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984Y1 - Ore assort apparatus - Google Patents

Ore assor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984Y1
KR200414984Y1 KR2020060003503U KR20060003503U KR200414984Y1 KR 200414984 Y1 KR200414984 Y1 KR 200414984Y1 KR 2020060003503 U KR2020060003503 U KR 2020060003503U KR 20060003503 U KR20060003503 U KR 20060003503U KR 200414984 Y1 KR200414984 Y1 KR 200414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ubber screen
sorting
frame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50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인란
Original Assignee
송인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란 filed Critical 송인란
Priority to KR2020060003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98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98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Abstract

본 고안은 광석 선별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판면에는 수직으로 관통시킨 선별홀(2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양측의 프레임(10) 사이에서 선별 물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는 러버 스크린(20)과; 상기 프레임(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러버 스크린(20)의 양 단부에 형성한 걸림쇠(22)가 걸려지도록 하면서 상기 러버 스크린(20)을 일정한 인장력에 의해서 잡아 당겨 고정하는 고정 수단(30)과; 상기 러버 스크린(2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수단(40); 상기 서포트 수단(40)은 상기 양측의 프레임(10)간을 수평 연결하는 빔 지지용 바(4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포트 빔(42)을 형성하면서 상기 빔 지지용 바(41)에서 상기 서포트 빔(42)간의 간격이 300~600㎜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러버 스크린(20)에서의 개공율과 탄성력을 최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선별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e sorting device,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sorting holes (21) vertically penetrated in the plate surface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between the frame 10 of both side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of the sorting object A rubber screen 20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Fixing means 30 for pulling and fixing the rubber screen 20 by a constant tensile force while engaging the latches 22 formed at both ends of the rubber screen 20 on opposite sides of the frame 10. )and; Support means (40) provided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rubber screen (20); The support means 40 forms the support beam 42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eam support bar 41 that horizontally connects the frames 10 on both sides, and the support means at the beam support bar 41. The spacing between the beams 42 is 300 to 600 mm, so that the porosity and elastic force in the rubber screen 20 can be optimally maintained to maximize the sorting efficiency.

광석 선별, 러버 스크린, 서포트 빔, 개공율 Ore sorting, rubber screen, support beam, porosity

Description

광석 선별 장치{Ore assort apparatus}Ore assort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석 선별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or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러버 스크린을 예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ubber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고정 수단을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된 상태의 일부 확대 정단면도.Figure 5 is an enlarged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프레임10: frame

20 : 러버 스크린20: rubber screen

21 : 선별홀21: screening hole

30 : 고정 수단30: fixing means

31 : 브라켓트31: Bracket

32 : 조임쇠32: fastener

33 : 조임 볼트33: tightening bolt

40 : 서포트 수단40: support means

42 : 서포트 빔42: support beam

50 : 서포트 플레이트 50: support plate

본 고안은 광석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 타입의 러버 스크린을 일정한 간격에서 지지하도록 하는 광석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e sor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e sorting device to support a tension-type rubber screen at regular intervals.

일반적으로 광석 선별 장치는 광산이나 건설현장 및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다양한 크기의 선별 물체들을 필요로 하는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이다.In general, the ore sorting device is a facility that can sort the sorting objects of various sizes by the size required in the mine, construction site, and waste treatment plant.

광석 선별 장치는 다수의 러버 스크린을 연결하면서 이들 러버 스크린들을 다수의 빔들에 의해서 지지하고, 양측 단부는 프레임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구비된다.The ore sorting device supports the rubber screens by a plurality of beams whil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rubber screens, and is provided in a configuration in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frame.

인장형의 러버 스크린은 통상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서 양단부가 양측의 프레임에 일정한 장력으로 고정되는 방식에 의해 구비되며, 이때 프레임 사이에서 선별 물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다수의 러버 스크린이 연속해서 배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Tensile rubber screens are usually provided by a method in which both ends are fixed at a constant tension between the frames on both sides, and a plurality of rubber screens ar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election object between the frames. To be done.

또한 양측의 프레임과 이들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러버 스크린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러버 스크린의 상부에서 선별 물체들이 낙하되게 하면 상측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선별 물체들이 하향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rames on both sides and the rubber screen provided between the frames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sorting objects fall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when the sorting objects fall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ubber screen.

