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526Y1 -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 Google Patents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526Y1
KR200416526Y1 KR2020060004417U KR20060004417U KR200416526Y1 KR 200416526 Y1 KR200416526 Y1 KR 200416526Y1 KR 2020060004417 U KR2020060004417 U KR 2020060004417U KR 20060004417 U KR20060004417 U KR 20060004417U KR 200416526 Y1 KR200416526 Y1 KR 200416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
projections
body portion
rock
veget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용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Priority to KR2020060004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5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제방이나 유수지등의 유수와 접하는 경사면에 사용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고, 외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암수돌기부에 의해 우수한 결합력을 구비함과 동시에, 결합시공이 용이하여 작업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밀폐된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암돌기부와, 상기 암돌기부와 격번으로 몸체부의 외측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수돌기부와, 상기 암돌기부와 수돌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식생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 양측단에는 암돌기부와 수돌기부가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식생공간, 결합돌기, 요철돌기, 블록

Description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The Eco-grass Block with planting space hole}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평면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부 (11) : 식생공간
(20) : 암돌기부 (21) : 접촉돌기
(22) : 결합홈 (30) : 수돌기부
(31) : 접촉돌기 (32) : 결합돌기
(40) : 보조 식생공간 (100) :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본 고안은 하천 제방이나 유수지등의 유수와 접하는 경사면에 사용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에 관한 것으로, 시공시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여 안정된 식 생환경을 유도하고, 사면이나 제방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결합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하천경사면이나 제방등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재질의 친환경 잔디바닥블록은 하부로부터 식생식물이 자라지 못하도록 밀폐형 블록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러한 밀폐형 블록은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 없을 뿐 아니라, 수분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여, 제방의 사막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이로 인해 환경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사용되고 있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은 대부분 하나의 블록을 가지고 여러개로 모자이크 형상으로 접촉하여 맞추도록 되어 있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자체에는 결합력이 없어, 시공한 지반이 연약지반일 경우, 시공된 친환경 잔디바닥블록이 쉽게 허물어지게 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고, 외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암수돌기부에 의해 우수한 결합력을 구비함과 동시에, 결합시공이 용이하여 작업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밀폐된 식생공간(11)을 구비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외주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암돌기부(20)와, 상기 암돌기부(20)와 격번으로 몸체부(10)의 외주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수돌기부(30)와, 상기 암돌기부(20)와 수돌기부(30)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식생공간(40)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 양측단에는 암돌기부(20)와 수돌기부(3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사시도를, 도 2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평면예시도를,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친환경 잔디바닥블록(100)은 몸체부(10)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관통되는 식생공간(11)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10)의 외측면에 소정길이를 구비하는 다수개의 암돌기부(20) 및 수돌기부(30)를 격번으로 돌출형성하되, 몸체부(10)의 일측면 양측단에 하나의 암돌기부(20)와 수돌기부(30)가 각각 위치하고, 그 사이에 보조 식생공간(40)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몸체부(10)의 외측면 일측단에는 다수개의 수돌기부(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돌기부(30)는 서로 90°를 구비하도록 몸체부(10)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돌기부(30)가 일측단에 형성된 몸체부(10) 외측면의 나머지 일측단에 각각 암돌기부(20)를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되는 암돌기부(20) 역시 서로 90°를 구비하도록 몸체부(10)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암돌기부(20)와 수돌기부(3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 즉, 암수결합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암돌기부(20)는 양측단에 수돌기부(30)의 일측면에 돌출되는 접촉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21) 사이에 수돌기부(30)의 일측이 삽입되는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돌기부(30)는 양측단에 암돌기부의 접촉돌기(21)와 접촉되는 접촉돌기(31)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31) 사이에 암돌기부의 결합홈(22)내로 삽입되는 결합돌기(32)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일측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수돌기부(30)의 결합돌기는 또다른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암돌기부(20)의 결합홈내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이때, 일측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수돌기부(30)의 접촉돌기는 또다른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암돌기부(20)의 접촉돌기에 밀착 접촉되게 된다.
상기 보조 식생공간(40)은 몸체부(10)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암돌기부(20)와 수돌기부(3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즉, 몸체부(10) 일측면에 양단에 형성된 암돌기부(20)와 수돌기부(30)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으로, 일측 친환경 잔디바닥블록과 이에 결합되는 또다른 친환경 잔디바닥블록의 결합에 의해 2개의 보조 식생공간(40)이 결합되어 하나의 식생공간(40a)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친환경 잔디바닥블록(100)은 몸체부(1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암/수돌기부(20,30) 및 몸체부(10) 내부에 형성된 식생공간(11)에 의해 평면에서 살펴 볼 경우, 전체적으로 "井" 형상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생공간(11)은 반드시 사각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타원형, 별, 달, 다각형 등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수개의 암/수돌기부(20,30)의 결합에 의해 다수개의 친환경 잔디바닥블록을 연속적으로 결합시공되며, 이와 같은 결합시공시, 암/수돌기부(20,30) 사이에 형성된 보조 식생공간(40)들의 결합에 의해 몸체부(10)에 형성된 식생공간(11) 이외에 또다른 식생공간(40a)을 구비하게 되므로, 전체 결합시공시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확보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함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암/수돌기부의 결합에 의해 친환경 잔디바닥 블록이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조립시공이 용이하고, 우수한 결합력을 구비하고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밀폐된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암돌기부와,
    상기 암돌기부와 격번으로 몸체부의 외측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수돌기부와,
    상기 암돌기부와 수돌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식생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 양측단에는 암돌기부와 수돌기부가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잔디바닥블록은 평면이 "井"자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KR2020060004417U 2006-02-17 2006-02-17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KR200416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417U KR200416526Y1 (ko) 2006-02-17 2006-02-17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417U KR200416526Y1 (ko) 2006-02-17 2006-02-17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526Y1 true KR200416526Y1 (ko) 2006-05-16

