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081Y1 - 바닥 시공재 - Google Patents

바닥 시공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081Y1
KR200415081Y1 KR2020060002837U KR20060002837U KR200415081Y1 KR 200415081 Y1 KR200415081 Y1 KR 200415081Y1 KR 2020060002837 U KR2020060002837 U KR 2020060002837U KR 20060002837 U KR20060002837 U KR 20060002837U KR 200415081 Y1 KR200415081 Y1 KR 200415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concrete
construction material
plate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옥수
Original Assignee
정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옥수 filed Critical 정옥수
Priority to KR2020060002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0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0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 기초면과 상기 바닥 기초면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층 사이에 설치되는 바닥 시공재로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판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며, 각각의 단부에 통공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홈부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몸체와, 상기 홈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 일부가 유입되어 충전될 수 있도록 내부 수용부가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에는 상기 홈부에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부가 구비되고 바닥 기초면에 접하는 하부는 일정 두께의 바닥 지지부로 이루어져 바닥 기초면의 평탄도에 따라 상기 판상의 몸체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완충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유입되는 콘크리트의 충전 압력에 따라 평탄도를 달리하는 바닥 기초면의 수직 높이를 보상할 수 있는 바닥 시공재를 제공함으로써 바닥 기초면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바닥 기초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시킬 수 있다는 특유의 이점이 있다.
바닥 시공재, 홈부, 통공, 완충장치, 배관 지지판, 관통 홀

Description

바닥 시공재{Device for constructing floor}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의 바닥 시공재 상면 구성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의 바닥 시공재 하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의 바닥 시공재 상면 구성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의 바닥 시공재 홈부 및 완충장치의 결합 관계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의 바닥 시공재 홈부 및 완충장치의 결합 관계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바닥 시공재 홈부 및 완충장치의 결합 관계도.
도 4a는 도 1a에 개시된 바닥 시공재에 온수 배관이 장착된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있어서 배관 지지판에 온수 배관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는 도 4a의 바닥 시공재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도.
도 5b는 도 3a에 개시된 바닥 시공재의 완충장치가 기초 바닥면의 평탄도에 따라 적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3b에 개시된 바닥 시공재의 완충장치가 기초 바닥면의 평탄도에 따라 적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7은 도 3c에 개시된 바닥 시공재의 완충장치가 기초 바닥면의 평탄도에 따라 적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바닥 시공재 120 : 판면
122 : 요홈 140 : 홈부
144 : 홈부 충전공간 160 : 완충장치
162 : 바닥 지지부 164 : 걸림부
166 : 완충장치 내부수용부 180 : 배관 지지판
182 : 관통 홀 200 : 온수 배관
220 : 클립
본 고안은 바닥 시공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설되어 충전되는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위치에 따라 평탄도를 달리하는 바닥 기초면에 대하여 바닥 시공재가 적절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완충장치가 장착된 바닥 시공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또는 주택과 같이 주거용 건물을 시공하는 경우 그 바닥은, 바닥 기초면을 축조한 다음, 축조된 바닥 기초면 상부의 임의 지점에 온수 배 관 등을 적절하게 위치시킨 이후 콘크리트층을 일정 두께로 타설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바닥을 단기간에 시공할 수 있어 공사비용의 절감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전체 구조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단열 및 방습 효과가 떨어지며, 특히 진동에 의한 소음 차폐 기능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근자 도심의 아파트들이 점차 초고층화되고 있으며, 주위의 소음 또는 진동과 같은 환경 공해로부터 생활 공간이 얼마나 잘 보호될 수 있는지 여부가 수요자들의 주거용 건물에 대한 주된 선택 기준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적극 반영하여 종래 바닥 시공방식을 개선한 여러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71500호도 그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71500호는 기본적으로 판상의 형상으로서, 판면에 대하여 상, 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판면의 상부에는 콘크리트가 일정 두께로 타설되고 판면의 하부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일정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단열 및 방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바닥 기초면과 접하는 하부 돌출부 오목홈에 완충재를 더욱 안치시킴으로써 바닥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 기술은 바닥 기초면과 접하는 부분에 완충재를 부가시킴으로써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원천적으로 흡수, 분산시키려는 기술적 목적이 있는바, 종래 바닥 시공재의 단점으로 지적되던 진동 문제를 일정 부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 기술에 있어서 완충재는 바닥 기초면의 평탄도에 따라 적절하게 적응하는 구성이 아니라 오목홈에 안치된 상태에서 바닥 기초면과 단순히 접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바, 이 기술을 이용하여 실제 시공하는 경우에는 기대하는 만큼의 진동 감소 효과는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건축 현장에서 바닥 기초면은 콘크리트 타설기를 이용하여 의도하는 영역에 콘크리트를 일정 두께로 타설한 다음 일정한 양생 기간을 거쳐 만들어지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양생된 바닥 기초면의 두께는 각 부위마다 조금씩 차이가 나게 되며, 이는 바닥 기초면의 상면 평탄도가 각 부위마다 