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067Y1 - A safety fork that is easy to sperate and wash - Google Patents

A safety fork that is easy to sperate and wa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067Y1
KR200419067Y1 KR2020060007615U KR20060007615U KR200419067Y1 KR 200419067 Y1 KR200419067 Y1 KR 200419067Y1 KR 2020060007615 U KR2020060007615 U KR 2020060007615U KR 20060007615 U KR20060007615 U KR 20060007615U KR 200419067 Y1 KR200419067 Y1 KR 200419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handle
handle body
cover plat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6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종삼
Original Assignee
정종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삼 filed Critical 정종삼
Priority to KR2020060007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06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06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2Table-ware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음식물을 유아들이 안전하게 찍어 먹기 위한 포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와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몸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몸체의 일측 하부에는 포크날하부가림판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몸체의 개방된 상부에 끼움결합되는 덮개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은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의 일측에는 포크날상부가림판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덮개부와, 바형상으로 양측면 가운데부분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된 포크부몸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포크부몸체는 타측이 손잡이몸체의 내부에 삽입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부에 내설되어 전후왕복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돌기가 덮개판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있어 포크부몸체가 손잡이몸체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포크부몸체의 일측에는 손잡이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는 포크날이 형성되어 있는 포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 for dipping various foods safely by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a handle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with an upper side and one side open, and having a lower portion on one side of the handle body. The lower portion of the fork blade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in which the rim plate protrud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ver plate fitt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body, and the cover plate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On one side of the cover plate is a fork blad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 cover plate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bar shape is formed in the middle of both sides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fork body with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and the fork The sub body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spring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andle body on the other side. The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cover plate so that the fork body is not detach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and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ork body. It relates to a safety fork easy to separate clean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fork portion is formed with a fork blade is positioned protruding out of the handle body.

안전포크, 손잡이부, 포크부, 덮개부, 탄성스프링 Safety Fork, Handle, Fork, Cover, Elastic Spring

Description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A safety fork that is easy to sperate and wash}Safety fork that is easy to sperate and wash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개략도Figure 1 is a perspective schematic view of the disassembled easy fork safety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개략도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도 3은 도 1의 B-B'선의 단면개략도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가 조립된 상태에서 포크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k portion protrudes outward in a state that the safety fork easy to clean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가 조립된 상태에서 포크부가 내측으로 수용된 상태의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k portion accommod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afety fork easy to clean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안전포크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개략도Figure 6 is a perspective schematic view of a disassembled safety fork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안전포크를 조립한 상태에서의 횡단면개략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safety fork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 안전포크 2. 손잡이부1. Safety fork 2. Handle

3. 수용공간부 4. 손잡이몸체3. Housing space 4. Handle body

5. 포크날하부가림판 6a, 6b. 끼움홈5. Fork blade bottom plate 6a, 6b. Groove

7. 걸림돌기삽입홈 8. 스프링하부가이드홈7. Lock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 8. Spring lower guide groove

9. 스프링타측삽입홈 10. 덮개부9. Springer insert groove 10. Cover part

11. 덮개판 12a, 12b. 끼움돌기11. Cover plates 12a, 12b. Snapping

13. 포크날상부가림판 14. 스프링상부가이드홈13. Fork Blade Upper Rim 14. Spring Upper Guide Groove

15. 가이드홈 16. 걸림돌기15. Guide groove 16. Jamming protrusion

17. 누름홈 18. 포크부17. Push groove 18. Fork part

19a, 19b. 요철부 20. 가이드돌기19a, 19b. Uneven portion 20. Guide protrusion

21. 포크부몸체 22. 포크날21. Fork body 22. Fork blade

23. 스프링수용홈 24. 탄성스프링23. Spring Receiving Groove 24. Elastic Spring

25a, 25b. 탄성편 26a, 26b. 탄성편수용케이싱25a, 25b. Elastic pieces 26a, 26b. Elastic Single Casing

27. 경사부 28. 보조돌기27. Inclined part 28. Auxiliary projection

본 고안은 각종 음식물을 유아들이 안전하게 찍어 먹기 위한 포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와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몸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몸체의 일측 하부에는 포크날하부가림판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몸체의 개방된 상부에 끼움결합되는 덮개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은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의 일측에는 포크날상부가림판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덮개부와, 바형상으로 양측면 가운데부분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된 포크부몸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포크부몸체는 타측이 손잡이몸체의 내부에 삽입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부에 일부가 내설되어 전후왕복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돌기가 덮개판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있어 포크부몸체가 손잡이몸체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포크부몸체의 일측에는 손잡이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는 포크날이 형성되어 있는 포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 for safely taking a variety of foods for infants, and more specifically, the handle body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is formed on the inside with the upper side and one side open and the fork blade at one side of the handle body A handle portion having a lower cover plate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ver plate fitted to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body, and the cover plate has guide groove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On one side, the fork blad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 cover portion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bar-shaped central portion on both sides is formed with a concave-convex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fork body with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the fork body The other side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spring inserted into the handle body. Part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portion is installed so as to move back and forth reciprocating but the guide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cover plate so that the fork body is not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and on one side of the fork body It relates to a safety fork easy to separate clean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fork portion is formed with a fork blade is located in the protruding state of the handle body.

