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139Y1 -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 - Google Patents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139Y1
KR200415139Y1 KR2020060004230U KR20060004230U KR200415139Y1 KR 200415139 Y1 KR200415139 Y1 KR 200415139Y1 KR 2020060004230 U KR2020060004230 U KR 2020060004230U KR 20060004230 U KR20060004230 U KR 20060004230U KR 200415139 Y1 KR200415139 Y1 KR 200415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medicine
ventilation
ventilation means
medicine cabin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중
Original Assignee
윤성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중 filed Critical 윤성중
Priority to KR2020060004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1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벌레나 각종 곰팡이 및 세균 등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된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이 제공된다.
본 고안은, 보관함들이 서랍 식으로 장착되는 본체 부; 상기 본체 부의 내측에 장착되어 본체 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 수단; 상기 환풍 수단이 장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보관함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단축 보관함; 및 상기 환풍 수단으로부터 상기 본체 부의 모든 보관함까지 연장된 공기 순환 통로;를 포함하는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환풍 수단에 의해서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킴으로써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하 절기에도 한약재의 변질, 곰팡이 발생 또는 벌레 발생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온도 조절, 습도 조절, 한약 장, 공기 순환 통로, 환풍 기능, 한약재 변질

Description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A Herbal Medicine Storage Closet With Air Circulation Therein}
도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한약 장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한약 장을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의 단축 보관함과 환풍 수단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이 상하로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이 좌우로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에 따른 한약 장 1a.... 상부 측 한약 장
1b.... 중간 한약 장 1c.... 하부 측 한약 장
1e,1f... 좌우 측 한약 장 5.... 본체 부
10.... 보관함 16.... 지지대
20.... 환풍 수단 22.... 한약 장 배면
24.... 배풍구 30.... 단축 보관함
35.... 제어부 36a.... 시간 조절 타이머
36b... 회전속도 조절 스위치 36c.... 온-오프 스위치
50.... 공기 순환 통로 55.... 통풍구
100.... 종래의 한약 장 100a.... 상부측 한약 장
100b... 중간 한약 장 100c.... 하부 측 한약 장
110.... 보관함 120.... 한약재
본 고안은 내부에서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한약 재료들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보관하는 경우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벌레나 각종 곰팡이 및 세균 등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된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 약재, 약초, 약용식물 등을 포함하는 한약재는 그 저장방법에 따라서 한약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생 약재는 될 수 있는 한 곤충 이나 다른 동물에서 유래하는 물질 또는 동물의 배설물이 없어야 하고, 곰팡이 또는 그 밖의 변질의 징조가 없어야 한다. 또한 습기 및 충해를 피하여 저장하여야 하며, 직사광선을 피한 저온 냉암 소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한약재 저장시 주의하여야 할 사항은 방습, 방충, 곰팡이 방지, 광선의 차단, 일정한 온도 유지이며, 이러한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한약재를 종이봉지에 넣어 천정에 매달아 놓는 방법이 있고, 또한 주로 방습을 목적으로 하는 특수한 나무로 만든 한약 장을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이다.
이와 같이 한약재의 저장·관리는 건조·한냉·차광·방충 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요즈음은 과거와 달리 한약재를 한꺼번에 많이 구입해 한의원에 쌓아두는 일이 드물고, 마대자루나 큰 종이 봉투에 넣어두는 것이 아니어서 과거보다는 보관이 한결 쉬워졌다. 한약 재들은 대부분 500∼600g 단위로 포장되어 있고 사용량이 많은 한약재도 3kg이 고작이다. 간혹 6kg 단위로 포장된 것도 어쩌다 눈에 띄는 정도이다. 또 대부분 한의원이 공간이 부족하고 여유 자금이 풍부하지 못해 한 번에 한약재를 많이 구입해 놓는 것은 생각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아무리 한약재가 조금이어도 장마 때만 되면 한약재가 변질되지 않았나 하는 불안감에 들기 마련이다.
한약재 보관 원칙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한약재는 년 1회 수확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이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일정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한약재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인 것으로는 온도와 습도·빛·효소 등과 미생물의 발생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한약재는 보통 저온(低溫),저습(低濕),암소(暗所),방충(防蟲) 등을 염두에 두고 보관·관리해야 한다.
또한 한약재는 분말이나 잘게 절단해 보관하면 품질의 변화를 일으킬 우려가 있지만 원칙적으로는 한약재를 전형으로 구입해 보관하다가 사용할 때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한약재의 규격기준과 현실적 여건을 고려할 때 불가능하므로 제조업소나 도·소매업소에서 한약재를 구입할 때 당년에 제조한 것인가를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한약재에서 그 품질을 보증하는데에 있어서 최대의 문제점은 고온다습(高溫多濕)한 환경이고, 이와 같이 고온 다습한 하 절기에 가장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곰팡이다.