불균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닥 기초면의 평탄도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또는 위치에 따라 높낮이를 달리하는 바닥 기초면에 대응하여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완충재를 개별적으로 준비하여 이를 각 오목홈에 안치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아닌 한, 바닥 시공재는 기초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를 이루는 것이 불가능해 바닥 기초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적절하게 흡수, 분산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평탄도를 달리하는 바닥 기초면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바닥 시공재를 제공하여 진동을 적절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바닥 시공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열 및 방습 효과가 뛰어날 뿐 아니라 온수 배관을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바닥 시공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 기초면과 상기 바닥 기초면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층 사이에 설치되는 바닥 시공재로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판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며 각각의 단부에 통공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홈부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몸체와, 상기 홈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 일부가 유입되어 충전될 수 있도록 내부 수용부가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에는 상기 홈부에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부가 구비되고 바닥 기초면에 접하는 하부는 일정 두께의 바닥 지지부로 이루어져 바닥 기초면의 평탄도에 따라 상기 판상의 몸체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완충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닥 기초면과 상기 바닥 기초면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층 사이에 설치되는 바닥 시공재로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판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며 각각의 단부에 통공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홈부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몸체와, 상부에는 상기 홈부에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부가 구비되고 하부는 바닥 기초면에 접하여 상기 바닥 기초면의 평탄도에 따라 상기 판상의 몸체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완충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장치의 걸림부 하측에는 일정 외경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부가구비되어 기초 바닥면의 평탄도에 따라 상기 완충장치가 상기 홈부의 통공을 통해 승하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 상부에는 온수 배관의 고정 결합을 위해, 상기 홈부 사이에서 일 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요홈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 상부에는 온수 배관의 고정을 위하여 상방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관 지지판이 구비되며, 상기 배관 지지판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 홀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건축 구조물의 바닥 기초면과 상기 바닥 기초면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사이에 설치되는 바닥 시공재로서, 기본적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완충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한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판상의 몸체는 바닥 기초면에 대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일정한 수직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적층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데, 판면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면에 대하여 하방 돌출되는 상기 홈부는 판면 하부가 바닥 기초면에 대하여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바닥 기초면과 판면 사이 공간에 공기가 자연스럽게 내재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공간에 내재되는 공기는 후술할 온수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방습 및 보온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바닥 기초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일정 부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홈부에는 몸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일부가 흘러들어 충전될 수 있도록 충전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홈부의 충전공간 단부에는 후술할 완충장치가 장착될 수 있도록 통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부의 충전공간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그 단부에 장착되는 완충장치의 하부가 바닥 기초면에 접하게 된다는 점과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자연스럽게 충전부에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원뿔, 각뿔 등과 같이 개구된 상부는 넓으며 통공이 형성되어 완충장치가 장착되는 하부는 좁아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자연스럽게 충전공간으로 유입되어 충전될 수 있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온수 배관의 고정 결합을 위한 방편으로서 복수 개의 요홈이 구비되는 경우를 제안하는데, 상기 요홈은 판면에 대하여 하향 돌출되는 홈부 사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요홈은 시공시 드릴링 작업에 의해 관통되는 부분으로서, 적절하게 안치된 온수 배관을 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이 내삽되어 적절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고안은 온수 배관의 결합을 위한 다른 방편으로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관 지지판을 형성시키고, 상기 배관 지지판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 홀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한다. 