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200Y1 - 의자형 포대기 - Google Patents
의자형 포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6200Y1 KR200416200Y1 KR2020050035708U KR20050035708U KR200416200Y1 KR 200416200 Y1 KR200416200 Y1 KR 200416200Y1 KR 2020050035708 U KR2020050035708 U KR 2020050035708U KR 20050035708 U KR20050035708 U KR 20050035708U KR 200416200 Y1 KR200416200 Y1 KR 2004162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by
- user
- block
- waist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4013 gro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60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06010028391 Musculoskelet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7613 Shoulder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6010008479 Chest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8 babys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759 hypertrophy of breas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6—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대기로써 아기를 데리고 외출시 사용되는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를 포함한 의자형 포대기 이다.
포대기. 의자, 등받이, 엉덩이 받침, 결속부재, 어개끈, 밑판, 허리밸트, 조끼
Description
도1은 종래의 포대기의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1-1은 종래의 포대기의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등과 허리의 인체곡선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이 포대기에 결합되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이 사용되어 인체의 등과 허리곡선에 작용하는 포대기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9은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에 따른 포대기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고안에 의한 제3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고안에 의한 제3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고안에 의한 제3실시예에 따른 포대기의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고안에 의한 제3실시예에 따른 포대기의 아기의 안착도이다.
도14는 본 고안에 의한 제3실시예에 따른 포대기의 안착된 아기를 업은 사시도이다.
도15는 본 고안에 의한 제4실시예에 따른 포대기의 사시도이다.
도16은 본 고안에 의한 제4실시예에 따른 안착된 아기를 업은 사시도이다.
도17은 본 고안에 의한 제5실시예에 따른 포대기의 사시도이다.
도18은 본 고안에 의한 제5실시예에 다른 포대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500, 600 ; 포대기, 나, 다, 라, 마 ; 블록 의자,
1, 10, 11, 12, 13, 14 ;허리밸트, 4, 41, 42, 43, 44, 45 ; 엉덩이받침,
3, 31, 32, 33, 34, 35, 36 ; 어깨끈, 61, 62, 63, 64, 65 ; 허리블럭,
2, 21, 22, 23, 24, 25 ; 머리받침, 5, 51 ,52, 53, 54, 55 ; 결속부재,
7, 70, 71, 72 ; 밑판, 1-1 ; 밸크로(찍찍이), a ; 허리곡선,
6 ; 안착부, 17 ; 안전띠, 18, 19 ; 안전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포대기에 괸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형 포대기로써 아기를 데리고 외출시에 아기를 쉽게 담고 아기의 무게로 인한 어깨통증을 최소화 시키고 아기를 최대한 편안하게 하는 의자형 포대기에 관한 것이 다.
[그분야의 종래 기술]
종래에 포대기를 도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포대기(100)는 아기 엉덩이를 전체적으로 감싸 사용자의 허리로 돌아오는 넓은 허리밸트(1)에 밸크로(1-1)이 봉제되어 있었다.
아기의 안착부(6)를 중심으로 엉덩이 받침(4)에 직접 연장되어 머리받침(2)이 구성되어 있고, 어깨끈(3)이 안착부 상단으로 이어져 허리밸트(1)에 직접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 포대기는(100)는 아기의 무게를 아기를 업은 사람에게 최대한 분산 시키기 위하여 엉덩이를 감싸 사용자의 허리로 직접 돌아오는 넓은 허리밸트(1)를 사용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아기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하여 밸크로(1-1)가 부착되어 넓은 허리밸트(1)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있었다.
이하 종래의 포대기의 문제점을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종래의 포대기(100)는 안착부(6)에 아기을 안착시켜. 아기를 업었을 때, 착용자의 등과 허리는 아기 사타구니와 만나게 된다.
먼저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람의 등과 허리는 일직선이 아닌 S자(a) 형태로 곡선을 이룬다.
이때 사용자의 허리는 아기 사타구니와 반대로 바깥쪽으로 휘어있고 아기의 사타구니 또한 사용자 허리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등허리와 아 기의 사타구니 사이는 인체공학상 ( )와 같은 공간부가 생길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이 공간부를 채워주지 않고 인위적으로 아기를 사용자에게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종래에 포대기(100)는 아기엉덩이를 전체적으로 감싸서 사용자의 허리에 넓은 허리밸트(1)로 최대한 조여주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때문에, 넓은 허리밸트(1)로 인한 사용자들이 복부의 압박감은 매우 크게 작용하여 불편함을 호소하는 것이 사실이다.
