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406Y1 - Band bracket - Google Patents

Band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406Y1
KR200417406Y1 KR20060005860U KR20060005860U KR200417406Y1 KR 200417406 Y1 KR200417406 Y1 KR 200417406Y1 KR 20060005860 U KR20060005860 U KR 20060005860U KR 20060005860 U KR20060005860 U KR 20060005860U KR 200417406 Y1 KR200417406 Y1 KR 200417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bracket
base station
band bracke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0586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대용
Original Assignee
폴그린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그린테크(주) filed Critical 폴그린테크(주)
Priority to KR20060005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40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406Y1/en

Links

Imag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기지국의 전주에 장비를 체결하기 위한 밴드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밴드 브래킷은, 금속재질로 직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데, 그 중앙부에 곡면이 형성되는 몸체와; 양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볼트홀이 구비되는 플랜지; 및 상기 몸체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 bracket for fixing equip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in particular a band bracket for fastening equipment to the po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e band bracket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shap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 body having a curved surfac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flange having both ends bent outward and provided with a bolt hol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protrusion bent inwardly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body.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전주의 어느 위치에도 체결이 가능하도록 내경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밴드 브래킷을 이용하여 장비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equipment by using the same band bracket by varying the inner diameter to be fastened to any position of the pole.

기지국, 전주, 밴드, 브래킷, 내경 가변 Base station, pole, band, bracket, internal diameter variable

Description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Band bracket}Band bracket for fixing equi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quipment fixing band bracke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이 전주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2 and 3 are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nd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equi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전주 100 : 밴드 브래킷1: pole 100: band bracket

110 : 몸체 120 : 플랜지110 body 120 flange

121 : 볼트홀 130 : 지지 돌기121: bolt hole 130: support protrusion

140 : 볼트 141 : 너트140: bolt 141: nut

150 : 장비 브래킷150: equipment bracket

본 고안은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주의 어느 위치에도 체결이 가능하도록 내경을 가변할 수 있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ixing band bracket of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ixing band bracket of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at can vary the inner diameter to be fastened to any position of the pole.

현재 모든 산업 발달에 따른 대기, 물, 환경 등의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대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와 같은 대기 오염의 주범인 물질의 배출량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수질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염수 배출량을 금지하고 있으며, 각종 유해한 물질의 배출량을 금지하거나, 일정량 이상의 배출을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에는 각종 대기나 수질을 오염시키는 물질의 규제가 심해질 것으로 판단된다.At present, the pollution of the air, water, environment, etc. according to all industrial development is getting serious day by day. For example, to prevent air pollution, emissions of substances that are the main culprit of air pollution, such as carbon dioxide, are regulated.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water pollution, the discharge of polluted water is prohibited, and the situation of prohibiting the discharge of various harmful substances or restricting the discharge of a certain amount or more. In the future, regulations on substances polluting various air and water are likely to increase.

한편, 현대인들은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지국은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하여 셀 단위로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기지국 안테나 시스템은 제어국에 의해 관장되고 있으며, 휴대 장치와 같은 이동국은 셀 단위의 기지국 안테나 시스템 범위 이내에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dern man is essentially equipped with a portable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such a base station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user in units of cells using an antenna system. A base station antenna system is managed by a control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such as a portable device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within a range of a base station antenna system on a cell basis.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기지국은 안테나의 전파 도달거리를 최대한 연장하기 위해 전주를 이용하게 되는데, 도심지역의 경우에는 건물 옥상에다 이를 설치하고, 도시 근교나 농촌지역에서는 평지 또는 산 정상에 그 높이를 달리하여 이를 설치하고 있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use electric poles to extend the radio wave reach of antennas as much as possible. In urban areas, they are installed on the roof of buildings. I'm installing it.