일반적으로 포크는 음식물을 섭취할 때 사용되는 도구로서, 젓가락질이 미숙한 어린아이들이나 스파케티와 같은 면종류의 음식물을 먹는 경우 애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포크는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의 일측 끝단에 포크날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포크의 뾰족한 포크날로 음식물을 찍어서 용이하게 입속으로 운반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fork is a tool used to eat food, and is used when eating a kind of food such as spaghetti or young children with chopsticks, and the fork is provided with a handle that can be held by a person. The fork blade is integrally formed or attached to one end of the handl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the food with the sharp fork blade of the fork and carry it into the mouth.

그러나, 종래의 포크는 젓가락질이 미숙한 아동이나 인지능력이 부족한 유아들이 사용할 경우 음식을 섭취하는 도중에 장난이나 실수로 인해 포크의 뾰족한 포크날에 부상을 당할 위험성이 커 부모나 보호자가 항상 옆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하 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conventional forks are used by inexperienced chopsticks or children with low cognitive abilities, and parents or guardians should always be on the side because of the risk of injury to the sharp fork blade of the fork due to mischief or mistake while eating. There was a problem to pay attention.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5-0033905호에서는 「 내부일측에 포크날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타측에는 가동축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상부면에 포크부의 가동축에 의해 유동되는 포크부를 순간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일부 내설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전방에 음식물을 찍기 용이하도록 뾰족한 포크날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에는 외주면에 탄성수단이 설치된 가동축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포크부로 구성되어 있어 음식물을 찍기 위해 상기 버튼을 눌러 포크부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여만 찍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포크날의 선단에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 포크날이 손잡이부의 포크날수용홈으로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포크 」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선출원된 안전포크는 분리 조립이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손잡이부 내측의 포크날수용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된 경우 내부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세균 등에 오염되기 쉬우며, 손잡이부의 내측으로 포크부의 포크날이 모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통상적으로 음식물을 찍기 용이하게 포크날의 폭을 넓게 형성한 경우에는 손잡이부의 폭은 포크날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손잡이부가 너무 넓고 크게 형성되어 유아들이 파지하기 어렵게 되며 반대로 포크날의 폭을 좁게 형성한 경우에는 손잡이부의 폭은 좁게 형성되나 음식물을 찍거나 버튼으로 포크날을 고정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안전포크의 전체적인 길이가 너무 길어 유아들이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5-0033905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to improve such a problem, "fork blade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movable shaft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one side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button for instantaneously fixing the fork portion flowing by the movable shaft of the fork portion, and is partly built into the handle portion so as not to be separated to the outside and pointed fork blades to easily take food in front It is formed in the rear portion is composed of a fork portion having a long movable shaft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fork portion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button to take food, so as not to flow and in the state without pressing the button Fork blade number of fork blade Safety fork,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has been disclosed, the safety fork is pre-applied structure is difficult to separate and assembled so that when the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fork blade receiving groove inside the handle portion is properly cleaned It is easy to be contaminated by germs, etc., and the fork blade is inserted inside the handle part. Therefore, when the width of the fork blade is formed to be easy to take food, the width of the handle part is the width of the fork blade. Since the handle portion is too wide and large, it is difficult to hold the infant because it is formed to be wider, on the contrary, when the width of the fork blade is narrowly formed, the width of the handle portion is narrow, but it is difficult to take food or fix the fork blade with a button. In this case, the overall length of the safety fork is too long for infants This was inconvenient to use and aesthetically bad problem.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부가 손잡이부에 슬라이딩식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덮개부를 분리하기만 하면 덮개부와 손잡이부와 포크부가 간단하게 분리되어 내부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세척하도록 되어 있고, 포크부몸체만 손잡이부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되어 있어 유아들이 파지하기 쉽게 손잡이몸체의 폭을 좁게 형성할 수 있으며, 포크부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직접 손가락으로 쥐어 포크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찍도록 되어 있어 힘이 약한 유아들도 용이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찍어 안전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ver part is to be coupled to the handle part by sliding so that simply remove the cover part, the cover part and the handle part and the fork part can be easily separated to facilitate the foreign matter inside. It is designed to wash, and only the fork body is accommodated inside the handle part so that infants can easily hold the width of the handle body easily, and the fork part is fixed by directly grasping the uneven pa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ork body. The purpose of this is to allow foods to be eaten in a safe state, even if the infants are weak.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와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몸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몸체의 일측 하부에는 포크날하부가림판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몸체의 개방된 상부에 끼움결합되는 덮개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은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의 일측에는 포크날상부가림판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덮개부와, 바형상으로 양측면 가운데부분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된 포크부몸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포크부몸체는 타측이 손잡이몸체의 내부에 삽입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부에 일부가 내설되어 전후왕복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돌기가 덮개판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있어 포크부몸체가 손잡이몸체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포크부몸체의 일측에는 손잡이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는 포크날이 형성되어 있는 포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handle body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upper side and one side and the fork blad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body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body, and The cover plate is fitt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body and the cover plate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the cover plate with a fork blade upper portion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cover plate In the middle of both sides of the bar and the shape of the bar is formed irregularities and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fork body protruding guide projections, the fork body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spring inserted in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body Part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part to be moved back and forth The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cover plate so that the fork body is not sepa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and on one side of the fork body, the fork blade is formed to protrude out of the handle body. There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ork.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ferr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drawings.