둘째, 아무리 허리밸트(1)를 졸라 매어도 사용자의 허리와 아기 사타구니의 공간부는 인체공학상 완전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아기는 무게로 인해서 사용자의 골반부로 점점 내려오게 되어 아기는 골반부로 처지는 현상이 유발되는 것을 막기가 어렵다.
셋째, 아기가 무게로 인해서 사용자의 등에서 골반부로 내려가면 사용자의 앞쪽의 허리밸트(1)는 시소의 원리로 사용자의 가슴쪽으로 올라가는 현상을 유발하고 허리밸트(1)에 없어서는 안될 봉제 처리된 밸크로화스너(1-1)로 되어 있어 아기가 잠들어 아기를 내리고자 할때에는 밸크로 화스너가 매우 시끄러운 소리를 내며 떨어지기 때문에 아기가 놀라 잠에서 깨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포대기(100)는 도1-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의 어깨통증을 최소한 유발시키지 않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가슴 쪽으로 11로 구성되어 있다.
다섯째, 상기의 구성들 때문에 넓은 허리밸트(1)는 사용자의 가슴쪽으로 올라가 사용자의 가슴을 받치는 현상으로 가슴이 위로 모아지고, 사용자의 가슴에서 11자로 내려오는 어깨끈은 사용자의 가슴을 짖누르는 현상으로 인해서 대부분의 여성 사용자들은 민망함과 함께 특히, 모유를 먹이는 엄마들은 가슴통증을 유발시켜 불편함을 주고 있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여섯째, 종래의 포대기(100)에서 사용자가 아기를 업고자 하여 아기를 안착부(6)에 안착시키고자 할때. 종래에 포대기(100)를 바닥에 펼쳐서 아기를 안착 시키게 되어 있는데, 이때 아기가 앉지 못하는 아이들은 눕혀서 아기를 담고, 앉을 수 있는 아기라 할지라도 아기의 안착부(6)가 아기의 크기에 따라 약간씩 다르므로 인해서 사용자들의 눈대중으로 아기의 안착부를 지정하게 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매번 안착부를 설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아기를 담는 주머니 형태로 만들어진 종래의 포대기 또한 아기 다리를 끼워서 업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일곱째, 종래의 포대기(100)는 아기의 엉덩이를 사용자의 등이나 허리에 최대한 밀착 시켜야 어깨통증을 유발하지 않은 이유로 인해서 아기를 최대한 사용자에게 밀착시키다 보면 아기의 사타구니는 사용자의 허리쪽에 밀착되면서 반대로 아기의 상체 즉 등과 머리는 사용자의 등 반대쪽으로 제쳐지는 현상도 유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특히 아기처짐을 유발하는 아기를 업은 사용자의 허리와 아기 사타구니 사이에 생기는 공간부를 채워 주므로써 아기를 업을때, 가장 빠르고 쉽게 담아서 업고 장시간 외출시 아기의 무게를 최소화 시켜서 아기를 업은 사람의 어깨통증을 유발시키지 않고 아기의 처짐을 막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이를 사용하는 것은 아기를 업는 사람뿐만이 아니라, 아기의 다리가 편안하게, 아기의 등 뒤로 제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아기에게 초대한의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엉덩이를 받쳐주는 엉덩이 받침;과 직접 연장되어 사용자의 허리로 돌아오는 허리밸트;와 아기의 사타구니와 사용자의 등과 허리의 공간부를 채워주는 블록;을 포함 할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하단에 직접 연장되는 엉덩이를 받쳐주면서 아기의 높이를 높여주는 밑판;을 추가로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밑판 끝단에서 위로 연장되는 아기 등을 지지 할수 있는 등받이;연장하여 추가로 포함 할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 도4, 도5, 도6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대기(200)는 아기의 처짐을 막기 위하여 먼저 도2의 등허리(a)의 공간부와 아기의 사타구니의 공간부를 채워주기 위하여 아기를 업는 사람의 인체의 형태대로 스폰지나 공기가 주입된 튜브를 이용하여 블록(61)이 구성되어 있으며 블록(가)을 중심으로 위로는 어깨끈(31)이 양쪽으로 연장되어 허리밸트(10)양단에 부착되고 어깨끈(31) 안전띠(17)를 가진다. 블록(61)의 아래로는 아기의 다리가 걸터지면서 아기가 안착되는 엉덩이 받침(41)에 바깥쪽에서 아기의 무게를 받쳐서 사용자의 허리로 돌아오 는 허리밸트(10)가 구성 되어 있으며 엉덩이 받침(41)상단으로는 아기의 등과 머리를 지지하는 접거나 탈착 가능한 머리받침(21)에 연결부재(51)를 갖는다.
