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665Y1 - 지혈용 1회용 테이프 - Google Patents

지혈용 1회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665Y1
KR200412665Y1 KR2020060001780U KR20060001780U KR200412665Y1 KR 200412665 Y1 KR200412665 Y1 KR 200412665Y1 KR 2020060001780 U KR2020060001780 U KR 2020060001780U KR 20060001780 U KR20060001780 U KR 20060001780U KR 200412665 Y1 KR200412665 Y1 KR 200412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ostatic
disposable tape
skin
open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두한
Original Assignee
전두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두한 filed Critical 전두한
Priority to KR2020060001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6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sub-pressure or over-pressure therapy, wound drainage or wound irrigation, e.g. for use with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NPW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2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31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absorbing pads
    • A61F2013/00744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absorbing pads containing non-wo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혈용 1회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수성이 큰 조직으로 된 지혈기재와, 상하면에 접착제층이 도포되어 지혈기재의 하면에 결합된 피막심재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 피막심재의 거의 중앙부에 피부의 보호부위에 대응하는 넓이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본 개구부의 외측에 피부표면에 대하는 접착 영역을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용 1회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지혈용 1회용 테이프, 부직포층, 피막심재, 개구부

Description

지혈용 1회용 테이프{stanch tape}
제1도는 본 고안의 지혈용 1회용 테이프의 단면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 지혈용 1회용 테이프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5도는 그 사용시의 태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혈용 1회용 테이프 2 : 부직포층
3,4 : 감압성 접착제층 5 : 심재피막
6 : 개구부 7 : 연막
8 : 박리 피막기재 9 : 공정박리지
10 : 박리제거지
본 고안은 지혈용 1회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혈, 수혈 또는 주사 등에 의한 피부의 침적을 보호하여 지혈을 행하기 위한 지혈용 1회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채혈, 수혈 등을 위하여 주사침을 뽑을 때 발생하는 상흔은 그것이 혈액의 응고작용 등에 의해서 막혀질 때까지 일시적으로 반창고나 가제 등으로 보호하여 지혈 및 세균 침입의 방지가 도모된다.
이때 간편한 방법으로서는 그 이면에 접착제를 바른 포지, 가제 등을 첨부하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 침적으로부터의 혈액양이 많으면 접착제의 효과가 상실되어 벗겨질때가 있기 때문에 접착제층에 다수의 소공을 내어 혈액을 상면의 가제 기타 지혈체에 흡수되도록 한 것도 제안되고 있다.
접착제층에 다수의 소공을 분포시키면 유출된 혈액이 이 소공을 통해서 지혈체에 흡수되지만 소공 이외의 접착면이 유혈로서 젖게 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고 혈액이 흡수되어서 응고되기 전에 접착제의 효력이 상실되어 벗겨지는 일이 많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발침 직후의 침적에서 유출되는 유동성이 큰 선혈을 가급적 접착면에 닿지 않도록 하는 일이지만 단지 소공을 분포시키는 정도의 방법으로는 그 효과가 반드시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더욱이 접착제는 생체의 피부, 특히 상처가 있는 피부 주변에 대해서는 많든 적든간에 바람직스럽지 못한 자극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지혈용 1회용 테이프 또는 반창고를 접착제로서 침적위에 첨부하는 것 자체를 적극적으로 피해야 한다.
한편 취급상의 유의점을 살펴보면 종래의 지혈용 1회용 테이프는 전체적으로 연약하기 때문에 소형의 시트를 손가락 끝으로 처리할 때 1회용 테이프에 자기 접착에 의한 주름 잡힘이 발생하여 실제의 취급함이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피부에 정확하게 접착되어 지혈성이 우수하고 특히 침적에 접착제가 닿는 일이 적고 또한 취급이 용이한 지혈용 1회용 테이프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종래 기술의 과제는 보수성이 큰 조직으로 된 지혈기재와 상하면에 접착제층이 도포되어 지혈기재의 하면에 결합된 피막심재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 피막심재의 거의 중앙부에 피부의 보호부위에 대응하는 넓이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본 개구부의 외측에 피부표면에 대하는 접착 영역을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용 1회용 테이프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고안의 지혈용 1회용 테이프에 있어서는 수혈침의 발적 등으로부터의 유혈이 보수성(保水性)이 큰 조직으로 되어 있는 지혈기재에 흡수되어 여기서 응고되어서 지혈됨과 동시에 상흔(傷跡)이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여기서 지혈기재는 상하면의 감압성 접착제에 의해서 소위 양면 접착테이프로써 가능하는 피막 심재를 사이에 두고 피부에 접착되는데, 본 피막심재의 거의 중앙부에는 피부의 보호 부위, 이를테면 침적 및 그 주변에 대응하는 넓이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침적으로부터의 유혈은 피막 심재의 하면의 접착제층에는 거의 저촉되는 일 없이 개구부를 통해서 직접 지혈기재에 흡수된다.
