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021Y1 -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021Y1
KR200417021Y1 KR2020060005475U KR20060005475U KR200417021Y1 KR 200417021 Y1 KR200417021 Y1 KR 200417021Y1 KR 2020060005475 U KR2020060005475 U KR 2020060005475U KR 20060005475 U KR20060005475 U KR 20060005475U KR 200417021 Y1 KR200417021 Y1 KR 200417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unit
treatment
laser irradiation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환
주규태
윤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알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보령수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알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보령수앤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알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60005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0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0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5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7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는, 레이저 발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레이저 조사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11)를 구비하는 치료기 본체(10)와, 치료기 본체(10)에 결합되며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모듈(20)을 구비하고, 레이저 모듈(20)은 치료기 본체(10)에 연결되는 메인 출력케이블(21)과, 메인 출력케이블(21)에서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서브 출력케이블(23)(26)과, 제 1 및 제 2 서브 출력케이블(23)(26)의 각 단부에 결합되며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 1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24)(27)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메인 출력케이블(21)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두 개의 레이저 조사부(24)(27)가 메인 출력케이블(21)에서 분기되는 두 개의 서브 출력케이블(23)(26)을 통해 병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중이염이나 비염과 같이 두 곳의 치료 부위가 생기는 경우 두 곳의 치료 부위를 동시에 치료할 수 있다.
레이저 치료기, 출력 케이블, 레이저 조사부

Description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Portable raiser medical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의 치료기 본체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의 다양한 보조 결합구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의 보조 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치료기 본체 11...조작부
16...출력포트 20...레이저 모듈
21...메인 출력케이블 23,26...제 1,2 보조 출력케이블
24,27...제 1,2 레이저 조사부 30...어댑터
41,42,43,44,45,46...보조 결합구 51,55...보조 밴드
본 고안은 레이저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고 사용자가 치료를 위해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는 흡수된 광에너지가 열로 전환되어 특정한 조직을 파괴하는 작용을 하며, 치료시 치료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사부위의 넓이, 조사 강도, 조사 시간, 파동의 형태, 파장 반복속도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다양한 치료가 가능하다.
레이저를 생체세포를 손상하지 않을 정도의 저에너지로 하여 생체에 조사하면 생체의 생리작용을 활성화시키고 환부의 자연 치유력을 증진시키며, 구체적으로 피부재생효과로 DNA/RNA 합성율 증진, 혈액순환촉진, 효소 활성화 및 콜라겐 생성 증가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흉터를 방지하기 위한 조사도 있으며 여드름 및 피부 살균을 하는 소염 작용 등 많은 작용을 하므로, 현재는 레이저를 이용한 다양한 의료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통상, 레이저 치료기는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이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레어저 다이오드가 발광하여 400나노미터의 파장에서부터 수천 나노미터의 파장까지 발생하게 된다.
400나노미터 범위의 레이저는 여드름 및 피부질환의 치료에 사용되고, 500나노미터 범위의 레이저 파장은 피부 활성화에 사용되고, 600나노미터의 파장을 갖는 오렌지색의 레이저는 피부재생에 이용되며, 약 660나노미터의 파장을 갖고 눈에 보이는 적색의 레이저는 혈액순환 촉진 및 피로회복, 심신에너지 촉진 및 임파 및 젖 의 분비 촉진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신경 및 근육 등의 물리 치료에 사용된다.
이 밖에도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중의 다른 하나로 초당 수십만회 진동하는 광역동(photodynamic)을 이용하여 신경 세포의 활성화 및 근육을 완화시키는 치료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는 디스크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현재 레이저 치료기 중에는 전문의가 아니더라도 사용자가 치료를 위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의 일예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04899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04899호에 개시되어 있는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는, 전원공급부와 제어부를 갖는 치료기 본체와, 치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이저 모듈을 포함한다. 레이저 모듈에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는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모듈의 레이저 조사부가 하나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비염이나 중이염과 같이 두 곳의 치료 대상부위가 발생되는 경우 사용이 불편하다.
