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319Y1 -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319Y1
KR200413319Y1 KR2020060001877U KR20060001877U KR200413319Y1 KR 200413319 Y1 KR200413319 Y1 KR 200413319Y1 KR 2020060001877 U KR2020060001877 U KR 2020060001877U KR 20060001877 U KR20060001877 U KR 20060001877U KR 200413319 Y1 KR200413319 Y1 KR 200413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light
brightness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근
위상훈
Original Assignee
최우근
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근, 위상훈 filed Critical 최우근
Priority to KR2020060001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3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3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이 개시되어 있다. 도광판은 광이 출사되는 제1 면,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및 제1 면 및 제2 면을 연결하며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갖는 측면들을 포함하고, 제2 면에는 광입사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밀하게 음각 형성된 휘도 향상 패턴들이 형성된다. 휘도 향상 패턴들은 프리즘 바 또는 피라미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광판의 중앙부보다 암부가 형성되는 도광판의 모서리 부분에 보다 많이 형성 될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및 광의 휘도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광, 휘도, 휘도 균일성, 도광판, 패턴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LIGHT GUIDE PLAT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광판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 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휘도 향상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휘도 향상 패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변형 실시예이다.
본 고안은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광의 휘도를 향상 및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킨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은 스스로 광을 발생하지 못하는 수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FT LCD)의 배면에 배치되어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로 광을 제공한다. 특히, 백라이트 유닛은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에 균일한 휘도를 갖는 광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 광원 원리를 살펴보면, 냉음극선관 램프(CCFL)와 같은 램프에서 방사된 광은 도광판(light guide panel)의 측면을 통해 도광판의 내부로 입사되고, 도광판의 내부로 입사된 광은 도광판의 상면 또는 상면과 마주보는 하면에 형성된 패턴에 의해 산란 또는 반사되다 도광판의 상면 전면적에 걸쳐 비교적 고른 광학 분포로 출사된다.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판 상면에 놓인 확산 필름, 수직 프리즘 필름, 수평 프리즘 필름 3매를 통해 광을 집광 시켜 효율적인 광 분포를 구현하여,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종래 백라이트 구조는 도광판에서 출사된 광을 프리즘 필름과 같은 고가의 광학필름을 사용하여 집광 시키기 때문에 백라이트의 원가상승과 제조공정상의 공정효율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광판 자체에 프리즘 기능이 들어간 프리즘 도광판을 개발하여 프리즘 필름을 제거하려는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래 프리즘 도광판의 경우 패턴이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현상 및 암부가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문제가 있어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도광판 양면에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초정밀 프리즘 패턴을 랜덤형태로 제작하여 도광판에 형성함으로써 프리즘도광판으로써 휘도와 시야각을 향상시키고 에지 암부나 휘도 균일도 등의 외관품위를 향상시켜 기존의 프리즘시트를 제거하고도 동일한 휘도와 외관을 수행할 수 있는 고휘도 프리즘 도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은 광이 출사되는 제1 면,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및 제1 면 및 제2 면을 연결하며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갖는 측면들을 포함하며, 제2 면에는 광입사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밀하게 음각 형성된 제1 휘도 향상 패턴들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광판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광판(10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광판(100)은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도광판(100)은 제1 면(110), 제2 면(120) 및 광입사면(135)을 갖는 측면(130)들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광입사면(135)은 측면(130)들 중 길이가 길고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광입사면(135)은 연결된 제1 면으로는 광이 출사되고, 제2 면은 제1 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면 및 제2 면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 또는 상기 제2 면이 상기 제1 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 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휘도 향상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광판(100)의 제2 면(120)에는 제1 휘도 향상 패턴(125)들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휘도 향상 패턴(125)은 삼각 기둥 형상을 갖는 프리즘 바(prism bar) 형상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휘도 향상 패턴(125)은 제1 반사면(125a) 및 제1 반사면(125a)과 연결된 제2 반사면(125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면(120)에 형성된 제1 휘도 향상 패턴(125)들은 제2 면(120)에 대하여 양각 또는 음각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면(120)에 형성된 제1 휘도 향상 패턴(125)들은, 예를 들어, 제2 면(120)에 음각 된다.
