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058Y1 - 의자 일체형 단체급식용 식탁 - Google Patents

의자 일체형 단체급식용 식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058Y1
KR200415058Y1 KR2020060002046U KR20060002046U KR200415058Y1 KR 200415058 Y1 KR200415058 Y1 KR 200415058Y1 KR 2020060002046 U KR2020060002046 U KR 2020060002046U KR 20060002046 U KR20060002046 U KR 20060002046U KR 200415058 Y1 KR200415058 Y1 KR 200415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hair
connector
us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판중
신상구
Original Assignee
김판중
주식회사 금강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판중, 주식회사 금강교구 filed Critical 김판중
Priority to KR2020060002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0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 일체형 단체 급식용 식탁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의자를 사용하기 위해 좌대를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키면 좌대가 식탁의 중심선을 벗어나 그러한 좌대에 사용자가 앉게되면 사용자의 몸이 한쪽으로 치우쳐 음식물을 섭취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부에 좌대(300)가 설치된 받침지주(310)는 지지봉(500)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의 접지구(320)가 지면에서 떠 있는 상태가 되게 압축스프링(510)으로 탄발시켜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500)은 연결대로 식탁다리(200)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좌대(300)가 상판(100) 밑에서 출입되는 의자 일체형 식탁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를 식탁다리(200)의 힌지부(210)에 축핀(211)으로 일단이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1연결대(400a) 및 지지봉(500)에 일단이 부착 고정되는 제2연결대(400b)로 분리시켜 구성하고, 상기 제1연결대(400a)와 제2연결대(400b)의 타단은 축핀(411)으로 연결된 힌지부(410)에 의해 접히거나 일자형으로 펼쳐지는 절첩식으로 설치하여 상판(100)과 좌대(300)의 간격(D1)(D2)을 다르게 출입시켜도 좌대(300)가 동일한 중심선(110) 범위 내에 놓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좌대(300)의 위치를 이동시켜 좌대(300)와 상판(100)과의 간격(D1)(D2)을 가깝게 또는 멀게하더라도 항시 좌대(300)가 식탁의 중심선(110)을 벗어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의자, 단체급식용, 식탁, 식탁다리, 좌대, 제1,2연결대, 힌지부,축핀

Description

의자 일체형 단체급식용 식탁{Table for a group meal seruice integrated with a chair}
도 1a,1b는 종래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좌대를 이동시켜 좌대와 상판의 간격을 다르게 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이 실시된 의자 일체형 식탁을 예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 구성을 예시한 요부 도면
도 4 는 본 고안에서 좌대를 제1연결대의 회전에 의해서만 이동시킨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
도 5a,5b는 본 고안에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좌대와 상판의 간격을 다르게 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판 110 : 중심선
200 : 식탁다리 210,410 : 힌지부
211,411 : 축핀 300 : 좌대
310 : 받침지주 320 : 접지구
400a,400b : 제1,2연결대 412 : 토션스프링
413 : 스톱퍼 500 : 지지봉
510 : 압축스프링 D1,D2 : 간격
본 고안은 의자 일체형 단체 급식용 식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좌대를 이동시켜 좌대와 식탁의 상판(이하 상판이라 칭함) 사이의 간격을 가깝게 또는 멀리 떨어지게 하더라도 좌대가 항시 동일한 중심선 내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의자 일체형 단체 급식용 식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탁은 식사용 탁자로 불리는 것으로서 식탁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상판의 모양, 다리의 모양, 생산지, 크기, 칠 재질등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된다.
상기의 식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이 있으며, 보통 4개 또는 그 이상의 다리가 설치되는데, 상기 다리는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주로 목재 식탁에서는 목재로 된 다리를 사용하며, 의자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단체급식소 즉, 학교나 회사와 같은 식당에서 이용되는 식탁은 동시에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것이므로 가정용 보다는 길이가 상당히 긴 식탁이 여러개 나열되어 있으며 의자 역시 여러개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식탁과 의자가 분리되어 있을 경우에는 식탁과 의자를 일일이 정돈하 기가 어려울뿐더러 효율적인 청소를 할수가 없어 종래에는 도1a,1b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대(40)의 일단은 식탁다리(20)에 연결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대(40)의 타단을 좌대(30)가 설치된 지지봉(도면중 미도시)에 설치하여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좌대(30)가 상판(10)저면에 위치되도록 하고, 사용하고자 할때에만 좌대(30)를 상판(10)보다 돌출시켜 사용한다.
