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521Y1 -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3521Y1 KR200413521Y1 KR2020060001097U KR20060001097U KR200413521Y1 KR 200413521 Y1 KR200413521 Y1 KR 200413521Y1 KR 2020060001097 U KR2020060001097 U KR 2020060001097U KR 20060001097 U KR20060001097 U KR 20060001097U KR 200413521 Y1 KR200413521 Y1 KR 20041352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mbrella
- barrel
- circumferential surface
- cap
- ex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45B25/08—Devices for fastening or locking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대(14) 외주면 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우산대(14) 외주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외주면에 노출공(21)이 형성된 살통(20); 상기 살통(20)의 노출공(21)을 덮어씌우며 그 외주면에 노출공(21)과 동일선상에 놓이는 관통공(33)이 형성된 제1캡(32)과, 이 제1캡(32)의 반대편에서 살통(20)을 덮어씌워 제1캡(32)과 체결구(50)로 결합되는 제2캡(34)으로 이루어진 케이싱(30); 및 상기 제1캡(32)의 관통공(33)상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단부인 작동버튼(42)이 케이싱(30) 외부로 노출되며, 그 타단부인 밀착부(44)가 살통(20)의 노출공(21)을 통해 우산대(14)로 근접 연장되고 이 밀착부(44)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우산대(1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스톱퍼(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좁은 통로나 복잡한 통행로 등을 통과할 경우에 우산포의 펼침각을 원하는 크기로 조절한 후 살통을 우산대에 고정시켜 한손만으로도 우산을 들고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 우산대, 살통, 케이싱, 스톱퍼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의 스톱퍼에 의해 살통이 우산대 상에서 고정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의 스톱퍼 가압이 해제되어 살통이 우산대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우산포 12 : 우산살
14 : 우산대 20 : 살통
21 : 노출공 22 : 대직경부
23 : 소직경부 24 : 걸림돌부
30 : 케이싱 32 : 제1캡
32a : 걸림턱 33 : 관통공
34 : 제2캡 34a : 걸림턱
40 : 스톱퍼 42 : 작동버튼
44 : 밀착부 50 : 체결구
본 고안은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살통을 우산대 상의 원하는 위치 어디에서든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좁은 통로나 복잡한 통행로 등을 통과할 경우에 우산포의 펼침각을 원하는 크기로 조절한 후 살통을 우산대에 고정시켜 한손만으로도 우산을 들고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산대의 상단부에 우산포가 설치되고, 우산대의 하단부에 손잡이가 마련되며, 우산대의 외주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승강되는 살통이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 살통과 우산포를 우산살로 연결시켜 살통을 승강시키면 우산포가 접히고 펼쳐지도록 하는 생활도구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우산은 우산대 상의 살통을 상승시켜 우산대 상단부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우산포가 펼쳐지도록 하고 또한 걸림부로부터 살통의 걸림을 해제시킴으로써 살통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서 우산포가 접히도록 하는 수동식 우산과, 스프링장치를 구비하여 손잡이의 버튼을 작동시키면 살통의 걸림이 해제되는 동시에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되면서 우산포가 펼쳐지도록 하는 자동식 우산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우산의 살통은 우산대의 상단부 또는 하단 부의 걸림부에만 걸려 고정되게 함으로써 우산포가 접히고 펼쳐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우산대의 상, 하단부 이외에 우산대 중앙부에서는 살통이 스프링력 또는 중력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 좁은 통로나 행인이 많은 통행로를 지나가게 될 경우에 사용자는 한손은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손은 살통을 잡아 우산포의 펼쳐짐 정도를 조절한 후 그 상태로 살통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붙잡고 있어야 하는 등 우산포의 펼침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양손을 다 사용하여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살통을 우산대 상의 원하는 