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732Y1 - Daily life diary - Google Patents

Daily life dia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732Y1
KR200415732Y1 KR2020050028254U KR20050028254U KR200415732Y1 KR 200415732 Y1 KR200415732 Y1 KR 200415732Y1 KR 2020050028254 U KR2020050028254 U KR 2020050028254U KR 20050028254 U KR20050028254 U KR 20050028254U KR 200415732 Y1 KR200415732 Y1 KR 200415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day
time
space
ti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25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국해랑
Original Assignee
국해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해랑 filed Critical 국해랑
Priority to KR2020050028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73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73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06Paper provided with guiding marks, e.g. ruled, squared or scaled paper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일 생활일지"는 하루의 생활을 시간대별로 중요한 일 또는 사소한 메모라도 기록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토대로 하루 생활을 돌이켜 보아 잘 한 일과 잘 못한 일을 잘 파악 할 수 있도록 하여 반성의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시간대별 기록으로 중요한 일을 그르치지 않도록 하여 후회 없는 하루를 보내고 또 맞이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일기보다 더 알찬 자신의 인생을 담은 생활일지와 후회 없는 인생을 가질 수 있다."Daily Daily Jour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you to record important daily or minor memo by time of day so that you can look back on the daily life based on this and understand the good and bad things well. You can spend a day without regrets by avoiding misrepresentation of important things with specific time-phased records, and as time passes, you can have a life journal containing your life that is better than a diary and a life without regrets.

일기, 생활일지, Diary, Daily Journal,      

Description

일일 생활일지{Daily life diary}Daily life diary}

도1은 일일생활일지의 서식 도면1 is a format diagram of daily living journal

도2는 도1의 일일생활일지 서식 틀에 예시 내용을 적어 보인 도면.FIG. 2 is a diagram showing exemplary contents in a daily living journal template of FIG. 1; FIG.

도3은 도2에서 시간분단위칸(35), (37)을 한 칸씩 뛰어 음영을 넣어 보였으며 시간표시칸(33)에 시간표시(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대신 시간표시(1), (2), (3), (4), (5), (6), (7), (8), (9), (10), (11), (12), (1), (2), (3), (4), (5), (6), (7), (8), (9), (10), (11), (12)로 기입을 하고 각 시간마다 시간칸분할선(34)으로 칸을 형성하여서 보인 일일생활일지의 서식도면.Figure 3 shows the shaded by jumping the time slots (35), (37) one by one in FIG. 2 and the time display (1), (2), (3), (4)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7), (18), (19), (20), (21), (22), (23), instead of (24) time display (1), (2), (3), (4), ( 5), (6), (7), (8), (9), (10), (11), (12), (1), (2), (3), (4), (5) , (6), (7), (8), (9), (10), (11), (12), and daily life shown by forming a square with a time division line (34) for each hour. Formatting Journal.

도4는 도1에서 시간표시칸(33)에 시간표시(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시간표시(1), (2), (3), (4), (5), (6), (7), (8), (9), (10), (11), (12), (1), (2), (3), (4), (5), (6), (7), (8), (9), (10), (11), (12), 시간칸분할선(34)을 모두 기입하지 않고 만든 일일생활일지 서식 틀을 보인 도면.FIG. 4 shows time displays 1, 2, 3, 4, 5, 6, 7, 8, and 9 in the time display column 33 in FIG.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2, (23), (24), time display (1), (2), (3), (4), (5), (6), (7), (8), (9), ( 10), (11), (12), (1), (2), (3), (4), (5), (6), (7), (8), (9), (10) , (11), (12), a diagram showing the daily life journal template without all the time slot dividing line (34).

<고안의 중요한 부분의 부호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Important Parts of Design>

시간표시(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Time display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시간표시(1), (2), (3), (4), (5), (6), (7), (8), (9), (10), (11), (12), (1), (2), (3), (4), (5), (6), (7), (8), (9), (10), (11), (12)Time display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2), (3), (4), (5), (6), (7), (8), (9), (10), (11), (12)

시각제목칸(30) 시간표시칸(33)Time Title Box (30) Time Display Box (33)

시간칸분할선(34) 시간분단위칸(35), (37)Time Division Division (34) Time Division Division (35), (37)

영역제목칸(40) 영역칸(45)Area Title Box (40) Area Area (45)