온수 배관이 몸체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고정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 배관 지지판은 설치되는 온수 배관의 방향에 따라 상기 몸체 상부의 홈부 사이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장치는 바닥 기초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분산시키고, 평탄도를 달리하는 바닥 기초면에 대하여 판상의 몸체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데, 일정량의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충전되는 내부 수용부와, 홈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통공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된 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부와, 바닥 기초면과 접하여 판상의 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밀폐된 하부에 구비되는 바닥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수용부의 형상은 충전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판상의 몸체가 바닥 기초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수평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만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이 수직 하방으로 유입되는 콘크리트의 유입 압력을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 지지부는 그 자체로 바닥 기초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시키기 위해 완충장치의 다른 부위에 비해 다소 두꺼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림부의 하측에는 홈부의 통공 직경보다 크지 않은 외경을 가지며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가 더욱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바닥 기초면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 몸체는 일정한 수직 높이로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완충장치만이 유입되는 콘크리트의 양에 따라 홈부의 통공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적절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완충장치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바닥 기초면의 평탄도에 따라 유입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내부 수용부 형상이 수평방향으로 적절하게 변형되어 적응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장치는 평탄하지 않은 바닥 기초면과 접하게 되면, 각 홈부의 충전 공간을 통해 각 완충장치의 내부 수용부로 서로 상이한 양의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충전되고, 이에 따라 완충장치가 바닥 기초면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높이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평탄하지 않은 바닥 기초면에 대하여 판상의 몸체가 전체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고안은 완충장치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는 않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 따라 완충장치에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홈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통공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에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림부의 하측에는 홈부의 통공 직경보다 크지 않은 외경을 가지며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수용부를 제외한 재질 및 그 형상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 각각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예로서의 바닥 시공재(100)에 대한 상면 구성도 및 하면 구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판면(120)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방 돌출되는 복수 개의 홈부(140)와, 상기 각 홈부(140)의 단부에 장착되는 완충장치(160)가 개시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144는 홈부의 충전공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로서의 바닥 시공재의 상면 구성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실시예는 판면(120)의 홈부(140)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방 돌출되는 복수 개의 배관 지지판(180)과, 상기 배관 지지판(18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 홀(182)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의 일례가 바닥 시공재의 홈부에 결합된 구성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는, 완충장치(160)는 콘크리트가 유입 충전되는 내부 수용부(166)를 가지며 개구된 상부에는 걸림부(164)가 구비되어 홈부(140)의 단부에 형성되는 통공(142)에 상기 걸림부(164)가 삽입 장착됨을 보여주고 있다. 미 설명 도면 부호 144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충전되는 홈부의 충전공간이며, 162는 완충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바닥 기초면(미도시)과 접하게 되는 바닥 지지부로서 그 자체가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전술한 완충장치 예와의 차이점은 걸림부(164) 하측으로 일정한 외경을 가지는 높이 조절부(168)가 더욱 구비된다는 점에 있는데, 상기 높이 조절부(168)는 홈부(140)의 통공(142)에 대하여 완충장치(160)가 일정한 수직 높이만큼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해주는 특징이 있다.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의 또 다른 예로서, 도 3a 및 도 3b 각각에 개시된 실시예와 달리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나, 내부 수용부를 제외한 걸림부(165), 높이 조절부(169), 바닥 지지부(163)의 구성은 도 3a 및 도 3b 각각에 개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도 4a 및 도 4b 각각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의 바닥 시공재에 온수 배관을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상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온수배관 (200)은 배관 지지판(180)의 상면에 안치된 상태에서 통상적인 클립 타이(182) 등에 의해 각 배관 지지판(180)에 고정 결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미 설명 부호 182는 배관 지지판(180)에 형성되는 관통 홀이다.
도 5a는 도 4a에 따라 온수배관이 설치된 바닥 시공재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도이며, 도 5b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경우 바닥 시공재의 완충장치가 기초 바닥면의 평탄도에 따라 적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5b에 개시된 것과 같이, 각 홈부(140)에 장착되는 각 완충장치(160)로 콘크리트(320)가 유입되는 경우(a, b), 다른 바닥 기초면에 대하여 △h만큼 수직 높이를 가지는 기초 바닥면 부위와 접하는 완충장치는 직 하방으로 작용하는 콘크리트의 유입 압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변형됨으로써 기초 바닥면의 수직 높이 차이를 보상하여 바닥 시공재 전체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미 설명 도면 부호 300은 콘크리트 타설기이다.