Family

ID=4176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417U KR200416526Y1 (ko) 2006-02-17 2006-02-17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5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17B1 (ko) 2006-06-12 2008-01-21 이미경 조경 블럭
KR100830805B1 (ko) 2007-05-03 2008-05-19 정대수 제올라이트볼을 포함한 잔디블록 조성물 및 잔디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17B1 (ko) 2006-06-12 2008-01-21 이미경 조경 블럭
KR100830805B1 (ko) 2007-05-03 2008-05-19 정대수 제올라이트볼을 포함한 잔디블록 조성물 및 잔디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6526Y1 (ko) 다수개의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친환경 잔디바닥블록
KR200397518Y1 (ko) 생태 식생옹벽블럭
KR200447510Y1 (ko) 생태 옹벽축조블록
CN205116099U (zh) 一种交错嵌式面层砌块
CN107653840B (zh) 一种水域砌块
KR101450787B1 (ko)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 구조
KR100802911B1 (ko) 화분형 식생 블럭
KR100349863B1 (ko)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US20060193694A1 (en) Block for embankment
KR101280330B1 (ko) 세굴방지용 기초블럭
KR200443040Y1 (ko) 자연석형 식생블럭의 설치구조
KR101843058B1 (ko) 사면 보호용 친환경 자연석블록 시공구조 및 그 자연석블록 연결방법
KR200361081Y1 (ko) 축조 및 식생용 블록
KR100445216B1 (ko) 식생 호안블록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27399Y1 (ko) 조립식 호안블록
KR100870825B1 (ko) 방패연 키형 식생 블럭
KR200374601Y1 (ko) 식생가능한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블록
KR200367357Y1 (ko) 식생 옹벽 블록
KR200410828Y1 (ko) 하천 사면의 조경식생 결속블록
KR200400428Y1 (ko) 식생 기능을 가지는 법면용 블럭어셈블리
KR20040098434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200476577Y1 (ko) 사면안정용 식생블록
KR200361732Y1 (ko) 식생 옹벽블록
KR200403165Y1 (ko) 에버그린엑스 식생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