영역표시선(47) 한일제목칸(50)Area Display Line (47) Hanil Title Box (50)

하루중한일을적는칸(55) 반성제목칸(60)Can write a day or a day (55) Reflective title (60)

본 고안의 구성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도2에서 경계가 가로 칸과 세로 칸의 선으로 되어 있고 일일 생활일지의 서식 틀의 그 구성이 큰 주제를 적는 가로 칸으로 상단부에 시간을 의미하는 시각제목칸(30), 작은 주제를 적은 영역칸(45), 해당 일에 행했던 행동을 적는 한일제목칸(50), 그날의 행동에 반성을 할 수 있는 반성제목칸(60)으로 나누어져 있고 그 각 칸마다 하단으로 세로 칸으로 다시 나뉘며 시각제목칸(30)의 세로 방향으로는 다시 하루 24시간 중 각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칸(33)과 그 우측으로 각 시간을 세분화 시켜 30분단위로 표시할 수 있는 시간분단위칸(35), (37)로 나누어져 있고 시간분단위칸(37)에는 음영이나 색상으로 시간분단위칸(35)과 구별 시킬 수 있다. 도1에서와 같이 시간표시칸(33)에는 하루 24시간을 24시간으로 나누어 각 시간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서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표시로 1, 에서 24까지) 기입하였음을 밝혀둔다. 또 도 2에서와 같이 하루 24시간을 12시로 2분화 시켜 표시할 수 도 있고 본 출원 서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표시로 1에서 12까지) 두 번을 기입하였음을 밝혀 둔다. 영역제목칸(40)의 세로방향에는 영역칸(45)을 크게 한 칸으로 하여 공백으로 시간표시칸(33)의 제일 하단부의 경계선까지 같은 경계로 두어 사용자가 자신이 행했던 일들을 좌측의 시간표시칸(33)의 시간을 찾아 다시 시간분단위칸(35), (37)로 세분화 시켜 가장 근접한 시간대에서 가로로 영역표시선(47)을 직접 두 줄로 그리고 즉 행동을 시작한 시간과 끝난 시간을 선으로 표시하면 영역표시선(47)은 두 줄로 나타난다. 그 칸에 자신이 했던 행동에 대한 간단한 내용 을 적는다. 본 출원 서에서는 (아침, 학교생활, 독서, 저녁, TV, 공부, 잠)등을 예시로 도면에 적어 그 설명을 하였음을 밝혀둔다. 해당 일에 행했던 행동을 적는 한일제목칸(50)의 하단부의 세로 칸에는 하루중한일을적는칸(55)으로 한 칸으로 공백으로 되어있으며 하단 부 경계가 시간표시칸(33)의 제일 하단부의 경계선까지 즉 영역제목칸(40)의 하단 부 경계까지 같은 경계로 되어 있으며 영역표시선(47)안에 자신이 행했던 행동에 대해서 비교적 세부적으로 적을 수 있는 칸이다. 본 출원 서에서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아침,에 대한 세부 설명으로, 생일이어서 미역국을 먹다.)라고 도면에 도시하였으며, (학교생활,은 1교시 - 국어, 2교시 - 수학, 3교시 - 사회, 4교시 - 과학, 5교시 - 클럽활동)으로 역시 도시하였으며 (독서,에는 곤충의 세계 1,2편)로 도시하였고 (저녁,에는 가족과 외식 - 불고기(중앙정))로 도시하고 (TV, 에는 가족과 TV시청(굳세어라 금순이)(9시뉴스))로 도시하였고 (공부, 에는 숙제, 수학예습, 영어예습)등으로 설명 도시하였음을 밝혀 둔다. 반성제목칸(60)의 아래 세로 방향에는 반성내용적는칸(65)이 한 칸으로 공백으로 되어 있어 비교적 많은 내용을 적을 수 있는 공백으로 사용자의 중요한 메모나 또는 반성하는 내용, 또는 간단한 일기를 쓸 수 있는 충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서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반성내용적는칸(65)에 (오늘 생일이어서 가족 외식을 하였다. 기분이 좋아서 그런지 불고기가 더욱 맛있었다.),(오늘은 생일이라 그런지 들떠서 공부가 잘 되지 않았다. 모처럼 텔레비전도 많이 보았다.) 등으로 이해를 구하고자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시간표
시칸(33) ,영역칸(45), 하루중한일을적는칸(55), 반성내용적는칸(65)의 하단부 경계선으로 바로 하단 다음칸에는 자신의 하루 행동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는 내용을 적을 수 있는 중요분석주제칸(80)과 그 아래 줄은 분석내용을적는칸(85)으로 두 줄로 되어있고 가로 칸은 2칸이사의 다수의 칸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며 중요분석주제칸(80)과 분석내용을적는칸(85) 제일 좌측에는 시각제목칸(30)의 칸의 크기와 같은 가로 크기와 세로크기는 중요분석주제칸(80)과 분석내용을적는칸(85)의 두줄을 합친 세로크기의 분석제목칸(70)의 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며 중요분석주제칸(80)에 들어갈 내용은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다 다르기 때문에 일일 생활일지서식에 기입하지 않고 만드는 것이 원칙이지만 학생, 또는 회사원 등과 같이 특정 부류를 선택해서 해당 부류에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주 제목을 기입 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학생 일 때에는 공부, 운동, 독서, 오락, 잠, 취미생활 등등은 학생이라면 누구나 하루 중 많이 겪을 수 있는 일이기에 학생을 위한 일일 생활일지에는 그러한 내용을 일률적으로 적을 수도 있는 형식임을 밝혀둔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and FIG. 2, a horizontal column consisting of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and a large column containing a large theme of the daily living journal form, the visual title column 30 representing a time at the top, and a small theme. Is divided into an area space (45), a Korea-Japan title space (50) that describes the actions that were done on the day, and a reflection title space (60) that can reflect on the action of the day. The time display unit 33 is divided into time display column 33 which displays each time of the 24 hours a day agai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ime title column 30 and the time minute unit column which can be displayed in units of 30 minutes by subdividing each time to the right side thereof ( 35), (37) is divided into the time division unit (37)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time division unit (35) by the shade or color. As shown in FIG. 1, the time display column 33 may be divided into 24 hours 24 hours a day