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853Y1 -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 Google Patents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853Y1
KR200412853Y1 KR2020050029974U KR20050029974U KR200412853Y1 KR 200412853 Y1 KR200412853 Y1 KR 200412853Y1 KR 2020050029974 U KR2020050029974 U KR 2020050029974U KR 20050029974 U KR20050029974 U KR 20050029974U KR 200412853 Y1 KR200412853 Y1 KR 2004128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nozzle
washing water
organic matter
cochl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평균
Original Assignee
박평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평균 filed Critical 박평균
Priority to KR2020050029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8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8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8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61Positive-displacement pumps; Screw feeders; Trough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침사물을 유기물과 분리할 목적으로 침사물과 유기물의 공극을 유지토록 하는 산기관(132)을 하부에 설치하고, 그 상부에는 달팽이관 노즐(120)을 설치하여 믹서 임펠라의 회전력을 증가시켜 침사물과 유기물을 분리시키는 방식으로 일단 분리된 모래는 중력에 의하여 하부에 가라앉아 스크류 콘베어(170)로 이동하여 외부로 방출되고 세정수와 같이 물속에 포함된 유기물은 하수처리장으로 방류되는 침사세정장치이다.
침사물, 유기물, 스크류 콘베어, 임펠라, 달팽이관 노즐

Description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Flow Grit Removing Equipment Using Of Snail′s Nozzle}
도1. 은 본 고안의 침사세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2. 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3. 은 본 고안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4. 는 달팽이관 노즐
도5. 는 노즐의 조립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세정수 탱크
110: 구동모타 180: 유기물
111 : 감속기 190: 침사물(모래)
112: 큰 임펠라 191: 침사물 닥트
113: 작은 임펠라 200: 제어시스템
120: 달팽이관 노즐 201: 세정수 조절밸브 램프
121: 세정수 공급 조절밸브 202: 에어 조절밸브 램프
122: 세정수 공급 펌프 203: 임펠라 구동모타 램프
123: 세정수 공급 라인 204: 스크류콘베어 구동모타 램프
130: 에어공급 블로와 174: 스크류구동 감속기
131: 에어조절 공급밸브 175: 고정 베어링
132: 산기관
133: 에어공급라인
140: 유입구
150: 점검도아
151: 세정수탱크 점검창
160: 방류구
170: 스크류콘베어
171 : 스크류
172: 스크류구동모타
173: 침사물 배출구
본 고안은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된 침사물은 침사인양기를 통해서 어느 위치까지 운반되고, 본 장치의 유입구(140)을 통해서 공급된 침사물은 유기물(180)과 침사물(190)을 분리 하기위하여 하부에 설치된 산기관을 통해서 공급된 에어와 달팽이 모양으로 구성된 달팽이관 노즐(120)이 서로 크기가 다른 임펠라의 회전력을 증가시켜서 침사물에 부착된 유기물을 확실하게 분리시키도록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에 설치된 침사세정장치는 믹서타입이지만 임펠라가 회전력 만으로 침사물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써 유기물 분리가 되지않고 있으며, 국내에 도입된 외국슈버 제품은 중력을 이용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처럼 계절적 강우량 따라 침사물의 량이 변하여 처음 1∼2년은 잘 가동 되지만 도시인구 증가로 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이 달라져 장치를 보안하여 사용하거나 그 기능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국내외의 침사세정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정장치의 기능을 그 지역마다 침사물의 차이를 사전에 검사하여 모래가 많은 지역과 모래가 적은 지역에 따라 임펠라 간격을 조정하고 또한 유기물이 많이 포함된 지역과 적은 지역을 달리할 수 있도록 침사세정수 공급 노즐(120)을 달팽이 모양으로 구성하고 세정수가 임펠라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분사 되므로서 유기물 분리를 더욱 향상시키고 또한 하부에 설치된 산기관(132)을 통해서 에어를 공급 하므로써 유기물과 침사물의 공극이 생겨 유기물이 쉽게 떨어지도록 하고, 모든 침사물이 세정수탱크(100)안에서 동시에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수처리장의 침사인양기를 통해서 유입된 침사물은 유입구(140)를 통해서 세정수탱크(100)에 공급되고, 침사물의 량과 유기물 함량에 따라 세정수탱크(100)내의 크기가 다른 임펠라가 상하이동 및 고정이 가능토록 임펠라축(114)으로 연결된 상부에는 감속기(111)와 일체형인 구동모타(110)로 연결되어 속도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하고 또한 상부에는 점검도아(150)을 설치하여 언제든지 내부상황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구동시 세정수탱크(151)점검창을 통하여 점검하도록 구성된다.
이장치의 작동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세정수 공급펌프(122)를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는 충분한 압력(4kg/㎠이상)으로 도4.에서 보여준 것처럼 세정수탱크(100) 외부에 NO.1 ∼ 12번까지 달팽이 모양의 달팽이관 노즐(120)을 통해서 공급되고 안쪽의 작은 임펠라(113)회전방향으로 물이 공급되어 물의 회전력을 크게 하도록 하고, 하부에는 블로와(130)에서 공급된 에어는 산기관(132)을 통해서 일정한 에어가 공급되어 침사물에 붙어 있는 유기물과 공극작용을 하므로써 분리가 쉽게 한다.
이때, 중량이 무거운 모래는 침사물 닥트(191)를 통해서 가라앉게 되어 하부에 연결된 스크류콘베어(170)의 스크류(171)를 통해서 일정한 위치까지 이동토록 하여 침사물 방출구(173)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하고 세정수탱크(100) 하부에는 드레인 밸브(150)를 설치하여 내부청소가 가능토록 하여 유지관리상 편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세정수 공급라인(123)에는 세정수 자동조절밸브(121)를 설치하여 세정수를 침사물에 포함한 유기물 함량에 따라 조절토록 구성한다.
블로와(130)를 통한 에어공급라인(133)상에는 에어조절 밸브(131)를 설치하여 일정한 에어가 산기관(132)을 통해서 공급되도록 구성된 제어시스템(200)을 통해서 자동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한다.
유입구(140)를 통해서 투입된 침사물은 일정기간동안 작동되어 침사물에 부착된 유기물은 세정수와 같이 방류구(160)를 통해서 방류되어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고 침사물은 하부 스크류콘베어(170)로 이동하여 침사물 배출구(173)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 하수처리장에 설치된 침사세정장치 기능이 획일적으로 유기물 분리목적이 아닌 이동방식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믹서의 원리에 달팽이관 노즐(120)를 통해서 분사된 세정수는 임펠라의 회전력을 증가시켜 침사물과 유기물을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고 일단 완전 분리된 모래는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여 침사물의 폐기물처리 비용을 절약하는 잇점이 있다. 또한 침사물 처리 적지창 주위가 유기물로 인한 냄새나 병충해 등으로 인한 환경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세정수 탱크(100)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타(110)와 감속기(111)를 통해서 구동되는 믹서에 큰 임펠라(112)와 작은 임펠라(113)를 설치하고 그 간격을 조정이 가능토록 구성하고, 세정수 공급펌프(122) 및 달팽이관 노즐(120)를 통해서 세정수가 공급되고 하부에는 산기관(132)를 통해서 에어가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펌프(122)를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는 제어시스템(200)을 통해서 수량조절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산기관(132)을 통해서 공급된 에어는 에어조절 공급밸브(131)를 통해서 에어량이 조절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KR2020050029974U 2005-10-21 2005-10-21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KR2004128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974U KR200412853Y1 (ko) 2005-10-21 2005-10-21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974U KR200412853Y1 (ko) 2005-10-21 2005-10-21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325A Division KR100811013B1 (ko) 2006-09-13 2006-09-13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853Y1 true KR200412853Y1 (ko) 2006-04-04