위치 어디에서든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좁은 통로나 복잡한 통행로 등을 통과할 경우에 우산포의 펼침각을 원하는 크기로 조절한 후 살통을 우산대에 고정시켜 한손만으로도 우산을 들고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는 상단부가 우산살을 통해 우산포와 연결되고 우산대 외주면 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우산대 외주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외주면에 노출공이 형성된 살통; 상기 살통의 노출공을 덮어씌우며 그 외주면에 노출공과 동일선상에 놓이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캡과, 이 제1캡의 반대편에서 살통을 덮어씌워 제1캡과 체결구로 결합되는 제2캡으로 이루어진 케이싱; 및 상기 제1캡의 관통공상에 중앙부가 축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일단부인 작동버튼이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며, 그 타단부인 밀착부가 살통의 노출공을 통해 우산대로 근접 연장되고 이 밀착부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우산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작동버튼의 작동에 따라 밀착부의 상단부가 우산대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고 이탈되면서 살통의 승강을 단속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의 밀착부 선단면은 우산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통의 노출공 상부는 대직경부로 형성되고 노출공 하부에는 걸림돌부가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는 제1, 2캡은 그 내주면 상, 하단부에 각각 상기 대직경부와 걸림돌부에 걸리도록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절개된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는 우산대(14) 외주면 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살통(20)과, 이 살통(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캡(32)과 제2캡(34)으로 이루어진 케이싱(30) 및 상기 제1캡(32)이 축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살통(20)의 승강을 단속하는 스톱퍼(3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살통(20)은 상단부가 우산살(12)을 통해 우산포(10)와 연결되고 우산대(14) 외주면 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또한, 상부가 대직경부 (22)로 형성되고 그 하부가 소직경부(23)로 형성된 이단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살통(20)의 소직경부(23)의 외주면에는 우산대(14) 외주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된 노출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노출공(21) 하부에는 제1, 2캡(32,34)의 걸림턱(32a,34a)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30)은 살통(20)의 노출공(21)을 덮어씌우며 그 외주면에 노출공(21)과 동일선상에 놓이는 관통공(33)이 형성된 반원관 형상의 제1캡(32)과, 이 제1캡(32)의 반대편에서 살통(20)을 덮어씌워 제1캡(32)과 체결구(50)로 결합되는 반원관 형상의 제2캡(34)으로 이루어지며, 이 제1, 2캡(32,34)의 내주면 상, 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살통(20)의 대직경부(22)와 걸림돌부(24)에 걸리도록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절개된 걸림턱(32a,3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40)는 케이싱(30)의 제1캡(32)의 관통공(33)상에 중앙부가 축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일단부인 작동버튼(42)이 케이싱(30) 외부로 노출되며 그 타단부인 밀착부(44)가 살통(20)의 노출공(21)을 통해 우산대(14)로 근접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상기 밀착부(44)는 그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우산대(1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작동버튼(42)의 상하 회동 작동에 따라 밀착부(44)의 상단부가 우산대(14)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어 살통(20)을 정지시키고, 또한, 상기 밀착부(44)가 우산대(14)의 외주면에서 이탈되어 살통(20)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40)의 밀착부(44) 선단면은 우산대(14)의 외주면을 감싸 밀착면을 크게 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는 살통(20)의 소직경부(23)의 노출공(21)과 제1캡(32)의 관통공(33)이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하여 제1, 2캡(32,34)을 살통(20)의 소직경부(23)의 외주면으로 덮어씌운 후 체결구(50)로 체결시켜 조립을 완성시킨다.