한편, 제1 휘도 향상 패턴(125)의 제1 반사면(125a) 및 제2 반사면(125b) 사 이의 사이각은 약 70°내지 약 90°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반사면(125a) 및 제2 반사면(125b) 사이의 사이각은 도광판(100)의 제1 면(110)으로 출사되는 광의 정면 휘도가 최대가 되는 각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휘도 향상 패턴(125)의 제1 반사면(125a) 및 제2 반사면(125b)는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굴절시키기 위해 경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판(100)의 제2 면(120)에 형성된 제1 휘도 향상 패턴(125)은 제1 면(110)으로 출사되는 광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면(110)으로 출사되는 광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휘도 향상 패턴(125)들의 분포가 랜덤 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휘도 향상 패턴(125)들은 광입사면(13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제1 휘도 향상 패턴(125)들은 제2 면(120)상에 조밀하게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광입사면(135)은 도광판(100)의 마주보는 2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따라서, 제1 휘도 향상 패턴(125)들은 한 쌍의 광입사면(135)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밀하게 형성된다. 결국, 제1 휘도 향상 패턴(125)은 한 쌍의 광입사면(135)의 사이에서 가장 조밀하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제1 면(1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광판(100)은 그 형상에 따라 암부가 발생될 수 있으며, 암부는 도광판(100)의 각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광판(100)의 각 모서리 부분(120a)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암부를 제거하기 위해, 제1 휘도 향상 패턴 (125)은 제2 면(120)의 중앙 부분보다 조밀하게 도광판(100)의 각 모서리 부분(120a)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은 제1 면(110)상에 형성된 프리즘 패턴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 도광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명칭을 부여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광판(100)이 고가의 프리즘 시트의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판(100)의 제1 면(110)에 프리즘 시트에 형성된 프리즘 패턴과 동일한 기능 및 구조를 갖는 프리즘 패턴(114)들을 형성할 수 있다. 프리즘 패턴(114)들은 제1 면(110)에 'V'자형 홈을 형성 또는 제1 면(110)을 프리즘 바 형상으로 돌출 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휘도 향상 패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은 제2 면(120)상에 형성된 제1 휘도 향상 패턴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 도광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명칭을 부여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면(120)상에 형성된 제1 휘도 향상 패턴(128)은, 예를 들어, 피라미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제1 휘도 향상 패턴(128)은 제1 반사면(128a), 제2 반사면(128b), 제3 반사면(128c) 및 제 4 반사면(128d)을 포함할 수 있다. 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제1 휘도 향상 패턴(128)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2 면(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은 제1 면(110)상에 형성된 프리즘 패턴을 제외하면 도 5 및 도 6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 도광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명칭을 부여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광판(100)이 고가의 프리즘 시트의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판(100)의 제2 면(120)에 형성된 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제1 휘도 향상 패턴(128)과 마주보는 도광판(100)의 제1 면(110)에 프리즘 시트에 형성된 프리즘 패턴과 동일한 기능 및 구조를 갖는 프리즘 패턴(114)들을 형성할 수 있다. 프리즘 패턴(114)들은 제1 면(110)에 'V'자형 홈을 형성 또는 제1 면(110)을 프리즘 바 형상으로 돌출 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변형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은 제1 면(110)상에 형성된 제2 휘도 향상 패턴을 제외하면 도 4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 도광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 및 명칭을 부여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광판(100)의 제1 면(110)상에는 제2 휘도 향상 패턴(116)들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휘도 향상 패턴(116)은 삼각 기둥 형상을 갖는 프리즘 바 형상을 갖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휘도 향상 패턴(116)은 제1 휘도 향상 패턴(125)과 마찬가지로 제1 반사면 및 제1 반사면과 연결된 제2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면(110)에 형성된 제2 휘도 향상 패턴(116)들은 제1 면(110)에 대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각되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각 될 수 있다.
