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133Y1 - 자동차용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133Y1
KR200415133Y1 KR2020060004010U KR20060004010U KR200415133Y1 KR 200415133 Y1 KR200415133 Y1 KR 200415133Y1 KR 2020060004010 U KR2020060004010 U KR 2020060004010U KR 20060004010 U KR20060004010 U KR 20060004010U KR 200415133 Y1 KR200415133 Y1 KR 200415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ehicle
cable
bracket
surveillanc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테크
Priority to KR2020060004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1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좌측, 우측, 후방의 피사체를 촬영하고 그 영상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운전석 일측에 설치되는 모니터로 디스플레이하는 통상의 자동차용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된 좌측, 우측, 후방감시카메라의 종류를 한가지 모델로 단일화하며 카메라 모듈을 좌측, 우측, 후방에 공용으로 사용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카메라의 넓은 시야 확보를 위한 카메라 몸체의 카메라 모듈 결합부에 바닦면과의 경사각을 주어 별도의 각도 조절 부품이 필요하지 않고, 카메라 케이블이 몸체 바닦과 차체 고정부품을 통하여 차체 내부로 연결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력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며, 차량에 장착시 차체에 고정부품을 볼트로 고정하고 카메라 몸체가 차체 고정부품과 결합하여 고정 볼트가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도록 하여 자동차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고, 카메라 몸체를 차체 고정 부품에 끼우고 전면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간편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카메라 부품을 단순화하고 설치를 편리하게 하도록 구성되어져 차량 주변을 감시하는데 있다.
좌측,우측,후방용 감시카메라, 카메라 모듈