즉, 왼쪽 귀와 오른쪽 귀를 모두 치료해야 할 경우, 레이저 조사부를 한 쪽 귀에 대고 치료를 완료한 후 다른 쪽 귀를 치료해야 하므로, 치료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이염이나 비염과 같이 두 곳의 치료 대상부위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동시 치료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는, 레이저 발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레이저 조사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는 치료기 본체와, 상기 치료기 본체에 결합되며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레이저 모듈은 상기 치료기 본체에 연결되는 메인 출력케이블과, 상기 메인 출력케이블에서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서브 출력케이블과,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출력케이블의 각 단부에 결합되며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 1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결합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조 결합구에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결합되는 결합홀과,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조사홀과,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상기 조사홀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결합홀과 상기 조사홀을 연결하는 안내홀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 신체의 일측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소켓부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감기는 보조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밴드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탈 가능하게 감길 수 있도록 벨크로 부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의 치료기 본체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의 다양한 보조 결합구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의 보조 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는, 치료기 본체(10)와,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 1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24)(27)를 갖는 레이저 모듈(20)과, 제 1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24)(27)를 사용자의 신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악세사리인 보조 결합구(41)(42)(43)(44)(45)(46) 및 보조 밴드(51)(55)를 포함한다.
치료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레이저 발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와, 레이저 조사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치료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11)와, 치료기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창(14)이 구비된다. 조작부(11)에는 다양한 치료 모드를 선택하고 레이저 조사 개시 및 종료를 위한 조그셔틀(12) 및 복수의 조정버 튼(13)이 구비된다.
치료기 본체(10)의 일측면에는 전원 스위치(15)와, 출력포트(16)와, 전원입력 단자(17)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전원 스위치(15)를 통해 치료기를 켜거나 끌 수 있다. 출력포트(16)에는 레이저 모듈(20)이 결합되고, 전원입력 단자(17)에는 외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어댑터(30)가 결합된다. 전원입력 단자(17)는 치료기 본체(10) 내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있어서 외부 전원이 어댑터(30)를 통해 전원공급장치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본 고안은 치료기 본체(10)에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되는 충전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어댑터(30)나 전원입력 단자(17) 없이 건전지를 통해 전원공급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전원공급장치에 외부 전원이 공급될 때 제어부는 조작부(11)를 통해 선택된 치료 모드에 따라 전원공급장치의 출력을 조절하여 레이저 모듈(20)에서 적절한 세기의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한다. 전원공급장치, 제어부 및 조작부의 상호 작용 및 기능은 종래와 같은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치료기 본체(10)의 후면에는 사용자 부착을 위한 고정대(18)가 구비된다. 이 고정대(18)를 통해 치료기 본체(10)를 사용자의 벨트나 옷에 부착시킬 수 있다.
레이저 모듈(20)은 치료기 본체(10)에 결합되는 메인 출력케이블(21)과, 메인 출력케이블(21)에서 분기되어 각각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서브 출력케이블(23)(26)과, 제 1 및 제 2 서브 출력케이블(23)(26) 각각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24)(27)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메인 출력케이블(21)의 단부에는 치료기 본체(10)의 출력포트(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단자(22)가 구비되고, 제 1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24)(27)에는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 레이저 다이오드(25)(28)가 각각 구비된다.
레이저 모듈(20)의 모듈 단자(22)가 치료기 본체(10)의 출력포트(16)에 결합되어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이 메인 출력케이블(21)과 제 1 및 제 2 서브 출력케이블(23)(26)을 통해 각 레이저 다이오드(25)(28)에 공급되면, 각 레이저 다이오드(25)(28)에서는 레이저가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레이저는 각 레이저 조사부(24)(27)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외부로 조사된다.
이렇게 치료기 본체(10)에 결합되는 하나의 메인 출력케이블(21)에 두 개의 서브 출력케이블(23)(26)을 통해 두 개의 레이저 조사부(24)(27)가 구비됨으로써, 치료 대상부위가 두 곳인 경우 치료 대상부위 각각에 각 레이저 조사부(24)(27)를 대고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두 개의 치료 대상부위를 동시에 치료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레이저 조사부(24)(27)의 단부에는 보조 결합구(41)(42)(43)(44)(45)(46)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들 보조 결합구(41)(42)(43)(44)(45)(46)는 각 레이저 조사부(24)(27)를 콧구멍이나 귓구멍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실리콘과 같이 신체에 거부감이 적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3a에 도시된 보조 결합구(41)(42)는 레이저 조사부(24)(27)가 끼워지는 결합홀(41a)과, 레이저가 외부로 조사되는 조사홀(41b)과, 레이저 조사부(24)(27) 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조사홀(41b)로 안내하기 위해 결합홀(41a)과 조사홀(41b)을 연결하는 안내홀(41c)을 구비한다. 이러한 보조 결합구(41)(42)는 조사홀(41b)이 형성된 일단부의 폭이 결합홀(41a)이 형성된 타단부의 폭보다 작아서 콧구멍이나 귓구멍의 깊숙한 곳까지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보조 결합구(43)(44) 역시 레이저 조사부(24)(27)가 끼워지는 결합홀(43a)과, 레이저가 외부로 조사되는 조사홀(43b)과, 결합홀(43a)과 조사홀(43b)을 연결하는 안내홀(43c)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결합홀(43a)과 안내홀(43c)의 폭은 동일하다.
