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583Y1 -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583Y1
KR200413583Y1 KR2020060002026U KR20060002026U KR200413583Y1 KR 200413583 Y1 KR200413583 Y1 KR 200413583Y1 KR 2020060002026 U KR2020060002026 U KR 2020060002026U KR 20060002026 U KR20060002026 U KR 20060002026U KR 200413583 Y1 KR200413583 Y1 KR 200413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ndow
opening
clos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근
Original Assignee
이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근 filed Critical 이장근
Priority to KR2020060002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5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5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05C17/48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comprising a sliding secur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결브라켓의 힌지판에 연동가능한 연동차단판을 구비하여 연동차단판을 걸림구에 밀착시키는 동작으로 창문을 통해 집안으로 들어오려는 침입자가 책받침이나 밀대로 걸림구를 밀어 젖히고 창문을 개방시키는 방식의 침입을 미리 예방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는 창문에 부착되어 손쉽게 창문을 열 수 있지만, 외부에서 침입하려는 침입자가 벌어진 창문 사이로 도구를 넣어 개방시킬 수 있는 위험성을 미리 차단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창문용 개폐구를 그대로 사용하고, 간단한 구조적인 변경만을 가져온 상태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에 활용가능성이 크다.
개폐구, 체결브라켓, 삽입홈, 스톱퍼캡, 연동차단판, 걸림구 등

Description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The control unit to open windows}
도 1은 본 고안의 개폐구를 전체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걸이구를 저면에서 살펴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걸이구가 가이드판의 가이드공에 끼인 상태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걸이구가 가이드판의 가이드공에 빠져 나와 창문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개폐구가 창문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11; 창문 12; 프레임
20; 체결판 30; 가이드판
31; 가이드공 K; 입구측가이드공
40; 체결브라켓 41; 힌지
42; 힌지판 43; 삽입홈
44; 스톱퍼홈 46; 스톱퍼캡
50; 걸림구 51; 손잡이부
52; 끼움판 53; 간격
60; 연동차단판 70; 보조연동판
본 고안은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결브라켓의 힌지판에 연동가능한 연동차단판을 구비하여 연동차단판을 걸림구에 밀착시키는 동작으로 창문을 통해 집안으로 들어오려는 침입자가 책받침이나 밀대로 걸림구를 밀어 젖히고 창문을 개방시키는 방식의 침입을 미리 예방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문이란 좌우로 슬라이딩 되면서 창문을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된 창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미닫이 창문에는 별도의 잠금수단을 가지고 있다.
즉, 이 잠금수단이란 창문을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 그 프레임에 장착된 스톱퍼를 회전시켜 창문이 열어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잠금장치는 항상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수행해야만 하기에 사람의 침입은 막되 어느 정도의 통풍을 유지하고 싶을 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개발되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10-2003-0047028호)된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를 실례로 설명한다.
즉, 이 발명은 도 6 내지 9에서 도시된 것처럼, 배면판(11)과 몸체(15) 그리 고 브라켓(20)과 가이드편(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면판(11)은 상하단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12)가 구비되고, 하부에 다수의 고정부(13)가 구비되며, 양측단에는 별도의 걸림턱이나 지지수단이 구비되지 않아서, 몸체(15)가 배면판(11)의 어느 방향에서든지 결합이 가능하다.
몸체(15)는 중앙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의 가이드홈(16)이 형성되고, 가이드홈(16) 일측에는 인입구(16a)가 형성되며, 인입구(16a) 측의 몸체(15) 일단에는 다수의 고정부(1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입구(16a) 상하측 부위의 몸체(15)에는 배면판(11)의 양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지지턱(1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측창(27)의 문틀에는 브라켓(20)이 고정되며, 이 브라켓(20)의 지지부(21)에는 힌지핀(23)에 의해 가이드편(22)이 회동하도록 결합되며, 힌지핀(23)에는 비틀림스프링(24)이 더 결합되어서 가이드편(22)을 몸체(15) 측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미닫이 창문을 약간의 간격으로만 개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가이드편(22)을 몸체(15)의 인입구(16a)에 넣은 상태에서 창문을 열어주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편(22)이 몸체(15)의 가이드홈(16)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몸체(15)의 가이드홈(16)은 그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서, 가이드홈(16)의 길이 만큼만 열릴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종래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이 제어장치는 창문의 상하로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창문을 완전히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이드편(22)에 탄성력을 가하고 있는 비틀림스프링(24)의 탄성력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가이드편(22)을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편(22)은 몸체(15)의 인입구(16a)로부터 빠져나와 미닫이 창문을 완전히 열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가이드편(22)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창문의 내측에 위치한 사람이 상기 가이드편(22)을 젖히는 동작으로 실행을 하고 있다.
