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054Y1 - Box for tissue - Google Patents

Box for tiss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054Y1
KR200416054Y1 KR2020060002563U KR20060002563U KR200416054Y1 KR 200416054 Y1 KR200416054 Y1 KR 200416054Y1 KR 2020060002563 U KR2020060002563 U KR 2020060002563U KR 20060002563 U KR20060002563 U KR 20060002563U KR 200416054 Y1 KR200416054 Y1 KR 2004160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tissue box
tissues
box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5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현 filed Critical 김광현
Priority to KR2020060002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05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0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05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티슈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티슈박스(1)는 내부 공간에 티슈들(T)이 적층 수납되어 있고 상면(2)의 인출구(3)를 통해 상기 티슈들(T)을 위에서부터 한 장씩 뽑아 사용하는 티슈박스로서, 길게 신장된 띠 형상으로 된 견인띠(10)를 포함한다. 상기 견인띠(10)는 상기 티슈박스(1)의 일측면(4)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고정단(11), 상기 고정단(11)으로부터 길게 신장되어 적층 수납된 상기 티슈들(T)의 양측면과 저면의 둘레를 감싸주는 견인부(12), 및 상기 견인부(12)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티슈박스(1)의 타측면(5)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탈부착단(13)을 구비한다. 상기 탈부착단(13)을 당기면 상기 견인부(12)가 그 위에 적층 수납된 상기 티슈들(T)을 상기 티슈박스(1)의 상면(2) 쪽으로 견인하여 줌으로써 상기 상면(2)과 상기 티슈들(T)의 상단 사이의 공간을 좁혀주며, 이로써 티슈(T)의 노출부(T1)가 티슈박스(1)의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ssue box. The tissue box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issue box in which tissues T are stacked and stored in an inner space, and the tissues T are pulled out one by one from the top through the outlet 3 of the upper surface 2. And a towing belt 10 having an elongated belt shape. The towing strip 10 is a fixed end 11 that is firmly fixed to one side 4 of the tissue box 1, the elongated from the fixed end 11 of the tissues (T) stored in the stack Detachable end 13 which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tow portion 12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and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w portion 12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side 5 of the tissue box 1. It is provided. When the detachable end 13 is pulled, the tow part 12 pulls the tissues T stacked and stored on the upper surface 2 of the tissue box 1 by pulling the tissues T stacked thereo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eld T is narrowed, thereby preventing the exposed portion T1 of the tissue T from entering the tissue box 1.

Description

티슈박스{BOX FOR TISSUE}Tissue Box {BOX FOR TISSUE}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티슈박스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ssu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티슈박스의 사용상태 단면도,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tissu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티슈박스의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tissue box widely used in the prior art,

도4와 도5는 티슈의 노출부가 티슈박스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적용된 예시적인 종래 티슈박스의 사시도 및 단면도.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conventional tissue box with a structure applied to prevent the exposed portion of the tissue from entering the tissue box.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본 고안의 티슈박스 2: 티슈박스의 상면1: tissu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2: upper surface of the tissue box

3: 인출구 4: 티슈박스의 일측면3: outlet 4: one side of the tissue box

5: 티슈박스의 타측면 10: 견인띠 5: other side of the tissue box 10: tow strap

11: 고정단 12: 견인부11: fixed end 12: towing unit

13: 탈부착단 13A: 점착제 13: removable end 13A: adhesive

20: 슬릿 T: 티슈 20: Slit T: Tissue

T1: 티슈의 노출부T1: exposed part of tissue

(기술분야)(Technology)

본 고안은 티슈박스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장의 티슈가 적층 수납되어 있어서 필요시 인출구를 통해 한 장씩 뽑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티슈박스로서, 티슈의 노출부가 티슈박스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견인띠가 구비된 티슈박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ssue box, and more specifically, a tissue box formed so that multiple tissues are stacked and stored so that the tissue can be pulled out one by one through the outlet, and the tow of the tissue to prevent the exposed part of the tissue from entering the tissue box. It relates to a tissue box provided with a band.

(배경기술)(Background)

일상생활에서 미용용이나 화장실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티슈(화장지)는 두루마리 형태나 박스에 수납된 형태로 공급되며, 특히 미용용도로 사용되는 고급 티슈는 종이로 제작된 규격화된 박스에 적층 수납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issues (toilet paper), which are widely used for beauty or toilet in daily life, are supplied in the form of rolls or boxes, and especially high-quality tissues for beauty use are stacked and stored in standardized boxes made of paper. It is common to provide.

