장이력 및 현 운행 상태 등을 액정 터치스크린 화면상에서 일목요연하게 대화방식으로 관리·제어함으로써, 조작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또 현장에 가지 않고도 터치스크린 화면상에서 각 고무보들의 운전상태와 기기들의 작동여부를 신속·편리하게 자가 점검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In this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history, the failure history and the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rubber beam are managed and controlled in an interactive manner on the LCD touch screen screen at a glance, so that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is provided and the touch can be performed without going to the field. On the scree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self-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rubber beam and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In addition,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all fall within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장치에 의하면, 고무보들을 제어하는 통상의 제어부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현장의 조작실에 터치스크린보드를 설치하여 통합 연결함으로써, 고무보의 운전이력, 고장이력을 별도의 운행기록파일에 기록하지 않고 액정 터치스크린 화면상에서 일목요연하게 대화방식으로 관리하였다가 인 쇄하여 볼 수 있으며, 또 운전메뉴들을 숙지하지 않고 대화방식으로 고무보들의 운전을 조작함으로써, 조작의 편리성이 제공됨은 물론 관리자가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도 터치스크린 화면상에서 각 고무보들의 운전상태와 기기들의 작동여부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자가 점검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the rubber dam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in the operation room of the field to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normal control unit and interface unit for controlling the rubber beams By installing and integrating the board, the rubber and driving history and failure history can be managed at a glance on the LCD touch screen screen without any recording in a separate driving record file. By operating the rubber beams in an interactive manner without knowing it,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is provided, and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rubber beam and the operation of the devices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operated on the touch screen without the administrator directly going to the si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hecked.

Claims (5)

강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수위감지기 및 압력계에서 감지한 수위와 압력에 따라 제어부에서 송풍기, 배기밸브들을 제어하여 각 경간의 고무보들을 기립 또는 도복시켜 저수량을 조절하는 고무댐에 있어서, In the rubber dam that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djusts the amount of water by standing or overturning the rubber beams of each span by controlling the blower and exhaust valves i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level and pressure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and pressure gauge, (1) 상기 고무보들의 계통도를 소정의 그래픽으로 표시함과 아울러 터치화면을 분할하여 설정된 운전표식메뉴 및 상기 고무보들의 운전모드, 운전상태, 압력값 등을 문자로 표시하고 관리자의 화면 터치입력을 터치패널 데이터로 입력받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1) The system diagram of the rubber beams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graphic, and the operation mark menu set by dividing the touch screen and the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state, the pressure value, etc. of the rubber beams are displayed by text, and the manager touches the screen. A touch screen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touch panel data; (2)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널 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각 고무보들의 운전 데이터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한 소정의 표시명령들을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출력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터치패널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등 기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부; (2) Recognizing touch panel data of the touch screen and driving data of the rubber beams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and outputting predetermined display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to the touch screen and processing the touch panel data A touch screen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such as outputted to the controller; (3) 상기 제어부와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부의 입출력 데이터들을 송,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3) a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put / output data of the controller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And (4) 상기 고무보들의 계통도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며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부의 터치패널 데이터 처리에 따른 동작 프로그램 및 동작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소정의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고무보의 운전이력, 고장이력, 현 운전 상태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화된 고무보들의 계통도 등을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저장·출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 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 장치.(4) The system diagram of the rubber beams is stored as a database, and predetermined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program 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touch panel data processing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and the operation history and failure of the rubber beams provided by the controller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of the rubber dam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mory for storing and outputting the history, the current operating state and the systematic diagram of the database-based rubber beams, etc. at the request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화면 터치입력을 받아들이는 터치패널과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화된 각 고무보들 중에서 선택된 고무보의 계통도를 소정의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메인표시부와, 상기 터치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설정된 운전표식메뉴 및 상기 고무보들의 운전상태를 문자로 표시하는 서브표시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 장치.The touch screen includes a touch panel for receiving the screen touch input and a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mai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hematic diagram of a rubber beam selected from each of the database-based rubber beams, and the touch screen.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the rubber dam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b-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et operation marker menu and the rubber beams by dividing.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 및 터치패널 제어부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어 상기 각 고무보들이 설치된 현장을 수 개의 촬상카메라로 촬영하여 녹화한 후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인표시부에 표시하는 폐회로 텔레비젼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 장치.A closed circuit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to transmit / receive with the control unit and the touch panel control unit, recording and recording a scene where the rubber beams are installed by several imaging cameras, and displaying the main display unit at the request of the touch screen control unit.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of the rubber dam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levis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 및 터치패널 제어부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고무보들의 운전이력과 고장이력 및 현 운전 상태 등의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인쇄하는 프린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 장치.A printer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to transmit / receive with the control unit and the touch panel control unit to print data such as driving history, failure history, and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rubber beams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Integrated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the rubber dam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1 또는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고무보의 운전이력, 고장이력은 년 또는 개월 단위로 기록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의 특정 터치화면 위에 터치가 이루어질 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고무댐의 통합운전 관리제어 장치.The operation history and failure history of the rubber beam stored in the memory are recorded in units of years or months and are output when a touch is made on a specific touch screen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KR2020060008753U 2006-04-03 2006-04-03 apparatus for synthetic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of rubber dam having touch screen KR2004192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753U KR200419259Y1 (en) 2006-04-03 2006-04-03 apparatus for synthetic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of rubber dam hav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753U KR200419259Y1 (en) 2006-04-03 2006-04-03 apparatus for synthetic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of rubber dam having touch scre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090A Division KR20070099113A (en) 2006-04-03 2006-04-03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tic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of rubber dam having touch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259Y1 true KR200419259Y1 (en) 2006-06-16