도시 근교나 농촌지역에서는 평지 또는 산 정상에 설치되는 기지국은 전주 형태로 형성되고, 전주는 다단으로 분리되고, 전주의 상단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 그리고 낙뢰방지를 위한 피뢰기구 등 모든 부속물을 포함한다.In urban suburbs or rural areas, base stations installed on flat or mountain tops are formed in the form of poles, and poles are divided into multiple stages, frames for mounting antennas installed on top of poles, and lightning arresters to prevent lightning. Includes an accessory

전주에는 섹터별로 하나 이상의 안테나가 설치되는데, 이들 안테나는 전파 특성을 고려하여 상호 일정간격 이격시켜 배치하게 된다.One pole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antennas for each sector, and these antenna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considering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또한, 전주의 상단에는 안테나를 고정하기 위한 원형의 프레임이 형성되고, 프레임에 각각의 안테나를 고정한다.In addition, a circular frame for fixing the antenna is formed at the top of the pole, and each antenna is fixed to the frame.

한편, 전주에 별도의 장비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2방향 밴드 브래킷을 이용하는 데, 이러한 2방향 밴드 브래킷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절곡되어 플랜지가 형성되어 플랜지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전주에 부착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ount a separate equipment to the electric pole using a two-way band bracket as shown in Figure 1, this two-way band bracket is formed in a semi-circular, both ends are bent to form a flange to be coupled to the flange bolt Is attached to the pol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2방향 밴드 브래킷은 그 치수가 고정되어 있어 전주에 체결시키기 위해서는 동일 위치에 설치해야만 하고, 장비의 높낮이가 다른 경우 각각 전주의 외경에 맞는 밴드를 제작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wo-way band bracket has a fixed dimension, so in order to fasten it to the po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nds must be manufactured and used accor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each pole when the height of the equipment is different. .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주의 어느 위치에도 체결이 가능하도록 내경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밴드 브래킷을 이용하여 장비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for fixing the equi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equipment using the same band bracket by changing the inner diameter to be fastened to any position of the po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and brack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이동통신 기지국의 전주에 장비를 체결하기 위한 밴드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밴드 브래킷은, 금속재질로 직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데, 그 중앙부에 곡면이 형성되는 몸체와; 양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볼트홀이 구비되는 플랜지; 및 상기 몸체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and bracket for fastening the equipment to the po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e band bracket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shap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 body having a curved surfac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flange having both ends bent outward and provided with a bolt hol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protrusion bent inwardly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body.

여기에서, 상기 밴드 브래킷은 3개 또는 4개가 한조를 이루며 상기 플랜지에 체결되는 볼트의 길이에 따라 내경이 가변되어 상기 전주의 외측면에 체결된다.Here, the three or four band brackets are formed in a pair and the inner diameter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bolt fastened to the flange is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여기에서 또한, 상기 플랜지의 볼트홀은, 상기 볼트의 체결시 유동 거리를 제공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된다.Here too, the bolt hole of the flange is formed in an oval shape to provide a flow distance when the bolt is fastened.

여기에서 또, 상기 밴드 브래킷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는 장비가 거치되는 장비 브래킷이 부착된다.Here, the body of any one of the band bracket is attached to the equipment bracket on which the equipment is mounte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equipment fixing band bracke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이 전주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quipment fixing band bracke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equipment fixing band bracke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electric pole Top view.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100)은, 몸체(110)와, 플랜지(120)와, 지지 돌기(130)로 구성된다.1 to 3, the equipment fixing band bracket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ody 110, a flange 120, and a support protrusion 130.

먼저, 몸체(110)는 금속재질로 직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데, 그 중앙부에 곡면이 형성된다.First, the body 110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shape with a metal material, and a curved surface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그리고, 플랜지(120)는 양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볼트홀(121)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플랜지(120)의 볼트홀(121)은 볼트(140)의 체결시 유동 거리를 제공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flange 120 are formed to be bent to the outside, and the bolt hole 121 is provided. Here, the bolt hole 121 of the flange 120 is formed in an oval shape to provide a flow distance when the bolt 140 is fastened.

또한, 지지 돌기(130)는 몸체(110)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rotrusion 130 is bent inwardly from both ends of the body 110 is formed to protrude.