한편, 제1 면(110) 상에 형성된 제2 휘도 향상 패턴(116)의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 사이의 사이각은 약 70°내지 약 90°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 사이의 사이각은 도광판(100)의 제1 면(110)으로 출사되는 광의 정면 휘도가 최대가 되는 각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면(110) 상에 형성된 제2 휘도 향상 패턴(116)의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은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굴절시키기 위해 경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판(100)의 제1 면(110)에 형성된 제2 휘도 향상 패턴(116)은 제1 휘도 향상 패턴(116)에 의하여 굴절된 광을 다시 한번 집광 하여 도광판(100)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면(110)으로 출사되는 광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 해 제2 휘도 향상 패턴(116)은 제1 휘도 향상 패턴(125)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면(110)으로 출사되는 광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면(110)에 형성된 제2 휘도 향상 패턴(116)들의 분포가 랜덤 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휘도 향상 패턴(116)들은 광입사면(13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제2 휘도 향상 패턴(116)들은 제1 면(110)상에 조밀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입사면(135)은 도광판(100)의 마주보는 2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따라서, 제2 휘도 향상 패턴(116)들은 한 쌍의 광입사면(135)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밀하게 형성된다. 결국, 제2 휘도 향상 패턴(116)은 한 쌍의 광입사면(135)의 사이에서 가장 조밀하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제1 면(1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광판(100)은 그 형상에 따라 암부가 발생될 수 있으며, 암부는 도광판(100)의 각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광판(100)의 각 모서리 부분(120a)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암부를 제거하기 위해, 제2 휘도 향상 패턴(116)은 제1 면(110)의 중앙 부분보다 조밀하게 도광판(100)의 각 모서리 부분(120a)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 이트 어셈블리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도광판의 광 반사면 및 광출사면에 프리즘 바 또는 피라미드 형태의 휘도 향상 패턴을 형성하여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휘도 및 광의 휘도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광이 출사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며 상기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갖는 측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밀하게 음각 형성된 제1 휘도 향상 패턴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휘도 향상 패턴들은 프리즘 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휘도 향상 패턴들은 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휘도 향상 패턴들은, 상기 제2 면의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면의 중앙부보다 상기 제2 면의 각 모서리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휘도 향상 패턴들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각 제1 휘도 향상 패턴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휘도 향상 패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휘도 향상 패턴들은 상기 제1면에 대하여 음각 또는 양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제1 휘도 향상 패턴들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 프리즘 패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KR2020060001877U 2006-01-20 2006-01-20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KR200413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877U KR200413319Y1 (ko) 2006-01-20 2006-01-20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877U KR200413319Y1 (ko) 2006-01-20 2006-01-20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447A Division KR20070076932A (ko) 2006-01-20 2006-01-20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319Y1 true KR200413319Y1 (ko) 2006-04-05

Family

ID=4176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877U KR200413319Y1 (ko) 2006-01-20 2006-01-20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3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366B1 (ko) 2008-12-31 2011-11-23 제일모직주식회사 취급성을 개선한 프리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N104375235A (zh) * 2014-11-26 2015-02-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导光板、背光模组及显示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366B1 (ko) 2008-12-31 2011-11-23 제일모직주식회사 취급성을 개선한 프리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N104375235A (zh) * 2014-11-26 2015-02-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导光板、背光模组及显示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8040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n optical sheet
US7736046B2 (en) Optical sheet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0864321B1 (ko) 프리즘 계곡부위에 무정형의 돌기형상을 가지는 광확산체를포함하는 디퓨져 프리즘 시트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US6443583B1 (en) Backligh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05241B1 (ko) 복수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백라이트 유닛
US20070147088A1 (en) Backlight module with dual light guide plat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same
KR20070035130A (ko) 도광판과,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4004229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반사판 및 이를 사용하는 백라이트어셈블리
KR102266737B1 (ko) 렌즈, 렌즈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백 라이트 유닛
KR20100024752A (ko) 프리즘 시트와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WO2013149412A1 (zh) 窄边框背光模组
US20070041215A1 (en) Backlight module and light guide plate therein and method for diminishing corner shadow area
US7311433B2 (en) Backlight module for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KR100793091B1 (ko) 휘도 향상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US20100008063A1 (en) Light diffusion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100879948B1 (ko) 마이크로 사각형 렌즈 패턴을 이용한 측면 조광형 백라이트장치
KR20060065477A (ko) 시트형 광원장치
KR200413319Y1 (ko)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US2008013699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177377B2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20010046582A (ko)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US7973879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diffusion layers that have different haze values
KR20100049339A (ko) 광학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0869336B1 (ko) 측면 조광형 백라이트 장치
KR102030412B1 (ko) 라운드 다각패턴을 가진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