and each time may be numerically represent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1, to 24 as a time display indicating time) Be sure to write i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24 hours a day can be divided into 12 hours and displayed, an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revealed that two times are written (1 to 12 as a time display indicating time) to help understa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rea title space 40, the area space 45 is made larger, and the space is spaced at the same boundary up to the boundary line of the bottom of the time display space 33, and the time displayed on the left is displayed. Find the time in column 33 and subdivide it again into time slots 35 and 37, and then line the area display line 47 in two lines horizontally in the nearest time zone, that is, the time at which the action started and the end time was When displayed, the area display line 47 appears in two lines. Write a brief description of what you did in that box. In the present application (morning, school life, reading, evening, TV, study, sleep) and the like in the drawings, it is noted that the explanation was made. In the vertical column of the lower part of the Korea-Japan title column (50) to write down the actions that were performed on the day, there is a blank (55) to write down the day or the day, and the lower boundary is the lowermost part of the time display column (33). It is a space that has the same boundary up to the boundary line, that is, the lower boundary of the area title space 40, and can write relatively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ctions that the user has performed in the area display line 47. In this application, for the sake of clarity, the drawings (morning, eat seaweed soup after birthday) are shown on the drawings. (School life, 1st class-Korean, 2nd class-Mathematics, 3rd class-Society , 4th class-science, 5th class-clubbing), (reading, the world of insects 1 and 2), and (in the evening, family and eating out-Bulgogi (Central Chung)) and (TV) In addition, it is shown as family and TV watching (Kum Soon-Ie) (9 o'clock news), and explanation is shown as (study, homework, math lessons, English less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below the reflection heading column (60), the reflection content space (65) is one space, which allows you to writ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information, or to write a user's important memo or reflection or a simple diary. In order to help you understand, in this application, you can reflect on the space (65) (for today's birthday, I had a family outing. I felt so happy that Bulgogi was more delicious.), (Today is a birthday. I couldn't study well because I was so excited that I watched a lot of TV.) schedule
Seekan (33), area (45), the day of the day or the day of writing (55), the reflection content is the bottom border of the space (65) immediately below the bottom of the space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ir day behavior The main analysis column (80) to be written down and the lower column are two columns (85) to write down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The horizontal colum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lumns of 2 spaces. ) And the analysis column (85) on the left side, the same horizontal size and vertical size as the size of the column of the visual title column (30), two lines of the important analysis topic column (80) and the analysis content column (85) It is assumed that the vertically sized analysis title space (70) is composed, and the contents of the important analysis topic space (80)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user's environment. Or select a specific class, such as an office worker, It is also possible to enter note titles that can occur in many cases. For example, if you are a student, study, exercise, reading, entertainment, sleep, hobbies, etc. is something that any student can experience many times of the day. .