따라서 좌대(30)를 인출할 경우에는 좌대(30)를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식탁다리(20)에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대(40)가 바깥쪽으로 회전됨에 따라 좌대(30)가 상판(10)밑에서 인출되는 것이고, 이와는 반대로 좌대(3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좌대(30)를 안쪽으로 밀어주면 연결대(40)가 안쪽으로 회전됨에 따라 좌대(30)가 상판(10)밑으로 들어가 돌출되지 않는 구조이나 이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1a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좌대(30)를 인출한 상태에서는 좌대(30)와 상판(10)사이에 간격(d1)이 벌어져 보통 체형을 가진 사용자가 좌대(30)에 앉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아무런 불편이 없이 식사를 할 수 있는 것이지만 체형이 큰 사람이 앉을 경우에는 현재의 간격(d1)만으로는 사용자가 불편하여 도 1b에서와 같이 좌대(30)를 바깥쪽으로 더 당겨서 좌대(30)와 상판(10)사이의 간격(d2)이 더 벌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좌대(30)에 앉더라도 불편함이 없는 것이다.
그러나 도 1a 에서와 같이 좌대(30)가 위치한 상태에서는 좌대(30)가 식탁의 중심선(11)을 벗어나지 않아 즉, 사용자와 음식물이 담긴 식기가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몸을 기울이지 않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음식 물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이나 도 1b에서와 같이 좌대(30)가 이동된 상태에서는 좌대(30)가 중심선(11)을 크게 벗어나 그러한 좌대(30)에 앉은 상태에서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몸을 기울이거나 팔을 더욱 멀리 뻗어주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음식물이 담긴 식기를 좌대(30)와 같은 선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이동시킬 수는 있으나 이는 식기가 너무 가장자리로 치우쳐 식사도중 식기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좌대와 상판 사이의 간격을 가깝게 또는 멀리 하더라도 좌대가 항시 동일한 중심선 내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의자 일체형 단체 급식용 식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에 좌대가 설치된 받침지주는 지지봉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의 접지구가 지면에서 떠 있는 상태가 되게 압축스프링으로 탄발시켜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은 연결대로 식탁다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좌대가 상판 밑에서 출입되는 의자 일체형 식탁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를 식탁다리의 힌지부에 축핀으로 일단이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1연결대 및 지지봉에 일단이 부착 고정되는 제2연결대로 분리시켜 구성하고, 상기 제1연결대와 제2연결대의 타단은 축핀으로 연결된 힌지부에 의해 접히거나 일자형으로 펼쳐지는 절첩식으로 설 치하여 상판과 좌대의 간격을 다르게 출입시켜도 좌대가 동일한 중심선 범위 내에 놓일 수 있도록 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식탁다리와 좌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를 제1연결대와 제2연결대로 나누어 구성하므로서 좌대를 인출하고자 상판 저면에 위치한 좌대를 바깥쪽으로 당기면 1차로 제1연결대가 회전됨에 따라 좌대가 인출되는 것이고, 이후 좌대를 다시 당기면 2차로 제2연결대가 회전되면서 좌대와 상판 사이의 간격이 더욱 벌어지면서도 좌대가 식탁의 중심선을 벗어나지 않으므로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이 실시된 의자 일체형 식탁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 구성을 예시한 요부 도면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서 좌대를 제1연결대의 회전에 의해서만 이동시킨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이고, 도 5a,5b는 본 고안에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좌대와 상판의 간격을 다르게 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부에 좌대(300)가 설치된 받침지주(310)는 지지봉(500)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의 접지구(320)가 지면에서 떠 있는 상태가 되게 압축스프링(510)으로 탄발시켜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500)은 연결대로 식탁 다리(200)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좌대(300)가 상판(100) 밑에서 출입되는 의자 일체형 