공기 중에는 다량의 곰팡이가 떠다니고 있으며, 그러다가 온도와 습도가 적당해지면 즉시 균사를 퍼뜨려 효소를 분비한다. 곰팡이의 균사가 한약재에 포착하면 내부조직을 용식(溶蝕) 하고, 유효성분의 변화를 촉진시켜 효능을 떨어뜨린다. 그러므로 하 절기에는 한약재의 보관에 있어 가장 눈여겨보아야 할 것이 곰팡이다.
보통 곰팡이 발생은 한약재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30% 이하의 습도 에서는 발생률이 낮다.
특히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운 한약재로는 갈근(葛根), 지황(地黃), 작약(芍藥) 등을 꼽을 수 있으나 거의 모든 한약재에서 곰팡이가 생기기 쉽다고 인식하는 편이 낫다.
한편 일반적인 한의원은 진료실이나 대기실과 같이 에어컨 시설이 갖춰져 습도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면 한약재를 보관하는 데에 별 문제점이 없지만, 약재실은 대부분 그렇지 못한 곳이므로 벽이나 바닥과 일정 거리를 두고 한약재를 보관해야 한다.
공기 중에 있는 수분은 차가운 벽이나 바닥과 접촉할 때 물방울을 맺고 한약재에 영향을 미친다. 과거와 같이 마대나 종이 포장이 아니고 비닐 포장이어서 습기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을지 모른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정도의 차이 일뿐이다. 진공포장이 됐거나 과자류와 같이 알루미늄 포장에 질소충전이 된 것이 아닌 이상 습기를 피할 순 없다.
또 한약재를 보관하는 곳과 외부와의 온도차이가 심할 경우 출입시 신중을 기해야 한다. 외부에 덥고 습한 공기가 갑자기 시원한 곳으로 들어오면 공기 중에 있던 습기는 응축돼 물방울이 된다. 그렇게 되면 저장중인 한약재나 포장이 축축해 진다. 특히 발암물질로 알려진 아플라톡신의 경우 아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곰팡이 의 분비물에 다량 함유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들 지역에서 자란 후박이나 육계와 같은 한약재 관리는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뿐만 아니라 정유(精油)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한약재의 여름철 보관에는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한다.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이 정유(精油) 성분이기 때문이다.
즉 기름을 함유하고 있는 천문동, 백출, 회우슬 등은 저장을 잘못할 경우 유분(油分)이 유출된다. 또 습기의 침입을 받으면 변질돼 표면이 유양(油樣) 물질로 변한다. 이를 '주유(走油)'라 칭한다.
이와 같이 주유(走油) 되는 약재와 원인으로는 첫째 온도가 높아 약재에 포함돼 있는 유질(油質)이 외부로 넘치는 경우, 예를 들면 도인(桃仁), 행인(杏仁) 등이 있다. 둘째로는 보관기간이 오래되어 약재 성분이 자연적으로 변질 되거나 혹은 공기 중에 장기간 노출돼 변색·변질되는 경우, 예를 들면 천문 동 등이다.
그리고 셋째로는 약재에 포함돼 있는 특정성분에 의한 것으로 지방을 함유한, 예를 들면 맥문동(麥門冬), 천문동(天門冬), 당삼(黨參), 구기자(枸杞子) 등이 있고, 휘발성(揮發性)을 포함한 것으로 예를 들면 당귀(當歸), 계피(桂皮) 등이 있으며, 당질류·침착성을 포함한 것으로, 예를 들면 맥문동(麥門冬), 천문동(天門冬) 당삼(黨參), 구기자(枸杞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주유(走油)를 피하기 위해서는 한약재를 밀폐시켜 공기와의 접촉을 피하게 하고 빛을 차단해야 한다.
또한 한약재는 온도에도 민감하다. 높은 온도는 한약재 본래의 색깔, 맛, 냄새 등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만큼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낮은 온도에서는 곰팡이나 세균뿐만이 아니라 병해충의 번식을 막을 수 있는 만큼 약재 실의 온도를 낮게 해야 한다.