본 고안의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1)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질이 미숙한 아동이나 인지능력이 부족한 유아들이 통상의 포크를 이용할 경우 장난이나 실수로 포크날에 의해 부상을 입지 않고 각종 음식물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찍어 먹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내측에 포크부몸체(21)가 수용되는 손잡이부(2)와, 상기 손잡이부(2)의 상부에 끼움결합되어 포크부(18)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덮개부(10)와, 상기 손잡이부(2)의 내측에 포크부몸체(21)가 삽입된 상태로 탄성지지되는 포크부(18)로 구성되어 있다. Safety fork (1) easy to separate cl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jured by the fork blade accidentally or accidentally when children with immature chopsticks or infants lacking cogni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7 using a conventional fork It is to be able to safely and easily take a variety of food without wearing, the handle portion 2 and the fork body 21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tting portion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2 fork portion The cover part 10 which prevents the detachment | departure of (18), and the fork part 18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state which inserted the fork body 21 in the inside of the said handle part 2 are comprised.

상기 손잡이부(2)는 도 1, 2,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수용공간부(3)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몸체(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부(3)에는 탄성스프링(24)과 함께 상기 포크부(18)의 포크부몸체 (21) 일부가 삽입되어 탄성지지된 상태로 전후왕복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몸체(4)의 일측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포크날하부가림판(5)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몸체(4)의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는 포크날(22)을 상기 포크날하부가림판(5)이 하부쪽에 가려주어 포크날(22)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1, 2, 4, 5 is provided with a handle body (4)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3) formed inside the upper and one side as shown in Figure 1, 2, 4, 5 and A portion of the fork body 21 of the fork portion 18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 together with the elastic spring 24 so as to move back and forth back and forth in an elastically supported state. Lower fork blade lower portion of the rim plate (5) is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fork blade (22) that is not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andle body (4) lower portion of the fork blade rim plate (5) To prevent injury by the fork blade 22

또한, 상기 손잡이몸체(4)는 개방된 상부 좌우양측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끼움홈(6a)(6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덮개부(10)의 덮개판(11)이 슬라이딩식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몸체(4)의 타측 상면부에는 덮개판(11)의 타측 끝단 상면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6)가 삽입되는 걸림돌기삽입홈(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몸체(4)의 내측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스프링하부가이드홈(8)이 형성되어 있고 막혀 있는 타측끝단 내측면에는 스프링타측삽입홈(9)이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몸체(4)의 내측에 삽입된 탄성스프링(24)이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포크부몸체(21)를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body (4) is formed in each of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 long groove (6a, 6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cover plate 11 of the cover portion 10 is fitted by sliding fitting.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body 4 is formed a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 7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jection 16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cover plate 11, the handle body A spring lower guide groove 8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od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pring inserting groove 9 is formed on the other end inner side that is blocked to be inserted into the handle body 4. The elastic spring 24 is stably position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fork body 21.

한편, 상기 손잡이몸체(4)는 포크부몸체(21)만 삽입되도록 되어 있어 그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좌우측이 각각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되어 있어 유아들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body 4 is to be inserted only the fork body 21, the width thereof is formed narrow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respectively concave rounded inwardly so that the infants can easily grip have.