한편 지혈용 1회용 테이프는 접착제층의 전기 개구부의 외측부분, 즉 침적으로부터 충분히 이탈된 부분의 접착영역에서 피부표면에 대해서 접착되는데, 이 부분에서는 유혈이 거의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그 접착기능이 손상받는 일이 없다.
또한 이와 같이 접착제의 도포부분이 침적에는 전혀 덮여지지 않기 때문에 피부하의 생체 조직이 직접 노정된 자상부분에 바람직스럽지 못한 자극이 가해지는 일이 없다.
또한 전기 지혈용 1회용 테이프에서는 양면 접착피막으로서 기능하는 심재 피막은 지혈용 1회용 테이프 전체에 적당한 강성을 부여하는 그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전기 지혈기재로서 보수성이 큰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셀룰로오스 조직 등의 천연 셀룰로오스로 짜여진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셀룰로오스질의 부직포는 합성 섬유로 짜여진 부직포나 합성수지의 발포체에 비교해서 월등히 큰 보수성 내지 함수성이 있어서 지혈용 1회용 테이프를 압압했을 때에는 흡수한 유혈이 삼출되는 비율이 적다.
이와 같은 지혈용 1회용 테이프를 사용하면 부직포의 큰 보수성에 의해서 그 표면에 피가 삼출되는 염려는 적지만 본 지혈기재의 표면에 비투수성의 지혈피막을 형성하게 되면 그 효과는 더욱 증대된다.
또한 본 고안의 지혈용 1회용 테이프는 그 취급상 적절한 재질, 이를테면 포리에치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 lene terephthalate) 및 지류 등의 피막박리지 등 위에 다수 배치하여 사용시 개개로 박리해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고안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지혈용 1회용 테이프(1)는 셀룰로오스 섬유로 짜여진 부직포층(2)을 가진 거의 단형의 지혈기재와 상하면에 감압성 접착제층(3) 및 (4)을 가진 포리에치렌 테레후타레이트제의 심재피막(5)으로 구성되고, 이 심재피막(5)의 거의 중앙부에는 피부의 침적 및 주변부에 대응하는 충분히 넓은 개구부(6) (약 7mm 경)이 상하 접착제층(3)(4)을 포함시켜 장치되어 있고, 여기에 수반하여 피부에 접착되는 하면의 감압성 접착제(3)는 본 개구부(6)의 외측 주면부에 환상의 접착영역으로 형성된다.
또한 부직포층(2)의 상면에는 비투수성의 지혈피막으로서의 기저피막이 엷은 막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개개의 지혈용 1회용 테이프(1)는 박리용 피막기재로서 포리에치렌 테레후타레이트제의 피복에 대해서 박리가 가능토록 배치된다.
전술한 지혈용 1회용 테이프(1)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작되었는데, 이를테면 제2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나 있는 일련의 공정에서 제작하는 것이 실용상 바람직하다.
제2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압성 접착제층 (3) (4)을 형성한 심재피막 (5)을 박리피막기재(8)에 접착시켜 본 심재피막 (5) 의 상면에 공정박리지(9)을 접착시킨 중간적층제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중간적층제에 지혈용 1회용 테이프(1)의 개구부(6)에 대응하는 투공을 소정의 간격으로 타발가공에 의해서 열설한 후 제2도의 좌측부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공정박리지(9)를 제거해서 접착제층(4)을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제3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막(7)을 상면에 가지는 부직포층(2)을 본 접착제층(4)에 접착시키고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최종 적층체에 대해서 (최하층의 박리피막기재(8)를 제외) 각 층에 제3도와 같이 이를 테면 단형의 반발가공을 실시한다.
또한 제3도의 좌측부분 또는 제4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박리제거지(10)를 제거하면 박리피막(8)상에 배열된 개개의 지혈용 1회용 테이프(1)가 얻어진다.
본 고안의 지혈용 1회용 테이프(1)는 제5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박리피막기재(8)를 적절한 공구(도시하지 않았음)의 롤(11)상에서 아래쪽으로 절곡시키면서 빼내므로 심재피막의 강성에 의해서 쉽게 박리되어 이것을 침적 등에 접착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지혈용 1회용 테이프 (1)의 하면의 심재피막 (5)의 개구부 (6)는 침적이나 그 주변부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크기(약 7mm경)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 시에는 개구부 (6)를 침적에 쉽게 합치시킬 수가 있고, 따라서 개구부 주변의 접착 영역이 침적에 저촉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침적에서 유출된 혈액은 모두 개구부(6)를 통해서 부직포층 (2)로 인도되어 흡수 응고되기 때문에 지혈용 1회용 테이프 (1)의 주변에서 삼출되어 의복을 더럽히는 염려가 없다.
특히 유혈이 접착제층(3)에 전혀 저촉되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서 벗겨지는 일도 없으며, 접착체층(3)은 개구부(6)의 주변의 환상의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침적의 상처부분에 접착제가 저촉되어 생화학적인 자극반응이 발생하는 일 도 없다.
또한 부직포층(2)과 피부와의 사이에 접착 때문에 양면접착피막으로 사용되고 있는 심재피막(5)은 적당한 강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지혈용 1회용 테이프의 힘이 강해져서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침적으로부터의 지혈 용도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래 손가락 끝의 절상 자상 등 작은 상처를 일시적으로 보호하고 지혈하기 위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혈, 채혈 등의 경우 침적의 보호 및 지혈에 사용하는 지혈용 1회용 테이프를 상처가 난 피부에 대해서 확실하게 접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혈액에 의한 의복의 더러워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흔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상처부분에 대해서 접착제에 의해서 자극이 가해지는 염려도 없다.