식탁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를 식탁다리(200)의 힌지부(210)에 축핀(211)으로 일단이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1연결대(400a) 및 지지봉(500)에 일단이 부착 고정되는 제2연결대(400b)로 분리시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대(400a)와 제2연결대(400b)의 타단은 축핀(411)으로 연결된 힌지부(410)에 의해 접히거나 일자형으로 펼쳐지는 절첩식으로 설치하여 상판(100)과 좌대(300)의 간격(D1)(D2)을 다르게 출입시켜도 좌대(300)가 동일한 중심선(110) 범위 내에 놓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의자를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좌대(300)를 상판(100)저면에서 인출하여 사용하고, 의자를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좌대(300)를 상판(100)저면으로 들어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식탁과 의자의 정리정돈은 물론 청소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의 특징은 좌대(300)를 인출한후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좌대(300)와 상판(100) 사이의 간격(D1)(D2)을 가깝게 또는 멀어지도록 하여도 좌대(300)가 항시 동일한 중심선(110)내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 좌대(300)는 도 3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저면에 접지구(320)가 설치된 받침지주(310)가 받쳐주고, 상기 받침지주(310)는 압축스프링(510)이 내장된 지지봉(500)속에 삽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즉, 좌대(300)에 힘을 가하기 전에는 압축스프링(510)이 탄발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받침지주(310)의 저면에 설치된 접지 구(320)가 지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좌대(300)를 상판(100)밑에서 인출하거나 집어 넣을시 전혀 간섭을 주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가 좌대(300)에 앉게되면 받침지주(310)가 하향으로 내려가면서 접지구(320)가 지면에 접면되어 받침지주(310)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좌대(300)를 견고하게 받쳐주는 것인데, 이때 지지봉(500)내의 압축스프링(510)은 받침지주(310)에 의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좌대(300)에서 일어나게 되면 압축스프링(510)이 원상태로 탄발되면서 받침지주(310)를 밀어 올려 지면에 접면되어 있던 접지구(320)가 일정높이 올라가는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의자가 상판(100)저면에 위치되어 있을경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좌대(300)를 바깥쪽으로 당겨주면 상판(100)저면에 위치되어 있던 좌대(300)가 인출되는데 이는 도 4에서 예시된 바와같이 일단이 식탁다리(200)에 결합된 제1연결대(400a)가 바깥쪽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판(100)저면에 위치되어 있던 좌대(300)가 인출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1연결대(400a)와 제2연결대(400b)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연결대(400b)가 절첩될 수 있도록 축핀(411)이 연결된 힌지부(410)에는 토션스프링(412)이 설치되어 있고, 그 토션스프링(412)은 탄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므로 제2연결대(400b)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단순히 축핀(211)의해 식탁다리(200)에 결합된 제1연결대(400a)만이 회전되는 것이다.
이처럼 1차로 좌대(300)를 인출하면 도 5a에서와 같이 좌대(300)와 상판(100)사이에 간격(D1)이 벌어지는데 상기 간격(D1)은 보통 체형을 가진 사용자가 좌대(300)에 앉으면 별 불편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며, 상기 좌대(300)는 식탁의 중심선(110)을 벗어나지 않아 사용자가 좌대(300)에 앉아서 편안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섭취를 할수있다.
그리고 체형이 큰 사람이 좌대(300)를 이용할 경우에는 좌대(300)와 상판(100)과의 현재 간격(D1)만으로는 좁아서 즉, 뚱뚱한 사람이 좌대(300)에 앉게되면 사용자의 몸이 상판(100)에 밀착되어 음식물을 섭취하는데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이때에는 1차로 인출된 좌대(300)를 그대로 바깥쪽으로 더 당기게 되면 제1연결대(400a)와 결합된 제2연결대(400b)가 회전되면서 도 5b에서와 같이 제2연결대(400b)가 펴지면서 좌대(300)가 상판(100)에서 더 멀리 위치되어 좌대(300)와 상판(100)과의 간격(D2)이 더욱 벌어져 뚱뚱한 사용자가 좌대(300)에 앉더라도 불편함을 느끼지 못한다.