특히 수분 함량이 높은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대조(大棗) 구기자(枸杞子) 오미자(五味子) 등은 온도가 높아지면 자체 발열 현상이 나타나고, 급격한 효소작용이 일어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만큼 냉장고 등에 따로 보관해 두는 편이 좋다. 그러므로 약재 실을 환기할 때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바깥 온도보다 약재 실의 온도가 낮을 때에는 습한 바깥공기가 내부로 들어와 온도가 낮아지면 내부 습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아주 맑은 날만 택해서 환기를 하는 것이 좋다. 특히 비 오는 날이나 비 갠 다음날은 환기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따라서 약재 실에 방습제를 놓아두는 것도 요령이다.
그리고 한약재는 빛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한약재는 일반적으로 차광해 보관해야 한다. 특히 색소를 함유한 모든 한약재는 일광(日光)에 의해 변색되거나 변화되므로 차광이 반드시 필요하다. 차광법은 암소(暗所)에 보관하거나 갈색초자병(褐色硝子甁) 또는 도기(陶器)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현재 외부에서 한약재의 내용물을 볼 수 있도록 하라는 규정에 의해 차광해야할 약재가 투명한 비닐에 포장돼 나오고 있다.
따라서 대황과 엽류 한약재인 박하엽, 다엽, 소엽, 비파엽 등은 한의원에서 구입하자마자 포장을 바꾸거나 어두운 곳(暗處)에 보관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한약재는 습기에도 매우 취약하다. 한약재는 벽으로부터 적어도 30cm 간격을 두고 보관돼야 한다. 바닥은 콘크리트에 한약재가 직접 닫지 않도록 일반 식품 소매점에서 주류 등을 쌓아 놓을 때 사용하는 플라스틱 받침대를 아래에 받쳐야 한다. 특히 당귀, 백지, 방풍, 대추, 강활, 길경, 관동화, 고본, 의이인, 천마, 검인, 산조인, 산사자, 전호, 행인, 도인, 백편두, 사삼, 천남성, 진피, 포공영, 괴화, 천궁 등의 약재는 벌레가 잘 생기므로 조심해야한다. 또한 비닐 포장이 된 한약재라도 벽이나 바닥에 직접 닫게 보관하면 온도차 때문에 결로(結露)가 되어 변질될 우려가 높다. 그리고 한약재를 한약재 위에 쌓아 놓아 압력을 받도록 하지 말아야 한다.
이와 같은 한약재의 보관에 사용되는 종래의 한약 장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한약 장(100)은 일반적으로 다단, 바람직하게는 3단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으며, 가장 상부 측 한약 장(100a)은 보관함(110)의 내부가 2 분할된 서랍 구조이고, 중간 및 하부 측의 한약 장(100b)(100c)은 보관함(110)이 하나인 일반적인 서랍 형이다.
따라서, 종래의 한약 장(100)은 하부 측 한약 장(100c) 위에 중간 한약 장(100b)을 올리고, 그 위에 상부 측 한약 장(100a)을 올려서 적층 함으로써 공간 활용의 효율화를 이루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한약 장(100)은 각각의 서랍형 보관함(110)에 각종 한약 재를 보관할 수는 있으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없어서 하 절기에는 일부 한약재(120)의 변질, 곰팡이 발생 또는 벌레 발생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킴으로써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하 절기에도 한약재의 변질, 곰팡이 발생 또는 벌레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보관함 내부에 한약 재를 담아 보관하기 위한 한약 장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들이 서랍 식으로 장착되는 본체 부;
상기 본체 부의 내측에 장착되어 본체 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 수단;
상기 환풍 수단이 장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보관함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단축 보관함; 및
상기 환풍 수단으로부터 상기 본체 부의 모든 보관함까지 연장된 공기 순환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부의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한약 장들과 서로 일치하는 통풍구를 추가 포함하여 상기 환풍 수단의 흡입력이 인접한 한약 장에도 도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부의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한약 장들과 서로 일치하는 통풍구를 추가 포함하여 상기 환풍 수단의 흡입력이 인접한 한약 장에도 도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풍 수단은 한약 장의 배면에 장착되고, 배풍구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풍 수단은 시간 조절 타이머와, 회전속 도 조절 스위치 및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풍구들은 마개를 포함하여 닫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한약 장(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보관함(10)들이 서랍 식으로 장착되는 본체 부(5)를 갖는다. 상기 본체 부(5)는 통상적인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다수의 약재 보관함(10)들이 서랍 식으로 장착된 구조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한약 장(1)은 상기 본체 부(5)의 내측에 장착되어 본체 부(5)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 수단(20)을 구비한다. 상기 환풍 수단(20)은 통상적인 환풍 팬(Air Drafting Fan)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원을 공급하면 주위 공기를 흡인하여 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환풍 수단(20)은 바람직하게는 한약 장(1)의 배면(22)에 장착되고, 한약 장 배면(22)에 마련된 배풍구(24)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구조이다.