도3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티슈박스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티슈박스(100)는 규격화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 수납공간에는 수백 장(예, 230장)의 규격화된 티슈들(110)이 차곡차곡 접혀진 상태로 수납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티슈(110)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tissue box widely used in the prior art. As shown, the conventional tissue box 100 has a standard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undreds (eg, 230) of standardized tissues 110 are stored in a folded state in the interior storage space thereof. The upper surface of the outlet 110 for withdrawing the tissue 110 is formed.

상기 티슈들(110)은 상측의 티슈가 인접한 하측의 티슈와 일정폭에 걸쳐서 중첩되는 방식으로 접혀 있기 때문에, 인출구(120)를 통해 상측의 티슈를 뽑으면 인접한 하측 티슈의 일단이 딸려 나와서 인출구(120)의 밖으로 노출되며, 따라서 인출구(120) 안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지 않고서도 마지막 한 장까지 편리하게 티슈를 뽑아 쓸 수 있다. Since the tissues 110 are folded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tissue is overlapped with the adjacent lower tissue over a predetermined width, when the upper tissue is pulled out through the outlet 120, one end of the adjacent lower tissue comes out and the outlet 120 ) Is exposed outside, so that the tissue can be conveniently drawn out to the last sheet without inserting a finger into the outlet 120.

그러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티슈박스(100)는, 티슈박스(100)에 많은 량의 티슈(110)가 남아 있을 때에는 문제가 없지만, 티슈박스(100)에 남아 있는 티슈(110)의 양이 적을 때에는 인출구(120)의 밖으로 노출되어 있어야 할 티슈(110)의 노출부(111)가 티슈박스(1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티슈(110)를 사용하고자 할 때 손가락을 인출구(120)에 집어넣어 꺼내야 하는 불편이 있다. However, the tissue box 100 as shown in FIG. 3 has no problem when a large amount of tissue 110 remains in the tissue box 100, but the amount of tissue 110 that remains in the tissue box 100. When the amount is less, the exposed portion 111 of the tissue 110 to be exposed out of the outlet 120 is located inside the tissue box 100, so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tissue 110, the finger outlet 120 is used. It is inconvenient to put it in.

이와 같은 종래 티슈박스(100)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슈박스(100)의 상면에 비닐과 같이 탄성이 있는 시트(130)를 덧대고 상기 인출구(120)를 상기 시트(130)에 형성함으로써 인출구(120)의 탄성에 의해 티슈(110)가 티슈박스(1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As a countermeasure for solving such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tissue box 100, as shown in Figure 3, the upper surface of the tissue box 100, the elastic sheet 130, such as a plastic pad and the outlet 120 ) Is formed in the sheet 130 to prevent the tissue 110 from entering the tissue box 100 by the elasticity of the outlet 120 is widely used.

그러나 탄성 시트(130)만을 적용한 경우에는 반복되는 티슈(110)의 인출에 따른 인출구(120)의 벌어짐(탄성 상실)을 피할 수 없고, 나중에는 벌어진 인출구(120)를 통해 티슈(110)의 노출부(111)가 티슈박스(100)의 안으로 들어가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only the elastic sheet 130 is applied, the opening (elastic loss) of the outlet 120 due to the repeated withdrawal of the tissue 110 may not be avoided, and later, the exposure of the tissue 110 through the opened outlet 120 may be avoi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rt 111 enters into the tissue box 100.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추가의 대책으로서, 티슈박스에 수납되어 있는 티슈를 인출구 쪽으로 밀어 올려주어 티슈박스의 상면과 티슈 상단 사이의 공간을 좁혀줌으로써 티슈박스 내부에 티슈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몇몇 구조가 제안되었다. As an additional countermeasure to solve this problem, push the tissue stored in the tissue box to the outlet to narrow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tissue box and the top of the tissue box so that the tissue does not enter the tissue box. Several structures have been proposed.

도4와 도5는 티슈의 노출부가 티슈박스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적용된 예시적인 종래 티슈박스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티슈박스(100)의 저면에는 티슈박스(100)의 내부 공간 안으로 접어 넣을 수 있는 지지편(140)이 형성되어 있다.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conventional tissue box with a structure to prevent the exposed portion of the tissue to enter the tissue box. As shown, the support piece 140 that can be fold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issue box 1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issue box 100.

