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632Y1 -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 Google Patents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632Y1
KR200410632Y1 KR2020050035023U KR20050035023U KR200410632Y1 KR 200410632 Y1 KR200410632 Y1 KR 200410632Y1 KR 2020050035023 U KR2020050035023 U KR 2020050035023U KR 20050035023 U KR20050035023 U KR 20050035023U KR 200410632 Y1 KR200410632 Y1 KR 200410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kateboard truck
center
center arm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수
Original Assignee
강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수 filed Critical 강철수
Priority to KR2020050035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6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632Y1/ko
Priority to JP2008536484A priority patent/JP2009512492A/ja
Priority to PCT/KR2006/004197 priority patent/WO2007046609A1/en
Priority to US12/089,877 priority patent/US20080252026A1/en
Priority to EP06799275A priority patent/EP1937373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63C17/012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with a truck, i.e. with steering mechanism comprising an inclined geometrical axis to convert lateral tilting of the board in steering of the whee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4Wheel arrangements
    • A63C17/015Wheel arrangements with wheels arranged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상부재를 이용하여 트럭을 형성하므로 탄성이 좋아 충격흡수가 우수하고 점프력도 향상되는 효과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양단부에 휠이 결합되며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돌출된 지지부가 갖추어진 샤프트가 결합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판상부재이고 좌우 양단부 중심으로부터 마주보도록 벤딩되는 센터아암 중 일측에서 상기 결합부와 커넥터에 의해 체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스케이트보드, 트럭, 판상부재, 탄성, 점프력, 센터아암, 포켓, 좌우아암

Description

스케이트보드용 트럭{SKATEBOARD TRUCK}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트럭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2 -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의 사시도.
도3 - 도2에 대한 측면도.
도4 -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의 사시도.
도5 - 와셔일체형볼트의 단면도.
도6 - 커넥터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7 -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8 -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9 -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10-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11- 본 고안의 제6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12 - 본 고안의 제7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13 - 본 고안의 제8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스케이트보드 200 : 트럭
220 : 좌우아암 230 : 센터아암
235 : 포켓 237 : 탄성체
238 : 하우징 239 : 코일스프링
240 : 보조아암 250 : 보강판
260 : 마찰방지판 300 : 샤프트
310 : 휠 320 : 결합부
330 : 지지부 400 : 커넥터
본 고안은 스케이트보드에 장착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휠이 결합된 샤프트를 판상부재를 벤딩하여 형성되는 센터아암에 결합함으로서 충격흡수와 점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스케이트보드는 보드판의 하부에 휠을 갖춘 트럭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지상에서 탈수 있도록 고안된 레저용품이다. 보다 나은 성능과 기능을 갖춘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이 주요한 대상이 되고 있다.
이하, 종래기술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며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트럭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준다. 상기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1-0064136호에 선행기술로서 개시된 것이며, 이것의 구성을 보면 바닥면을 베이스 플레이트(30)라 하고, 가운데 큰 볼트를 킹핀(31)이라 하며 너트를 킹 핀너트(34)라하고, 윗 부분을 엑슬하우징(32)이라 한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엑슬하우징(32) 사이에 탄성재인 우레탄 고무(33)를 삽입하고 있으며 바퀴를 끼우는 부분을 엑슬(35)이라 하며, 엑슬너트(36)로 바퀴를 연결하고 킹핀(31)과 킹핀너트(34)로 조립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스케이트보드 트럭은 엑슬하우징(32)을 베이스플레이트에 직결하는 것이므로 우레탄고무만으로 충격흡수가 이루어져 충격흡수력이 낮고 점프력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1992-0004677호의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이 공지된 바 있으며, 도2는 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3은 측면도를 보여준다. 