상기 덮개부(10)는 도 1,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몸체(4)의 개방된 상부에 부합되는 형상의 덮개판(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11)은 좌우양측면에 끼움돌기(12a)(12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끼움홈(6a)(6b)에 슬라이딩 식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11)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포크날상부가림판(13)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몸체(4)의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는 포크날(22)을 상기 포크날상부가림판(13)이 상부쪽에 가려주어 포크날(22)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The cover part 10 is provided with a cover plate 11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body 4, as shown in Figures 1, 3, 4, 5 and the cover plate 11 The fitting protrusions 12a and 12b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s 12a and 12b are slidably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s 6a and 6b, and one side of the cover plate 11 has a fork blade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blocking plate 13 is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fork blade 22 which is not inserted into the handle body 4 is covered by the fork blade upper part of the fork blade upper part 13 by the fork blade 22. To prevent injuries

또한, 상기 덮개판(11)은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스프링상부가이드홈(14)이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몸체(4)의 내측에 삽입된 탄성스프링(24)이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포크부몸체(21)를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상부가이드홈(14)이 형성된 가운데 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가이드홈(1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포크부몸체(21)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20)가 삽입되어 포크부(18)가 전후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되면서 손잡이몸체(4)의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late 11 has a spring-shaped upper guide groove 14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end surface so that the elastic spring 24 inserted into the handle body 4 is stably positioned so that the fork body A guide groove 15 protruding from the fork body 21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in which the spring upper guide groove 14 is formed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21 and the guide groove 15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Is inserted so that the fork 18 is stably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as not to fall out of the handle body 4.

한편, 상기 덮개판(11)은 타측 끝단 상면부에는 걸림돌기(16)가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몸체(4)의 타측끝단 상면부에 형성된 걸림돌기삽입홈(7)에 걸림체결되어 손잡이몸체(4)에 끼움결합된 덮개판(11)이 이탈되어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되, 상기 덮개판(11)의 타측 하단면에는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누름홈(17)이 형성되어 있어 덮개판(11)의 타측 끝부분이 용이하게 눌려지면서 걸림돌기삽입홈(7)에 걸림체결되어 있는 걸림돌기(16)가 빠져나와 덮개부(10)를 손잡이부(2)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ver plate 11 has a locking projection 16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 7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handle body 4, the handle body (4) The cover plate 11 fitted in the) is separated so as not to fall out, but the other end of the cover plate 11 has a pressing groove 17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cross the other side of the cover plate 11. The end is easily pressed and the locking projection 16 which is locked to the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 7 is pulled out so that the cover portion 1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handle 2.

상기 포크부(18)는 도 1,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형상으로 좌우 양 측면에는 요철부(19a)(19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면 가운데부분에는 가이드돌기(20)가 돌출형성된 포크부몸체(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포크부몸체(21)의 일측에는 손잡이부(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는 다수개의 포크날(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4, and 5, the fork part 18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the uneven parts 19a and 19b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nd the guide protrusion 2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fork body 21 and one side of the fork body 21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fork blades 22 which are position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2). .

상기 포크부몸체(21)는 손잡이몸체(4)의 수용공간부(3)에 일부가 내설되어 전후왕복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돌기(20)가 덮개판(11)의 가이드홈(15)에 삽입되어 있어 포크부몸체(21)가 손잡이몸체(4)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타측끝단에 스프링수용홈(23)이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몸체(4)의 내측에 삽입된 탄성스프링(24)의 일측 끝단이 상기 스프링수용홈(23)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탄성지지면서 전후왕복이동 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부몸체(21)는 뾰족한 포크날(22)로 음식물을 찍기전에는 상기 요철부(19a)(19b)가 손잡이몸체(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포크날상부가림판(13)과 포크날하부가림판(5)사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요철부(19a)(19b)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포크부몸체(21)가 수용공간부(3)로 삽입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찍어 취식하도록 되어 있다. The fork body 21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portion 3 of the handle body 4 is installed so as to move back and forth reciprocating, the guide protrusion 20 is the guide groove 15 of the cover plate 11 Is inserted into the fork body 21 is not to be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4, the spring receiving groove 23 is formed at the other end is the elastic spring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andle body (4) One end of the 24 is inserted into the spring accommodating groove 23 so as to be stably elastic and move back and forth, and the fork body 21 has the uneven portion before taking food with the sharp fork blade 22. 19a, 19b protrude outward of the handle body 4 to maintain the state positioned between the fork blade upper rim plate 13 and the fork blade lower rim plate 5 so that the user has the uneven portion 19a. 19b, the fork body 2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3 by holding the finger. In the fixed state so that it is to take the ingestion of food.