상기 지지편(140)은 절취선에 의해 필요할 때 떼어 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수납된 티슈(110)의 상당량이 소비되어 티슈박스(100) 내에 빈 공간이 생겨 티슈의 노출부(111)가 그 공간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되면(도5의 A), 지지편(140)을 뜯어서 티슈박스(100)의 내부 공간 안으로 밀어 넣어서 수납된 티슈(110)를 아래로부터 위로 받쳐 올리게 되며, 이로써 티슈박스(100)의 상면과 티슈(110)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서 티슈의 들어감이 방지된다(도4의 B 및 도5의 B 참조). The support piece 140 is detachable when needed by a perforation line, and a considerable amount of the stored tissue 110 is consumed, so that an empty space is formed in the tissue box 100, so that the exposed portion 111 of the tissue is spaced therein. When it can be entered (A in FIG. 5), the support piece 140 is torn off and push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issue box 100 to support the tissue 110 received from the bottom up to thereby raise the tissue box 100.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tissue and the tissue 110 is narrowed to prevent the tissue from entering (see Fig. 4B and Fig. 5B).

그러나 상기 지지편(140)은 티슈(110)의 하중으로 접혀져 아래로 처지게 됨으로써 티슈(110)의 노출부(111)가 티슈박스(100) 내로 들어가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티슈(110)를 위로 밀어 올리는 높이가 지지편(140)의 높이 하나만으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support piece 140 is folded under the load of the tissue 110 and sags downward, not only the exposed portion 111 of the tissue 110 can be completely blocked from entering the tissue box 100, but also the tissue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ight of pushing up 110 is limited to only one height of the support piece 140.

티슈박스 내로 티슈단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대책으로서, 티슈의 저면을 받침대로 받치고 받침대의 아래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티슈를 위로 밀어 올리는 제안이 있으나, 본 제안은 티슈박스의 제조원가를 지나치게 상승시켜 실제 티슈상자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As another countermeasure to prevent the tissue end from entering the tissue box, there is a proposal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tissue with a pedestal and mount the spring under the pedestal to push the tissue up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There is a limit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tissue box because the manufacturing cost is too high.

본 고안의 목적은 티슈박스의 사용과정에서 티슈의 노출부가 티슈박스의 내 부 공간 안으로 들어가게 되어 티슈를 인출하는 것에 불편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exposed portion of the tissue in the process of using the tissue box enter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issue box, which is inconvenient to draw out the tissue.

본 고안의 목적은, 적층 수납된 티슈의 잔량이 점차 줄어드는 것에 맞추어 잔량의 티슈를 티슈박스의 상면 쪽으로 점진적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층 수납된 티슈들이 소비되어짐에 따라 티슈박스의 상면과 수납된 티슈들 상단 사이의 공간으로 티슈의 노출부가 들어감에 따라 야기되는 티슈 사용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티슈박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residual amount of tissue to be gradually pull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tissue box as the remaining amount of tissue stored in the stack is gradually reduced, so that the stacked and stored tissue is consumed as the upper surface of the tissue box is stor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ssue box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tissue caused by the exposure of the tissue into the space between the top of the tissue.

본 고안에 따라, 내부 공간에 티슈들이 적층 수납되어 있고 상면의 인출구를 통해 상기 티슈들을 위에서부터 한 장씩 뽑아 사용하는 티슈박스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issue box in which tissues are stacked and stored in an inner space and the tissues are drawn one by one from the top through the outlet of the upper surface.

본 고안에 따른 티슈박스는 길게 신장된 띠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견인띠를 포함한다. The tissu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wing belt having a long elongated belt shape.

상기 견인띠는 상기 티슈박스의 일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고정단,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길게 신장되어 적층 수납된 상기 티슈들의 양측면과 저면의 둘레를 감싸주는 견인부, 및 상기 견인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티슈박스의 타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탈부착단을 구비한다. The towing belt is formed at a fixed end firmly fixed to one side of the tissue box, a towing unit which extends from the fixed end and wraps the circumferences of both sides and the bottom of the tissues stacked and stored, and an end of the towing unit. And a detachable e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tissue box.