Family

ID=4176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974U KR200412853Y1 (ko) 2005-10-21 2005-10-21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8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2505B2 (en) Primary equalization settling tank
US20100140190A1 (en) Screened decanter assembly for a settling tank
KR10096615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170043945A (ko) 스컴 제거장치
KR100811013B1 (ko)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KR101637562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0850162B1 (ko) 하수처리조의 부유물 처리장치
KR200387977Y1 (ko) 수중미세기포 발생기와 약품흡입배관을 이용한폐수처리장치
KR200412853Y1 (ko)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KR101586432B1 (ko) 무동력 선회류 침사 제거기
KR101729314B1 (ko) 수위조절이 가능한 산화폭기장치
KR200419211Y1 (ko) 침전장치
KR102081851B1 (ko) 스컴제거부를 구비한 선회류식 협잡물처리기
KR200436557Y1 (ko) 폐수처리장치
US20120211407A1 (en) Dissolved Air Flotation Nozzle for Use With Self Contained Dissolved Air Flotation System
KR101352690B1 (ko) 협잡물종합처리기
JP6858320B2 (ja) 汚水浄化処理装置
KR200439029Y1 (ko) 침사 하부분리식 및 유체 선회류식 타입의 침사분리장치
KR100465870B1 (ko) 하수 및 오수처리장의 종합 협잡물 처리기
KR100761457B1 (ko) 침전장치
KR200444623Y1 (ko) 자동 부유물 제거기
KR102028488B1 (ko) 수처리시설의 스컴제거장치
KR200257369Y1 (ko) 수처리장의 침사물 분리장치
KR102347977B1 (ko) 우수처리장치
CN211571931U (zh) 用于泵站进水井的砂泥分离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