그러나 만일 침입자가 이러한 작동의 상황을 알고, 창문의 건너편에서 조금 열린 상태의 창문으로 책받침이나 걸이구 등을 이용하여 잡아당기게 된다면, 쉽게 창문을 개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황은 집안의 도난을 허용하게 되는 큰 문제점을 가져올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은,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결브라켓의 힌지판에 연동가능한 연동차단판을 구비하여 연동차단판을 걸림구에 밀착시키는 동작으로 창문을 통해 집안으로 들어오려는 침입자가 책받침이나 밀대로 걸림구를 밀어 젖히고 창문을 개방시키는 방식의 침입을 미연에 예방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측의 창문에 부착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에 밀착되어 좌우 연동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절곡되어 돌출된 부위에 형성된 가 이드공에 끼워져 좌우로 연동하도록 타측 창문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체결브라켓과 힌지 연결된 걸림구로 구성된 창문 개폐구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의 좌우 양단 힌지판 일측에 절개하여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중심부에 형성된 스톱퍼홈의 내부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을 가진 스톱퍼캡과; 상기 삽입홈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판형의 연동차단판이; 결합하되 상기 연동차단판을 젖혀 걸림구에 안착시키면, 걸림구의 손잡이부 내부에 삽입된 보조연동판과 상기 손잡이부의 젖혀짐을 방지시킨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체결브라켓의 중심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걸림돌기를 형성시키고, 상기 체결판은 그 걸림돌기 중 가이드판의 입구측가이드공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만 걸림구 끝단에 형성된 끼움판이 빠지기 쉽도록 역방향의 테이퍼를 형성시키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걸림구의 끝단 끼움판에는 그 중심부를 절단해 놓은 간격을 형성시켜 창문을 여닫을 시 걸림돌기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판의 가이드공 끝단에는 절개장홈을 형성하여 창문을 여닫을 시 걸림구의 보조연동판이 걸리지 않고 빠져나오도록 하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일측의 창문(10)에 부착되는 체결판(20)과, 상기 체결판(20)에 밀착되어 좌우 연동하는 가이드판(30)과 상기 가이드판(30)의 절곡되어 돌출된 부위에 형성된 가이드공(31)에 끼워져 좌우로 연동하도록 타측 창문(11)의 프레임(12)에 고정되는 체결브라켓(40)과 힌지(41) 연결된 걸림구(50)로 구성된 창문 개폐구 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상기 걸림구가 외부의 침입자에 의해 젖혀져서 창문을 개방되고 그 침입을 허용하는 경우의 발생을 최소화시킨다는 점과, 사용자의 개방시 용이하게 미닫이 창문을 개방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도 1 내지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은 상기 체결브라켓(40)의 좌우 양단 힌지판(42) 일측에 절개하여 형성된 삽입홈(43)이 있고, 상기 삽입홈(43)의 중심부에 형성된 스톱퍼홈(44)의 내부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45)을 가진 스톱퍼캡(4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43)에 힌지(61)를 통해 연결되는 판형의 연동차단판(60)이 있다.
따라서 상기 연동차단판(60)을 젖혀 걸림구(50)에 밀착시키면, 걸림구(50)의 손잡이부(51) 내부에 삽입된 보조연동판(70)과 상기 손잡이부(51)의 젖혀짐을 방지시키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이다.
즉, 본 고안은 도시된 도 1 내지 5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의 창문(10)에 판형의로 제작된 체결판(20)이 부착된다.
그리고 그 체결판(20)에는 밀착되어 좌우 연동하는 가이드판(30)이 구성되는데, 그 가이드판(30)은 가이드공(31)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그 가이드공(31)은 상기 가이드판(30)을 절곡하여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하고, 그 중심부에 펀칭가공 등의 방법으로 형성시 킨다.