한편, 밴드 브래킷(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한조를 이루며 플랜지(120)에 체결되는 볼트(140)의 길이에 따라 내경이 가변되어 전주(1)의 외측면에 체결된다. 여기에서, 밴드 브래킷(100)은 선택에 따라 4개가 한조를 이룰 수도 있으나, 볼트 체결 개수가 많아지고 볼트 조절 위치가 많아져 3개가 한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band bracket 100 has a set of three, and the inner diameter thereof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olt 140 fastened to the flange 12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1. Is fastened. Here, the band bracket 100 may be a pair of four according to the selection,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bolt fastening is increased and the bolt adjustment position is increased to form a pair of three.

그리고, 밴드 브래킷(100)중 어느 하나의 몸체(110)에는 장비가 거치되는 장비 브래킷(150)이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And, any one of the body bracket 110 of the band bracket 100, the equipment bracket 150 on which the equipment is mounted is attached by welding.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의 설치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equipment fixing band bracke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전주(1)는 그 상단부의 내경이 좁고 하단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First, the electric pole 1 is made of a form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end is narrower and wider toward the lower end.

전주(1)의 상단부에 밴드 브래킷(1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3개의 몸체(110) 와, 짧은 길이의 3개의 볼트(140)가 필요한 데, 전주(1)의 상단부중 원하는 위치에서 플랜지(120)의 볼트홀(121)에 볼트(140)를 삽입한 다음 이웃하는 플랜지(120)의 볼트홀(121)에 볼트(140)를 관통시킨 후 너트(141)를 체결한다.In order to install the band bracket 100 on the upper end of the pole 1, three bodies 110 and three short bolts 140 are required. The flange 120 is disposed at a desired position among the upper ends of the pole 1. Insert the bolt 140 into the bolt hole 121 of the) and then pass the bolt 140 through the bolt hole 121 of the neighboring flange 120 and then tighten the nut 141.

그리고, 또 다시 이웃하는 플랜지(120)와 볼트(140)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체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브래킷(100)이 전주(1)의 상단부에 체결된다. 이때, 볼트(140)들 간의 간극을 조절하여 몸체(110)의 지지 돌기(130)가 전주(1)의 외측면에 모두 밀착되도록 하고, 어느 하나의 몸체(110)에는 장비 브래킷(150)이 미리 용접되어 고정된다. 또한, 밴드 브래킷(100)을 볼트(140)로 고정시키면 전주(1)가 하단부로 갈수록 넓어지기 때문에 밴드 브래킷(100)이 밑으로 내려가는 것이 방지된다.Further, when sequentially fastened again using the neighboring flange 120 and the bolt 140, the band bracket 100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pole 1,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bolts 140 so that the support protrusion 130 of the body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all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1), any one of the body 110, the equipment bracket 150 is It is pre-welded and fixed. In addition, when the band bracket 100 is fixed with the bolt 140, the band bracket 100 is prevented from descending because the pole 1 becomes wider toward the lower end.

반대로, 전주(1)의 하단부에 밴드 브래킷(1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3개의 몸체(110)와, 길이가 긴 3개의 볼트(140)가 필요한 데, 전주(1)의 하단부중 원하는 위치에서 플랜지(120)의 볼트홀(121)에 볼트를 삽입한 다음 이웃하는 플랜지(120)의 볼트홀(121)에 볼트(140)를 관통시킨 후 너트(141)를 체결한다.On the contrary, in order to install the band bracket 100 at the lower end of the pole 1, three bodies 110 and three long bolts 140 are required, which are flanged at a desired position among the lower ends of the pole 1. After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121 of 120, the bolt 140 is passed through the bolt hole 121 of the neighboring flange 120, and then the nut 141 is fastened.

그리고, 또 다시 이웃하는 플랜지(120)와 볼트(140)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체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브래킷(100)이 전주(1)의 하단부에 체결된다. 이때, 볼트(140)들 간의 간극을 조절하여 몸체(110)의 지지 돌기(130)가 전주(1)의 외측면에 모두 밀착되도록 하고, 어느 하나의 몸체(110)에는 장비 브래킷(150)이 미리 용접되어 고정된다.Further, when sequentially fastened again using the neighboring flange 120 and the bolt 140, the band bracket 100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pole 1,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bolts 140 so that the support protrusion 130 of the body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all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1), any one of the body 110, the equipment bracket 150 is It is pre-welded and fixed.