본 고안의 티슈박스는 상기 탈부착단을 당기면 상기 견인부가 그 위에 적층 수납된 상기 티슈들을 상기 티슈박스의 상면 쪽으로 견인하여 줌으로써 상기 상면과 상기 티슈들의 상단 사이의 공간을 좁혀주게 된다. The tissu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pulls the detachable end to narrow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tissue by pulling the tissues stacked on the tow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issue box.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티슈박스는 상기 탈부착단이 통과되는 슬릿이 형성되 어 있고, 상기 탈부착단에는 탈부착을 위한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Preferably, the tissu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lit through which the detachable end passes, and the detachable end is coated with an adhesive for detachable attachmen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티슈박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티슈박스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Hereinafter, the tissu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issu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티슈박스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티슈박스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ssu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tissu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티슈박스(1)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티슈박스와 마찬가지로 내부 공간에 규격화된 다수의 티슈들(T)이 적층 수납되어 있고 상면(2)에 형성된 인출구(3)를 통해 티슈들(T)을 위에서부터 한 장씩 뽑아 사용하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의 티슈박스이다.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tissue box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conventional tissue box is widely used, a plurality of tissues (T) standardized in the inner space is stacked and housed For example, a tissue box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the tissues T are drawn one by one from the top through the outlet 3 formed in 2).

그리고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티슈박스(1)에 수납된 티슈들(T)은 상측의 티슈가 하측의 티슈와 일정폭에 걸쳐서 중첩되는 방식으로 접힌 상태로 적층되어 있어서, 인출구(3)를 통해 상측의 티슈(T)를 뽑아내면 바로 아래 하측의 티슈(T)의 일단(노출부: T1)이 인출구(3)의 밖으로 일부 노출되는 방식으로 인출된다.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the tissues T stored in the tissue box 1 are stacked in a folded state in such a manner that the tissue on the upper side is overlapped with the tissue on the lower side over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outlet 3 is opened. When the upper tissue T is pulled out, one end (exposed part: T1) of the lower tissue T immediately below is pulled out in such a manner as to partially expose the outlet port 3.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티슈박스(1)에는 적층 수납된 티슈들(T)을 티슈박스(1)의 상면(2) 쪽으로 견인할 수 있는 견인띠(10)가 포함되어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ssue box 1 includes a towing belt 10 capable of pulling the stacked tissues T toward the upper surface 2 of the tissue box 1.

상기 견인띠(10)는 티슈박스(1)에 적층 수납된 티슈들(T)의 양 측면과 저면을 의 둘레를 감싸고도 여분이 남을 정도의 길이로 길게 신장된 띠 형상의 부재로서, 예를 들어 구겨지지는 않으면서 자유롭게 휘어지는 일정폭의 플라스틱 합성수 지 시트로 제작할 수 있다. The tow strip 10 is a strip-shaped member that is elongated to a length such that an excess is left around the sides and bottom of the tissues T stacked and stored in the tissue box 1, for example. It can be made of a sheet of plastic synthetic resin with a certain width that can be bent freely without being wrinkled.

견인띠(10)는 전체적으로 단일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능적으로는 고정단(11), 견인부(12) 및 탈부착단(13)으로 구성된다. Although the towing belt 10 is preferably formed as a single member as a whole, it is functionally composed of a fixed end 11, a traction part 12 and a removable end (13).

상기 고정단(11)은 티슈박스(1)의 일측면(4)의 상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티슈박스(1)의 길이가 긴 가로방향 일측면(4)의 대략 중앙에 고정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바람직한 것은 아니지만 길이가 짧은 세로방향 일측면의 상측에 고정시키는 것도 배제되지는 아니한다. The fixed end 11 is a part that is firmly fixed to the upper side of one side 4 of the tissue box (1).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issue box 1 is exemplified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tissue box 1 is fix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long transverse side surface 4, but it is not preferable to fix the upper side of the short longitudinal side surface. It is not excluded.

상기 견인부(12)는 고정단(11)으로부터 길게 신장되어 적층 수납된 티슈들(T)의 둘레를 U자 형상, 즉 티슈들(T)의 일측면에서 시작해서 저면을 돌아 타측면까지 감싸서 받쳐주는 부분이다. The towing unit 12 extends from the fixed end 11 and wraps around the tissues T stacked in the U shape, that is, from one side of the tissues T, and wraps around the bottom to the other side. It is part of support.