특히 러버 스크린은 고무 등과 같이 그 자체적으로도 일정한 탄력을 갖는 재질로서 구비하기도 하며, 또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면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 선별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하고, 이 러버 스크린의 양측 단부는 금속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걸림쇠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rubber screen may be provided as a material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itself, such as rubber, and the screening holes that vertically penetrate through the plate surfac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both ends of the rubber screen The clasps made of metal are integrally coupled.

러버 스크린에 형성되는 선별홀은 선별하고자 하는 선별 물체의 크기에 따라서 홀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하다.The sorting hole formed in the rubber screen varies in hole size and shap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orting object to be sorted.

그리고 러버 스크린에 결합되는 걸림쇠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휘어지는 형상이며, 걸림쇠는 조임쇠와 조임 볼트에 의해서 프레임측으로 인장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러버 스크린은 이런 장력으로 인해 항상 일정한 탄성을 갖게 된다.And the clasp coupled to the rubber screen is a shape that is bent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because the clasp is tensioned to the frame side by the fastener and the fastening bolt, the rubber screen will always have a constant elasticity due to this tension.

따라서 프레임의 상측에서 선별 물체를 러버 스크린에 공급하게 되면 선별 물체들은 경사진 형상으로 연속 배열된 러버 스크린을 따라서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하는 선별 물체들은 러버 스크린에 형성한 선별홀을 통해 선별홀보다는 작은 선별 물체들이 낙하하면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sorting object is supplied to the rubber screen at the upper side of the frame, the sorting objects move downward along the rubber screen arranged in an inclined shape, and the sorting objects are moved through the sorting hole formed in the rubber screen. Rather than allowing small sorting objects to fall off, sorting is done.

하지만 프레임에서 일정한 인장력을 가지며 설치되는 러버 스크린은 그 저부에서 서포트 빔의 상단부에 얹혀지게 하여 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때 서포트 빔의 간격이 지나치게 가까우면 지지하는 부위가 많아지면서 러버 스크린의 선별홀이 막히는 부분이 많아지게 되므로 결국 러버 스크린의 개공율이 저하되면서 선별 효율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다.However, the rubber screen installed with a constant tensile force in the frame is supported by being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eam at the bottom thereof. Since there are many parts, the end of the rubber screen has a lower porosity, resulting in a poor screening efficiency.

이와는 반대로 서포트 빔간 간격이 지나치게 넓게 형성되면 러버 스크린의 탄성 변형 정도가 커지면서 선별 물체들이 러버 스크린에서 튀는 정도가 커지게 되므로 러버 스크린을 벗어나 프레임의 외측으로 선별 물체들이 튀어 나가게 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beams is too wide, the elastic deformation degree of the rubber screen is increased and the degree of the splashing of the sorting objects on the rubber screen is increased, so that the sorting objects stick out of the rubber screen and out of the frame.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 사이에서 러버 스크린의 저면이 일정한 간격에서 지지되게 함으로써 선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광석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e sorting device that can maximize the sorting efficiency by allowing the bottom of the rubber screen to be supported at a constant interval between frames. It is.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러버 스크린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러버 스크린의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광석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e sorting device that allows the rubber screen to be firmly supported while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rubber scree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판면에는 수직으로 관통시킨 선별홀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서 선별 물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는 러버 스크린과; 상기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러버 스크린의 양 단부에 형성한 걸림쇠가 걸려지도록 하면서 상기 러버 스크린을 일정한 인장력에 의해서 잡아 당겨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상기 러버 스크린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수단; 상기 서포트 수단은 상기 양측의 프레임에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하여 일정한 간격마다 수평 연결되게 한 빔 지지용 바와, 상기 빔 지지용 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빔 지지용 바의 상부에서 300~600㎜ 간격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서포트 빔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rubber screen that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vertically penetrating screening hole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plate surface, and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creening object between the frames on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Fixing means for pulling and fixing the rubber screen by a constant tensile force while engaging the latch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ubber screen on opposite sides of the frame; Support means provided to support a bottom of the rubber screen; The support means is fixed at 300 to 600 mm intervals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support ba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eam support bar and the beam support bar to be horizontally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both ends are fixed to the frame on both sides The support beam is configured to be mad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석 선별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or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광석 선별 장치는 크게 프레임(10)과 러버 스크린(20)와 고정 수단(30)과 서포트 수단(4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ore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rame 10, a rubber screen 20, a fixing means 30, and a support means 40.

프레임(10)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양측에서 소정의 경사각으로 구비되는 수직의 판재이다.The frame 10 is a vertical plat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both sides with a constant interval.