따라서, 하나의 밴드를 제작한 후, 볼트의 길이 가변시키면서 밴드 브래킷의 내경을 조절하여 전주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체결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Therefore, after manufacturing one band, while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olt while adjus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band bracket to fasten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pole, respectively,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에 따르면, 전주의 어느 위치에도 체결이 가능하도록 내경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밴드 브래킷을 이용하여 장비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band fixing bracket for the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inner diameter to be fastened to any position of the pol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equipment using the same band bracket There is an advantage.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take various for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laims (4)

이동통신 기지국의 전주에 장비를 체결하기 위한 밴드 브래킷에 있어서;In the band bracket for fastening the equipment to the po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상기 밴드 브래킷은,The band bracket, 금속재질로 직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데, 그 중앙부에 곡면이 형성되는 몸체와;A body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with a metal material, the body having a curved surfac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양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볼트홀이 구비되는 플랜지; 및A flange having both ends bent outward and provided with a bolt hole; And 상기 몸체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Band bracket for fixing the equi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protrusion bent inwardly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밴드 브래킷은,The band bracket, 3개 또는 4개가 한조를 이루며 상기 플랜지에 체결되는 볼트의 길이에 따라 내경이 가변되어 상기 전주의 외측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Band or bracket for fixing the equi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olt fastened to the flange to form a set of three or four fasten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플랜지의 볼트홀은,The bolt hole of the flange, 상기 볼트의 체결시 유동 거리를 제공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Band bracket for fixing the equi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 oval shape to provide a flow distance when the bolt is fasten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밴드 브래킷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는 장비가 거치되는 장비 브래킷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Band bracket for fixing the equi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body of any one of the band bracket the equipment on which the equipment is mounted.
KR20060005860U 2006-03-03 2006-03-03 Band bracket KR2004174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5860U KR200417406Y1 (en) 2006-03-03 2006-03-03 Band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5860U KR200417406Y1 (en) 2006-03-03 2006-03-03 Band bra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406Y1 true KR200417406Y1 (en) 2006-05-26

Family

ID=4176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05860U KR200417406Y1 (en) 2006-03-03 2006-03-03 Band b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40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880B1 (en) * 2014-09-25 2015-12-29 제일정보기술 주식회사 Facility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communication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880B1 (en) * 2014-09-25 2015-12-29 제일정보기술 주식회사 Facility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communication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5173B2 (en) Modular small cell architecture
KR100346173B1 (en) Antenna mounting apparatus
US11437701B2 (en) Macro-cell radio and antenna modules
WO2008035287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guard band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perating in the same geographical area
WO2005018131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antenna radiation patterns of peripheral base stations of a terrestrial network to allow reduced interference
JP2005045778A5 (en)
SE9804293D0 (en) Arrangement, system and method relating to mobile communications
WO2004015877A3 (en) Method of creating and utilizing diversity in a multipl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11462819B2 (en) Small cell antenna assembly and module for same
KR200417406Y1 (en) Band bracket
KR101063936B1 (en) Antenna fixing apparatus
DE60036517D1 (en)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 to allow a cellular / wireless device access to various wireless telephone networks / systems
US20230124588A1 (en) Small cell radio and antenna module
US8164540B2 (en) Antenna device
US20100188310A1 (en) Antenna device
JPH1041873A (en) Radio transmission/reception equipment with antenna installed outdoors
SE9903034D0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improving the capacity of a GSM base station
US20120299796A1 (en) Module for Carrying Antennas of a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Antenna Mast Arrangement
DE60027491D1 (en) Antenna arrangement for mobile satellite phone and mobile phone with this antenna arrangement
JPH08180958A (en) Corona ring
GB2332568A (en) Drain valve for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KR200404508Y1 (en) Tower structure of environment friendly electric utility pole
BR9902472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672901B1 (en) Tower structure of environment friendly electric utility pole
KR200316497Y1 (en) Antenna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