그리고 나서, 우산포(10)의 펼침 상태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살통(20)을 우산대(14)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우산포(10)의 펼침 정도를 조절한 후 작동버튼(42)을 상방으로 회동시켜 스톱퍼(40)의 밀착부(44)가 우산대(14)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살통(20)이 우산대(14) 상에서 고정 지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톱퍼(40)의 밀착부(44)는 선단부가 오목하게 되어 있으므로 우산대(14) 외주면과의 접촉면을 크게 하면서 견고히 밀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40)의 밀착부(44)를 우산대(14)의 외주면에 보다 견고히 밀착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스톱퍼(40)는 제1캡(32)과 결합시 체결구(50)에 의해 견고하고 뻑뻑한 상태로 결합이 되어 그 밀착부(44)가 우산대(14)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있는 동안 상기 우산대(14)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스톱퍼(40)가 저절로 회동되어 고정 가압이 해제되지는 않을 정도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40)의 작동버튼(42)을 하방으로 회동시켜 밀착부(44)가 우산대(14)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살통(20)의 정지상태가 해제되어 우산대(14)를 타고 상하로 슬라이딩 승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는 살통을 우산대 상의 원하는 위치 어디에서든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좁은 통로나 복잡한 통행로 등을 통과할 경우에 우산포의 펼침각을 원하는 크기로 조절한 후 살통을 우산대에 고정시켜 한손만으로도 우산을 들고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3)
- 상단부가 우산살(12)을 통해 우산포(10)와 연결되고 우산대(14) 외주면 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우산대(14) 외주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외주면에 노출공(21)이 형성된 살통(20);상기 살통(20)의 노출공(21)을 덮어씌우며 그 외주면에 노출공(21)과 동일선상에 놓이는 관통공(33)이 형성된 제1캡(32)과, 이 제1캡(32)의 반대편에서 살통(20)을 덮어씌워 제1캡(32)과 체결구(50)로 결합되는 제2캡(34)으로 이루어진 케이싱(30); 및상기 제1캡(32)의 관통공(33)상에 중앙부가 축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일단부인 작동버튼(42)이 케이싱(30) 외부로 노출되며, 그 타단부인 밀착부(44)가 살통(20)의 노출공(21)을 통해 우산대(14)로 근접 연장되고 이 밀착부(44)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우산대(1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작동버튼(42)의 작동에 따라 밀착부(44)의 상단부가 우산대(14)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고 이탈되면서 살통(20)의 승강을 단속하는 스톱퍼(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40)의 밀착부(44) 선단면은 우산대(1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통(20)의 노출공(21) 상부는 대직경부(22)로 형성되고 노출공(21) 하부에는 걸림돌부(24)가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는 제1, 2캡(32,34)은 그 내주면 상, 하단부에 각각 상기 대직경부(22)와 걸림돌부(24)에 걸리도록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절개된 걸림턱(32a,34a)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1097U KR200413521Y1 (ko) | 2006-01-13 | 2006-01-13 |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1097U KR200413521Y1 (ko) | 2006-01-13 | 2006-01-13 |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3521Y1 true KR200413521Y1 (ko) | 2006-04-07 |
Family
ID=4176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1097U KR200413521Y1 (ko) | 2006-01-13 | 2006-01-13 |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3521Y1 (ko) |
-
2006
- 2006-01-13 KR KR2020060001097U patent/KR20041352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62815B2 (en) | Canopy support frame for a sunshade | |
US7556051B2 (en) | Suspension umbrella operated easily and quickly | |
CA2081310C (en) | Sunshade, in particular sunshade with stand | |
US9961421B2 (en) | Microphone stand adjusting structure | |
US4433699A (en) | Sunshade | |
US10028557B1 (en) | Automatic reverse multi-folding umbrella | |
US5626160A (en) | Umbrella hav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ame automatically | |
US10016033B2 (en) | Adjustable canopy umbrella with auditory pin locking and centering system | |
KR200413521Y1 (ko) | 우산포 펼침 조절장치 | |
KR100874891B1 (ko) | 인명구조기구 | |
KR20110005653U (ko) | 넓이 조절이 가능한 우산 | |
US8365746B2 (en) | Safely operable handle device for an automatic foldable umbrella | |
US5829462A (en) | Umbrella frame capable of automatic folding and unfolding | |
CA2436994A1 (en) | Clamp attachment for a cane | |
US5201332A (en) | Cap-shaped umbrella held to the head | |
KR200411424Y1 (ko) | 회전우산의 록킹장치 | |
CA2827055C (en) | Chimney blocking apparatus | |
KR200385216Y1 (ko) | 우산 | |
KR101743370B1 (ko) | 핸즈프리 안전 우산 | |
KR20130104730A (ko)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접철식 등산용 스틱 | |
AU639625B1 (en) | Cap-shaped umbrella held to the head | |
KR101485799B1 (ko) | 우산 손잡이 | |
KR830001458B1 (ko) | 자체 내장식 우산 | |
JPH0434730Y2 (ko) | ||
KR20100029614A (ko) | 자동우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002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