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375Y1 -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 - Google Patents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375Y1
KR200418375Y1 KR2020060006039U KR20060006039U KR200418375Y1 KR 200418375 Y1 KR200418375 Y1 KR 200418375Y1 KR 2020060006039 U KR2020060006039 U KR 2020060006039U KR 20060006039 U KR20060006039 U KR 20060006039U KR 200418375 Y1 KR200418375 Y1 KR 200418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ardboard box
corrugated
reinforcing surfac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만
Original Assignee
조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만 filed Critical 조규만
Priority to KR2020060006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3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3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판지 상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보관되는 물품의 파손 방지를 위한 모든 기계적인 위험요소, 특히 수직압축강도를 증대시킨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재하중 또는 외적충격으로부터 필요부위의 강도를 보강한 육면체의 골판지로 이루어진 홈판형의 골판지 상자로서, 상기 골판지 상자는 적재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면과, 상기 하중지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중보강면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하중지지면과 하중보강면의 골심지의 흐름이 적재하중 방향으로 마련된 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보강면에는 굽힘선이 상기 골심지의 골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굽힘선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자, 골판지, 골심지, 압축하중, 기계적인 충격

Description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CORRUGATED FIBREBOARD BOXES}
도 1은 본 고안에 골판지 상자를 펼쳐보인 전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골판지 상자가 조립 완성된 상태를 보인 조립도.
도 3a 내지 도 3h는 본 고안에 따른 골판지 상자를 조립하는 순서를 보인 조립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골판지 상자를 블럭쌓기로 적재하여 보인 일실시예.
도 6은 본 본 고안에 따른 골판지 상자를 블럭쌓기로 적재하여 보인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골심지 4: 라이너
10: 날개부 10a: 안날개
10b: 바깥날개 20: 이음선
30a: 상면 30b: 하면
40: 양측면 42: 하중지지면
44: 하중보강면 44a: 굽힘선
46: 골팁부 100: 골판지 상자
200: 물품 F: 전방
R: 후방 L: 길이방향
본 고안은 골판지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되는 물품의 파손 방지를 위한 모든 기계적인 위험요소, 특히 수직압축강도를 증대시킨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에 관한 것이다.
포장엔지니어들의 공통적인 고민은 저렴한 방법으로 물품을 파손시키지 않고,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물품의 경우 물품의 손상은 겉포장인 골판지 상자의 파손에 의한 압상이 그 주요 요인이다.
이러한 골판지 상자는 통상 제작 후 유통과정을 거치면서 여러 요인에 의해 압축강도가 현격하게 저하됨이 일반적이고, 특히 장기간 보관에 의한 누적하중 또는 진동 및 충격 등의 피로로 인한 강도저하가 가장 크다.
위와 같이 누적하중, 진동 및 충격 등의 피로로 인한 강도저하는 통상 수송 차량 운행시 바닥, 적재면 또는 골판지 상자들과의 충돌로 인해 기계적인 충격이 발생하고, 누적하중으로 인한 압축력에 의해 압축강도가 저하되어 하중을 받는 곳에서 골판지 상자가 찌그러져 보관되며, 물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공지의 예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품이 포장, 적재되는 상자의 적재하중에 대하여 필요부위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자 내부의 여유부위를 활용하기 위한 고안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6-45337호(1996.12.03) "포장상자의 보강장치"로 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이 개시된 공지의 예는, 별도의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수송 보관되는 물품을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위치시켜 지지부재와 물품이 동시에 상자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하여 적재하중으로 인한 압상을 분산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지지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야 하고, 보관되는 물품이 직접 지지부재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시장경제의 원리상 지속적인 원가절감을 수행하고 있는 포장업계의 추세에 역행하는 것이고, 물품이 상부에 적재되는 다른 상자를 지지하게 되어 예기치 않은 물품의 손상을 가져올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층, 