이는 아기를 앞으로 안았을때, 사용자 즉 아기를 안은 사람이 배를 내밀지 않아도 되며, 아기를 뒤로 업었을 경우도 아기를 업은 사람이 앞으로 숙여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7, 도8,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대기(300)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허리밸트(11)와 엉덩이 받침(42)에서 연장된 머리받침(22)과 어깨끈(32)그리고 연결부재(52)를 가지고 있으며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62)하단에 직접 연장되어 있는 아기 엉덩이를 받치고 아기를 쉽게 담을 수 있는 본 발명의 포대기가 쓰러지지 않게 밑판(7)을 구성한 블록(나)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0, 도11, 도12, 도13,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제3실시예에 따른 포대기(400)는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한 허리밸트(12)와 연결된 엉덩이 받침(43)과 머리받침(23)그리고 어깨끈(33)과 아기와 사용자의 등허리 공간을 채워주는 블록(63)에 늘어날 수 있는 밑판(70)을 가진다.
또한 상기 밑판(70) 끝단에서 위로 직접 연장되는 등받이(8)가 구성된 블록(다)를 갖는다. 아기를 안아서 아기 다리를 끼우는 순서가 없이 바로 의자형 안착부에 앉히면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블록(다)의 어느면에 힘이 있는 딱딱한 부재를 사용 할 수 있다.
이러므로 아기를 담을때, 포대기가 쓰러지는 것을 완벽하게 해소하고 아기 다리를 끼우거나 아기를 눕혀서 감싼다거나 하는 불편함을 해소 하였다.
이하,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5,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대기(500)은 상기 제3실시예와 동일한 허리밸트(13)와 엉덩이 받침(44)과 아기가 안착되는 블록(라)과 머리받침(24)과 어깨끈(34) 연결부재(54를 구성하고 있다는 고정밸트(9)를 이용하여 아기 다리를 허리밸트 바깥쪽으로 위치 시킬 수 있게 하고 안전띠(18)가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아기의 무게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서는 허리밸트(13)는 아기 엉덩이 받침과 연결되어 아기 엉덩이의 받쳐서 아기다리를 바깥쪽으로 감싸 사용자의 허리로 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7,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애 따른 포대기(600)은 상기 제3실시예와 동일한 허리밸트 (14)와 엉덩이 받침(45) 안전밸트(19)와 머리받침(25) 과 아기 사타구니 사이와 사용자의 허리공간부를 채워주는 블럭(65)에 밑판(72)와 등받이가 구성된 아기의 안착블럭(마)을 가진다.
또한 아기의 무게를 최소화 시키기 위하여 업은 사람으로 하여금 아기의 무게를 분산 시키고자 하여 아기를 업은 사람의 앞쪽으로 넘어온 어깨끈(35)에서 어깨끈(36)이 허리밸트(14)쪽으로 내려 올수록 늘어나는 면을 구성하여 아기의 체중 을 사용자의 상체에 골고루 분산시키는 조끼형 어깨끈(36)을 가진다. 그러므로 인해서 추운지방에 사는 사람들은 보온성을 유지하고, 가슴이 큰 사람들이 가슴이 두드러지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누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다르게 도6에서와 같이 안전띠(17)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포대기는 사람의 등허리가 S자형임에서 착안해 등허리 공간부와 아기 사타구니에서 생기는 공간부를 블록으로 채워주므로써, 블록이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어 지면서 그동안 복부로 집중되던 아기의 무게는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등허리쪽으로 분산되어져 아기 엉덩이에서 돌아오는 넓은 허리밸트에는 시끄러운 밸크로 화스너를 부착하지 않고도 앞쪽으로 오면서 가늘어질 수 있었다, 때문에 넓은 허리밸트로 인한 사용자들의 복부 압박을 해소하고 시끄러운 소리 또한 해소 하였다.
또한 아기는 무게로 인해서 사용자의 골반부로 아기가 내려가면서 앞쪽의 넓은 허리밸트는 시소처럼 가슴쪽으로 올라와 사용자들의 가슴을 받치는 현상이 없어져 민망함과 가슴통증을 유발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아기 사타구니 사이와 사용자의 등허리 사이에 블록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채워 주므로써 아기를 업은 사람의 골반부로 아기가 내려오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등허리에 블록이 형성되어 지므로 인해서 사용자의 등허리에서 블록 만큼 떨어진 아기는 사용자의 등허리와 일정한 간격이 형성 되어진다. 따라서 이 간격으로 인해서 아기의 다리는 사용자와 밀착되지 않고 공간부가 형성되어 허리밸트가 아기 다리바깥쪽에서 감싸고 있어도 아기의 다리의 조임을 유발하지 않는다.