프레임(10)은 상단부가 통상 선별 물체가 공급되는 부위의 직하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또한 선별 물체들이 외부로 튀어 나가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The frame 10 is positioned so that the upper end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portion where the sorting object is normally supplied, and also serves as a guide to prevent the sorting object from protruding to the outside.

러버 스크린(20)은 평판의 판면에 선별홀(21)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고, 양측의 단부에는 걸림쇠(22)가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rubber screen 20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selection holes 21 are formed in the plate surface of the flat plate, and the latches 22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lat plate.

도 2는 본 고안의 러버 스크린을 예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ubbe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러버 스크린(20)은 양측의 프레임(10) 사이에 구비되므로 러버 스크린(20)의 길이는 양측의 프레임(10)간 간격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대개는 1500~3000㎜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Since the rubber screen 20 is provided between the frames 10 on both sides, the length of the rubber screen 20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rames 10 on both sides, and is generally formed to be 1500 to 3000 mm.

이와 같이 러버 스크린(20)에는 판면을 일정 간격으로 수직 관통시켜 다수의 선별홀(21)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들 선별홀(21)은 일정한 패턴을 갖고 배열되도록 하며, 선별홀(21)의 형상이나 크기는 선별하고자 하는 선별 물체에 따라서 각기 다양하게 형성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ubber screen 20 vertically penetrates the plate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a plurality of sorting holes 21 are formed, and these sorting holes 21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 shape of the sorting hole 21. However, the size may vary depending on the sorting object to be sorted.

러버 스크린(20)의 걸림쇠(22)는 일정한 높이로 상향 연장되게 하면서 안쪽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구비된다.The latch 22 of the rubber screen 20 is provided in a shape that is bent inward while extending upward to a predetermined height.

이때 러버 스크린(20)은 통상 폴리우레탄이나 고무를 주로 사용하며, 걸림쇠(22)는 보다 견고한 재질은 금속 재질로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러버 스크린(20)의 양측 단부에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rubber screen 20 usually uses polyurethane or rubber, and the clasp 22 is made of a more rigid material to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be firmly coupled at both ends of the rubber screen 20.

고정 수단(30)은 양측의 프레임(10)에서 러버 스크린(2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쇠(22)를 일정한 압력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fixing means 30 is configured to fix the latch 22 formed at both ends of the rubber screen 20 at both sides of the frame 10 at a constant pressure.

도 3은 본 고안의 고정 수단을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런 고정 수단(30)은 브라켓트(31)와 조임쇠(32) 및 조임 볼트(33)로서 이루어지며, 이들 브라켓트(31)와 조임쇠(32)는 양측의 프레임(10)에서 레일 형상으로 구비되고, 특히 브라켓트(31)는 프레임(10)에 용접 등에 의해서 견고하게 부착되는 구성으로 구비하고, 조임쇠(32)는 조임 볼트(33)에 의해서 프레임(1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구비되도록 한다.This fixing means 30 is made of a bracket 31 and fasteners 32 and fastening bolts 33, these brackets 31 and fasteners 32 are provided in a rail shape in the frame 10 on both sides, In particular, the bracket 31 is provided in a configuration that is firmly attached to the frame 10 by welding, etc., the fastener 32 is to be provided in a configuration that is coupled to the frame 10 by the fastening bolt 33.

즉 브라켓트(3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프레임(10)에 용접 등에 의해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면서 러버 스크린(20)의 단부가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안치면(31a)을 형성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That is, the bracket 31 is provided with a shape such that one end is firmly coupled to the frame 10 by welding or the like, and forms an end surface 31a for placing the end portion of the rubber screen 20 as shown. do.

따라서 브라켓트(31)는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으로의 결합면과 함께 러버 스크린(20)의 안치면(31a)을 반드시 갖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게 할 수도 있고, "ㄷ"자 형상 또는 "Π"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bracket 31 may be provided in a "-" shape having a settling surface 31a of the rubber screen 20 together with the coupling surface to the frame 10 as shown, or "c" It may also be formed in the shape or "Π" shape.

조임쇠(32)는 브라켓트(31)보다는 상부에 구비되면서 하단부는 러버 스크린(20)의 걸림쇠(22)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단부는 프레임(10)에 밀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Fastener 32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than the bracket 31 while the low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atch 22 of the rubber screen 20, the upper end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10.