상기 환풍 수단(20)이 한약 장(1)의 배면(22)에 장착되면 한약 장(1) 내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보관함(10)에 담긴 한약 재를 공기와 함께 날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일 환풍 수단(20)이 한약 장(1)의 상부 측에 장착된다면 보관함(10)에 담긴 한약 재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한약 장(1)의 측면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환풍 수단(20)을 장착할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환풍 수단(20)은 한약 장(1)의 배면(22)에 장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환풍 수단(20)은 한약 장(1)의 내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환풍 수단(20)이 한약 장(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라면, 운반하기에 번거롭고 파손되기 쉽다. 따라서 한약 장(1)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풍 수단(20)은 시간 조절 타이머(36a)와, 회전속도 조절 스위치(36b) 및 온-오프 스위치(36c)를 구비한 제어부(35)를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시간을 정하여 환풍 수단(20)을 동작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타이머(36a)를 조작할 수 있으면 매우 편리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환풍 수단(20)의 회전 속도를 높여서 단기간 내에 제습 효과 또는 온도 조절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 회전 속도 조절 스위치(36b)를 이용하면 매우 편리한 것이다.
이와 같은 타이머(36a)와 속도 조절 스위치(36b)에 관련된 전기적인 회로는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을 이용하면 되기 때문에 여기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환풍 수단(20)이 장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보관함(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단축 보관함(30)을 포함한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풍 수단(20)은 한약 장(1)의 내측 배면(22)에 장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한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 보관함(30)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단축 보관함(30)은 그 길이가 인접하는 일반적인 보관함(10)의 길이보다 크게 짧은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1/2 정도의 약재 수납 공간만을 갖는다.
이와 같은 단축 보관함(30)의 전면에는 환풍 수단(20)이 그 후면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식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된 약재 수납 공간에는 한약 재(120)를 담아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풍 수단(20)으로부터 상기 본체 부(5)의 모든 보관함(10)까지 연장된 공기 순환 통로(50)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환풍 수단(20)이 동작하여 그 주위의 공기들을 흡인하여 한약 장(1)의 외부로 배출하면, 한약 장(1)의 내부에는 부압, 즉 흡입력이 내부에서 발생되는 데, 이러한 흡입력이 한약 장(1)의 내부의 보관함(10) 전체에 미쳐서 내부 공기를 순환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기 순환 통로(50)는 환풍 수단(20)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모두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 순환 통로(50)는 한약 장(1)의 내부에서 보관함(1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rail) 또는 지지대(16)들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이루어지거나, 만일 필요한 경우 그 일부분을 절단하거나 제거하여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한약 장(1)들과 서로 일치하는 통풍구(55)를 추가 포함하여 상기 환풍 수단(20)의 흡입력이 인접한 한약 장(1)에도 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통풍구(55)의 구조가 도 3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통풍구(55)는 상부 측 한약 장(1a)으로부터 중간 한약 장(1b) 및 하부 측 한약 장(1c)들 모두에 걸쳐서 형성된다. 즉 상부 측 한약 장(1a)의 하부 면에 다수 개의 통풍구(55) 들이 형성되고, 그 통풍구(55)들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중간 한약 장(1b)의 상부 면에는 통풍구(55)들이 마련되며, 중간 한약 장(1b)의 하 부 면에 형성된 통풍구(55)들에 일치하도록 하부 측 한약 장(1c)의 상부 면에 통풍구(55)들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상부 측, 중간 및 하부 측 한약 장(1a)(1b)(1c)들이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면 이들 통풍구(55)들은 서로 일치하게 되어 상부 측 한약 장(1a)에 마련된 환풍 수단(20)의 흡입력이 하부 측 한약 장(1c) 까지 미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하나의 환풍 수단(20)을 상부 측 한약 장(1a)의 내부에 장착하여도 서로 중첩된 한약 장(1a)(1b)(1c)들은 충분히 환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한약 장(1e)(1f)들과 서로 일치하는 통풍구(55)를 추가 포함하여 상기 환풍 수단(20)의 흡입력이 인접한 한약 장(1e)(1f)에도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통풍구(55)들은 중앙에 배치된 한약 장(1a)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고, 이에 일치하도록 상기 중앙의 한약 장(1a) 양측으로 배치된 한약 장(1e)(1f)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통풍구(55)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고안은 한약 장(1)들이 상,하 방향이 아닌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라도 모두 일시에 내부 공기의 순환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풍구(55)들은 마개(미 도시)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닫쳐 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마개는 통풍구(55)에 일치하는 크기의 나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는 필요하면 통풍구(55)를 닫고 한약 장(1)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한약 장(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으로 환풍 수단(20)이 작동하면 환풍 수단(20)은 그 주위의 공기를 흡인하여 한약 장(1)의 배면(22)에 마련된 배풍구(24)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다.