도 3c에 도시된 보조 결합구(45)(46)도 결합홀(45a), 조사홀(45b) 및 안내홀(45c)을 갖는다. 이러한 보조 결합구(45)(46)는 조사홀(45b)이 형성된 일단부와 결합홀(45a)이 형성된 타단부의 폭이 동일하고, 안내홀(45c)의 폭이 결합홀(45a)에서 조사홀(45b) 쪽으로 커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여러가지 보조 결합구(41)(42)(43)(44)(45)(46)는 중이염이나 비염이 있는 사용자의 귓구멍이나 콧구멍에 삽입되어 레이저 조사부(24)(27)를 사용자의 신체에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레이저 조사부(24)(27)를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치료부위에 레이저를 지속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이저 조사부(24)(27)를 사용자의 신체에 결합시켜주는 또다른 악세사리인 보조 밴드(51)(55)는 유연성 있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밴드 몸체(52)(56)와, 각 밴드 몸체(52)(56)의 일측에 구비되는 소켓부(53)(57)와, 각 밴드 몸체(52)(56)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구비되는 벨크로 부착부(54)(58) 를 포함한다.
소켓부(53)(57)는 레이저 조사부(24)(27)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레이저 조사부(24)(27)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홀(53a)을 갖는다.
벨크로 부착부(54)(58)는 각 밴드 몸체(52)(56)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암벨크로(54a)(58a)와, 각 암벨크로(54a)(58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각 밴드 몸체(52)(56)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수벨크로(54b)(58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밴드(51)(55)는 팔목이나 발목과 같이 다른 신체 부위에 비해 굵기가 가는 신체 부위에 결합되어 레이저 조사부(24)(27)를 그 신체 부위에 결합시킨다. 각 레이저 조사부(24)(27)에서 조사된 레이저는 보조 밴드(51)(55)에 구비된 삽입홀(53a)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로 직접 조사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치료기 본체(10)에 어댑터(30) 및 메인 출력케이블(21)을 연결하고 전원 스위치(15)를 ON 위치로 조정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24)(27)를 치료 부위에 근접시키고, 조정버튼(13)과 조그셔틀(12)을 이용하여 레이저 조사 시간 등의 치료 모드를 세팅한다. 여기에서, 각 레이저 조사부(24)(27)를 치료 부위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보조 결합구(41)(42)(43)(44)(45)(46)나 보조 밴드(51)(55)를 사용할 수 있다. 치료 부위가 두 곳인 경우에는 각 치료 부위에 레이저 조사부(24)(27)를 하나씩 근접시킨다.
각 레이저 조사부(24)(27)를 치료 부위에 근접시킨 후, 조정버튼(13)을 이용 하여 적절한 파장(예컨대, 650nm)의 레이저 조사를 개시한다. 이때, 각 레이저 조사부(24)(27)에서는 레이저가 동시에 조사되기 때문에 치료 부위가 두 곳인 경우에는 두 곳의 치료 부위를 동시에 치료할 수 있다.