특히, 본 고안의 의자형 안착블럭은 아기를 포대기에 안착시키고자 할때 다른 포대기에서는 찾아볼수 없는 의자형 안착블럭은 아기의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대기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포대기를 펼치거나 아기 다리를 주머니형태에 집어 넣어야 되거나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아기를 빠르게 담아서 빠르게 업을 수 있으뿐 아니라, 장시간의 외출시에도 아기의 무게는 아기를 업은 사람의 등허리와 복부 그리고 어깨로 골고루 분산 되어지는 효과로 인해서 아기의 무게는 다른 어떤 포대기보다 최소화 시킬 수 있어 장시간의 외출에도 어깨의 편안함을 줄 뿐 아니라 아기가 의자형 안착블럭에 안착 되어 있기 때문에 뒤로 제쳐지는 현상도 막을 수가 있어 사용자들에게 최대한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Claims (4)
- 본 고안은 사용자의 허리에 매어지는 허리밸트;의 중앙부에 아기엉덩이 받침; 또는 사용자의 등 허리 공간부를 채워주는 블록(가);와 결합되고 상기 블록(가)의 상단에는 어깨끈이 연장되어 허리밸트 양쪽 어느 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블록(가);의 하단에는 아기 엉덩이를 감싸주는 엉덩이 받침에서 연장된 아기 등받이;에는 높낮이 조절을 위한 머리받침;이 탈부착 되거나 접을수 있는 포대기
-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등허리와 아기 사타구니의 공간을 채워주는 블록하단에 연장되어 아기가 안착되며 밑판;이 연장되어 있는 블록을 추가로 포함한 포대기.
- 2항에 있어서 밑판; 끝단에서 위로 연장되는 아기등을 받치는 등받이;가 있는 블록을 추가로 포함한 포대기.
-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어깨에서 허리밸트에 양쪽에 연결된 어깨끈이 허리밸트쪽으로 내려오면서 늘어나는 면을 가진 조끼식 어깨끈;을 추가로 포함한 포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5708U KR200416200Y1 (ko) | 2005-12-16 | 2005-12-16 | 의자형 포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5708U KR200416200Y1 (ko) | 2005-12-16 | 2005-12-16 | 의자형 포대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02801A Division KR20040069988A (ko) | 2003-01-29 | 2004-01-06 | 의자형 포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6200Y1 true KR200416200Y1 (ko) | 2006-05-12 |
Family
ID=4176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5708U KR200416200Y1 (ko) | 2005-12-16 | 2005-12-16 | 의자형 포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6200Y1 (ko) |
-
2005
- 2005-12-16 KR KR2020050035708U patent/KR20041620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50010706B1 (ko) | 등받이가 내장된 상의 | |
US9241582B2 (en) | Baby and toddler carrier | |
US6944898B2 (en) | Multi-use pillow and methods | |
US6601252B1 (en) | Double pillowcase with attached anchor pad | |
US6708354B1 (en) | Adjustable wrap for pillow used for supporting baby when nursing | |
US7587773B2 (en) | Nursing support pillows and methods | |
US9220352B2 (en) | Infant carrier | |
US20070046084A1 (en) | Non-slip body-conforming booster cushion seat | |
US11202520B2 (en) | Baby carrier | |
US7862115B1 (en) | Protective device for developing infants | |
KR20210105712A (ko) |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 |
KR200312695Y1 (ko) | 조끼형 아기포대기 | |
KR20160150567A (ko) |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 |
KR20160035495A (ko) | 아기띠 | |
KR20220000089U (ko) | 유아용 침구 겸 포대기 | |
KR200416200Y1 (ko) | 의자형 포대기 | |
US4541425A (en) | Head and torso restraint | |
KR200433802Y1 (ko) | 유아용 포대기 | |
KR20040069988A (ko) | 의자형 포대기 | |
CN108175189A (zh) | 一种学生约束座椅 | |
KR200167674Y1 (ko) | 유아용 포대기 | |
US4484572A (en) | Position securing device | |
CN217510180U (zh) | 一种便于使用的多功能背带腰凳 | |
CN214803747U (zh) | 一种新生儿母乳喂养和护理的辅助工具 | |
CN216754845U (zh) | 一种电动移位机用的臀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