중요분석주제칸(80) 분석내용을적는칸(85)Critical Analysis Topic (80)

종래의 생활일지 및 일기장은 많은 종류가 출시되고 있다. 서식도 다양하여 자신에 맞게 골라서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서식이 단순하게 그날의 일기를 적는 형식이어서 그날의 하루 일과를 일지의 한 면에 적고 사용자의 취향대로 별도로 칸을 만들던지 또는 제목을 만들어 그날의 중요한 것을 적거나 자신을 돌이켜 보도록 되어있다. 반면 어린이들을 위한 그림 일기장은 하루의 생활을 그림으로 표현할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자라나는 어린이들의 교육적 가치가 있긴 하지만 역시 그날의 섬세한 일과를 담을 수 는 없는 서식 틀이다.There are many kinds of conventional journals and journals. There are various forms, so you can choose one to suit your needs, but the format is simply a diary of the day, so write the day's daily diary on one side of the journal and make a space or create a heading according to your preference. Write down something or look back on yourself. On the other hand, a picture diary for children is a format that does not contain the delicate routine of the day, although it has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children who grow up because there is a space to express the life of the day.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충실히 또 계획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방편으로 일기를 쓰거나 일반적인 일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일기의 양식이나 일지는 하루의 생활을 구체적으로 돌아보지 않고 생각나는 것 중에서 중요한 내용을 적거나, 단순히 중요한 일만을 적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하루의 생활 내용을 보다 체계적이고 분석적으로 반성하고 이를 통하여 자신의 삶을 보다 충실하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하루 24시간을 활동 영역과 함께 자세한 활동 내용을 기록하고 이 내용의 분석을 토대로 하루 생활을 반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일일 생활일지를 고안하게 되었다. Most people now write a diary or use a general journal as a way to live their lives faithfully and deliberately. However, the diary style and journal currently in use do not look specifically at the daily life, but write down important contents or simply write down important tasks. Therefore, one of the ways to reflect the daily life content more systematically and analytically and to live faithfully through one's life is to record detailed activity contents along with the activity area for 24 hours a day a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content To reflect on this, I devised this daily journal.