이것의 구성으로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일단부에서 상기 트럭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부에서는 일체로 된 축 허브(23)를 구비하는 보(21)와, 원형플랜지(2212) 및 개구를 형성하는 내측 오목부(2211)를 구비하고 하향 연장하며 상기 트럭과 중앙부에서 일체로 형성된 보스(22)와, 상부에 원형홈(31)을 구비하고 중앙 상부에 막힌 구멍을 구비하는 반구형 탄성중합체(3)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축허브(23)는 상부에서 원형브래킷(24)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21)를 가지는 종래기술의 경우에 탄성중합체(3)가 보에 형성된 원형브래킷(24)과 직접 접촉되면서 충격흡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인 바, 보가 가지는 탄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바퀴가 보에 결합된 허브(23)에 연결되므로 자유로운 방향전환에 어려움을 가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기술에서는 보(21)의 단부에 축 허브(23)을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 해서는 용접을 수행해야 하며 용접결합부는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피로현상으로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현실적으로 적용하는데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을 판상부재로 성형하되 좌우 양단부을 하방으로 벤딩시켜 센터아암을 형성시키고 휠이 연결된 샤프트를 상기 센터아암에 구속되게 함으로서 놓은 충격흡수력을 유지하며 동시에 우수한 점프력도 가지고, 방향조정성도 좋은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센터아암을 사이에 두고 좌우아암을 설치함으로서 더 나은 충격흡수력과 점프력을 가지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양단부에 휠이 결합되며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돌출된 지지부가 갖추어진 샤프트가 결합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판상부재이고 좌우 양단부 중심으로부터 마주보도록 벤딩되는 센터아암 중 일측에서 상기 결합부와 커넥터에 의해 체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오목한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에 오목한 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이며, 또한 상기 센터아암은 내측으로 오므라진 형태를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더 나아가 상기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은, 상기 포켓이 형성된 센터아암을 사이에 두고 좌우아암이 더 갖추어져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이며, 그리고 상기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은, 상기 샤프트의 결합부와 체결되는 센터아암을 사이에 두고서 좌우아암이 더 갖추어져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양단부에 휠이 결합되며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가 갖추어진 샤프트가 결합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판상부재이고 좌우 어느 일측단부로부터 벤딩되며 분할된 좌우아암과 상기 좌우아암의 사이에 센터아암이 갖추어지고, 상기 센터아암에서 샤프트의 결합부가 커넥터에 의해 체결되고 좌우아암은 샤프트를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양단부에 휠이 결합되며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가 갖추어진 샤프트가 결합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판상부재이고 어느 일측단부 중심으로부터 벤딩되어 센터아암을 형성하고, 타측단부로부터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벤딩되어 좌우아암을 이루며 상기 결합부는 커넥터에 의해 상기 센터아암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양단부에 휠이 결합되며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가 갖추어진 샤프트가 결합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판상부재이고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벤딩되어 좌우아암을 형성하고, 타측단부 근처에서 ㄷ 자형으로 따내기 되어 상기 좌우아암과 마주보는 방향으 로 들어올려지는 센터아암이 갖추어져 상기 결합부가 센터아암과 커넥터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은 양단부에 휠이 결합되며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돌출된 지지부가 갖추어진 샤프트가 결합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판상부재이고 좌우 어느 일측단부 중심으로부터 벤딩되어 센터아암을 형성하고, 타측단부로부터 벤딩되어 수평한 말단부가 좌우아암을 이루도록 Y 자형태를 이루고 상기 좌우아암 사이에 포켓이 형성된 보조아암이 돌출되므로서 상기 결합부는 센터아암과 커넥터로 체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오목한 탄성체가 결합된 포켓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터아암과 좌우아암은, 그 내측면에 보강판이 덧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기 좌우아암은, 상기 샤프트와 접촉되는 부위에 마찰방지판이 추가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커넥터는 헤드부의 상부가 볼록하고 중심부에 렌치홈이 형성되며 헤드부 하면 가장자리는 고정턱이 형성되는 와셔일체형볼트와;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는 결합부의 상하에 배치되는 완충고무와; 상기 센터아암을 관통하는 와셔일체형볼트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양단부에 휠이 결합되며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돌출된 지지부가 갖추어진 샤프트가 결합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판상부재이고 