Description

자동차용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Rear view camera for vehichles, Side view camera for vihicles}
도 1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후방 감시카메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의 설치된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우측 감시카메라의 장착 후 시야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c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우측 감시카메라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고,
도 2d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의 설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종전기술 후방용 감시카메라
2....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
2-1....유리커버 2-1-1....유리커버의 몸체 고정 볼트 구멍
2-3....카메라 모듈
2-4....몸체 2-4-1....몸체의 브라켓 후크(hook)결합부
2-4-2....몸체의 브라켓 고정 볼트 관통 구멍
2-5,2-6,2-7....브라켓 고정 볼트
2-8....브라켓 2-8-1....브라켓의 몸체고정 텝핑(Tapping)
2-8-2....브라켓의 몸체 고정 후크(hook)부
2-9....브라켓 가스켓(gasket)
2-10....카메라 케이블
2-11....몸체 고정 볼트
2-12,2-13....유리커버 고정 볼트
2-14....케이블 홀더(holder)
3....몸체의 바닦면과 경사 각도 3-1....카메라 렌즈 각도
4....자동차 장착부
본 고안은 통상의 자동차용 후방 감시카메라를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하여 자동차의 후방용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카메라를 사용할 때에 자동차의 변속기 등에 의한 트리거(trigger) 신호 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모니터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자동차의 후방용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룸미러와 좌/우측 사이드 미러가 구비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후진시 혹은 주차시에 룸미러를 통해 후방의 상태를 파악하였다. 하지만, 룸미러를 통해 자동차의 후면 상황을 파악할 경우에는 사각지역이 있기 때문에 주차시 또는 후진시 충돌의 위험이 있었다.
즉, 자동차는 운행중 경우에 따라서 차량을 후진시켜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차량의 후방 사각지대에 있는 피사체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없으므로 차량의 후진시 후방의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하차하여 직접 확인하는 경우가 있고, 또는 운전자 이외의 사람이 후방에 서서 확인시켜 주어야 하므로
차량의 후진에 있어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과 접촉사고나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의 후진시 후방 및 주변 사각지대에 있는 피사체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하여 접촉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후방 및 주변 감시장치가
요구되었다.
여기서, 상기 감시카메라는 통상적으로 주변의 사물이나 상황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영상재생부와, 상기 영상재생부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재생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감시카메라는 자동차 외부에 장착되는데, 이때 상기 감시카메라가 외부에 장착됨에 따라 좌측, 우측 감시카메라와 후방 감시카메라로 구분이 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의 내부 카메라 모듈 또한 별도로 구분되어져 있어 유지 및 보수에 문제가 있다.
또한 감시카메라의 시야 확보를 위한 별도의 각도 조절 부품이 존재하며 설치시
설치자에 따라 각도가 상이하고 외력에 의한 각도변화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차량에 설치후 감시카메라 케이블이 외부에 노출되어져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차체에 고정하는 볼트가 외부에 노출이 되어 있고, 감시카메라를 고정시
다수의 볼트 체결로 고정하여 설치시 어려움과 자동차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에 감시카메라를 설치시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향성이 없는 기구 부품과, 상기 카메라에 공용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단일 모델로 설치하여 유지, 보수시 편리함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감시카메라의 몸체에 카메라 모듈 결합부를 바닦면과 경사각을 적용하여 카메라의 시야 확보를 조절하는 공정을 삭제하여 장착시 편리함과 카메라 부품을 단순화하며, 상기 감시카메라의 케이블을 카메라 몸체 밑면에 위치하도록하여 자동차에 장착 후 몸체가 케이블을 덮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며, 또한 상기 감시카메라를 자동차에 장착시 카메라 고정 브라켓의 고정 볼트가 카메라 몸체 밑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장착후 공정 볼트가 카메라 몸체에 덮어져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감시카메라를 자동차에 장착시 카메라
고정 브라켓의 후크(hook)에 삽입 후 상기 카메라 전면부에 카메라 고정 볼트를 한 개만 체결하도록 구성하여 카메라 고정 작업이 편리하도록 구성되어져 상기 감시카메라를 유지 및 보수에 편리함과 카메라 부품의 단순화 및 설치시 편리함과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들에 착안하여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를 공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 카메라 모듈 또한 공용화 하였으며, 감시카메라의 시야 확보를 위해 몸체에 카메라 모듈 조립부의 임의의 경사 각도를 적용하여 부품을 단순화하고, 설치를 용이하게 하였으며, 감시카메라의 케이블이 카메라 내부에 위치하여 케이블을 보호하며, 차제에 고정하는 볼트가 카메라 밑면에 위치하여 자동차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감시카메라 고정시 차체 고정부품에 끼우고 한 개의 볼트로 고정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 과 같다.
도 2의 차량용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는 몸체(2-4)에 카메라 케이블(2-10)을 브라켓 가스켓(2-9)과 브라켓(2-8)과 케이블 홀더(holder)(2-15)를 조립하고, 몸체(2-4) 밑면의 구멍을 통해 몸체(2-4)의 카메라 모듈(2-3)에 결합을 하고, 케이블 홀더(cable holder)를 몸체(2-4)의 밑면에 체결하여 카메라 케이블(2-10) 고정하며, 카메라 모듈(2-3)은 좌측, 우측, 후방용에 따라 몸체 안에 회전을 시켜 조립을 하고, 유리와 가스켓(2-2)을 몸체(2-4)와 카메라 모듈(2-3)의 윗면의 돌기에
조립을 하며, 유리커버(2-1)로 덮고, 유리커버 고정 볼트(2-12),(2-13)를 체결하여 카메라 몸체가 조립되도록 구성하였다.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의 자동차 각
설치면에 설치된 좌측, 우측, 후방감시용 카메라 설치도로 한가지 카메라로 설치되도록 구성하였다.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2)의 자동차
장착면의 설치 후 카메라 렌즈 각도(3-1) 이며, 카메라 몸체의 바닦 면과의 경사각도(3)로 별도의 조절 없이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카메라 렌즈 각도(3-1)는 사용하는 렌즈에 따라 가변하며 설치후 일률적인 넓은 시야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도 2c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의 자동차 우측면 설치면에 장착한 설치 사시도이며 장착후 카메라 케이블(2-10)과 브라켓 고정
볼트(2-5),(2-6),(2-7)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장착후
자동차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도 2d는 본 고안에 의해 조립된 감시카메라를 자동차에 설치하는 설명으로 카메라 몸체(2-4)는 먼저 차량에 카메라 케이블(2-10)이 삽입 되는 구멍을 만들고, 브라켓 가스켓(2-9)과 브라켓(2-8)을 자동차 설치면에 안착시킨 다음 브라켓 고정 볼트(2-5),(2-6)(2-7)를 체결하여 브라켓(2-8)을 자동차 설치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조립한 카메라 몸체(2-4)의 브라켓 후크(hook)결합부(2-4-1)를 상기 자동차
장착면에 고정된 브라켓(2-8)의 몸체 고정 후크(hook)부에 끼우고 안착시키며,
카메라 몸체(2-4)의 유리커버의 몸체 고정 볼트 구멍(2-1-1)에 몸체 고정
볼트(2-11)을 브라켓의 몸체 고정 테핑(tapping)(2-8-1)에 체결하여 상기 조립한 카메라 몸체를 자동차 설치면에 고정하여 브라켓 고정 볼트(2-5),(2-6)(2-7)와
카메라 케이블(2-10)이 상기 카메라 몸체(2-4)에 덮어져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도록 하며, 몸체 고정 볼트(2-11)를 상기 카메라 전면에서 체결하여 감시카메라를
고정하는데 용이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의 감시카메라(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감시카메라이며 구성은 차체 고정 브라 켓(1-3)에 감시카메라 고정 볼트(1-1),(1-2)에 고정 및 카메라 시야 각도 조절이 되며, 고정 브라켓(1-3)은 고정 브라켓 고정 볼트(1-4),(1-5)에 체결되어 차체에 고정이 되고, 카메라 케이블(1-6)은 설치 후 도의 1과 같이 외부에 노출이 되어
있고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로 공용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자동차의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에 따르면, 한가지 카메라 기구 부품을 공용 사용하여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로 사용하고, 상기 카메라 내부에 조립되는 카메라 모듈을 공용 사용함으로 자동차에 장착된 카메라를 단일화하여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도록 하며, 상기 감시카메라 몸체에 모듈 조립부에 경사각도를 적용하여 별도의 각도 조절 부품이 없고, 설치시 일률적인 넓은 시야 각도와 외력에 의한 각도 변화를 방지하고, 상기 감시카메라 케이블과 카메라 고정 브라켓 고정 볼트가 장착후 카메라 몸체 밑면에 위치 하도록하여 카메라 케이블의 파손 방지와 자동차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하여 감시카메라의 생산시 제품 가격을 낮추고 단일 모델로 설치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도록
하며, 자동차에 장착후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