이때 제1연결대(400a)와 제2연결대(400b)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410)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12)은 제2연결대(400b)가 바깥쪽으로 회전됨에 따라 수축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본 고안은 좌대(300)와 상판(100) 사이의 간격(D2)이 더 벌어지도록 하여도 도 5b에서와 같이 좌대(300)가 도 5a에서와 같이 같은 중심선(110)상에 그대로 위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좌대(300)에 앉게되면 종전처럼 사용자의 몸이 한쪽으로 치우칠 우려가 없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대(400a)와 제2연결대(400b)의 힌지부(410)에는 스톱퍼 (413)가 설치되어 제2연결대(400b)가 완전히 펼쳐지더라도 제1연결대(400a)보다 더 젖혀질 우려가 없이 일자형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좌대(300)와 상판(100)과의 간격(D1)(D2)을 다르게 하여 사용하다가 좌대(3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좌대(300)에서 일어나면 수축되었던 토션스프링(412)이 탄발됨에 따라 제2연결대(400b)가 안쪽으로 회전되어 원상태의 위치로 돌아가는 것이며, 이후 좌대(300)를 상판(100)방향으로 밀어주면 이번에는 제1연결대(400a)가 회전되면서 좌대(300)는 상판(100)저면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좌대를 이동시켜 좌대와 상판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하더라도 좌대가 항시 동일한 중심선 범위내에 놓여질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를 유치한채 편안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상부에 좌대(300)가 설치된 받침지주(310)는 지지봉(500)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의 접지구(320)가 지면에서 떠 있는 상태가 되게 압축스프링(510)으로 탄발시켜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500)은 연결대로 식탁다리(200)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좌대(300)가 상판(100) 밑에서 출입되는 의자 일체형 식탁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를 식탁다리(200)의 힌지부(210)에 축핀(211)으로 일단이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1연결대(400a) 및 지지봉(500)에 일단이 부착 고정되는 제2연결대(400b)로 분리시켜 구성하고,
    상기 제1연결대(400a)와 제2연결대(400b)의 타단은 축핀(411)으로 연결된 힌지부(410)에 의해 접히거나 일자형으로 펼쳐지는 절첩식으로 설치하여
    상판(100)과 좌대(300)의 간격(D1)(D2)을 다르게 출입시켜도 좌대(300)가 동일한 중심선(110) 범위 내에 놓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단체 급식용 식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대(400a)와 제2연결대(400b)의 힌지부(410)에는,
    제1연결대(400a)와 제2연결대(400b)가 탄력적으로 접힌 상태에서 절첩될 수 있도록 토션스프링(41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단체 급식용 식탁.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대(400a)와 제2연결대(400b)의 힌지부(410)에는,
    일자형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톱퍼(41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단체 급식용 식탁.
KR2020060002046U 2006-01-23 2006-01-23 의자 일체형 단체급식용 식탁 KR200415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046U KR200415058Y1 (ko) 2006-01-23 2006-01-23 의자 일체형 단체급식용 식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046U KR200415058Y1 (ko) 2006-01-23 2006-01-23 의자 일체형 단체급식용 식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058Y1 true KR200415058Y1 (ko) 2006-04-28

Family

ID=4176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046U KR200415058Y1 (ko) 2006-01-23 2006-01-23 의자 일체형 단체급식용 식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0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21B1 (ko) * 2015-03-05 2015-08-06 영남강철 주식회사 의자 지지봉이 없는 일체형 테이블
KR102147942B1 (ko) * 2019-12-30 2020-08-25 (주) 파트라 오토리턴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21B1 (ko) * 2015-03-05 2015-08-06 영남강철 주식회사 의자 지지봉이 없는 일체형 테이블
KR102147942B1 (ko) * 2019-12-30 2020-08-25 (주) 파트라 오토리턴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158050U (zh) 多功能椅
KR200417322Y1 (ko) 등받이를 갖는 절첩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WO2020082850A1 (zh) 一种便携式伸缩凳
CN106510249B (zh) 一种三位一体的床、椅、桌组合体
CN206964348U (zh) 一种便于收纳的折叠桌
US11412848B2 (en) Table with swingable stools
KR200415058Y1 (ko) 의자 일체형 단체급식용 식탁
KR20180023712A (ko) 야외용 일체형 원목 테이블
CN212036519U (zh) 一种桌子
CN208540927U (zh) 三腿马折叠桌椅
CN214340881U (zh) 桌子
KR20120002824U (ko) 좌우 회동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의자 팔걸이
KR200413852Y1 (ko) 수강용 책상
KR101099208B1 (ko) 테이블 겸용 평상
CN205234019U (zh) 一种带简易书桌的多功能床
CN213188629U (zh) 一种户外便携式组合餐桌
JP3056914U (ja) 活動式マウス・ボード搭載事務用チェア
KR101396400B1 (ko) 탁상이 구비된 침대프레임 구조
CN211298870U (zh) 一种可伸缩式儿童安全型两用茶几
CN210581546U (zh) 折叠桌
CN209499178U (zh) 一种多功能座椅
CN208808312U (zh) 折叠浴桶
CN212260942U (zh) 一种折叠结构及陪护椅
CN216776420U (zh) 床用置物旋转桌
KR102558183B1 (ko) 연결시트가 구비된 바디 필로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