도 6은 높이 조절부가 구비되는 완충장치가 기초 바닥면의 평탄도에 따라 적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기초 바닥면이 위치에 따라 △h만큼의 평탄도가 차이 나는 경우에, 홈부(140)에 충전되는 콘크리트(320)가 순차적으로 완충장치(160)로 흘러들어감에 따라(a, b), 다른 기초 바닥면 부위에 비해 △h만큼 수직 높이를 가지는 기초 바닥면 부위와 접하는 부위에서는 콘크리트의 유입 압력에 의해 완충장치(160)의 걸림부(164)는 홈부(140)의 통공(142)으로부터 점차 분리되고, 완충장치(160)의 일부가 홈부(140)의 충전부로 상승함과 동시에 홈부(140)는 충전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즉, 다 른 기초 바닥면에 비해 수직 높이차가 있는 기초 바닥면 부위는 충전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완충장치가 홈부 내부로 그 높이 차이만큼 상승하여 수직 높이 차이를 보상함으로써 바닥 시공재 자체는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3c에 개시된 높이 조절부가 구비되는 완충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기초 바닥면의 평탄도에 따라 적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완충장치는 홈부에 콘크리트(320)가 유입되어 충전되면, 충전되는 콘크리트(320)의 하중에 의하여 수직 높이차(△h)가 있는 바닥 기초면과 접하게 되는 완충장치가 높이 조절부(169)의 수직 높이 범위내에서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완충장치의 걸림부(165)와 홈부의 통공 사이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충전됨에 따라 판상의 바닥 시공재 자체가 바닥 기초면에 대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작동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한바, 이러한 변경 또는 수정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유입되는 콘크리트의 충전 압력에 따라 평탄도를 달리하는 바닥 기초면의 수직 높이를 보상할 수 있는 바닥 시공재를 제공함으로써 바닥 기초면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바닥 기초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시킬 수 있다는 특유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온수배관을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온수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보온 및 방습 기능이 뛰어난 바닥 시공재를 제공해주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바닥 기초면과 상기 바닥 기초면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층 사이에 설치되는 바닥 시공재로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판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며, 각각의 단부에 통공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홈부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몸체와;
    상기 홈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 일부가 유입되어 충전될 수 있도록 내부 수용부가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에는 상기 홈부에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부가 구비되고, 바닥 기초면에 접하는 하부는 일정 두께의 바닥 지지부로 이루어져, 바닥 기초면의 평탄도에 따라 상기 판상의 몸체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완충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재.
  2. 바닥 기초면과 상기 바닥 기초면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층 사이에 설치되는 바닥 시공재로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판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며, 각각의 단부에 통공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홈부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몸체와;
    상부에는 상기 홈부에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부가 구비되고 하부는 바 닥 기초면에 접하여, 상기 바닥 기초면의 평탄도에 따라 상기 판상의 몸체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완충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재.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의 걸림부 하측에는 일정 외경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부가 구비되어 기초 바닥면의 평탄도에 따라 상기 완충장치가 상기 홈부의 통공을 통해 승하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재.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부에는 온수 배관의 고정 결합을 위해, 상기 홈부 사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요홈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재.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부에는 온수 배관의 고정을 위하여 상방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관 지지판이 구비되며, 상기 배관 지지판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 홀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재.
KR2020060002837U 2006-01-04 2006-02-01 바닥 시공재 KR200415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837U KR200415081Y1 (ko) 2006-01-04 2006-02-01 바닥 시공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186 2006-01-04
KR2020060002837U KR200415081Y1 (ko) 2006-01-04 2006-02-01 바닥 시공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081Y1 true KR200415081Y1 (ko) 2006-04-27

Family

ID=4176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837U KR200415081Y1 (ko) 2006-01-04 2006-02-01 바닥 시공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0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196B1 (ko) * 2008-04-07 2010-11-01 서선옥 난방 바닥용 건식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196B1 (ko) * 2008-04-07 2010-11-01 서선옥 난방 바닥용 건식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4603C (zh) 一种建筑物绝缘隔震体系
KR101128873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JP5415716B2 (ja) 免震建物とその構築方法
KR200448992Y1 (ko) 구조스프링을 이용한 층간차음재
KR20220031828A (ko) 층간 소음 저감형 건식 난방 바닥 구조
KR200415081Y1 (ko) 바닥 시공재
KR101864428B1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34713A (ko)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
KR200378667Y1 (ko) 공동주택의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바닥구조
KR101090674B1 (ko) 건식 방수턱의 시공구조
KR102343095B1 (ko) 단열 성능을 구비한 슬래브 일체형 층간소음 저감구조
KR20090002936U (ko) 건축물용 바닥 시공재
KR100920759B1 (ko) 실내 바닥 미장층의 균열 차단부재
KR102148250B1 (ko) 수평형 압축 보강재 삽입형 하이브리드 단열판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
JP3755747B2 (ja) 床用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KR101312013B1 (ko)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0013232A (ko) 건축물의 바닥 슬라브 방음 방진구조
KR100837500B1 (ko) 조립식 난방 패널과 이를 이용한 바닥 난방 구조
JP3941875B2 (ja) 橋梁床版の遊間における継手構造
KR200394192Y1 (ko) 공동 주택의 바닥 마감 모르타르 자재를 갖는 층간 충격음차단구조
KR102516930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충격댐퍼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구조
KR101380710B1 (ko) 층간 소음방지용 구조물
KR100778659B1 (ko) 건축물의 방음, 방진 바닥재
KR20210049295A (ko) 충격 흡수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층간소음 차단구조
CN220539114U (zh) 一种装配式卫生间底盒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