상기 탈부착단(13)은 고정단(11)의 반대편으로 견인부(12)의 끝단에 형성된 부분으로서, 고정단(11)이 티슈박스(1)의 일측면(4)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에 반하여, 탈부착단(13)은 티슈박스(1)의 일측면(4)과 마주보고 있는 타측면(5)의 외면에 부착되되 필요에 따라 떼어 낼 수 있 정도로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The detachable end 1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raction part 1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xed end 11, and the fixed end 11 is firmly fixed to one side 4 of the tissue box 1. On the contrary, the detachable end 13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ide 5 facing the one side 4 of the tissue box 1 but detachably attached so that it can be detached if necessary.

상기 탈부착단(13)의 티슈박스(1)에의 탈부착은, 두 접착기면을 완전하게 접합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접합 상태를 유지하지만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떼어 낼 수 있을 정도로 두 접착기면을 부착시킬 수 있는 점착제(13A)를 탈부착단(13)에 도포하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물론 탈부착단(13)과 티슈박스(1)의 외면에 예를 들어 벨크로테이프를 장착하는 것과 같이 널리 공지되어 있는 다른 탈부착 수단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detachable end 13 of the detachable end 13 to the tissue box 1 is not completely bonded to the two adhesive planes, but maintains the bonding state in a normal situation, but attaches the two adhesive planes to be detached by applying a certain force or more. It can be realized by apply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13A to the detachable end 13.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other well-known detachable means, such as mounting a velcro t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tachable end 13 and the tissue box 1, for example.

견인띠(10)의 견인부(12)는 티슈박스(1)의 내부에 위치하고 탈부착단(13)은 티슈박스(1)의 외부에 위치하므로, 티슈박스(1)의 적당한 위치에는 탈부착단(13)을 밖으로 내보내기 위한 통로가 필요한바, 도시된 구체예는 티슈박스(1)의 상면(2)과 타측면(5)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슬릿(20)을 형성하여 상기 슬릿(20)을 통해 탈부착단(1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물론 상기 슬릿(20)은 타측면(5)에 인접한 상면(2)이나 상면(2)에 인접한 타측면(5), 즉 상면(2)과 타측면(5)이 만나는 모서리에 인접한 상면(2)이나 상기 모서리에 인접한 타측면(5)에 형성할 수도 있다. The towing portion 12 of the towing strip 10 is located inside the tissue box 1 and the removable end 13 is located outside the tissue box 1, so that the removable end ( 13) a passage for exiting the bar is requir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lit 20 is formed by forming a slit 20 at an edge portion where the upper surface 2 and the other side 5 of the tissue box 1 meet. An example of exposing the detachable end 13 to the outside is shown. Of course, the slit 20 has an upper surface 2 adjacent to the other side 5 or the other side 5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2, that is, an upper surface 2 adjacent to the corner where the upper surface 2 and the other side 5 meet. ) Or the other side 5 adjacent to the corner.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티슈박스(1)의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issue box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도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 사용할 때의 티슈박스(1)에는 티슈들(T)이 박스의 상면(2)에 까지 수납되어 있으므로 견인띠(10)로 티슈들(T)의 둘레를 감싸기 위해 많은 길이가 필요하게 되며, 이로써 탈부착단(13)은 티슈박스(1)의 외부로 짧은 길이가 노출된 상태로 타측면(5)에 부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A, since the tissues T are stored in the tissue box 1 at the first time of use, the upper surface 2 of the box 2 is surrounded by the tow strips 10. In order to wrap a large length is required, and thus the detachable end 13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5 in a state in which a short lengt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issue box 1.

이후 계속적인 티슈의 사용으로 상면(2)과 티슈들(T)의 상단 사이의 공간이 넓어져서 티슈(T)의 노출부(T1)가 상기 공간 안으로 들어갈 염려가 있게 되는 경우, 상기 탈부착단(13)을 타측면(5)으로부터 떼어 낸 후에 이를 당기게 되면,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12)가 그 위에 적층 수납된 티슈들(T)을 티슈박스(1)의 상면(2) 쪽으로 견인하여 올려주게 되며, 이런 상태에서 다시 탈부착단(13)을 타측면(5)의 적당한 위치에 부착하게 되면, 티슈박스(1)의 상면(2)과 티슈들(T)의 상단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거나 거의 없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면(2)과 티슈들(T)의 상단 사이의 공간으로 티슈(T)의 노출부(T1)가 들어갈 염려가 없게 된다. Since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2) and the upper end of the tissues (T) by the continuous use of the tissue there is a risk that the exposed portion (T1) of the tissue (T) enters into the space, the removable end ( After pulling 13) from the other side 5 and pulling it, as shown in B of FIG. 2, the tissues T stacked and sto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issue box 1 as shown in FIG. Towing to the (2) side, and in this state, when the removable end 13 is attached to the proper position of the other side (5), the upper surface (2) of the tissue box (1) and the tissues (T) Since the space between the upper ends becomes narrow or almost absent, there is no fear that the exposed portion T1 of the tissue T enters in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2 and the upper ends of the tissues T.