상기 포크날(22)은 통상적으로 손잡이몸체(4)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음식물을 용이하게 찍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음식물을 찍기전에는 탄성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포크날상부가림판(13)과 포크날하부가림판(5)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포크날(22)의 끝단에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포크부몸체(21)가 수용공간부(3)의 내측방향으로 후진 이동되면서 상기 포크날 상부가림판(13)과 포크날하부가림판(5)의 사이에 상기 포크날(22)이 위치되어 부주의에 의해 사용자가 찔리거나 다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fork blade 22 is generally formed wider than the handle body (4) so that it is easy to take food, and before taking the foo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24, the fork blade upper edge plate ( 13) and the lower part of the fork blade are maintain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rim plate 5, and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end of the fork blade 22, the fork body 21 is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portion (3). The fork blade 22 is positioned between the fork blade upper blind plate 13 and the fork blade lower edge plate 5 while being moved backward in a direction so that the user is not inadvertently stabbed or injur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의 안전포크(1)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의 손잡이몸체(4)는 수용공간부(3)가 형성된 부분의 내측면 좌우양측에 각각 탄성편(25a)(25b)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탄성편(25a)(25b)은 탄성편수용케이싱(26a)(26b)에 양단이 수용된 상태로 가운데 부분만 탄성편수용케이싱(26a)(26b)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부(18)의 포크부몸체(21)는 바(bar)형상으로 좌우 양측면에 요철부(19a)(19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손잡이몸체(4)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는 포크날(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부(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경사부(27)의 타측은 상기 탄성편(25a)(25b)에 맞닿아 좌우양측면에서 각각 탄성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포크날(22)의 선단부에 압력이 가해져 포크부몸체(21)가 수용공간부(3) 내측으로 후진이동할 경우 상기 경사부(27)의 폭이 점점 넓어지면서 탄성편(25a)(25b)을 강한 힘으로 누르게 되고 상기 탄성편(25a)(25b)에서 가해지는 탄성력도 점점 증가한 상태에서 상기 포크날(22)의 선단부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포크부몸체(21)가 탄성편(25a)(25b)의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전진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afety fork 1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handle body 4 of the handle portion 2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left and right inner side of the portion formed with the receiving space portion (3) The elastic pieces 25a and 25b are provided at both sides, respectively, but the elastic pieces 25a and 25b are elastic piece water receiving casings 26a in the middle only in the state where both ends are accommodated in the elastic piece water receiving casings 26a and 26b. )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26b), the fork body 21 of the fork 18 is a bar (bar) in the shape of the bar (19), 19b (19b) i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handle body on one side. (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ork blade 22 which is position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the inclined portion 27 is formed integrally on the other side toward the end, the inclined portion (27) The other side of the 27 is in contact with the elastic pieces (25a, 25b) to maintain the elastically supported state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distal end of the fork blade 22 and the fork body 21 moves backwar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 the width of the inclined portion 27 becomes wider, and the elastic pieces 25a and 25b are increased. ) Is pressed with a strong force and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ip of the fork blade 22 is released while the elastic force applied from the elastic pieces 25a and 25b is gradually increased, the fork body 21 is moved to the elastic piece ( It is made to move forward naturally by the elastic force of 25a) 25b.