본 고안의 구성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도2에서 경계가 가로 칸과 세로 칸의 선으로 되어 있고 일일 생활일지의 서식 틀의 그 구성이 큰 주제를 적는 가로 칸으로 상단부에 시간을 의미하는 시각제목칸(30), 작은 주제를 적은 영역칸(45), 해당 일에 행했던 행동을 적는 한일제목칸(50), 그날의 행동에 반성을 할 수 있는 반성제목칸(60)으로 나누어져 있고 그 각 칸마다 하단으로 세로 칸으로 다시 나뉘며 시각제목칸(30)의 세로 방향으로는 다시 하루 24시간 중 각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칸(33)과 그 우측으로 각 시간을 세분화 시켜 30분단위로 표시할 수 있는 시간분단위칸(35), (37)로 나누어져 있고 시간분단위칸(37)에는 음영이나 색상으로 시간분단위칸(35)과 구별 시킬 수 있다. 도1에서와 같이 시간표시칸(33)에는 하루 24시간을 24시간으로 나누어 각 시간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서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표시로 1, 에서 24까지) 기입하였음을 밝혀둔다. 또 도 2에서와 같이 하루 24시간을 12시로 2분화 시켜 표시할 수 도 있고 본 출원 서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표시로 1에서 12까지) 두 번을 기입하였음을 밝혀 둔다. 영역제목칸(40)의 세로방향에는 영역칸(45)을 크게 한 칸으로 하여 공백으로 시간표시칸(33)의 제일 하단부의 경계선까지 같은 경계로 두어 사용자가 자신이 행했던 일들을 좌측의 시간표시칸(33)의 시간을 찾아 다시 시간분단위칸(35), (37)로 세분화 시켜 가장 근접한 시간대에서 가로로 영역표시선(47)을 직접 두 줄로 그리고 즉 행동을 시작한 시간과 끝난 시간을 선으로 표시하면 영역표시선(47)은 두 줄로 나타난다. 그 칸에 자신이 했던 행동에 대한 간단한 내용 을 적는다. 본 출원 서에서는 (아침, 학교생활, 독서, 저녁, TV, 공부, 잠)등을 예시로 도면에 적어 그 설명을 하였음을 밝혀둔다. 해당 일에 행했던 행동을 적는 한일제목칸(50)의 하단부의 세로 칸에는 하루중한일을적는칸(55)으로 한 칸으로 공백으로 되어있으며 하단 부 경계가 시간표시칸(33)의 제일 하단부의 경계선까지 즉 영역제목칸(40)의 하단 부 경계까지 같은 경계로 되어 있으며 영역표시선(47)안에 자신이 행했던 행동에 대해서 비교적 세부적으로 적을 수 있는 칸이다. 본 출원 서에서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아침,에 대한 세부 설명으로, 생일이어서 미역국을 먹다.)라고 도면에 도시하였으며, (학교생활,은 1교시 - 국어, 2교시 - 수학, 3교시 - 사회, 4교시 - 과학, 5교시 - 클럽활동)으로 역시 도시하였으며 (독서,에는 곤충의 세계 1,2편)로 도시하였고 (저녁,에는 가족과 외식 - 불고기(중앙정))로 도시하고 (TV, 에는 가족과 TV시청(굳세어라 금순이)(9시뉴스))로 도시하였고 (공부, 에는 숙제, 수학예습, 영어예습)등으로 설명 도시하였음을 밝혀 둔다. 반성제목칸(60)의 아래 세로 방향에는 반성내용적는칸(65)이 한 칸으로 공백으로 되어 있고 그 하단 부 경계선이 시각제목칸(30), 영역제목칸(40), 한일제목칸(50), 의 하단 부 경계선과 같다. 반성내용적는칸(65)에는 하루생활에 있어서 나름대로 분석을 하고 후회가 남는 일이라든가 또는 별도의 중요한 메모 등등 을 적을 수 있다. 본 출원 서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반성내용적는칸(65)에 (오늘 생일이어서 가족 외식을 하였다. 기분이 좋아서 그런지 불고기가 더욱 맛있었다.),(오늘은 생일이라 그런지 들떠서 공부가 잘 되지 않았다. 모처럼 텔레비전도 많이 보았다.) 등으로 이해를 구하고자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시각제목칸(30), 영역제목칸(40), 한일제목칸(50),반성제목칸(60)의 하단 부 경계선으로 바로 하단부에는 해당 일에 행했던 중요한 일에 대해 분석을 할 수 있도록 두 줄로 칸은 여려 칸으로 되어있는 셀이 있으며 두 줄 중 윗줄은 중요분석주제칸(80)이라 칭하였으며 아래 줄은 분석내용을적는칸(85)이라 칭하였다. 중요분석주제칸(80)과 분석내용을적는칸(85)의 제일 좌측에는 시각제목칸(30)의 칸의 크기와 같은 크기로 셀이 합해졌고 분석제목칸(70)이라 칭하였다. 중요분석주제칸(80)에는 하루 중 행했던 중요한 주제를 적고 그 아래 분석내용을적는칸(85)에 자신이 스스로 숫자 등으로 분석을 하여 자신을 돌이켜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중요분석주제칸(80)에 들어갈 내용은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다 다르기 때문에 일일 생활일지서식에 기입하지 않고 만드는 것이 원칙이지만 학생, 또는 회사원 등과 같이 특정 부류를 선택해서 해당 부류에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주 제목을 기입 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학생 일 때에는 공부, 운동, 독서, 오락, 잠, 취미생활 등등은 학생이라면 누구나 하루 중 많이 겪을 수 있는 일이기에 학생을 위한 일일 생활일지에는 그러한 내용을 일률적으로 적을 수도 있는 형식임을 밝혀둔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and FIG. 2, a horizontal column consisting of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and a large column containing a large theme of the daily living journal form, the visual title column 30 representing a time at the top, and a small theme. Is divided into an area space (45), a Korea-Japan title space (50) that describes the actions that were done on the day, and a reflection title space (60) that can reflect on the action of the day. The time display unit 33 is divided into time display column 33 which displays each time of the 24 hours a day agai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ime title column 30 and the time minute unit column which can be displayed in units of 30 minutes by subdividing each time to the right side thereof ( 35), (37) is divided into the time division unit (37)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time division unit (35) by the shade or color. As shown in FIG. 1, the time display column 33 may be divided into 24 hours 24 hours a day and each time may be numerically represent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1, to 24 as a time display indicating time) Be sure to write i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24 