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682Y1 -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 - Google Patents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682Y1
KR200417682Y1 KR2020060004613U KR20060004613U KR200417682Y1 KR 200417682 Y1 KR200417682 Y1 KR 200417682Y1 KR 2020060004613 U KR2020060004613 U KR 2020060004613U KR 20060004613 U KR20060004613 U KR 20060004613U KR 200417682 Y1 KR200417682 Y1 KR 200417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tunnel
fluorescent lamp
electrodeless fluorescent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양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양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양전자
Priority to KR2020060004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6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9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the support means engaging the vessel of the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의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은, 본체 내에 램프와 반사판을 수용하는 터널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램프에서 발산된 빛이 피조면에 대해 대칭 타원형의 배광특성을 갖도록 내주면이 상, 하방향으로 대칭 곡선형상을, 그리고 표면에는 불규칙하게 엠보싱 처리되어 본체 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진 지지판에 얹혀져 고정되며, 상기 램프는, 공지된 전자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도록 양 단부에 금속재질의 원통형의 캡이 씌워지며 상기 원통형의 캡에는 전자기 도선이 권회되어 도전체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반사판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판에 유동이 없도록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무전극 형광램프에 의해 낮은 전력소모로 높은 광효율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긴 관계로 인하여 한번의 설치만으로 장기간 램프의 유지보수가 필요치 않고, 또한 최적의 배광특성을 갖는 반사판에 의해서 지하차도나 터널 등에서의 암순응 현상이 극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LIGHTING LAMP FOR TUNNEL USE NON-ELECTRODE LAMP}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전극 형광램프와 이를 본체의 지지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상세하게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무전극 형광램프와 고정수단을 결합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을 결합하여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커버
30 : 반사판 40 : 지지판
50 : 무전극 형광램프 52 : 원통형의 캡
54 : 전자기 도선 60 : 고정부
61 : 주클립 62, 63 : 다층절개부
64 : 부클립
본 고안은 예컨대 지하차도, 터널 등의 야간 조명이나 또는 블록홀 현상과 암순응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시설되는 터널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지된 마이크로파 또는 무선주파수(R.F)를 포함하는 전자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무전극 형광램프와 최적의 배광특성을 갖는 반사판을 설치하여, 유지보수 면에서의 이점과 광효율 대비 전기적인 소모가 최소화되는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차도 또는 터널의 천장이나 측벽에 설치되어 조명하는 터널 조명등은 도로와는 달리 협소한 공간 내에서의 교통기능의 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주간에 차량이 지하차도 또는 터널에 진입할 경우 일어나는 블랙홀 현상, 즉 차량의 운전자가 터널 밖의 밝은 휘도에 순응된 상태에서 차량이 어두운 지하차도 또는 터널로 진입할 때 순간적인 블랙홀 현상이 일어나고, 또 차량이 지하차도 또는 터널의 내부로 진입한 후에는 급격한 휘도 차이로 인하여 생리적으 로 눈의 순응이 늦어지는 암순응(暗順應 : 밝음으로부터 어두움으로의 순응)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암순응 현상은 운전자에게 일시적으로 시각장애를 주게되어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주요인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암순응 현상에 대해 운전자의 시력이 급격하게 감퇴되는 일이 없도록 지하차도 또는 터널의 천장이나 양 측벽에 터널 조명등을 시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암순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하차도 또는 터널에 설치되는 종래의 터널 조명등은 통상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진 본체와, 본체의 뒷면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본체를 터널 내벽에 고정시켜주는 브라킷트와,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에 투명유리를 갖는 커버와, 상기 본체 내의 소켓에 끼워져 빛을 상기 커버의 투명유리를 통해 피조면에 발산하는 램프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램프의 빛을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과,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의 둘레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용 패킹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터널 조명등에 구비되는 램프는 대부분 내부에 필라멘트 형태의 전극을 삽입하여 구성되는 전극램프로서, 이러한 전극램프의 대표적인 예로는 백열등 혹은 형광등과 같은 램프를 채용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된 전극램프는 사용 시 내부에 설치된 전극에 의해 상당한 량의 열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수명 또한 사용자의 기대치를 충족시키기엔 부족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지하차도나 터널 등의 양 측벽 또는 높은 천장에 설치된 터널 조명 등의 전극램프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단수명인 관계로 인하여 작업자가 일정한 주기로 상기 전극램프들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이때 교체작업시 작업자가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협소한 공간에서 바스켓이 설치된 굴절 크레인 또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터널 조명등의 유지보수가 상당히 힘들고, 또 그 유지보수 작업에 따른 낭비와 굴절 크레인 또는 사다리를 타고 작업해야 함으로써, 