좌우 양단부 중심으로부터 마주보 도록 벤딩되는 센터아암 중 일측에서 상기 결합부와 커넥터에 의해 체결되고 타측에는 코일스프링이 수용되는 하우징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코일스프링의 상단부에 상기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한 탄성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관해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하며,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의 개략적인 사시도에 해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은 스케이트보드(100) 하면에 설치되며 휠(310)이 결합된 샤프트(300)가 결합되어 트럭(20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300)는 그 양단부에 휠(310)이 설치되며 샤프트의 중심부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3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돌출된 지지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300)가 결합되는 트럭(200)은 판상부재이며 그 좌우 양단부 중심으로부터 마주보도록 벤딩되는 두개의 센터아암(2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센터아암(230) 중 어느 하나의 것에서 상기 결합부(320)와 커넥터(400)에 의해 체결되고 타측의 또 하나의 센터아암(230)에는 지지부(330)가 삽입되는 포켓(235)이 갖추어진다. 상기 포켓(235)은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켓(235)에 우레탄박킹과 같은 탄성체(237)를 설치하여 지지부(330)의 말단부가 여기에 삽입되도록 한다. 포켓(235)에 삽입되는 지지부(330)에 의해 휠이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되며, 방향전환시에는 지지부가 포켓 속에 서 어느 정도 유동이 되므로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센터아암(230)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도4와 같이 판상부재의 좌우 양단부를 마주보도록 내측으로 벤딩시 2번 벤딩시켜 내측으로 오므라지는 형태를 갖도록 하며, 두개의 센터아암(230)은 스케이트보드와 직접 체결되는 판상부재와는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센터아암을 벤딩함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갖도록 변화를 줄 수 있으며 이것은 해당기술 분야의 당업잘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인 바, 단순한 각도의 변경 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돌출된 결합부(320)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320)와 구속될 어느 일측 센터아암(230)에도 홀이 형성되어 커넥터(400)를 이용하여 결합부(320)와 센터아암(230)을 체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400)는 공지의 일반적인 볼트와 너트 및 우레탄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5 및 도6과 같은 결합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이용한다.
즉, 상기 커넥터(400)는 와셔일체형볼트(408)와 완충고무(410) 및 너트(409)로 구성되며 상기 와셔일체형볼트(408)는 헤드부(k)의 상부가 볼록하며 중심부에 렌치홈(r)이 형성되고 헤드부(k) 하면 가장자리에는 고정턱(s)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고무(410)는 와셔일체형볼트(408)가 삽입되는 결합부(320)의 상하에 배치되며 너트(409)는 센터아암(230)을 관통하는 와셔일체형볼트(408)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경우 상기 와셔일체형볼트의 헤드 부 중심에 함몰된 렌치홈이 구비됨으로서 마모에 의한 렌치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와셔일체형볼트의 헤드부 하면 가장자리에 고정턱이 구비됨으로써 그 하부에 놓이는 완충고무를 확고히 자리잡게 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도7은 이에 대한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포켓(235)이 형성된 센터아암(230)을 사이에 두고 좌우아암(22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포켓(235)이 형성된 센터아암(230)의 양측으로 좌우아암(220)이 벤딩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좌우아암(220)은 센터아암(230)보다 높이가 높아 샤프트(300)와 맞닿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아암(220)의 존재로 인해 바퀴를 거쳐 샤프트로 전해지는 충격을 보다 원활히 흡수하게 되며 보다 큰 점프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8은 이에 대한 사시도이고, 여기에서는 제1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샤프트(300)에 형성되는 결합부(320)와 체결되는 센터아암(230)의 양측으로 좌우아암(220)이 더 형성되어 샤프트(300)를 지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관한 것으로 이것 또한 뛰어난 충격흡수와 점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언급한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 상기 센터아암(230)과 좌우아암(220)의 내측에는 판상의 보강판(250)이 덧대어 설치될 수 있음으로 보다 큰 하중에도 견딜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좌우아암(220)과 샤프트 (300)가 접촉되는 부위에는 마찰방지판(260)을 추가로 둘 수 있으며 상기 마찰방지판의 존재로 샤프트에 유발되는 과도한 마모현상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는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9는 이에 대한 사시도를 보여주고, 도시된 것처럼 트럭에 결합될 샤프트(300)의 양단부에는 휠(310)이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의 중심부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돌출되는 결합부(320)가 갖추어진다. 