Family

ID=4176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753U KR200419259Y1 (en) 2006-04-03 2006-04-03 apparatus for synthetic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of rubber dam having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259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749B1 (en) 2007-07-30 2008-02-26 (주)동국일렉콘스 Integrated remote terminal unit using internet
KR100938496B1 (en) 2009-08-24 2010-01-25 주식회사 바램 Remote control monitoring system for water supply pipe
KR100996922B1 (en) 2008-03-27 2010-11-29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ipe rou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749B1 (en) 2007-07-30 2008-02-26 (주)동국일렉콘스 Integrated remote terminal unit using internet
KR100996922B1 (en) 2008-03-27 2010-11-29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ipe route
KR100938496B1 (en) 2009-08-24 2010-01-25 주식회사 바램 Remote control monitoring system for water supply pi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9259Y1 (en) apparatus for synthetic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of rubber dam having touch screen
US10294635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of work machine
EP0804031A3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mera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01116327A (en) Digital imaging system with digital zoom warning
JP2006301756A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disaster prevention method using flood prediction
KR101113070B1 (en) Integrated realtime system for managing a watercourse
US20060164242A1 (en) Projector device with theft prevention function and theft preventing method
CN206618976U (en) Water conservancy monitoring system
KR200700991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tic operation management control of rubber dam having touch screen
JP3097453B2 (en) Water control sheet management system
US7062957B2 (en) Percolation test apparatus
KR20200044368A (en) System for managing the agricultural water
JP2004164591A (en) Flood prevention supporting apparatus, flood prevention supporting program and flood prevention support method
KR102210049B1 (en) system for analyzing pipelines through inspecting inside pipelines and defect
JP2019190061A (en) Flood gate monitoring system, flood gate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KR20120083101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lumbing using pump with tim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umbing using the same
EP1403739A3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liquid development
KR100743585B1 (en) Controlling system floodgate using web camera and method thereof
KR20120095516A (en) Surveillance and measuring and control system for water level
JP2961046B2 (en) Monitoring and control support equipment
US779147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EP3967985A1 (en)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ed for fuel tank, and server
KR100936116B1 (en)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for managing the GPS observatory all time
CN106128414A (en)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installation
KR200224489Y1 (en)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of Rubber D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