이때에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시간을 정하여 환풍 수단(20)을 동작시킬 수 있고, 환풍 수단(2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적절한 제습 효과 또는 온도 조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한약 장(1)의 내부에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면, 한약 장(1)내에서는 과도하게 높은 온도나 습도를 환풍 작용에 의해서 제거할 수 있고, 한약 장(1)의 내부는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한약 재(120)를 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환풍 수단에 의해서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킴으로써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하 절기에도 한약재의 변질, 곰팡이 발생 또는 벌레 발생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하여 예를 들어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다수의 보관함 내부에 한약 재를 담아 보관하기 위한 한약 장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들이 서랍 식으로 장착되는 본체 부;
    상기 본체 부의 내측에 장착되어 본체 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 수단;
    상기 환풍 수단이 장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보관함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단축 보관함; 및
    상기 환풍 수단으로부터 상기 본체 부의 모든 보관함까지 연장된 공기 순환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의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한약 장들과 서로 일치하는 통풍구를 추가 포함하여 상기 환풍 수단의 흡입력이 인접한 한약 장에도 도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의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한약 장들과 서로 일치하는 통풍구를 추가 포함하여 상기 환풍 수단의 흡입력이 인접한 한약 장에도 도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 수단은 한약 장의 배면에 장착되고, 배풍구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 수단은 시간 조절 타이머와, 회전속도 조절 스위치 및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들은 마개를 포함하여 닫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
KR2020060004230U 2006-02-15 2006-02-15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 KR200415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230U KR200415139Y1 (ko) 2006-02-15 2006-02-15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230U KR200415139Y1 (ko) 2006-02-15 2006-02-15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139Y1 true KR200415139Y1 (ko) 2006-04-27

Family

ID=4176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230U KR200415139Y1 (ko) 2006-02-15 2006-02-15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1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035B1 (ko) * 2007-01-23 2007-11-30 이영철 적층구조를 갖는 저온 한약장
KR20190002203U (ko) 2018-02-23 2019-09-02 김진용 향 손실 방지가 가능한 서랍장
KR102075291B1 (ko) 2019-04-25 2020-02-07 김진용 환기 가능한 밀폐형 보관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035B1 (ko) * 2007-01-23 2007-11-30 이영철 적층구조를 갖는 저온 한약장
KR20190002203U (ko) 2018-02-23 2019-09-02 김진용 향 손실 방지가 가능한 서랍장
KR102075291B1 (ko) 2019-04-25 2020-02-07 김진용 환기 가능한 밀폐형 보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5310A (en) Method for year-round utilization of pollinating insects such as bumble bees and constant temperature box for achieving this
US8764512B1 (en) Inner cover for bee hive
FI70767C (fi) Bikupssammansaettning
KR200415139Y1 (ko) 환풍 기능을 갖는 한약 장
US20200253168A1 (en) Bee Hive
CN214431191U (zh) 一种补液频率低的斜纹夜蛾室内饲养装置
KR20090010993U (ko) 원적외선 방출수단을 구비하는 한약장
CN212937441U (zh) 一种用于粉虱和蓟马的型昆虫饲养装置
KR200482463Y1 (ko) 벌꿀 채집이 용이한 친환경 계상 벌통
KR200378400Y1 (ko) 방습, 탈취 및 항균기능을 갖는 수납장
US4419780A (en) Honey drying ventilator for beehives
CN2361081Y (zh) 微型授粉蜂箱
CN205801849U (zh) 昆虫标本盒内隔层
KR102384064B1 (ko) 회전소문을 갖는 기능성 벌통
CN218587962U (zh) 一种子母巢框和夹层蜂箱
KR200270493Y1 (ko) 벌통
CN216454014U (zh) 一种具备保温除虫功能的衣柜
US2584304A (en) Moisture eliminator for beehives
KR102480403B1 (ko) 측면발이를 방지하는 배지상자
KR200482464Y1 (ko) 벌꿀 채집이 용이한 계상용 친환경 벌통
CN207876187U (zh) 一种新型轻便昆虫标本盒
CN215362528U (zh) 一种中药饮片防霉防虫保藏装置
CN216452676U (zh) 一种蜜蜂育王箱
KR200343800Y1 (ko) 환기 조절용 벌통
KR200226929Y1 (ko) 벌수정용 벌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