그리고 그 가이드공(31)에 끼우고 빼낼 수 있도록 제작된 걸림구를 형성하되, 상기 걸림구는 타측 창문(11)의 프레임(12)에 고정되는 체결브라켓(40)과 힌지(41)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걸림구(50)의 손잡이부(51) 내부에 삽입된 보조연동판(70)을 형성하고 있어 손잡이부(51)와 같이 사용자가 눌러 주어 미닫이 창문을 여닫을 때보다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이렇듯 본 고안은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런데 상기 체결브라켓(40)의 좌우 양단 힌지판(42) 삽입홈(43)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그 삽입홈(43)의 중심부에는 스톱퍼홈(44)을 구성하고, 내부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45)을 가진 스톱퍼캡(46)을 삽입하고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43)에는 힌지(61)를 통해 연결되는 판형의 연동차단판(60)을 결합시키고 있어서, 상기 연동차단판(60)을 젖혀 걸림구(50)에 밀착시키거나 빼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연동차단판(60)을 회동시켜 도 2와 같이 힌지판(42)의 삽입홈(43)에 끼워 넣은 상태라면, 사람이 상기 걸림구(50)의 손잡이부(51)를 뒤로 젖히고자 힘을 부여한다고 하여도, 상기 연동차단판(60)이 막고 있어 상기 손잡이부(51)를 밀을 수 없다.
이는 본 고안의 큰 특징으로 침입자가 창문(10, 11)이 약간 벌어진 틈을 이 용하여 그 내부로 도구를 넣어 상기 손잡이부(51)를 연동시킬 수 없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하여 안전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연동차단판(60)이 쉽게 연동을 하지만 일단 사용자가 그 위치를 확보하면 그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도시된 도 1에서처럼, 탄성스프링(45)과 스톱퍼캡(46)을 구성하고 있다.
즉, 연동차단판(60)이 힌지(61)로 고정되는 힌지판(42)측 삽입홈(43)에 스톱퍼홈(44)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그 스톱퍼홈(44)의 내부에 탄성스프링(45)을 내장한 스톱퍼캡(46)을 삽입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스톱퍼캡(46)은 그 탄성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돌출되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고 있기에 힌지(61)로 고정된 연동차단판(60)을 누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일단 한번 사용자가 상기 연동차단판(60)을 원하는 위치에 회전시켜 놓으면 그 위치를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체결판(20)의 중심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걸림돌기(47)를 형성시키고 있다.
이는 도시된 도 3에서처럼, 상기 걸림구(50)의 손잡이부(51) 내부에 삽입된 보조연동판(70)과 대응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걸림구(50)의 끝단인 끼움판(52)이 상기 가이드판(30)의 가이드공(31)에 끼워진 상태로 연동시 사용자에게 창문(10, 11)의 벌어진 간격을 인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창문(10, 11)이 열릴때 상기 보조연동판(70)의 끝단이 걸림돌기(47)를 타고 넘어가면서, 돌기에 걸리기에 그 열린 위치를 인지시키지만, 보조연동판(70)의 힌지(41)에 결합된 비틀림스프링(2)의 작용에 의해 연동하며 그 테이퍼면(3)을 타고 넘어 갈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창문(10, 11)이 닫칠때에는 상기 걸림돌기(47)는 직각면과 상기 보조연동판(70)의 끝단(4)이 만나게 되어 손잡이부(51)의 보조연동판(70)을 누른 상태로만 닫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기능에 더하여 상기 걸림돌기(47) 중 가이드판(30)의 입구측가이드공(K)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48)만, 걸림구(50) 끝단에 형성된 끼움판(52)이 빠지기 쉽도록 역방향의 테이퍼를 형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구(50)의 끝단에 형성된 평평한 끼움판(52)이 상기 가이드판(30)의 입구측가이드공(K)에서 더욱 쉽게 빠져나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걸림구(50)의 손잡이부(51)와 보조연동판(70)을 손으로 젖히지 않아도 상기 걸림돌기(47)의 테이퍼면(3)을 타고 스스로 올라오게 하여, 형성된 입구측가이드공(K)으로 상기 끼움판(52)이 스스로 빠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시된 도 2와 3에서처럼, 상기 걸림구(50)의 끝단 끼움판(52)에는, 그 중심부를 절단해 놓은 간격(53)을 형성시켜 창문을 여닫을 시 걸림돌기(47, 48)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3에서처럼, 본 고안의 걸림구(50)의 끼움판(52)이 가이드판(30)의 가이드공(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창문(10, 11)을 열고자 할 때, 만일 상기 걸림구 (50)의 끼움판(52)에 이러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다면, 보다 용이하게 여닫을 수 없을 것이다.
즉, 이 끼움판(52)에 형성된 간격(53)은 체결판(20)에서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47, 48)가 끼움판(52)과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시키는 것이다.