그리고 조임 볼트(33)는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걸림쇠(22)와 프레임(10)에 밀착되는 조임쇠(32)의 이들 중간 부위를 프레임(10)과 연결하여 프레임(10)측으로 걸림쇠(22)가 당겨지도록 하는 구성이다.And the fastening bolt 33 is connected to the frame 10 by connecting these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fastener 32 which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er 22 and the frame 10, respectively, the fastener 22 toward the frame 10 side. It is a configuration to be pulled.

이때의 조임 볼트(33)는 일단부의 헤드부(33a)와 로드부(33b)로서 이루어지고, 로드부(33b)의 단부에는 나선을 형성하며, 이 나선을 형성한 로드부(33b)에는 너트(33c)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tightening bolt 33 is constituted by the head portion 33a and the rod portion 33b of one end portion, and forms a helix at the end of the rod portion 33b, and a nut is formed on the rod portion 33b which forms the spiral. 33c is configured to be coupled.

따라서 조임 볼트(33)는 로드부(33b)가 프레임(10)과 조임쇠(32)를 관통하도록 하면서 일단은 헤드부(33a)가 지지하고, 타단에 결합되는 너트(33c)에 의해 프레임(10)과 조임쇠(32)간 간극을 조여지도록 한다.Therefore, the fastening bolt 33 is the frame 10 by the nut 33c which is supported by the head portion 33a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while allowing the rod portion 33b to penetrate the frame 10 and the fastener 32. ) And tighten the gap between the fasteners (32).

한편 고정 수단(30)이 러버 스크린(20)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도록 하는데 비해 서포트 수단(40)은 러버 스크린(20)의 저부를 지지하도록 구비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means 4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rubber screen 20 while the fixing means 30 fixes both ends of the rubber screen 20.

즉 도 4에서와 같이 서포트 수단(40)은 러버 스크린(20)의 저부에서 양측의 프레임(10)에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면서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빔 지지용 바(41)와, 이 빔 지지용 바(41)의 상부에서 빔 지지용 바(4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얹혀져 고정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서포트 빔(4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means 40 includes a beam support bar 41 which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while fixing both ends of the frame 10 on both sides at the bottom of the rubber screen 20, and the beam support. It is the structure which consists of the support beam 42 provided in the shape which is mount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eam support bar 41 at the upper part of the dragon bar 41, and is fixed.

이러한 서포트 수단(40)에서 빔 지지용 바(41)는 고정 수단(30)의 브라켓트(31) 하부측의 양측 프레임(10)에 양단부가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구비되는 구성이다.In the support means 40, the beam support bar 41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firmly fixed to both frame 10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31 of the fixing means 30, respectively.

또한 서포트 빔(42)은 길이가 러버 스크린(2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금속 재질로서 구비되도록 하여 서포트 빔(42)의 하단부가 빔 지지용 바(41)에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beam 42 preferably has a length equal to the width of the rubber screen 20. In particular, the support beam 42 is provided as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eam 42 is welded to the beam support bar 41. To be fixed by the back.

서포트 빔(42)은 도시한 바와 같이 "ㄱ"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른 "T"형 또는 "I"자형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The support beam 42 may be formed in a "a" shape as shown, or may be variously formed, such as a "T" or "I" shape.

이때 서포트 빔(42)의 상부에는 버퍼 스트립이나 완충 고무가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eam 42 may be provided with a buffer strip or a buffer rubber.

한편 서포트 수단(40)에서 빔 지지용 바(41)에 고정되는 서포트 빔(42)의 높이는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형성되도록 한다.Meanwhile, the heights of the support beams 42 fixed to the beam support bar 41 in the support means 40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ixed positions.

다시 말해 도 1에서와 같이 서포트 빔(42)의 높이는 러버 스크린(20)의 중간 부분이 상향 만곡지도록 하면서 양측으로는 완만하게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1, the height of the support beam 42 is provided so that the middle portion of the rubber screen 20 is curved upward while being gently inclined downward on both sides.

상기의 구성에서 본 고안은 러버 스크린(20)을 저면에서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수단(40)의 서포트 빔(42)간 간격을 300~600㎜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 preferably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eams 42 of the support means 40 provided to support the rubber screen 20 at the bottom is 300 to 600 mm.

특히 본 고안의 러버 스크린(20)은 도 5에서와 같이 서포트 빔(42)과 동일한 수직선상의 상부면에 서포트 빔(42)과 볼트 체결 등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서포 트 플레이트(50)에 의해 지지되게 할 수가 있다.In particular, the rubber scree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50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beam 42 and the bolt to the upper surface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support beam 42 as shown in FIG. You can do it.