  1.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 몸체와, 카메라 모듈과, 유리커버와, 케이블 홀더와, 케이블과, 브라켓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자동차 좌측, 우측, 후방에 공용 장착할 수 있는 기구부품과, 상기 카메라 기구부품에 조립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의 시야 확보를 위한 경사 조립부가 적용된 유리커버 및 카메라 몸체와;
    상기 카메라가 자동차의 장착면에 장착후 카메라 케이블과 고정 볼트가 노출이
    되지 않는 카메라 몸체 및 브라켓과;
    상기 카메라를 장착시 브라켓의 후크에 카메라 몸체를 끼우고 전면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유리커버와 몸체와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
KR2020060004010U 2006-02-14 2006-02-14 자동차용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 KR200415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010U KR200415133Y1 (ko) 2006-02-14 2006-02-14 자동차용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010U KR200415133Y1 (ko) 2006-02-14 2006-02-14 자동차용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133Y1 true KR200415133Y1 (ko) 2006-04-27

Family

ID=4176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010U KR200415133Y1 (ko) 2006-02-14 2006-02-14 자동차용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13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502B1 (ko) * 2007-08-31 2009-04-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 후방 감시 시스템
KR20150017214A (ko) * 2013-08-06 2015-02-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레이다 장착 모듈
KR20150139319A (ko) * 2014-06-03 2015-12-11 (주)미래텍 회전형 사이드카메라 어셈블리
KR20190025331A (ko) * 2017-09-01 2019-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502B1 (ko) * 2007-08-31 2009-04-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 후방 감시 시스템
KR20150017214A (ko) * 2013-08-06 2015-02-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레이다 장착 모듈
KR102131583B1 (ko) * 2013-08-06 2020-07-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레이다 장착 모듈
KR20150139319A (ko) * 2014-06-03 2015-12-11 (주)미래텍 회전형 사이드카메라 어셈블리
KR101588344B1 (ko) * 2014-06-03 2016-01-26 (주)미래텍 회전형 사이드카메라 어셈블리
KR20190025331A (ko) * 2017-09-01 2019-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411132B1 (ko) * 2017-09-01 2022-06-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4789B2 (en) Mirror monitor using two levels of reflectivity and transmissibility
US6693519B2 (en) Vehicle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viewing blind spots
US20060098094A1 (en) Portable wireless rearview camera system for a vehicle
KR960029148A (ko) 자동차용 후방 및 측후방감시장치
US10449902B1 (en) Mirror monitor using two levels of reflectivity and transmissibility
US20030133014A1 (en) Motor vehicle rearview camera system and hitch cover with display
JP4718243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車載用デジタルカメラ、車載カメラ付きドアミラー
WO1999043242A1 (en) Vehicle mounted optical assembly
US11919450B2 (en) Convex rearview mirror and monitor with reversible back/socket mount
US20100033564A1 (en) Vehicle monitoring system
KR200415133Y1 (ko) 자동차용 좌측, 우측, 후방용 감시카메라
US20060164228A1 (en) Rearview mirror with multiple monitors
US20220118911A1 (en) Interior Convex Mirror Monitor With Frame to Offset Monitor
CN200960887Y (zh) 汽车后视镜显示器
KR100203765B1 (ko) 자동차의 후방 모니터링 장치
KR200417761Y1 (ko) 자동차용 전방향 감시카메라
JP2006213267A (ja) 自動車の前柱の死角を偵察する看視装置
RU4755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ставления рекламной информации
US6558028B1 (en) Projector and illumination device ceiling mount
KR20170142286A (ko) 자동차용 전방향 감시카메라
CN200992172Y (zh) 微型摄像头及安装微型摄像头的汽车行李箱后盖
CN205800936U (zh) 一种新型后视镜
KR200445334Y1 (ko) 전방 사각지대 디스플레이패널 고정장치
KR20050098210A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일체형 카메라 장치
KR20200143840A (ko) 자동차 사이드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