작업위험 또한 높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터널 조명등의 구동 때 전극램프의 발열로 인하여 광효율이 크게 떨어짐은 물론 광효율 대비 전력소모가 많은 문제점들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하차도 또는 터널 또는 높은 천장 등에 설치되어 낮은 전력소모로 높은 광효율을 얻을 수 있고, 또 한번의 설치로 장기간 유지보수가 필요치 않은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터널 조명등은 공지된 마이크로파 또는 고주파를 포함한 전자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면서도 일반 전극램프 등에 비해 수명이 상당히 긴 무전극 형광램프를 본체에 구비시켜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무전극 형광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피조면에 최적의 배광특성을 갖도록 본체 내에 표면이 불규칙하게 엠보싱 처리되어진 반사판을 설치하여, 지하차도 또는 터널에서의 진입구와 출구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블랙홀 현상 또는 암순응 현상을 극복하도록 하는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에 의하면, 본체 내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램프와, 램프로부터 발산된 빛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과,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어 훅크에 의해 개폐되는 투명유리를 갖는 커버로 구성되는 터널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발산된 빛이 피조면에 대해 대칭 타원형의 배광특성을 갖도록 내주면이 상, 하방향으로 대칭 곡선형상을, 그리고 표면에는 불규칙하게 엠보싱 처리되어 본체의 내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진 지지판에 얹혀져 고정되며,
상기 램프는 공지된 전자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도록 양 단부에 금속재질의 원통형 캡이 씌워지며 상기 원통형 캡에는 전자기 도선이 권회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반사판과의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판에 유동이 없도록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반사판은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지지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의 양측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수단은, 도전체로서 그 양단부에 상호 대향하도록 다층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 도선이 권회된 상기 원통형의 캡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역 "U"자 단면형의 주클립; 상기 주클립의 양단부로부터 외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지지판에 나사들로 고정되는 일측이 개방된 장공을 가지는 한 쌍의 고정편; 및 상기 원통형의 캡이 흔들림이 없도록 양단부에 걸림턱을 가지고 상기 주클립의 양 다층절개부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어 상기 주클립의 양단부를 내측으로 압입시키며 상기 원통형 캡의 하부를 받쳐주는 부클립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터널 조명등의 본체에 공지된 전자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며 수명이 상당히 긴 무전극 형광램프와 최적의 배광특성을 갖는 반사판을 설치해 줌으로써, 낮은 전력소모로도 높은 광효율을 얻을 수 있고, 또 한번의 설치만으로 장기간 램프의 유지보수가 필요치 않으며, 또 지하차도 및 터널 등에서의 진입구와 출구를 통과할 때 블랙홀 현상 또는 암순응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전극 형광램프와 이를 본체의 지지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상세하게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무전극 형광램프와 고정수단을 결합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사각함체형의 본체(10)와, 본체(10)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어 개폐되는 투명유리(22)를 갖는 커버(20)와, 커버(20)의 하단 좌, 우측 표면에 각각 함몰되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홈(20a)과, 본체(10)의 하단부 좌, 우측에 각각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커버(20)의 가이드홈(20a)에 각각 결착 및 이탈되어 커버(20)를 본체(10)로부터 개폐시켜 주는 한 쌍의 훅크(24)와, 커버(20)의 테두리 면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된 키이홈(20b)과, 키이홈(20b)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본체(10)에 대해 커버(20)를 닫았을 때 탄성 복원력을 가지고 밀착 접촉되어 본체(10) 내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여 주는 기밀용 패킹(26)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터널 조명등에 있어서, 본체(10) 내의 바닥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보스(12)에 의해 그 바닥과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일정 간격으로 나사홀(40a 내지 40d)이 형성된 지지판(40)과, 지지판(40)에 얹혀진 다음 본체(10) 내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14)에 나사로 결합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30)과, 반사판(30)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본체(10) 내에 길이방향으로 수용되며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인버터회로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무전극 형광램프(50)와, 무전극 형광램프(50)를 지지판(40)에 유동이 없도록 안정되게 고정해 주는 알루미늄과 같은 도전체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부(60)와, 본체(10) 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인버터회로부를 수용하는 수납케이스(70)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고안에서의 반사판(3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전극 형광램프(50)로부터 발산된 빛이 피조면에 대해 대칭 타원형의 배광특성을 갖도록 내주면이 상, 하방향으로 대칭 곡선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의 표면은 불규칙하게 엠보싱으로 처리되어 있다. 또한 도전체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부(60)가 지지판(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중앙의 양측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무전극 형광램프(50)는 공지된 전자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도록 양 단부에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원통형의 캡(52)이 씌워져 있다.