견인띠(10)로 적층 수납된 티슈들(T)을 위로 올려주는 것은, 전체의 티슈(T)를 다 사용할 때까지 티슈들의 사용량에 맞게 조금씩 수시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수납된 티슈 전체를 다 사용할 때까지 티슈의 노출부가 티슈박스 안으로 들어갈 염려는 없게 된다. Lifting up the tissues (T) stacked by the tow strip 10 can be carried out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issue used until the entire tissue (T) is used, so when using the entire stored tissue As far as the exposed part of the tissue is concerned, there is no fear of getting into the tissue box.

이상에서는 상기 탈부착단(13)이 티슈박스(1)의 일측면(4)과 마주보고 있는 타측면(5)에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견인띠(10)의 길이가 길어서 티슈 사용의 후반부에 탈부착단(13)이 티슈박스(1)의 타측면(5)을 넘어서 까지 길게 인출된 경우에는 탈부착단(13)을 티슈박스의 저면에 부착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etachable end 13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5 facing the one side 4 of the tissue box 1, but the length of the towing strip 10 is long so that the latter part of the tissue is used. If the detachable end 13 is extended out beyond the other side 5 of the tissue box 1, the detachable end 13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issue box, which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티슈박스(1)는, 티슈박스(1)에 적층 수납된 티슈(T)를 티슈박스(1)의 상면(2) 쪽으로 자유자제로 견인하여 티슈박스의 상면(2)과 티슈들(T)의 상단 사이의 공간을 좁혀줄 수 있는 견인띠(10)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티슈(T)의 사용 전 과정에서 티슈들(T)의 잔량에 맞게 조금씩 수시로 티슈를 티슈박스(1)의 상면(2) 쪽으로 견인하여 줄 수 있게 되므로, 수납된 티슈 전체를 다 사용할 때까지 티슈의 노출부(T1)가 티슈박스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tissue box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tissue T stacked and stored in the tissue box 1 is pulled freely toward the upper surface 2 of the tissue box 1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tissue box 2 As the tow strip 10 is provided to narrow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tissue and the tissues T, the tissues are frequently us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tissues T at a time when the tissues are used. Since it can be towed to the upper surface (2) of the tissue box 1,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exposed portion (T1) of the tissue to enter the tissue box until the entire stored tissue is used up.

또한 종래의 티슈박스는 그 높이를 더 크게 규격화하고자 하여도 티슈 사용의 후반부에 이르면 티슈박스 상면과 티슈 상단 사이의 공간 높이가 노출부의 높이 보다 커지게 되어 노출부가 티슈박스의 밖으로 노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티슈박스의 규격을 크게 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지만, 본 고안의 티슈박스(1)는 견인띠(10)를 사용하여 티슈(T)를 티슈박스(1)의 상면(2) 쪽으로 자유자제로 견인하여 티슈박스의 상면(2)과 티슈들(T)의 상단 사이의 공간을 자유롭게 좁혀줄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규격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는 규격으로 티슈박스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conventional tissue box is intended to standardize its height, the height of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tissue box and the upper end of the tissue box becomes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exposed part, so that the exposed part cannot be exposed out of the tissue box. Although there was a limit to increasing the size of the tissue box because it may occur, the tissue box 1 of the present invention frees the tissue T toward the upper surface 2 of the tissue box 1 by using the towing belt 10. It is possible to freely narrow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2) of the tissue box and the upper end of the tissues (T) by towing by itself, so that the tissue box can be manufactured to a standard having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a widely used standard. There is also.