또한, 상기 포크부몸체(21)의 상단면 가운데부분에는 가이드돌기(20)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부(27)의 상단면 가운데부분에는 보조돌기(28)가 돌출형성 되어 있으며 손잡이몸체(4)의 수용공간부(3)에 포크부몸체(21)의 일부가 내설되어 전후왕복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돌기(20)와 보조돌기(28)는 덮개판(11)의 하단면 가운데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15)에 삽입되어 있어 포크부몸체(21)가 손잡이몸체(4)의 외측으로 이탈되거나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후식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rotrusion 2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ork body 21,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28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27, and the handle body ( A portion of the fork body 21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3 of 4) to be installed to move back and forth reciprocally, and the guide protrusion 20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28 are bottom surfaces of the cover plate 11.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5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portion is fork body 21 is to be moved to the front and rear stably without deviating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4 or shaken from side to side.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고안의 안전포크(1)를 사용하여 음식을 찍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몸체(4)의 수용공간부(3)에 구비된 탄성스프링(24) 또는 탄성편(25a)(25b)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전전이동된 상태로 손잡이몸체(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부(10)의 포크날상부가림판(13)과 손잡이부(2)의 포크날하부가림판(5)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포크부몸체(21)의 요철부(19a)(19b)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포크부몸체(21)가 수용공간부(3)로 삽입되지 않도록 고정한 후 포크날(22)에 음식물을 찍어 취식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음식물이 찍여 있는 안전포크(1)를 손에 쥔 아이의 실수나 장난에 의해 포크날(22)이 신체에 접촉하여 포크날(22)의 선단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포크부(18)의 포크부몸체(21)가 후진이동하면서 수용공간부(3)로 삽입되고 상기 포크날(22)은 상기 포크날상부가림판(13)과 포크날하부가림판(5) 사이에 위치되어 포크날(22)을 가려줌으로써 포크날(22)에 찔리거나 상처를 입지 않게 되고 상기 포크날(22)의 선단부에 압력이 해제되면 포크부몸체(21)의 타측끝단을 탄성지지하고 있는 탄성스프링(24) 또는 포크부몸체(21)의 경사부(27) 타측끝단을 좌우양측 에서 탄성지지하고 있는 탄성편(25a)(25b)의 탄성력에 의해 포크부몸체(21)가 다시 전진이동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When taking food using the safety fork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elastic spring 24 or elastic piece (25a) (25b)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portion 3 of the handle body (4) It is elastically supported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4) to the fork blade upp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10 between the rim plate 13 and the fork blad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2) (5) The uneven portions 19a and 19b of the fork body 21 positioned are gripped with fingers to fix the fork body 21 so as not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portion 3, and then food is placed on the fork blade 22. When the fork blade 2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dy by a mistake or mischief of a child holding the safety fork 1 in which food is taken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tip of the fork blade 22. The fork body 21 of the fork 18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3 while moving backward and the fork blade 22 is the upper fork blade upper plate (13) ) And the fork blade lower part is positioned between the rim plate 5 to cover the fork blade 22 so that the fork blade 22 is not stuck or injured, and the fork part is released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from the tip of the fork blade 22.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s 24 which elastically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body 21 or the elastic pieces 25a and 25b which elastically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7 of the fork body 21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By the fork body 21 is moved forward again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음식물을 취식하기 위하여 사용된 안전포크(1)는 분리조립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손잡이몸체(4)의 상부에 슬라이딩식으로 끼움결합된 덮개부(10)를 일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손잡이몸체(4)의 수용공간부(3)에 위치된 탄성스프링(24)과 포크부(18)가 손잡이부(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내부를 세척한 후 위생적인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Safety fork (1) used to eat food is easy to separate and assembled so that the cover portion (10) slidingly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body (4) to one side handle body (4) The elastic spring 24 and the fork 18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3 of the) are easily separated from the handle 2 to clean the interior, and thus can be continuously used in a sanitary state.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덮개부가 손잡이부에 슬라이딩식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덮개부를 잡아당겨 분리하기만 하면 덮개부와 손잡이부와 포크부가 간단하게 분리되어 내부의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포크부몸체만 손잡이부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되어 있어 유아들이 파지하기 쉽게 손잡이몸체의 폭을 좁게 형성할 수 있으며, 포크부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직접 손가락으로 쥐어 포크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찍도록 되어 있어 힘이 약한 유아들도 용이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찍어 안전하게 취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art is slidably fitted to the handle part, and the cover part, the handle part, and the fork part are simply separated by pulling and removing the cover part to easily clean the foreign matters inside.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only the fork body inside the handle portion can be formed to narrow the width of the handle body to facilitate the infants gripping, the foods in the state of fixing the fork by directly grasping the uneven pa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ork body It is supposed to take pictures of infants who are weak and easy to take food while holding the effect is safe to eat.

Claims (7)