hours a day can be divided into 12 hours and displayed, an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revealed that two times are written (1 to 12 as a time display indicating time) to help understa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rea title space 40, the area space 45 is made larger, and the space is spaced at the same boundary up to the boundary line of the bottom of the time display space 33, and the time displayed on the left is displayed. Find the time in column 33 and subdivide it again into time slots 35 and 37, and then line the area display line 47 in two lines horizontally in the nearest time zone, that is, the time at which the action started and the end time was When displayed, the area display line 47 appears in two lines. Write a brief description of what you did in that box. In the present application (morning, school life, reading, evening, TV, study, sleep) and the like in the drawings, it is noted that the explanation was made. In the vertical column of the lower part of the Korea-Japan title column (50) to write down the actions that were performed on the day, there is a blank (55) to write down the day or the day, and the lower boundary is the lowermost part of the time display column (33). It is a space that has the same boundary up to the boundary line, that is, the lower boundary of the area title space 40, and can write relatively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ctions that the user has performed in the area display line 47. In this application, for the sake of clarity, the drawings (morning, eat seaweed soup after birthday) are shown on the drawings. (School life, 1st class-Korean, 2nd class-Mathematics, 3rd class-Society , 4th class-science, 5th class-clubbing), (reading, the world of insects 1 and 2), and (in the evening, family and eating out-Bulgogi (Central Chung)) and (TV) In addition, it is shown as family and TV watching (Kum Soon-Ie) (9 o'clock news), and explanation is shown as (study, homework, math lessons, English less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below the reflection title space (60), the reflection content space (65) is blank with one space, and the lower boundary line is the visual title space (30), area title space (40), and Korea-Japan title space (50). ), Is equal to the bottom border of. Reflective content is a column (65) can be analyzed in their own daily life, and regrets remain, or write a separate important memo and so on. In this application,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reflection (65) (today was a birthday, I had a family outing. I have seen a lot of television.) The lower boundary of the visual title space (30), the area title space (40), the Korea-Japan title space (50), and the reflective title space (60) is directly at the bottom, so that two lines can be analyzed to analyze important work done on the day. The cell has several cells. The upper line of the two lines is called the key analysis subject column (80), and the lower line is called the column (85) where the analysis is written. On the leftmost side of the column of the main analysis subject 80 and the analysis 85, the cells were summed in the same size as the size of the column of the visual title 30 and called the analysis title 70. In the important analysis topic space (80), write down important topics that were done during the day, and write down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below (85) so that you can analyze yourself by numbers or the like and look back on yourself. Since the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important analysis subject space (80)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user's environment, it is a principle to make them without filling out the daily living journal form, but the state that can occur in a particular class by selecting a specific class such as a student or an office worker. You can also enter a title. For example, if you are a student, study, exercise, reading, entertainment, sleep, hobbies, etc. is something that any student can go through a lot of the day. .