바람직하게 블록쌓기로 적재된 골판지 상자의 적재하중을 고르게 분산 시켜 상자의 압축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킨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재하중 또는 외적충격으로부터 필요부위의 강도를 보강한 육면체의 골판지로 이루어진 홈판형의 골판지 상자로서, 상기 골판지 상자는 적재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면과, 상기 하중지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중보강면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하중지지면과 하중보강면의 골심지의 흐름이 적재하중 방향으로 마련된 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보강면에는 굽힘선이 상기 골심지의 골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굽힘선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중보강면은 상기 하중지지면의 길이방향 양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중보강면의 굽힘선은 상기 하중보강면의 길이 1/2 이상 위치에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중지지면의 골팁부는 상기 골판지 상자의 외측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향되어 형성된 하중지지면의 일측은 상기 하중지지면을 경계로 하여 경사를 이루며 상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수직으로 연장된 후 마감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골판지 상자를 펼쳐보인 전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골판지 상자가 조립 완성된 상태를 보인 조립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는, 골심지(2)와 라이너(4)로 이루어진 양면골판지로 적재하중 또는 외적충격으로부터 필요부위의 강도를 보강한 육면체로 이루어진 홈판형의 골판지 상자(100)이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되는 골판지 상자(100)는, 한국산업규격 KS A 1003 골판지상자형식(TYPES OF CORRUGATED FIBREBOARD BOXES), 코드번호 0216에 해당되는 홈판형(SLOTTED-TYPE BOXES)이나, 그 사용처에 따라 동일한 변경 및 개량이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인 골판지 상자(100)는 원칙적으로 1조각으로 조립되며, 날개부(10)가 있고, 이음선(20)이 있는 것으로서, 이음선(20)은 길이(L) 또는 나비방향(W)에 걸쳐 성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 상자(10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F) 또는 후방(R)을 통해서 물품(200)을 수납하며, 수납되는 물품 (200)은 바람직하게 권취된 전자부품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되겠지만, 골판지 상자(100)는 완충포장기법으로서, 가장 단순한 쌓기 방식으로 포장방향이 아래에서 위까지 같아지게 쌓는 방법으로 골판지 상자(100)가 갈라질 염려가 있고, 안정감이 없는 블록쌓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한편 여기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이음선(20)은 접혀지는 경계선을 의미하고, 길이방향(L) 및 전방(F)은 물품(200)이 수납되는 방향이며, 나비방향(W)은 길이방향(L)에서 수직방향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 상자(100)는 박스 조립시 나비방향(W)의 폭이 길이방향(L)보다 적은 상, 하면(30a)(30b)을 이루고 있고, 상, 하면(30a)(30b)은 날개부(10)에 의해서 전, 후방(F)(R)이 골판지 상자(100)를 폐쇄가능하도록 둘러쌓여 있다.
바람직하게 날개부(10)는 상, 하면(30a)(30b)의 내측, 즉 조립된 상태의 내부를 향해서 전술한 다수개의 이음선(20)을 경계로 접혀진다.
본 고안에 있어서 날개부(10)는, 안날개(10a)와 바깥날개(10b)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안날개(10a)와 바깥날개(10b)는 상, 하면(30a)(30b)의 길이방향 양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있다.
특히, 골판지 상자(100)의 전방(F)을 이루고, 상기 상, 하면(30a)(30b)의 일단에 형성되어 물품(100)을 수납하기 위하여 개방하거나 또는 수납 후 폐쇄시키기 위한 안날개(10a)와 바깥날개(10b)는 바람직하게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후 방(R)에 형성된 안날개(10a)와 바깥날개(10b)는 안날개(10a)가 물품(200) 수납 전 미리 폐쇄되어 있으며,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듯이 이들은 서로 삽입된 후 결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상, 하면(30a)(30b) 중 바람직하게 상면(30a)의 너비방향(W)으로는 이음여유부(32)가 일정한 너비로 연장되어 있고, 이음여유부(32)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글루패턴(GLUE PATTERN)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조립시 후술하는 하중지지면(42)과 견고히 접착된다.
특히, 이음여유부(32)는 전술한 한국산업규격 KS A 1003 골판지상자형식(TYPES OF CORRUGATED FIBREBOARD BOXES), 코드번호 0216에 해당되는 홈판형(SLOTTED-TYPE BOXES)에 적합한 나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접혀진 골판지 상자(100)의 양측면(40)을 이루는 하중지지면(42)은 상기 상, 하면(30a)(30b)의 벽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골심지(2)의 골방향이 수직을 이루며 상면(30a)을 지지함과 동시에 다수개로 쌓여진 골판지 상자(100)의 적재하중 내지 압축하중을 지지한다.