그리고 원통형의 캡(52)들에는 전자기 도선(54)이 권회되어 상기 인버터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부(6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양단부에 상호 대향하도록 다층절개부(62)(63)가 형성되어 전자기 도선(54)이 권회된 원통형의 캡(52)들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역 "U"자형의 주클립(61)과, 주클립(61)의 양단부로부터 외향으로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어 지지판(40)에 나사(67)(68)로 고정되는 각각의 일측이 개방된 장공(65a)(66a)을 가지는 한 쌍의 고정편(65)(66)과, 원통형의 캡(52)이 흔들림이 없도록 양단부에 화살촉 단면형상의 걸림턱(64a)(64b)을 가지고 주클립(61)의 양 다층절개부(62)(63)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 되어 주클립(61)의 양단부를 내측으로 압입시키고 또 원통형 캡(52)들의 하부를 받쳐주는 부클립(6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양 다층절개부(62)(63)는 절개한 면이 큰 대절개구(62a)(63a)와 절개한 면이 작은 소절개구(62b)(63b)가 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본체(1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의 보스(12)에 무전극 형광램프(5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40)을 다수의 나사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고정한다. 이후 지지판(40) 위에 반사판(30)을 얹은 다음 그 반사판(30)을 본체(10) 내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14)에 나사들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언급된 무전극 형광램프(50)를 한 쌍의 고정부(60)를 이용하여 지지판(40)에 유동이 없도록 안정되게 고정해 준다. 즉 무전극 형광램프(50)의 양쪽 단부에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전자기 도선(54)이 권회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한 쌍의 캡(52) 외주면에 역 "U"자형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의 한 쌍의 주클립(61)을 감싸은 다음 그 주클립(61)들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다층절개부(62)(63)의 대절개구(62a)(63a)에 한 쌍의 부클립(64)의 양 단부를 각각 끼워 하향으로 눌러주게 되면, 한 쌍의 부클립(64)의 양 단부가 다층절개부(62)(63)의 대절개구(62a)(63a)에서 소절개구(62b)(63b)로 이동되면서 그의 걸림턱(64a)(64b)들이 소절개구(62b)(63b)의 면에 각각 결착되어 이탈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 쌍의 원통형의 캡(52)의 하부를 안정되게 지지하여 주게 된다. 또한 한 쌍의 부클립(64)을 누를 때 한 쌍의 주클립(61)의 양단부가 각각 내측으로 잡아당겨지면서 결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주클립(61)이 원통형의 캡(52)들에 안정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주클립(61)들이 원통형의 캡(52)들의 외주면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외부의 강한 충격에 의해 그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적어도 주클립(61)들의 양측 변으로부터 상호 대향하게 내향으로 직각 절곡되어져 원통형의 캡(52)의 양측면에 면 접촉되는 두 쌍의 지지편(61a)(61b)들을 더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터널 조명등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두 쌍의 지지편(61a)(61b)에 의해서 주클립(61)들이 원통형의 캡(52)들로부터 상,하 또는 좌,우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이와 같이 무전극 형광램프(50)의 양단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캡(52)들에 각각의 한 쌍의 고정부(60)를 안정되게 결합시킨 상태에서 그 무전극 형광램프(50)를 본체(10)의 지지판(40)에 고정시킨다. 이때 무전극 형광램프(50)를 지지판(40)에 고정시키기에 앞서 반사판(30)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되어 있는 지지판(40)의 나사홀(40a 내지 40d)에 먼저 나사(67)(68)들을 느슨하게 조여놓고, 이후 무전극 형광램프(50)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60)들의 주클립(61)들에 각각 형성된 고정편(65)(66)의 장공(65a)(66a)을 상기 느슨하게 조여져 있는 나사(67)(68)들에 일치시켜 조여줌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주클립(61)들의 양단부에 형성된 고정편(65)(66)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고정편(65)에 형성된 장공(65a)은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고정편(66)에 형성된 장공(66a)은 폭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을 뿐 아니라 무전극 형광램프(50)의 타단에 결합된 고정부 역시 이와 대칭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먼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장공(65a)들을 지지판(40)의 나사(67)들에 끼운 다음 무전극 형광램프(5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약간만 돌려주게 되면 폭방향으로 개방되어진 장공(66a)들이 나사(68)들에 끼워지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느슨하게 조여있는 나사(67)(68)들을 타이트하게 조여줌으로써, 무전극 형광램프(50)가 유동없이 안정되게 지지판(40)에 고정된다.
