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589Y1 - Earset port converting apparu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Earset port converting apparu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589Y1
KR200413589Y1 KR2020060002168U KR20060002168U KR200413589Y1 KR 200413589 Y1 KR200413589 Y1 KR 200413589Y1 KR 2020060002168 U KR2020060002168 U KR 2020060002168U KR 20060002168 U KR20060002168 U KR 20060002168U KR 200413589 Y1 KR200413589 Y1 KR 200413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earset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1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현욱
Original Assignee
강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욱 filed Critical 강현욱
Priority to KR2020060002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58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58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느 회사, 어느 제품의 이어셋이라도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 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서 슬림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화 모드 또는 음향 감상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used by any company and any product's earset, and can be used slim without using much space when u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elect and use a call mode or a sound listening mode.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 본체의 내부로부터 한쪽에 돌출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측에 형성된 단말기 단자에 접속 또는 분리가 가능한 잭; 및 본체의 다른 쪽에 형성되고 본체의 내부에서 잭이 단말기 단자에 접속 또는 분리되는 동작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잭에 연결되며 이어셋의 잭이 접속 또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단자;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 jack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being connected or disconnected to a terminal terminal formed at an oute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ain body terminal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jack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eration direction in which the jack is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terminal terminal in the main body, and the jack of the earset is connected or detachable. It provides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이동통신 단말기, 단말기 단자, 이어셋 단자 변환기, 잭 Mobile terminal, terminal terminal, earset terminal converter, jack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EARSET PORT CONVERTING APPARU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mobile terminal {EARSET PORT CONVERTING APPARU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의 사시도이다.1 to 3 are perspective views of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의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S. 1 and 2.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의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의 스위칭 수단의 동작 파형도이다.6 is an operational waveform diagram of a switching means of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본체 20a; 둥근 형상의 잭10; Body 20a; Round shaped jack

20b; 사각 형상의 잭 30; 본체 단자20b; Square jack 30; Body terminal

40; 스위칭 수단40; Switching means

100a, 100b, 100c;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 100b, 100c;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Mobile Terminals

200; 이동통신 단말기 210; 단말기 단자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Terminal

220; 제어부 300; 이어셋220; A controller 300; Ear set

310; 이어셋 잭 t1; 짧은 스위칭 동작시간310; Earset jack t1; Short switching operation time

t2: 긴 스위칭 동작시간t2: long switching operation time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느 회사, 어느 제품의 이어셋이라도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 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서 슬림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화 모드 또는 음향 감상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used by any company and any product's earset, and can be used slim without using much space when u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elect and use a call mode or a sound listening mode.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형화와 경량화 및 저렴한 가격에 따라 개인의 필수 휴대품으로써 자리를 잡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에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목걸이형 이어셋이 개발되어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으로서 취급하지 않고 목에 매단 상태에서 핸즈 프리(Hands Free)의 상태로 통화를 할 수 있어 운전중이나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도 간편하게 통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cent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come a mandatory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and low price, and as the necklace-type earset is developed and distribu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convenience i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make a call in a hands-free state in the state of hanging from the neck without hand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hand,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all can be easily made while driving or performing other tasks.

그런데,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어셋은 제작하는 회사마다, 또 제품마다 이어셋의 연결단자가 각기 다르게 출시되고 있다.However, at present, mobile terminals and earsets have different connection terminals of earsets for each company and product.

즉, 이어셋 단자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성되기도 하고 3극, 4극, 10극 등 그 규격이 달라 호환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arset terminal is composed of a circle or a square,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three poles, four poles, ten poles, etc. are different and are not compatible.

이는 최근 출시되고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CDMA)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쓰이는 이어셋 또한 마찬가지여서 소비자들은 이어셋을 분실하거나 신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입할 때 어쩔 수 없이 비싼 비용을 들여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맞는 새로운 이어셋을 구매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This is also true for earsets used in Bluetooth mobile terminal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mobile terminals, including the recently launche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re was a problem inevitably expensive to buy a new earset for their mobile terminal.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쪽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측에 형성된 단말기 단자, 즉 이어셋 단자에 장착되는 잭과 다른 쪽에는 범용으로 사용되는 이어셋 잭이 장착되게 되는 이어셋 장착 단자로 구성된 이어셋 단자 변환기가 출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including a terminal terminal formed on the outsi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a jack mounted on an earset terminal and an earset mounting terminal on which the earset jack used for general purpose is mounted, has been released. .