하중지지면(42)의 연장된 길이방향(L) 양단으로는 이음선(20)을 경계로 서로 대향되는 하중보강면(4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하중보강면(44)에는 굽힘선(44a)이 상기 골심지(2)의 골방향으로 하나 이상 성형되어 있다.
특히, 하중보강면(44)은 바람직하게 하중지지면(42)과 동일한 폭으로 슬릿(SLIT)되어 있고, 조립시 상기 양측면(40)의 내부와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게 된다.
굽힘선(44a)은 전술한 이음선(20)과 동일한 역할로 하중보강면(44)을 일정한 각도로 굽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바람직하게 조립 후 향하게 되는 외면측으로 성형시킨다.
이러한 굽힘선(44a)은, 하중보강면(44)의 길이 1/2 이상 위치에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길이 1/2 이상에서 하나 이상으로 성형시켜 다중으로 굽힐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렇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굽힘선(44a)의 성형 위치를 한정하는 이유는, 굽힘선(44a)을 기준으로 굽혀지는 하중보강면(44)이 길이에 비례하여 상면(30a)에서 내려누르는 하중을 더욱 확실히 버티어주기 때문이다.
한편, 하중보강면(44)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하중지지면(42)의 길이방향(L) 일측, 바람직하게는 후방(R)에 위치한 날개부(10)가 형성된 곳으로 상기 하중지지면(42)을 경계로 하여 경사를 이루며 상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수직으로 연장된 후 마감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도 본 고안으로부터 일탈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개선,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에는 이러한 골판지 상자의 조립과정과 적층방법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을 도 1 내지 도 3a ~ 3h 또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a ~ 3h 또는 도 5를 참조하고, 특히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골판지 상자(100)는 이음선(20)을 내측으로 하여 상면(30a)이 상측으로 놓여지게 접는다.
바람직하게 일부가 장방형으로 접혀진 골판지 상자(100)는, 상기 이음여유부 (32)를 골판지 상자(1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접은 후 하중지지면(42)과 견고히 접착시킨다. 이때, 접착된 하중지지면(42)의 골팁부(46)는 상기 골판지 상자(10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일부가 접혀진 골판지 상자(100)를 전방(F)과 후방(R)에서 보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전후로 개방되어 있고, 하중보강면(44)은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보면, 골판지 상자(100)의 외측에 성형된 굽힘선(44a)을 따라 먼저 하중보강면(44)을 일정한 각도,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로 굽혀놓은 다음, 하중지지면(42)과 하중보강면(44) 사이에 성형된 이음선(20)을 경계로 하여 하중보강면(44)을 접어 골판지 상자(100)의 내부에 삽입시킨다.
삽입된 하중보강면(44)은, 특히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하중보강면(44)을 삽입시켰으면, 날개부(10)를 접어 안날개(10a)를 바깥날개(10b)에 삽입한 후 오버랩시켜 결합한다.
위와 같이 하면 하중보강면(44)은 상, 하면(30a)(30b)을 하중지지면(42)과 함께 지지하게 되고, 날개부(10)는 골판지 상자(100)의 후방(R)을 폐쇄시키게 된다.
이렇게 일측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개방된 전방(F)으로 물품(200)을 수납시킨다.
계속하여, 도 3f 내지 도 3h에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듯이, 물품(200) 수납 후 전방(F)에 형성된 하중보강면(44)을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골판지 상자(100)에 넣는다. 이때, 굽혀진 하중보강면(44)은 수납된 물품(200)의 외측과 맞닿 아 물품(200)을 지지하여 물품(200)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된다.
하중보강면(44)을 굽혀 넣었으면, 날개부(10)를 포갠 후 서로 접착시켜 물품(200)의 수납을 완료한다.
물품(200)을 수납한 포장용 상자(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블록쌓기로 적재된다.