한편, 본체(10)에 무전극 형광램프(50)와 반사판(30)이 수용된 도 4와 같은 본 고안의 터널 조명등을 지하차도나 터널 내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수납케이스(70)에 수납된 상기 인버터회로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그 전력은 원통형의 캡(52)들에 권회되어진 전자기 도선(54)들에 의해 마이크로파 또는 고주파와 같은 전자기 에너지로 변환되어 무전극 형광램프(50) 내의 방전을 유지할 수 있는 충전재를 여기시킴으로써, 그 무전극 형광램프(50)로부터 밝은 빛이 발산된다. 그리고 무전극 형광램프(50)로부터 발산된 빛은 상, 하 대칭구조의 반사면을 갖는 반사판(30)에서 반사되어 도로로 조사된다. 이때 상기 반사판(30)은 상, 하 대칭구조로 형성되고 또 반사 표면이 불규칙하게 엠보싱(embossing)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피조면에 형성되는 배광특성이 대략 대칭형 타원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차량이 지하차도 또는 터널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발산된 빛이 상, 하 대칭 곡선을 이루며 표면이 엠보싱 처리되어진 반사판(30)에서 반사되어 진입하 는 차량을 향하여 비추는 배광특성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하여 차량이 지하차도 또는 터널 내부로 진입하는 순간 빛이 운전자의 눈을 자극하게 됨으로써, 지하차도 또는 터널의 외부와 내부의 조도 차이를 극복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운전자의 시력이 급격히 감퇴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광효율 대비 전력소모가 크고 수명이 짧은 전극램프를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일반 전극램프에 비해 수명이 길고 광효율 대비 전력소모가 낮은 무전극 형광램프와 그 무전극 형광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피조면에 최적의 배광특성을 갖도록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을 구비시켜 사용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무전극 형광램프에 의해 낮은 전력소모로 높은 광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또 한번의 설치만으로 장기간 램프의 유지보수가 필요치 않으며, 그리고 최적의 배광특성을 갖는 반사판에 의해 지하차도나 터널 등에서의 암순응 현상이 극복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에 따르면, 마이크로파 또는 고주파를 포함하는 전자기 에너지로 구동되면서도 수명이 긴 무전극 형광램프와 최적의 배광특성을 갖는 반사판을 터널등에 구비시켜 줌으로써, 낮은 전력소모로도 높은 광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또 한번의 설치만으로 장기간 램프의 유지보수가 필요치 않을 뿐 아니라 반사판에 의해 지하차도 또는 터널 등에서의 진입구와 출구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블랙홀 현상 또는 암순응 현상이 극복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본체 내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램프와, 램프로부터 발산된 빛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과,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어 훅크에 의해 개폐되는 투명유리를 갖는 커버로 구성되는 터널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발산된 빛이 피조면에 대해 대칭 타원형의 배광특성을 갖도록 내주면이 상, 하방향으로 대칭 곡선형상을, 그리고 표면에는 불규칙하게 엠보싱 처리되어 상기 본체 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진 지지판에 얹혀져 고정되며,
    상기 램프는,
    공지된 전자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도록 양 단부에 금속재질의 원통형의 캡들이 씌워지며 상기 원통형의 캡들에는 전자기 도선이 권회되어 도전체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반사판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판에 유동이 없도록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한 쌍의 고정수단이 상기 지지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중앙의 양측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형광 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수단은,
    (1) 도전체로서 그 양단부에 상호 대향하도록 다층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 도선이 권회된 상기 원통형의 캡들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역 "U"자형의 주클립;
    (2) 상기 주클립의 양단부로부터 외향으로 각각 직각 절곡되어 상기 지지판에 나사들로 고정되는 일측이 개방된 장공을 가지는 한 쌍의 고정편; 및