본 생활일지는 하루의 생활을 시간대별로 중요한 일을 기록 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하루 생활까지 반성할 수 있는 것으로 다른 제품에 비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is life journal can record the important things by time of day and reflect the daily life based on this, and has the following effects compared to other products.

가. 하루의 생활을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end. The daily life can be recorded more concretely and systematically.

나. 일어나서 잠잘 때까지 중요한 일을 그때그때 적거나 집에 돌아 와 적음으로서 하루 생활 모습을 구체적으로 되돌아보고 반성할 수 있다. I. By writing down important things at that time or coming back home until you get up and sleep, you can reflect on and reflect on your daily life.

다. 구체적인 기록을 통하여 하루 생활을 반드시 되돌아보게 되고 반성을 함으로서 보다 나은 생활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All. Specific records provid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your daily life and to make a better life by reflecting on it.

라. 하루 생활의 구체적인 기록을 통하여 어느 일기보다도 구체적이며 자세한 자신의 삶에 기록이 될 수 있으며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그 날의 일을 구체적으로 기억할 수 있게 된다.la. Through specific records of daily life, you can record in your own life more specific and detailed than any diary, and you can remember the day's work even after a long time.

Claims (11)

경계가 가로 칸과 세로 칸의 선으로 되어 있고 일일 생활일지의 서식 틀의 그 구성이 큰 주제를 적는 가로 칸으로 상단부에 시간을 의미하는 시각제목칸(30), 작은 주제를 적은 영역칸(45), 해당 일에 행했던 행동을 적는 한일제목칸(50), 그날의 행동에 반성을 할 수 있는 반성제목칸(60)으로 나누어져 있고 그 각 칸마다 하단으로 세로 칸으로 다시 나뉘며 시각제목칸(30)의 세로 방향으로는 다시 하루 24시간 중 각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칸(33)과 그 우측으로 각 시간을 세분화 시켜 30분단위로 표시할 수 있는 시간분단위칸(35), (37)로 나누어져 있고 영역제목칸(40)의 세로방향에는 영역칸(45)을 크게 한 칸으로 하여 공백으로 시간표시칸(33)의 제일 하단부의 경계선까지 같은 경계로 두어 사용자가 자신이 행했던 일들을 좌측의 시간표시칸(33)의 시간을 찾아 다시 시간분단위칸(35), (37)로 세분화 시켜 가장 근접한 시간대에서 가로로 영역표시선(47)을 행동을 시작한 시간과 끝난 시간을 사용자가 직접 선으로 그리고 그 칸에 자신이 했던 행동에 대한 간단한 내용 을 적을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며 해당 일에 행했던 행동을 적는 한일제목칸(50)의 하단부의 세로 칸 하루중한일을적는칸(55)에는 한 칸으로 공백으로 되어있으며 하단 부 경계가 시간표시칸(33)의 제일 하단부의 경계선까지 즉 영역제목칸(40)의 하단 부 경계까지 같은 경계로 되어 있으며 영역표시선(47)안에 자신이 행했던 행동에 대해서 비교적 세부적으로 적을 수 있는 칸이며 좌측의 영역칸(45)에서 발생한 시간대에 자세한 내용을 오른쪽의 하루중한일을적는칸(55)으로 수평으로 이동 연결시켜 세부적으로 적을 수 있으며 반성제목칸(60)의 아래 세로 방향에는 반성내용적는칸(65)이 한 칸으로 공백으로 되어 있어 비교적 많은 내용을 적을 수 있는 공백으로 사용자의 중요한 메모나 또는 반성하는 내용, 또는 간단한 일기를 쓸 수 있는 충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시간표시칸(33) ,영역칸(45), 하루중한일을적는칸(55), 반성내용적는칸(65)의 하단부 경계선으로 바로 하단 다음칸에는 자신의 하루 행동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는 내용을 적을 수 있는 중요분석주제칸(80)과 그 아래 줄은 분석내용을적는칸(85)으로 두 줄로 되어있고 가로 칸은 2칸이사의 다수의 칸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며 중요분석주제칸(80)과 분석내용을적는칸(85) 제일 좌측에는 시각제목칸(30)의 칸의 크기와 같은 가로 크기와 세로크기는 중요분석주제칸(80)과 분석내용을적는칸(85)의 두줄을 합친 세로크기의 분석제목칸(70)의 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 일일 생활일지.A horizontal column with a border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columns, and the composition of the format of the daily living journal is a large column with a visual title column (30) representing time at the top, and an area column with small topics (45). ) Is divided into a Korean-Japanese title column (50), which writes the actions that were done on the day, and a reflective title column (60) that can reflect on the day's ac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30), there is a time display column 33 which displays each time of 24 hours a day again, and time division unit columns 35 and 37 which can be displayed in units of 30 minutes by subdividing each time to the right side thereof.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rea title column 40, the area column 45 is made one large, and the spaces are spaced at the same boundary up to the boundary of the bottom of the time display column 33. Find the time in the time display column 33 on the left Subdivided into time slots (35) and (37) again, the time at which the user started and finished the action of the area indicator line 47 horizontally in the closest time zone, and the user's action on the line The vertical column of the lower part of the Korean-Japanese title box (50), which writes a brief description of the action, and the action that was performed on the day. It is the same boundary up to the boundary line of the lowermost part of (33), that is, the boundary of the lower part of the area title space 40, and it is a space that can write relatively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ction performed by the area display line 47. (45) can be described in detail by connecting horizontally to the space (55) to write down the details of the day and the day of the day in the time zone that occurred in (45). In the direction, the reflection contents space (65) is one space, which allows you to writ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ontents, which can be used as enough space for user's important memo or reflective contents or simple diary. Display space (33), area space (45), the day of the day or the day of writing space (55), the reflection content space of the bottom line of the space (65) just below the bottom of the content that can be analyzed for their day behavior The main analysis column (80) where you can write down and the lower line is a column (2) where you write down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The horizontal column is composed of a number of cells of 2 chairs. 80) and the column (85) on the left sid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ze equal to the size of the column of the visual title column (30) on the left side are two lines of the important analysis topic column (80) and the column on the analysis content (85) Of the analysis heading (70) of vertical size A daily log of what is made up. 제1항에 있어서 시간분단위칸(35), 시간분단위칸(37)에는 음영이나 색상으로 서로 구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 일일 생활일지.The daily living jour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rly unit cells (35) and the hourly unit cells (37)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shade or color. 제1항에 있어 시간표시칸(33)에 1에서 24까지 숫자로 기입하여 하루 시간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 일일 생활일지.The daily diary according to claim 1, which indicates the time of day by filling in the time display column 33 with numbers from 1 to 24. 제1항에 있어서시간표시칸(33)에 1에서 12까지 숫자로 두 번을 기입하여 하루 시간을 표시 한 일일 생활일지.The daily living jour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me display column (33) shows the time of day by entering the numbers 1 to 12 tw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050028254U 2005-10-04 2005-10-04 Daily life diary KR20041573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254U KR200415732Y1 (en) 2005-10-04 2005-10-04 Daily life dia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254U KR200415732Y1 (en) 2005-10-04 2005-10-04 Daily life dia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732Y1 true KR200415732Y1 (en) 2006-05-08