Claims (4)

  1. 보수성이 큰 조직으로 된 지혈기재와 상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지혈기재의 하면에 결합된 심재피막(5)으로서 구성되어 심재피막의 거의 중앙부에 피부의 보호부위에 대응하는 넓이의 개구부(6)를 형성하여 본 개구부의 외측에 피부 표면에 대하는 접착영역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혈용 일회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지혈기재가 부직포층(2)으로 된 지혈용 일회용 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부직포가 셀룰로이스 섬유로 된 지혈용 일회용 테이프.
  4. 제2항에 있어서 지혈기재가 부직포층(2)과 그 상면에 형성된 비투수성의 지혈 피막 등(7)으로 구성된 지혈용 일회용 테이프.
KR2020060001780U 2006-01-20 2006-01-20 지혈용 1회용 테이프 KR200412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780U KR200412665Y1 (ko) 2006-01-20 2006-01-20 지혈용 1회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780U KR200412665Y1 (ko) 2006-01-20 2006-01-20 지혈용 1회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665Y1 true KR200412665Y1 (ko) 2006-03-29

Family

ID=4176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780U KR200412665Y1 (ko) 2006-01-20 2006-01-20 지혈용 1회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6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662Y1 (ko) 지혈용 1회용 테이프
CN112584804B (zh) 可适应的粘性伤口敷料
EP2731563B1 (en) A wound dressing assembly
MXPA03005911A (es) Vendaje adhesivo que tiene una capa colocada selectivamente.
JP6679567B2 (ja) 2段階式創傷包帯アセンブリ
US10940050B2 (en) Wound dressing assembly
EP3975955B1 (en) Medical dressing for securing a tubiform component of a medical device
KR200412665Y1 (ko) 지혈용 1회용 테이프
KR200394389Y1 (ko) 지혈용 1회용 테이프
JP6487323B2 (ja) 固定用組立体
JPH0140503Y2 (ko)
KR200370213Y1 (ko) 상처보호를 위한 투명 점착필름 밴드
KR101231069B1 (ko) 구급 반창고
JP4492868B2 (ja) 絆創膏又は粘着ドレッシング
KR200323831Y1 (ko) 상처보호를 위한 투명 점착필름 밴드
JP2010063547A (ja) 鍼治療用指先感染防止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