    (3) 상기 원통형의 캡들이 흔들림이 없도록 양단부에 걸림턱을 가지고 상기 주클립의 양 다층절개부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어 상기 주클립의 양단부를 내측으로 압입시키며 상기 원통형 캡의 하부를 받쳐주는 부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층절개부는 절개 면이 큰 대절개구와 절개 면이 작은 소절개구가 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클립의 양단부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고정편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고정편에 형성된 장공은 길이방향으로 개방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편에 형성된 장공은 폭방향으로 개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클립이 상기 원통형의 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적어도 상기 주클립의 양측 일부 변으로부터 상호 대향하게 내향으로 직각 절곡되어져 상기 원통형의 캡의 양측면에 면접촉되는 두 쌍의 지지편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
KR2020060004613U 2006-02-20 2006-02-20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 KR200417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13U KR200417682Y1 (ko) 2006-02-20 2006-02-20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13U KR200417682Y1 (ko) 2006-02-20 2006-02-20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682Y1 true KR200417682Y1 (ko) 2006-06-02

Family

ID=4176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613U KR200417682Y1 (ko) 2006-02-20 2006-02-20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68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42B1 (ko) * 2007-10-25 2008-04-17 주식회사 태양전자 무전극 형광램프 전용 조명기구
KR100823041B1 (ko) * 2007-10-25 2008-04-17 주식회사 태양전자 무전극 형광램프 전용 조명기구
KR101004356B1 (ko) 2010-06-29 2010-12-27 (주)이텍 고천정용 무전극 등기구
KR101004357B1 (ko) 2010-06-29 2010-12-27 (주)이텍 무전극 가로등기구
KR101004358B1 (ko) 2010-06-29 2010-12-27 (주)이텍 무전극 보안등기구
KR101030924B1 (ko) 2010-09-08 2011-04-27 세종기술주식회사 터널 전원표시등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42B1 (ko) * 2007-10-25 2008-04-17 주식회사 태양전자 무전극 형광램프 전용 조명기구
KR100823041B1 (ko) * 2007-10-25 2008-04-17 주식회사 태양전자 무전극 형광램프 전용 조명기구
KR101004356B1 (ko) 2010-06-29 2010-12-27 (주)이텍 고천정용 무전극 등기구
KR101004357B1 (ko) 2010-06-29 2010-12-27 (주)이텍 무전극 가로등기구
KR101004358B1 (ko) 2010-06-29 2010-12-27 (주)이텍 무전극 보안등기구
KR101030924B1 (ko) 2010-09-08 2011-04-27 세종기술주식회사 터널 전원표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682Y1 (ko) 무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터널 조명등
KR200416941Y1 (ko) 가로등용 헤드 어셈블리
KR200416181Y1 (ko) 가로등의 등기구
US20170030539A1 (en) Led lamp assembly having heat conductive led support member
KR101061103B1 (ko) 도광봉 및 도광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KR100754900B1 (ko) 가로등
KR100989173B1 (ko) 고조도 조명기구용 반사판구조 및 그를 가지는 고조도조명기구
KR200442758Y1 (ko) 터널용 무전극 조명장치
KR100543737B1 (ko) 형광방전등을 이용한 터널용 조명등
KR20110093590A (ko) 엘이디조명장치
KR100926744B1 (ko) 램프 수직장착형 가로등기구
KR200442605Y1 (ko) 램프 지지장치
KR100831210B1 (ko) 무전극 조명기기가 적용된 가로등
KR20150000708U (ko) 터널용 무전극 램프
KR101077521B1 (ko) 발광다이오드 전구
KR200476928Y1 (ko) 형광등 타입 led 램프
KR101607370B1 (ko) 방수형 내부접속 등기구
KR200377203Y1 (ko) 터널용 조명등기구
KR20010009152A (ko) 블록램프 및 그의 설치방법
KR200327046Y1 (ko) 형광방전등을 이용한 터널용 조명등
KR101004357B1 (ko) 무전극 가로등기구
KR200358853Y1 (ko) 전선지지구가 개재된 형광등
KR200444207Y1 (ko) 등기구의 램프 커넥팅 구조
KR101049834B1 (ko) 눈부심 방지 및 배광조절이 용이한 엘이디조명기구 및 엘이디조명기구를 가지는 엘이디가로등
KR200372706Y1 (ko) 등기구용 조명 갓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