창문(10, 11)이 열리고 닫칠 때 이 간격(53)의 사이로 쉽게 빠져나가도록 마련한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은 전술된 것처럼, 이 간격(53)이 없어도 약간의 긁히는 과정을 거치면서 빠져나갈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도시된 도 1, 4와 5에서처럼, 상기 가이드판(30)의 가이드공(31) 끝단에는, 절개장홈(32)을 형성하여 창문(10, 11)을 여닫을 시 걸림구(50)의 보조연동판(70)이 걸리지 않고 빠져나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의 걸림구(50)는 그 내부에 비틀림스프링을 통해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기에 가이드판(30)의 가이드공(31)에서 그 끼움판(52)이 빠져나온 상태에서도 상기 가이드판(30)의 상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렇게 걸림구(50)가 빠져나온 상태에서 창문(10, 11)을 개방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되 것처럼, 보조연동판(70)의 끝단이 상기 가이드공(31)의 끝단과 부딪칠 소지가 많다.
물론 사용자가 보조연동판(70)을 밀어 넣은 상태로 창문(10, 11)을 개방하면 되지만, 이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공(31)의 끝단을 절단해낸, 절개장홈(32)을 형성시킨 다 면 이 절개장홈(32)을 통해 상기 보조연동판(70)의 끝단(4)은 쉽게 빠져나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고안의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는 창문에 부착되어 손쉽게 창문을 열 수 있지만, 외부에서 침입하려는 침입자가 벌어진 창문 사이로 도구를 넣어 개방시킬 수 있는 위험성을 미리 차단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창문용 개폐구를 그대로 사용하고, 간단한 구조적인 변경만을 가져온 상태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에 활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5)

  1. 일측의 창문(10)에 부착되는 체결판(20)과, 상기 체결판(20)에 밀착되어 좌우 연동하는 가이드판(30)과 상기 가이드판(30)의 절곡되어 돌출된 부위에 형성된 가이드공(31)에 끼워져 좌우로 연동하도록 타측 창문(11)의 프레임(12)에 고정되는 체결브라켓(40)과 힌지(41) 연결된 걸림구(50)로 구성된 창문 개폐구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40)의 좌우 양단 힌지판(42) 일측에 절개하여 형성된 삽입홈(43)과;
    상기 삽입홈(43)의 중심부에 형성된 스톱퍼홈(44)의 내부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45)을 가진 스톱퍼캡(46)과;
    상기 삽입홈(43)에 힌지(61)를 통해 연결되는 판형의 연동차단판(60)이; 결합하되 상기 연동차단판(60)을 젖혀 걸림구(50)에 밀착시키면, 걸림구(50)의 손잡이부(51) 내부에 삽입된 보조연동판(70)과 상기 손잡이부(51)의 젖혀짐을 방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20)의 중심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걸림돌기(47)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47) 중 가이드판(30)의 입구측가이드공(K)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48)만,
    걸림구(50) 끝단에 형성된 끼움판(52)이 빠지기 쉽도록 역방향의 테이퍼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50)의 끝단 끼움판(52)에는,
    그 중심부를 절단해 놓은 간격(53)을 형성시켜 창문을 여닫을 시 걸림돌기(47, 48)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30)의 가이드공(31) 끝단에는,
    절개장홈(32)을 형성하여 창문(10, 11)을 여닫을 시 걸림구(50)의 보조연동판(70)이 걸리지 않고 빠져나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2020060002026U 2006-01-23 2006-01-23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200413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026U KR200413583Y1 (ko) 2006-01-23 2006-01-23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026U KR200413583Y1 (ko) 2006-01-23 2006-01-23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940A Division KR100696202B1 (ko) 2006-05-08 2006-05-08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583Y1 true KR200413583Y1 (ko) 2006-04-07

Family

ID=4176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026U KR200413583Y1 (ko) 2006-01-23 2006-01-23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5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99B2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6185871B1 (en) Door structure
US9309702B2 (en) Door latch structure
AU2018250423B2 (en) Emergency Exit Window System
JP5129664B2 (ja) 防火扉のロック具およびロック装置
KR100783420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100696202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US9556645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front entrance
KR200413583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101042192B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101245186B1 (ko)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102523037B1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100446415B1 (ko) 전기 전자식 디지털 도어록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EP2085552A1 (en) Three-bar hinge incorporating a window estrictor
KR102286550B1 (ko) 안전용 출입문장치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TWM577888U (zh) Door and window lock construction
JP6384855B2 (ja) 引き戸装置およびセーフティーストッパー
GB2514787A (en) A blocking device
KR102346960B1 (ko) 창문 잠금장치
KR102260129B1 (ko)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053339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200190886Y1 (ko) 투입구 이중잠금장치
KR101122311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