그러나 이와 같은 이어셋 단자 변환기는 잭과 이어셋 장착 단자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어셋 단자 변환기와 이어셋 잭을 장착하게 되면 그 폭이 너무 넓어지게 되어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ha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 jack and the earset mounting terminal is located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width is too wide when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and the earset jack is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종래 이어셋 단자 변환기는 단순히 범용으로 사용되는 이어셋과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뿐이어서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넣어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 감상 등을 하고 있던 중 전화를 걸거나 받고자 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를 다시 꺼내서 통화 모드로 변경한 다음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조작까지의 시간의 소요에 의해 호 접속 요구에 대한 착신호가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arset terminal converter merely serves to connect a universally used earset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a user wants to make or receive a phone call while listening to music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d in a bag or pocke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as taken out again, changed to the call mode, and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as operated, and the incoming call to the call connection request was disconnected by the time required for the operation.

본 고안의 목적은 어느 회사, 어느 제품의 이어셋을 사용하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어셋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used by mounting the earse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ardless of which company or produc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어셋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됨으로써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슬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used slim without taking up a lot of space by being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모드 또는 음향 감상 모드를 선택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select and use a call mode or a sound listening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한쪽에 돌출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측에 형성된 단말기 단자에 접속 또는 분리가 가능한 잭; 및 상기 본체의 다른 쪽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잭이 상기 단말기 단자에 접속 또는 분리되는 동작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상기 잭에 연결되며 이어셋의 잭이 접속 또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단자;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jack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being connected or disconnected to a terminal terminal formed at an oute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ain body terminal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terminal being connected to the jack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eration direction in which the jack is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terminal terminal, and the jack of the ear set being connectable or detachable; It provides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이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칭 수단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is,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witching means electrically switched to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때, 상기 스위칭 수단이 긴 시간 동작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이동통 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 또는 음향 감상 모드로 변환되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 감상 모드일 경우 상기 스위칭 수단이 짧은 시간 동작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감상 모드를 실행 또는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witching means are operated for a long time, the control unit conver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 call mode or an audio listening mode, and when the switching means is operated in the audio listening mode, when the switching means is operated for a short time.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or stop the sound listening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se drawing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의 사시도이다.1 to 3 are perspective views of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 100b)는 본체(10)와 잭(20a, 20b) 및 본체 단자(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a, 100b)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10 and jacks (20a, 20b) and the main body terminal It consists of 30.

본체(10)는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 100b)의 몸체를 구성하게 되고, 사용시 편의성을 위해 무게가 가벼운 재질, 예를 들어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하게 된다.The main body 10 constitutes the body of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s 100a and 100b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made of a light weight material,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for convenience of use. It is formed as.

잭(20a, 20b)은 전술한 본체(10)의 내부로부터 한쪽에 돌출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도 4의 200)의 외측에 형성된 단말기 단자(도 4의 210), 즉 이어셋 단자에 접속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jacks 20a and 20b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s described above and are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a terminal terminal 210 of FIG. 4, that is, an earset terminal formed out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f FIG. 4. It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이러한 잭(20a, 20b)은 단면이 원형(20a) 또는 사각 형상(20b)인 것으로 형성되어 현재 제조 회사마다 다르게 출시되고 있는 단말기 단자(도 4의 210)에 맞도록 구성하게 된다.The jacks 20a and 20b are formed to have a circular shape 20a or a square shape 20b so as to fit the terminal terminals 210 of FIG.

본체 단자(30)는 한쪽에 잭(20a, 20b)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의 다른 쪽에 형성되게 되는데, 본체(10)의 내부에서 잭(20a, 20b)이 단말기 단자(도 4의 210)에 접속 또는 분리되는 동작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즉 잭(20a, 20b)과 본체 단자(30)가 연결된 상태를 외부에서 보았을 때 "ㄱ" 자 형상으로 잭(20a, 20b)에 연결되며, 범용으로 사용되는 이어셋(도 4의 300)의 잭(도 4의 310)이 접속 또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main body terminal 3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in which the jacks 20a and 20b are formed on one side, and in the main body 10, the jacks 20a and 20b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terminals 210 of FIG. ) Is connected to the jacks 20a and 20b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m, i.e., a "a" shap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when the jacks 20a and 20b and the main body terminal 30 are connected. , The jack (310 of FIG. 4) of the ear set (300 of FIG. 4) used for general purpose is formed to be connectable or detachabl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c)에는 스위칭 수단(40)이 더 포함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형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같은 도면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c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witching means 40. In this case,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having the same shape.