Claims (2)

내부 공간에 티슈들(T)이 적층 수납되어 있고 상면(2)의 인출구(3)를 통해 상기 티슈들(T)을 위에서부터 한 장씩 뽑아 사용하는 티슈박스에 있어서, In a tissue box in which tissues (T) are stacked and stored in an inner space and the tissues (T) are pulled out one by one from the top through the outlet (3) of the upper surface (2), 길게 신장된 띠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티슈박스(1)의 일측면(4)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고정단(11)과, 상기 고정단(11)으로부터 길게 신장되어 적층 수납된 상기 티슈들(T)의 양측면과 저면의 둘레를 감싸주는 견인부(12)와, 상기 견인부(12)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티슈박스(1)의 타측면(5)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탈부착단(13)을 구비하는 견인띠(10)를 포함하고; It has a long elongated strip shape, a fixed end 11 is firmly fixed to one side 4 of the tissue box 1, and the tissues that are elongated from the fixed end 11 and stacked and stored therein ( Removable end 12 which surrounds the circumference of both sides and the bottom of the T), and a detachable end formed at the end of the tow part 12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side 5 of the tissue box 1. A tow belt (10) having a (13); 상기 탈부착단(13)을 당기면 상기 견인부(12)가 그 위에 적층 수납된 상기 티슈들(T)을 상기 티슈박스(1)의 상면(2) 쪽으로 견인하여 줌으로써 상기 상면(2)과 상기 티슈들(T)의 상단 사이의 공간을 좁혀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박스. When the detachable end 13 is pulled, the tow part 12 pulls the tissues T stacked and stored on the upper surface 2 of the tissue box 1 by pulling the tissues T stacked thereon. Tissue box, characterized in that to narrow the space between the top of the field (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2)과 상기 타측면(5)이 만나는 모서리, 상기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상면(2) 또는 상기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타측면(5)에는, 상기 탈부착단(13)을 상기 티슈박스(1)의 밖으로 내보내기 위한 슬릿(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탈부착단(13)에는 탈부착을 위한 점착제(13A)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박스. The detachable end 13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achable end 13 is formed at an edge where the upper surface 2 and the other side 5 meet, the upper surface 2 adjacent to the corner, or the other side 5 adjacent to the corner. The tissue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20) for exiting the tissue box (1) is form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13A) for detachable attachment is applied to the removable end (13).
KR2020060002563U 2006-01-27 2006-01-27 Box for tissue KR20041605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563U KR200416054Y1 (en) 2006-01-27 2006-01-27 Box for tiss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563U KR200416054Y1 (en) 2006-01-27 2006-01-27 Box for tiss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054Y1 true KR200416054Y1 (en) 2006-05-10

Family

ID=4176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563U KR200416054Y1 (en) 2006-01-27 2006-01-27 Box for tissu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054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886Y1 (en) * 2009-10-27 2011-08-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acking box
KR200474895Y1 (en) 2014-04-16 2014-10-23 김미영 Tissue case
KR20240000429U (en) 2022-08-25 2024-03-05 김민진 Openable Tissue Box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886Y1 (en) * 2009-10-27 2011-08-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acking box
KR200474895Y1 (en) 2014-04-16 2014-10-23 김미영 Tissue case
KR20240000429U (en) 2022-08-25 2024-03-05 김민진 Openable Tissue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E42734B1 (en) Dispensers for towelettes
US20020040913A1 (en) Napkin dispenser for interfolded napkins with baffled dispensing aperture
KR200416054Y1 (en) Box for tissue
US5097998A (en) Toilette paper dispenser
EP2406150A1 (en) Package of tissues
JP5510811B2 (en) Tissue paper supply case
CA2477128A1 (en) Interfolded sheet dispenser having a starter sheet pull-out system
KR200474895Y1 (en) Tissue case
KR20120078106A (en) The wet tissue, the product receiving the same and the folding apparatus thereof
KR102128650B1 (en) Twin combo box-tissue
KR20020093207A (en) Tissue Box having Inside Cover
US20220279989A1 (en) Pre-cut wiping material dispenser, in the form of a spool from which the material can be unwound in a strip, and use of such a dispenser
US20040144796A1 (en) Moist paper towel package
KR20100001511U (en) Case for enclosing cleansing tissues having a leading tissue
KR200273040Y1 (en) Setting apparatus of liniment vessel and absorbent bar case
JP2003312652A (en) Wrapping film container
JP2014019483A (en) Wound body storage box and wound body-contained storage box
JP3133102U (en) Case for wire
KR20080094143A (en) It takes to continually the tisue
JPH0619512Y2 (en) Sanitary paper in storage box
US20140346177A1 (en) Tissue dispenser and disposal unit
KR100849676B1 (en) A paper drop preventing means of a tissue box
JPH0948553A (en) Wound tape housed in container
JPS6215137Y2 (en)
JPH0683662U (en) Tack tape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