따라서 서포트 플레이트(50)는 마모에 강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 서포트 플레이트(50)간 간격 또한 서포트 빔(42)과 동일하게 300~600㎜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support plate 5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resistant to abrasion, and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plates 50 is also formed to be 300 to 600 mm in the same manner as the support beam 42.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광석 선별 장치는 양측의 프레임(10) 사이에서 러버 스크린(20)을 서포트 수단(40)의 서포트 빔(42)에 의해서 저면이 지지되도록 하면서 양측의 단부는 프레임(10)측의 브라켓트(31)에 안치되도록 한다.The ore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rubber screen 20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beam 42 of the support means 40 between the frame 10 on both sides, while the ends of both sides are supported by the frame 10. It is settled in bracket 31 of the side.

브라켓트(31)에 안치되는 러버 스크린(20)의 양측 단부에는 걸림쇠(22)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 걸림쇠(22)의 내측면이 이미 조임 볼트(33)에 의해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있는 조임쇠(32)의 하단부와 접촉되도록 한다.Since both ends of the rubber screen 20 placed in the bracket 31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inner surface of the clasp 22 is already coupled to the frame 10 by the fastening bolt 33.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astener 32.

이때 조임쇠(32)는 조임 볼트(33)가 헐겁게 한 상태에서 걸림쇠(22)의 내측면에 하단부가 접촉되도록 하는 동시에 조임 볼트(33)를 조작하여 조임쇠(32)의 상단부가 프레임(10)에 접촉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러한 걸림쇠(22)와 프레임(10)과의 접촉 압력을 점차 높이면서 러버 스크린(20)을 양측으로 잡아 당기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astener 32 allows the lower en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lamp 22 while the tightening bolt 33 is loose,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end of the fastener 32 is operated on the frame 10 by operating the fastening bolt 33. At the same time, the rubber screen 20 is pulled to both sides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latch 22 and the frame 10.

이렇게 저면으로는 서포트 수단(40)에 의해서 지지되고, 양측 단부는 고정 수단(30)에 의해서 일정한 인장력을 갖도록 러버 스크린(20)을 구비하게 되면 러버 스크린(20)은 항상 일정한 탄력을 갖는 상태가 되므로 선별 물체들이 이 러버 스크린(20)을 이동하게 될 때 미세한 탄력을 받게 되므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다.When the bottom surfac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40 and both ends are provided with the rubber screen 20 to have a constant tensile force by the fixing means 30, the rubber screen 20 is always in a state of constant elasticity. Therefore, when the selection objects are moved to the rubber screen 20, the fine elasticity can be smoothly moved.

특히 본 고안의 러버 스크린(20)은 서포트 빔(42) 및 서포트 플레이트(50)에 의해서 약 300~600㎜의 간격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개공율 즉 러버 스크린 (20)을 지지하게 되는 구성들에 의한 러버 스크린(20)에서의 선별홀(21)을 막는 비율을 최소화하게 되므로 보다 많은 선별 물체들을 선별할 수가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rubber scree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eam 42 and the support plate 50 at intervals of about 300 to 600 mm, so that the opening ratio, that is, the components that support the rubber screen 20 Since the ratio of blocking the sorting hole 21 in the rubber screen 20 is minimized, more sorting objects can be sorted.

즉 러버 스크린(20)을 지지하는 서포트 빔(42)간 간격 및 서포트 플레이트(50)간 간격이 너무 좁아지게 되면 그만큼 선별홀(21)의 막히는 비율이 커지게 되므로 선별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eams 42 supporting the rubber screen 2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lates 50 become too narrow, the blocking ratio of the selection holes 21 increases, so that the screening efficiency decreases.

반면 이들 간격이 너무 넓게 되면 러버 스크린(20)에서의 탄성력이 커지면서 선별 물체들이 이동하는 중에 프레임(10) 외부로 튀어나가게 되는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pacing is too wide, the elastic force in the rubber screen 20 increases, which may cause a phenomenon that the sorting objects stick out of the frame 10 while moving.