손잡이와 포크날이 형성된 통상의 포크에 있어서, 상부와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수용공간부(3)가 형성된 손잡이몸체(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몸체(4)의 일측 하부에는 포크날하부가림판(5)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2)와, 상기 손잡이몸체(4)의 개방된 상부에 끼움결합되는 덮개판(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11)은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11)의 일측에는 포크날상부가림판(13)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덮개부(10)와, 바형상으로 양측면 가운데부분에는 요철부(19a)(19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면에는 가이드돌기(20)가 돌출형성된 포크부몸체(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포크부몸체(21)는 타측이 상기 수용공간부(3)에 삽입된 탄성스프링(24)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수용공간부(3)에 일부 내설되어 전후왕복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돌기(20)가 덮개판(11)의 가이드홈(15)에 삽입되어 있어 포크부몸체(21)가 손잡이몸체(4)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포크부몸체(21)의 일측에는 손잡이부(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는 포크날(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날(22)은 끝단에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포크부몸체(21)가 수용공간부(3)의 내측방향으로 후진 이동되면서 상기 포크날상부가림판(13)과 포크날하부가림판(5)의 사이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찔리거나 다치지 않게 되어 있는 포크부(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In a conventional fork having a handle and a fork blade, a handle body 4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3 formed therein with an upper side and one side open, and having a fork under one side of the handle body 4. A handle portion 2 having a blade lower portion rim plate 5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ver plate 11 fitted to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body 4 are provided. ) Is a guide groove 15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over portion 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plate 11, the fork blade upper portion rim plate 13 is protru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bar Concave-convex portions 19a, 19b are formed in the middle of both sides in the shape, and the fork body 21 having the guide protrusion 20 protrude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fork body 21 has the other side thereof.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spring 24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 Is partially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3) is installed to move back and forth reciprocating but the guide projection 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5 of the cover plate 11, the fork body 21 is the handle body (4) The fork blade 22 is formed so as not to be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fork portion body 21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portion 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ork body 21 is the end of the fork blade 22 When the force is applied, the fork body 21 is moved backward in the receiving space portion 3, the fork blade upper portion of the rim plate 13 and the fork blade lower portion is placed between the rim plate 5 and the user Safety fork easy to separate clean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fork 18 is not stuck or inju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몸체(4)는 내측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스프링하부가이드홈(8)이 형성되어 있고 막혀 있는 타측끝단 내측면에는 스프링타측삽입홈(9)이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몸체(4)의 내측에 삽입된 탄성스프링(24)이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포크부몸체(21)를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body (4) is formed with a spring lower guide groove (8) formed in the longitudinally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bottom surface and the spring-side insertion groove (9)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ther end is blocked. The safety spring easy to separate and wash,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spring 24 is inserted into the handle body 4 is stably position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fork body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11)은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스프링상부가이드홈(14)이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몸체(4)의 내측에 삽입된 탄성스프링(24)이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포크부몸체(21)를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11)의 타측 끝단 상면부에는 손잡이몸체(4)의 타측끝단 상면부에 형성된 걸림돌기삽입홈(7)에 걸림체결되는 걸림돌기(16)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덮개판(11)의 타측 하단면에는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누름홈(17)이 형성되어 있어 덮개판(11)의 타측 끝부분이 용이하게 눌려지면서 걸림돌기삽입홈(7)에 걸림체결된 걸림돌기(16)가 빠져나와 덮개부(10)를 손잡이부(2)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plate 11 has a spring-shaped upper guide groove 14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end surface so that the elastic spring 24 inserted into the handle body 4 is stably positioned. The fork body 21 is elastically supported, and the other end of the cover plate 11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 7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handle body 4. Group 16 is formed, but the other end of the cover plate 11 is formed with a pressing groove 17 across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ver plate 11 is easily pressed while the locking projections Safety fork easy to separate clea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16) is fastened to the insertion groove (7) is pulled out and the cover portion (1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andle (2). 손잡이와 포크날이 형성된 통상의 포크에 있어서, 상부와 일측이 개방된 상 태로 내측에 수용공간부(3)가 형성된 손잡이몸체(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몸체(4)는 수용공간부(3)가 형성된 부분의 내측면 좌우양측에 각각 탄성편(25a)(25b)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몸체(4)의 일측 하부에는 포크날하부가림판(5)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2)와, 상기 손잡이몸체(4)의 개방된 상부에 끼움결합되는 덮개판(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11)은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11)의 일측에는 포크날상부가림판(13)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덮개부(10)와, 바형상으로 좌우 양측면에 요철부(19a)(19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부(3)에 일부 내설되어 전후왕복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포크부몸체(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부몸체(21)는 일측에 손잡이부(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는 포크날(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부(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경사부(27)는 상단면에 보조돌기(28)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탄성편(25a)(25b)에 맞닿아 좌우양측면에서 각각 탄성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포크날(22)은 선단부에 힘이 가해질 경우 포크부몸체(21)가 수용공간부(3)의 내측방향으로 후진이동되면서 상기 포크날상부가림판(13)과 포크날하부가림판(5)의 사이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찔리거나 다치지 않게 되어 있는 포크부(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In a conventional fork having a handle and a fork blade, a handle body 4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3 formed therein is provided with an upper side and one side thereof open, and the handle body 4 has a receiving space portion ( 3) the elastic pieces 25a and 25b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formed part, and the lower fork blade portion rim plate 5 protru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one lower side of the handle body 4. A handle plate 2 and a cover plate 11 fitt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body 4 are provided, and the cover plate 11 has a guide groove 15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lower surface thereof. One side of the cover plate 11 is formed with a cover portion 10 having a fork blade upper portion rim plate 13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uneven portions 19a and 19b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in a bar shape. Is partially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3) is installed to move back and forth reciprocating The fork body 21 is provided and the fork body 21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ork blade 22 which is position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portion 2 on one side and toward the end on the other side thereof. The inclined portion 27 gradually narrower is formed integrally, but the inclined portion 27 has an auxiliary protrusion 28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thereof, and the other side is fitted to the elastic pieces 25a and 25b. Each of the fork blades 22 is elastically suppor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ork blade 22 has the fork body 21 when the fork body 21 is moved backwards in the receiving space portion 3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tip portion. Safety fork easy separation separ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fork portion 18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creen plate 13 and the lower fork blade rim plate 5 so that the user is not stuck or injur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몸체(21)는 상단면에는 가이드돌기(20)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경사부(27)의 상단면에는 보조돌기(28)가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돌기(20)와 보조돌기(28)는 덮개판(11)의 하단면 가운데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15)에 삽입되어 있어 포크부몸체(21)가 손잡이몸체(4)의 외측으로 이탈되거나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후식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 According to claim 4, The fork body 21 has a guide protrusion 20 protruding on the top surface and the auxiliary projection 28 is protru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27, the guide protrusion 20 and the auxiliary projection 28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5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 so that the fork body 21 moves toward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4. Safety fork easy to separate clea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o be moved back and forth stably without being separated or shaken from side to sid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25a)(25b)은 손잡이몸체(4)의 내측면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부착된 탄성편수용케이싱(26a)(26b)의 내부에 양단이 수용된 상태로 가운데 부분만 상기 탄성편수용케이싱(26a)(26b)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포크부몸체(21)의 경사부(27)를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 The center of claim 4, wherein the elastic pieces 25a and 25b are centered in both ends of the elastic piece receiving casings 26a and 26b fixedly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handle body 4, respectively. Only a portion of the elastic piece for receiving casing (26a) (26b) protrudes outwards to support the inclined portion (27) of the fork body (21) for easy separation and cleaning safety fork.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몸체(4)는 개방된 상부 좌우양측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끼움홈(6a)(6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덮개부(10)의 덮개판(11)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2a)(12b)가 슬라이딩식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몸체(4)의 타측 상면부에는 덮개판(11)의 타측 끝단 상면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6)가 삽입되는 걸림돌기삽입홈(7)이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 The cover body of claim 1 or 4, wherein the handle body (4) is formed with long fitting grooves (6a) and (6b)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respectively. 11) The fitting protrusions 12a and 12b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tting protrusions 12a and 12b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locking protrusions 16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cover plate 11 are formed on the other upper surface of the handle body 4. Safety fork easy to separate clea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 (7) is formed is inserted.
KR2020060007615U 2006-03-22 2006-03-22 A safety fork that is easy to sperate and wash KR2004190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615U KR200419067Y1 (en) 2006-03-22 2006-03-22 A safety fork that is easy to sperate and wa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615U KR200419067Y1 (en) 2006-03-22 2006-03-22 A safety fork that is easy to sperate and wa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067Y1 true KR200419067Y1 (en) 2006-06-16