Family

ID=41765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254U KR200415732Y1 (en) 2005-10-04 2005-10-04 Daily life dia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73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962A (en) * 2019-03-20 2020-10-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Task plan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962A (en) * 2019-03-20 2020-10-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Task planner
KR102184791B1 (en) 2019-03-20 2020-11-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Task plan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ton et al. Themes or motifs? Aiming for coherence through interdisciplinary outlines
KR200415732Y1 (en) Daily life diary
Barza et al. Muslim parent preferences for children’s storybook illustrations: Cultural relevance in the context of the United Arab Emirates
KR200469944Y1 (en) The editorial structure of self recording notebook
KR102182086B1 (en) Inner page layout of diary
Hunt et al. Does labeling children's books constitute censorship?
Dressman et al. Ordered by desire: School libraries in past and present times
Gutkind Creative nonfiction: A movement, not a moment
KR200463344Y1 (en) Family Diary
Gallo What Should Teachers Know about YA Lit for 2004?.
Trujillo Understanding and Challenging Literary Gentrification in New Mexico: A Concept in Parts
Hakes et al. An electronic CLASP: Connecting children and social studies
JP3108681U (en) calendar
Hovemyr Multimodal Communication & Identity Building Through the Websites of French and Swedish Art Museums.
Khan et al. A Critical Study of Topographies and Thematic Concerns in Alcott’s Little Women and Montgomery’s Anne of Green Gables
Nye Lights in the Windows
Fontana CHANGING PRESENTATIONS OF POLAND IN THE CONTEXT OF NEW MUSEUMS
Cross Dead poets do tell tales
King et al. Murray Library
Design 12 The Templatized Aesthetics of Wix
Salathong Thailand’s newspapers coverage of climate change
Gasparini et al. Place (material, metaphorical, symbolic) in education history: the Townsville College of Advanced Education Library Resource Centre, 1974–1981
Penico Students Self-Reporting on Independent Reading Habits in Relation to Print and Electronic Texts
Middleton After the education disciplines: teaching theory on-line.
KR20130007308U (en) Study No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