이때, 적재된 포장용 상자(100)는 그 적재하중에 의해서 최하단의 포장용 상자(100)에 압축하중을 가하게 되고, 가해진 압축하중은 수직으로 세워진 하중보강면(44)으로 전달된다. 전달된 압축하중은 사방에 형성된 하중보강면(44)의 지지력에 의해서 최대 10개 이상으로 적재된 포장용 상자(100)의 하중을 버틸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열, 다중으로 포장용 상자(100)를 적재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적재하면 만약에 모르는 취약부, 예를 들면 슬릿된 하중보강면(44) 특히, 하중지지면(42)과 접합되는 골팁부(46)의 반대편 하중보강면(44)에서 하중이 편심되어 포장용 상자(100)가 찌그러질 수도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다열, 다중 바람직하게는 사방 2열로 적재시키고, 취약부를 적재시 내측에 위치시키면 취약부끼리 서로 지지되어 안전한 물품(200)의 수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고안은 외부의 충격 내지 압축하중과 같은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수납된 물품(200)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물품(200)을 이송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100)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그 밖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 상자(100)의 전방(F)과 후방(R)을 이루고, 상기 상, 하면(30a)(30b)의 일단에 형성된 안날개(10a)와 바깥날개(10b)는 서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도, 본 고안으로부터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 명세서에서 말하는 포장용 상자(100)는,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고, 즉 넓게 골판지로 이루어진 박스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써, 단지 전술한 한국산업규격 포장용 상자(100)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에 의하면, 블록쌓기로 적재된 골판지 상자의 적재하중을 고르게 분산 시켜 상자의 압축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켜, 적재하중 및 외부충격으로 인한 골판지 상자의 찌그러짐이 발생되지 않아 물품보관의 신뢰성이 월등하게 향상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적재하중 또는 외적충격으로부터 필요부위의 강도를 보강한 육면체의 골판지로 이루어진 홈판형의 골판지 상자로서, 상기 골판지 상자는 적재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면과, 상기 하중지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중보강면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하중지지면과 하중보강면의 골심지의 흐름이 적재하중 방향으로 마련된 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보강면에는 굽힘선이 상기 골심지의 골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굽힘선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접혀져 조립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보강면은 상기 하중지지면의 길이방향 양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보강면의 굽힘선은 상기 하중보강면의 길이 1/2 이상 위치에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면의 골팁부는 상기 골판지 상자의 외측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되어 형성된 하중지지면의 일측은 상기 하중지지면을 경계로 하여 경사를 이루며 상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수직으로 연장된 후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
KR2020060006039U 2006-03-06 2006-03-06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 KR2004183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39U KR200418375Y1 (ko) 2006-03-06 2006-03-06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39U KR200418375Y1 (ko) 2006-03-06 2006-03-06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375Y1 true KR200418375Y1 (ko) 2006-06-12

Family

ID=4176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039U KR200418375Y1 (ko) 2006-03-06 2006-03-06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3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382B1 (ko) * 2014-08-28 2016-02-05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Rfid 태그가 부착된 포장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382B1 (ko) * 2014-08-28 2016-02-05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Rfid 태그가 부착된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72313A (en) Figure 4 corner post
CA2390899C (en) Economical, stackable container for retail goods
US9016557B2 (en) Self-locking support panel for corrugated container
KR200418375Y1 (ko)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골판지 상자
KR200478361Y1 (ko) 완충재가 구비된 포장상자
KR101252519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US8573472B2 (en) Reinforced carton, blank and associated method of construction
US20180237202A1 (en) Paper Based Cellulosic Dunnage
US20200024028A1 (en) Self-contained continuous carton system with self erecting stacking shoulders
WO2016039683A1 (en) Flat panel cardboard packaging
KR101069279B1 (ko) 강도 보강된 골판지 포장박스
JP6048197B2 (ja) 貯湯式給湯機用梱包部材
US11084618B2 (en) Packaging and blank therefor
US11084620B2 (en) Packaging and blank therefor
KR200465697Y1 (ko) 완충 포장상자
KR102241365B1 (ko) 다단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RU117898U1 (ru) Яшик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пак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KR101252522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KR101320411B1 (ko) 포장용 상자
RU128187U1 (ru) Транспортный контейнер (варианты)
RU2483994C1 (ru) Ящик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пак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варианты) и поддон для этого ящика
US20230382626A1 (en) Cold chain recyclable packaging
RU117410U1 (ru) Ящик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пак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варианты) и поддон для этого ящика
JP6256493B2 (ja) 包装体
KR200489029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