Family

ID=4176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615U KR200419067Y1 (en) 2006-03-22 2006-03-22 A safety fork that is easy to sperate and wa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06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281A (en) * 2018-07-24 2020-02-03 염다솜 baby f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281A (en) * 2018-07-24 2020-02-03 염다솜 baby fork
KR102093830B1 (en) 2018-07-24 2020-03-26 염다솜 baby f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72499B (en) Spoon
ES2923150T3 (en) Removable cookware handle
MX2013003134A (en) Flossing system.
KR200419067Y1 (en) A safety fork that is easy to sperate and wash
WO2011123491A1 (en) Helper utensil
US20100212115A1 (en) Holder
KR20080001177U (en) Assembling-dismantling type spoon and chopsticks
KR200469347Y1 (en) A washing brush for nursing bottle
CA3034475A1 (en) Tooth extraction dental pliers
WO2002078495A1 (en) A safety feeding utensil
KR200476993Y1 (en) A practice chopsticks
RU2787668C1 (en) Wealing device with automatic ejection
KR20140020046A (en) Scissors for removing fishbone
KR200412688Y1 (en) A safety fork
KR101763490B1 (en) spoon and fork
GB2434968A (en) Child feeding utensil with mouth guard
CN216060089U (en) Tableware
KR200481713Y1 (en) Toothbrush for infant, toddler and child
RU201854U1 (en) REMOVABLE BABY NIPPLE PROTECTIVE CASING
KR200313670Y1 (en) Jointing device of duplex frying pan bail
JP3171915U (en) Kushi Dango, Yakitori Push Up Tool
KR101761772B1 (en) Safety fork for infant
KR200450867Y1 (en) Learning chopsticks
KR200484348Y1 (en) Versatile cooking utensils with sanitary properties and ease of use
KR200424900Y1 (en) Handle of frying 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