스위칭 수단(40)은 누름 스위치나 텀블러 스위치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위칭 수단(40)이 온/오프 동작 됨에 따라 본체(10)의 한쪽에 형성된 잭(20a)과 다른 쪽에 형성된 본체 단자(30)가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스위칭 수단(40)이 이동통신 단말기(도 5의 200)를 제어하는 제어부(도 5의 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동작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도 5의 2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switching means 4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such as a push switch or a tumbler switch. Although not shown, as the switching means 40 is turned on / off, the switching means 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other. The main body terminal 30 formed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selectively, and the switching means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20 of FIG. 5 for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f FIG.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FIG. 5) by the.

여기서 도 3, 즉 제3 실시예(100c)에서는 도 1, 즉 제1 실시예(100a)와 같이 잭의 단면이 원형(20a)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실시예(100b)와 같이 사각 형상(20b)인 것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Here, in FIG. 3, that is, in the third embodiment 100c, as shown in FIG. 1, 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100a, the cross section of the jack is circular 20a, the square shape (as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100b) 20b).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의 구 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S. 1 and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 100b)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내측에 제어부(220)가 위치되고, 전술한 제어부(220)에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외측에는 외부에서 장착되는 잭(20a, 20b)이 삽입 장착되도록 단말기 단자(210)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 4, in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s 100a and 100b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20 is positioned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 terminal terminal 21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onnected to one control unit 220 such that jacks 20a and 20b mounted from the outside are inserted and mounted.

그리고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 100b)는 본체(10)의 한편에 전술한 단말기 단자(210)에 삽입 장착되는 잭(20a, 20b)이 배치되고, 다른 쪽에 후술하는 이어셋(300)의 잭(310)이 삽입 장착되는 본체 단자(3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ear set terminal converters 100a and 100b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jacks 20a and 20b which are inserted into and mounted on the terminal terminal 210 described abov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his is arranged, the main body terminal 30 is inserted into which the jack 310 of the ear se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이때, 본체(10) 내에서 연결되는 잭(20a, 20b)과 본체 단자(30)는 "ㄱ" 자 형상으로 연결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jacks 20a and 20b and the main body terminal 30 connected in the main body 10 are connected in a "-" shape.

또한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 100b)에는 이어셋(300)이 장착되게 되는데, 이어셋(300)의 일단에 마련된 이어셋 잭(310)이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 100b)의 본체 단자(30)에 삽입 장착되게 된다.In addition, the earset 300 is mounted on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s 100a and 100b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arset jack 310 provided at one end of the earset 300 is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a. , 100b)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erminal 30.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음악 감상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 단자(210)에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 100b)를 장착하고, 여기에 이어셋(300)을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make a call or listen to music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s 100a and 100b are mounted on the terminal terminal 210, and the earset 300 is mounted thereon. Will be done.

한편,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의 구성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block diagram of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도 5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c)의 구성도로써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100a)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본체(10)의 외면에 스위칭 수단(40), 예를 들어 택트 스위치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다.5 is a block diagram of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but has a main body 10.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witching means 40, for example a tact switc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도 5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예(100c)의 스위칭 수단(40)은 외부에서 삽입 접속되는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c)의 잭(20a)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 내부의 제어부(220)에 연결되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switching means 40 of the third embodiment 100c controls the controller 220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jack 20a of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c inserted and connected from the outside. Will be connected to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의 스위칭 수단의 동작 파형도이다. 이때, 도 6에서 도시된 것은 여러 가지 스위칭 수단 중 택트 스위치와 같은 누름 스위치일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다.6 is an operational waveform diagram of a switching means of an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ush switch such as a tact switch among various switching means.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c)에 포함된 스위칭 수단(40)은 동작 시간에 따라 짧은 스위칭 동작 시간(t1)과 긴 스위칭 동작 시간(t2)로 구분된다.The switching means 40 included in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divided into a short switching operation time t1 and a long switching operation time t2 according to an operation time.