따라서 본 고안에서와 같이 서포트 빔(42)간 간격 및 서포트 플레이트(50)간 간격을 300~600㎜로 유지하게 되면 선별 물체가 일정 시간 동안 선별홀(21)을 통과하면서 필요로 하는 크기로 선별되는 양이 많게 되므로 선별 효율을 극대화할 수가 있게 된다.Therefore, if the interval between the support beam 42 and the support plate 50 is maintained at 300 ~ 600mm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rting object is sorted to the required size while passing through the sorting hole 21 for a predetermined time. Since the amount is increased, the sorting efficiency can be maximiz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양측 단부를 인장력에 의해서 지지하여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러버 스크린(20)을 저면 및 상부면에서 서포트 빔(42) 및 서포트 플레이트(50)에 의해 동일 수직선상에서 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들 서프트 빔(42)간 간격 및 서포트 플레이트(50)간 간격을 항상 300~600㎜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러버 스크린(20)을 이용한 선별홀(21)의 개공율을 최적화하여 선별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both ends by a tension force to maintain a constant tension so that the rubber screen 20 is supported on the same vertical line by the support beam 42 and the support plate 50 at the bottom and the top surface. At the same time,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beams 42 and the support plate 50 is always maintained at 300 to 600 mm, thereby optimizing the porosity of the sorting hole 21 using the rubber screen 20 to improve the sorting efficiency. There is an advantage to maximize.

Claims (3)

판면에는 수직으로 관통시킨 선별홀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서 선별 물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는 러버 스크린과; A plurality of sorting holes vertically penetrated at the plate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a rubber screen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orting object between the frames on both side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상기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러버 스크린의 양 단부에 형성한 걸림쇠가 걸려지도록 하면서 상기 러버 스크린을 일정한 인장력에 의해서 잡아 당겨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Fixing means for pulling and fixing the rubber screen by a constant tensile force while engaging the latch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ubber screen on opposite sides of the frame; 상기 러버 스크린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수단과; Support means provided to support a bottom of the rubber screen; 상기 서포트 수단은,The support means, 상기 양측의 프레임에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하여 일정한 간격마다 수평 연결되게 한 빔 지지용 바와, 상기 빔 지지용 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빔 지지용 바의 상부에서 300~600㎜ 간격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서포트 빔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석 선별 장치.A beam supporting bar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frames on both sides to be horizontally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support beam fixed at an interval of 300 to 600 mm at an upper portion of the beam supporting ba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eam supporting bar. Ore sorting device to be made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스크린의 상기 서포트 빔과 동일 수직선상의 상부면에는 서포트 플레이트가 결합되도록 하는 광석 선별 장치.The ore sort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support plate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rubber screen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bea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서포트 빔과 볼트 체결에 의해서 결합되는 광석 선별 장치.The ore sorting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plate is coupled to the support beam by bolting.
KR2020060003503U 2006-02-08 2006-02-08 Ore assort apparatus KR20041498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503U KR200414984Y1 (en) 2006-02-08 2006-02-08 Ore assor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503U KR200414984Y1 (en) 2006-02-08 2006-02-08 Ore assor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984Y1 true KR200414984Y1 (en) 2006-04-26

Family

ID=4176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503U KR200414984Y1 (en) 2006-02-08 2006-02-08 Ore assor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98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3924B (en) Adapter arrangement
US20180141086A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screening
US6513665B1 (en) Screen mounting system
US8286799B2 (en) Supporting structure and a support carrier
KR20150086498A (en) Snap fit fixing system for screen panels
US20080264833A1 (en) Screening Module
AU668667B1 (en) Center retainer assembly for panel mounting system
KR200414984Y1 (en) Ore assort apparatus
USRE40217E1 (en) System for securing composite gratings to structural members
KR200218203Y1 (en) Ore assort apparatus
RU2664082C1 (en) Support for tensioned screening device
KR100847675B1 (en) Tex hanger for light weight steel frame
CN216460070U (en) String screen suitable for wet raw coal dry-method deep screening
KR20050034751A (en) Sieving device having beating elements
KR200441646Y1 (en) Screen for assorting
US6811033B1 (en) Fastening device for screening panels
KR200493923Y1 (en)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for tent
EP1441085A1 (en) Facade cladding system
WO2011054455A2 (en) Screening machine
DE202013008780U1 (en) Spannwellensiebvorrichtung
KR20020021693A (en) Ore assort apparatus
SU825186A1 (en) Sieve
KR200178202Y1 (en) The support of a reinforcing bar
CN215800704U (en) Inspection pit backing plate structure
CN217474024U (en) Polyurethane cantilever bar and sieve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