세팅된 시간이 경과되면 레이저 조사는 자동으로 종료되나,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가 조정버튼(13)을 이용하여 레이저 조사를 강제로 종료시킬 수 있다. 치료가 끝나면 전원 스위치(15)를 OFF 위치로 조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원공급장치 및 제어부가 구비되는 치료기 본체에 결합되는 하나의 메인 출력케이블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두 개의 레이저 조사부가 메인 출력케이블에서 분기되는 두 개의 서브 출력케이블을 통해 병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중이염이나 비염과 같이 두 곳의 치료 부위가 생기는 경우 두 곳의 치료 부위를 동시에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치료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사용 편리성이 증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고안은 기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4)

  1. 레이저 발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레이저 조사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는 치료기 본체와, 상기 치료기 본체에 결합되며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모듈을 갖는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모듈은 상기 치료기 본체에 연결되는 메인 출력케이블과, 상기 메인 출력케이블에서 분기되어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서브 출력케이블과,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출력케이블의 각 단부에 결합되며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 1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결합구에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결합되는 결합홀과,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조사홀과,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상기 조사홀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결합홀과 상기 조사홀을 연결하는 안내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 신체의 일측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레이저 조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소켓부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감기는 보조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밴드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탈 가능하게 감길 수 있도록 벨크로 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
KR2020060005475U 2006-02-28 2006-02-28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 KR200417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475U KR200417021Y1 (ko) 2006-02-28 2006-02-28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475U KR200417021Y1 (ko) 2006-02-28 2006-02-28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021Y1 true KR200417021Y1 (ko) 2006-05-22

Family

ID=4176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475U KR200417021Y1 (ko) 2006-02-28 2006-02-28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02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633B1 (ko) * 2008-03-25 2009-05-27 서연전자(주) 휴대형 레이저조사기
KR100977985B1 (ko) 2010-05-14 2010-08-25 주식회사 옵토웰 비염치료용 다파장 레이저 조사기
KR200450511Y1 (ko) * 2009-10-19 2010-10-07 김영운 일회용 또는 다회용 라이트프로브 구조를 가지는 밝기 조절 가능한 조명기구
WO2011142632A2 (ko) * 2010-05-14 2011-11-17 주식회사 옵토웰 레이저 조사기
KR101717876B1 (ko) * 2016-01-05 2017-03-17 김해경 동물들의 귀 속 염증을 예방하는 광 조사기구
CN108785866A (zh) * 2018-06-25 2018-11-13 安徽奥弗智能微创医疗器械有限公司 耳道炎辅助治疗仪
KR20220063832A (ko) * 2020-11-10 2022-05-18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마스크팩 미세전류 인가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633B1 (ko) * 2008-03-25 2009-05-27 서연전자(주) 휴대형 레이저조사기
KR200450511Y1 (ko) * 2009-10-19 2010-10-07 김영운 일회용 또는 다회용 라이트프로브 구조를 가지는 밝기 조절 가능한 조명기구
KR100977985B1 (ko) 2010-05-14 2010-08-25 주식회사 옵토웰 비염치료용 다파장 레이저 조사기
WO2011142632A2 (ko) * 2010-05-14 2011-11-17 주식회사 옵토웰 레이저 조사기
WO2011142632A3 (ko) * 2010-05-14 2012-04-19 주식회사 옵토웰 레이저 조사기
KR101717876B1 (ko) * 2016-01-05 2017-03-17 김해경 동물들의 귀 속 염증을 예방하는 광 조사기구
CN108785866A (zh) * 2018-06-25 2018-11-13 安徽奥弗智能微创医疗器械有限公司 耳道炎辅助治疗仪
KR20220063832A (ko) * 2020-11-10 2022-05-18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마스크팩 미세전류 인가장치
KR102481830B1 (ko) * 2020-11-10 2022-12-29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마스크팩 미세전류 인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1682B2 (ja) レーザー脱毛症治療器
KR200417021Y1 (ko) 휴대용 레이저 치료기
US10379341B2 (en) Multiple aperture hand-held laser therapy apparatus
KR100971358B1 (ko) 침습형 이중 파장 레이저 침
KR100799524B1 (ko) 피부 관리장치의 어플리케이터
US20130304164A1 (en) Portable Apparatus for Laser Therapy
JP2010535595A (ja) 多重モジュール皮膚または身体治療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法
KR100851621B1 (ko) 레이저 탈모 치료기
US20160192988A1 (en) Multiple Laser Source System for Portable Laser Therapy Apparatus
US201801110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kin Tightening with Femtosecond Laser Irradiation
US20190201713A1 (en) Helmet and modular cap for laser light hair growth therapy
KR20100088240A (ko) 휴대용 피부 치료장치
KR20070095847A (ko) 개선된 냉각 성능을 갖는 피부 관리장치용 어플리케이터
KR100725564B1 (ko) Lllt를 위한 범용 패치
KR100885422B1 (ko) 의료용 레이저 조사기
KR20190100655A (ko) 광선을 포함한 자가 프로그래밍 저주파 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18039A (ko) 다방향 광 조사가 가능한 광 치료장치
KR200408926Y1 (ko) 의료용 레이저 조사기
KR20140147215A (ko) 탈모 치료기
KR20200102623A (ko) 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KR20100022605A (ko) 모발 관리용 레이저 브러시
RU2687568C1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лазерно-диодное медицин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200080874A (ko) 레이저 침
CN112914220A (zh) 一种多频段半导体激光经络疏通发梳
US20190217119A1 (en) Interchangeable modular cap for laser light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