즉, 스위칭 수단(40)이 짧은 시간(t1) 동작하게 되면 그에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게 되며, 긴 시간(t2) 동작하게 되면 짧은 동작 시간(t1)과 마찬가지로 그에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witching means 40 operates for a short time t1, the function set therein is performed. If the switching means 40 operates for a long time t2, the function set therein is performed like the short operation time t1.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시된 도면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100a)를 적용한 도면으로 제2 실시예(100b)의 사용상태는 제1 실시예(100a)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Here, the drawing is a view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use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100b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100a,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즉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통화 모드로 사용하거나 MP3 모드와 같이 음악 감상 모드로 사용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외측에 형성된 단말기 단자(210)에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를 장착하게 되고,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에는 이어셋(300)을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7, when a user wants to use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used in a call mode or as in an MP3 mode. When used in the music listening mode is equipped with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a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terminal terminal 210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earset 300 to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a. Will be used.

즉,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의 잭(20a)을 단말기 단자(210)에 삽입하여 장착하고, 이어셋(300)의 잭(310)을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의 본체 단자(30)에 삽입 장착하는 것으로 이어셋(300)의 사용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다.That is, the jack 20a of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a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terminal 210, and the jack 310 of the earset 3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erminal 30 of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a. By doing so, the ear set 300 is ready for use.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와 이어셋(300)이 장착된 상태에서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듣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와 음향 신호(통화하고 있는 상대방의 목소리 또는 음악 소리)가 단말기 단자(210)로부터 잭(20a)을 통해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 100b)에 전달되고, 음향 신호가 잭(2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본체 단자(30)에 삽입 접속되어 있는 이어셋(300)의 잭(310)을 통해 이어셋(300)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이다.When a call or a music is heard while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a and the earset 300 are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 control signal and an acoust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other party having the call) Voice or music sound)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erminal 210 to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s 100a and 100b through the jack 20a, and to the main body terminal 30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jack 20a. It is delivered to the user wearing the earset 300 through the jack 310 of the earset 300 is inserted and connected.

한편,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c)를 사용할 때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100a)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c)와 이어셋(300)을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c and the earset 300 ar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100a described above. ) To be us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c)에 더 포함되어 있는 스위칭 수단(40)이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제어하는 제어부(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그 스위칭 동작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중 제어 신호를 컨트롤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선택적으로 통화 모드 또는 음향 감상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6 and 7, the switching means 40 further included in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100c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20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move by the switching oper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be selectively changed into a call mode or a sound listening mode by controlling a control signal amo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또한, 통화 모드일 경우에는 스위칭 수단(4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통화 수행, 통화 종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음향 감상 모드일 경우에는 음악 감상 시작(Start), 음악 감상 멈춤(Stop)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ll mode, the call may be used as a call termination or a call termination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ans 40. In the case of the sound listening mode, the music listening start and the music listening stop may be performed. can do.

즉, 제어부(220)에서 스위칭 수단(40)의 동작 시간(t1, t2)을 짧은 스위칭 동작 시간(t1), 긴 스위칭 동작 시간(t2)로 구분하도록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각각의 기능이 활성화 되도록 하게 된다.That is, the controller 220 is configured to divide the operating time (t1, t2) of the switching means 40 into a short switching operation time (t1), a long switching operation time (t2) to selectively activate each function. do.

예를 들어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통화 모드일 경우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왔을 때 스위칭 수단을 짧게(t1) 동작시킴으로써 상대방과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고, 통화가 끝나면 재차 스위칭 수단을 짧은 시간(t1) 동작시켜 통화를 완료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in a call mode, when the user receives a call, the switching means is shortened (t1) so that the call can be made with the other party. ) To complete the call.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MP3 모드와 같은 음향 감상 모드일 경우 스위칭 수단이 짧은 시간(t1)으로 동작되면 음향 감상을 시작(Start)하게 되고, 다시 짧은 시간(t1) 스위칭 동작시키면 수행되고 있던 음향 감상을 멈추도록(Stop)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in the sound listening mode such as the MP3 mode, when the switching means is operated for a short time t1, the sound starts to be started, and when the short time t1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It is configured to stop listening to the sound.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칭 동작이 긴 시간(t2)일 경우에는 스위칭 수단(40)이 동작할 때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모드 변경, 즉 통화 모드 또는 음향 감상 모드로 바뀌어 수행되도록 구성하게 된다.Similarly, when the switching operation is a long time t2, the switching unit 40 is configured to be changed to a mode change, that is, a call mode or a sound listening mode, every time the switching means 40 operates.

여기에서는 긴 스위칭 동작(t2)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순차적으로 통화 모드 또는 음향 감상 모드로 변경되도록 구성되나, 짧은 스위칭 동작(t1)에 따라 그러한 모드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설정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제조시 미리 설정되어 출시될 수도 있고, 스위칭 수단(40)의 동작, 즉 온 되었을 경우 이러한 설정이 이루어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sequentially configured to change to the call mode or the sound listening mode according to the long switching operation t2, but may be set to make such a mode change according to the short switching operation t1. Such a setting may be pre-set and relea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may be configured to make such a setting when the switching means 40 is turned on.

그리고 이어셋(300)의 사용 후에는 전술한 장착 순서와는 반대로 이어셋(300)을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로부터 분리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이어셋 단자 변환기(100a)를 분리하는 것으로 모든 분리가 완료된다.After the use of the ear set 300, the ear set 300 is detached from the ear set terminal converter 100 a in contrast to the mounting procedure described above, and then all the separations are performed by separating the ear set terminal converter 100 a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completed.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사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s as follow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and equivalent concepts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에 의하면, 어느 회사, 어느 제품의 이어셋을 사용하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어셋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earset of any company or any product is used, the earset can be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 본 고안은, 이어셋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됨으로써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슬림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set is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slim without taking up a lot of space.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모드 또는 음향 감상 모드를 선택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to select the call mode or the sound listening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Claims (3)

본체;main body;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한쪽에 돌출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측에 형성된 단말기 단자에 접속 또는 분리가 가능한 잭; 및A jack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being connected or disconnected to a terminal terminal formed at an oute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본체의 다른 쪽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잭이 상기 단말기 단자에 접속 또는 분리되는 동작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상기 잭에 연결되며 이어셋의 잭이 접속 또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단자;A main body terminal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terminal being connected to the jack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eration direction in which the jack is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terminal terminal, and the jack of the ear set being connectable or detachable;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칭 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the earset terminal conver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witching means electrically switched to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위칭 수단이 긴 시간 동작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 또는 음향 감상 모드로 변환되어 수행되도록 하고,If the switching means is operated for a long time, the control unit conver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 call mode or a sound listening mode to perform,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 감상 모드일 경우 상기 스위칭 수단이 짧은 시간 동작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감상 모드를 실행 또는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셋 단자 변환기.And the control unit executes or stops the sound listening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switching means operates for a short tim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sound listening mode.
KR2020060002168U 2006-01-24 2006-01-24 Earset port converting apparu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135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168U KR200413589Y1 (en) 2006-01-24 2006-01-24 Earset port converting apparu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168U KR200413589Y1 (en) 2006-01-24 2006-01-24 Earset port converting apparu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589Y1 true KR200413589Y1 (en) 2006-04-07

Family

ID=4176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168U KR200413589Y1 (en) 2006-01-24 2006-01-24 Earset port converting apparu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58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010B1 (en) * 2014-02-26 2015-05-0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function earpho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010B1 (en) * 2014-02-26 2015-05-0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function earpho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6112A1 (en) Structure of cordless earphones
CN205249263U (en) Bluetooth routing equipment based on bluetooth car kit
EP22847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ype of accessory in a portable terminal
KR200413589Y1 (en) Earset port converting apparu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202111856U (en) Multifunctional vehicle-mounted Bluetooth speaker system
CN201054586Y (en) Improved radio earphone structure
KR100727292B1 (en) Wireless headset which can use exterior speaker as speaker phone
US20070207833A1 (en) Bluetooth cordless phone
JP3111103U (en) Hands-free switching adapter for fixed telephone and fixed telephone having the function
CN103248991A (en) Bluetooth speaker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09136926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at least one detachable audio headset
CN203243412U (en) Vehicle-mounted hands-free accessory equipment and mobile terminal configured with vehicle-mounted hands-free accessory equipment
KR200180377Y1 (en) Appratus having both handy audio ear-phone and cellular phone ear-phone
KR200221524Y1 (en) A headphone connect-device for portable handphone and audio combination
CN201008176Y (en) Wireless telecom multifunctional earphone
KR200358099Y1 (en) Hands-Free Phone
KR101108652B1 (en) Mult-fuctional headset
KR200355379Y1 (en) Audio input/output Stereo Hands Free Kit
KR200300096Y1 (en) Earphone set used for both mobile audio and mobile phone
KR200226240Y1 (en) One touch hands free connection device
CN204145710U (en) A kind of novel on-vehicle bluetooth earphone hands-free device
KR200292332Y1 (en) Multi-Headphone
KR200237566Y1 (en) Connecting device for hand-free
CN205082749U (en) Multifunctional helmet
KR200252624Y1 (en) multi-purpose controller connect with remote controller of a portable audio player &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