이러한 샤프트가 트럭에 연결되는데, 상기 트럭(200)은 판상부재이고 좌우측 어느 일단부로부터만 벤딩되고 분할되는 좌우아암(220)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아암의 사이에 센터아암(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아암(230)에서 샤프트(300)에 구비되는 결합부(320)가 커넥터(400)에 의해 체결되고 좌우아암(220)은 샤프트(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며 도10은 이에 대한 사시도에 해당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00)의 양단부에 휠(310)이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의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되는 결합부(320)가 갖추어진다. 이러한 샤프트가 트럭에 연결되며 상기 트럭은 판상부재이고 어느 일측단부 중심으로부터 벤딩되어 센터아암(230)을 형성하며 타측단부(센터아암의 반대측)로부터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벤딩되는 좌우아암(2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샤프트(300)에 형성되는 결합부(320)가 커넥터(400)에 의해 상기 센터아암(230)과 체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어서 본 고안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며 도11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도 샤프트(300)의 양단부에는 휠이 결합되며 샤프트 의 중심부 일측으로 통공이 형성된 돌출되는 결합부(320)가 구비되며 이러한 샤프트가 트럭에 부착된다. 상기 트럭은 판상부재이고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벤딩되어 좌우아암(220)을 형성하며, 상기 좌우아암의 반대측 단부 근처에서 ㄷ 자형으로 따내기 되어 상기 좌우아암(220)과 마주보게 들어올려지는 센터아암(230)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센터아암에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는 결합부(320)가 커넥터(400)에 의해 상기 센터아암과 체결된다. 본 단면도에서 샤프트와 휠은 도시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7실시예를 설명하며 도12는 이에 대한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 트럭에 결합될 샤프트(300)는 양단부에 휠(310)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300)의 중심부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돌출되는 결합부(320)가 구비되고 타측에 돌출되는 지지부(3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럭(200)은 판상부재이고 좌우 어느 일측단부 중심으로부터 벤딩되어 센터아암(230)을 이루게되며, 타측단부로부터 좌우아암(220)이 형성되는데, 여기에서는 상기 좌우아암(220)이 대략 Y 자형태를 이루며 센터아암(230)과 마주보도록 벤딩되고 상기 좌우아암(220)의 사이에 보조아암(240)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아암(240)에는 오목한 탄성체(237)가 결합된 포켓(23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트럭에 대해 샤프트(300)의 결합부(320)는 센터아암(230)과 커넥터(400)로 체결되고 지지부(330)는 상기 포켓(235)에 삽입되어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 포켓(235)에는 오목한 탄성체(237)로서 우레탄박킹이 고정설치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330)의 단부는 우레탄박킹과 직접적인 접촉을 이루게 된다. 본 예에서는 타 실시예에서와 같은 센터아암 및 좌우아암 외에 보조아암을 더 구비하므로 보다 나은 충격흡수기능과 점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어서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도13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샤프트(300)의 양단부에 휠(310)이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의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3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돌출되는 지지부(330)가 갖추어진다. 그리고 샤프트(300)가 결합될 트럭은 판상부재로서 좌우 양단부 중심으로부터 마주보도록 벤딩되는 두개의 센터아암(230)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아암 중 어느 일측에서 상기 결합부(320)와 커넥터(400)에 의해 체결되며, 타측에는 코일스프링(239)이 수용되는 하우징(238)이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238)으로부터 돌출되는 코일스프링(239)의 상단부에 상기 지지부(330)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한 탄성체(237)로서 우레탄박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예에서는 상기 지지부(330)가 일차적으로 코일스프링(239)에 연결되므로 일차적인 충격완화가 이루어지고 연이어 코일스프링(239)이 설치되는 센터아암(230)에 의해서 이차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므로 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지게 된다.
한편, 언급한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센터아암과 좌우아암의 내측에는 보강판이 덧대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좌우아암과 샤프트의 접촉면에는 마찰방지판을 두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역시 공지의 일반적인 볼트와 너트의 결합이 될 수도 있고 언급한 와셔일체형볼트를 사용할 수도 있음도 동일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의 작용원리에 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본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은 종래기술과 달리 판상부재(판스프링)을 벤딩시켜 벤딩된 말단부에 휠이 장착된 샤프트를 결합함으로써 뛰어난 충격흡수기능을 갖도록 했으며 이와 동시에 점프력도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 요지이다.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기본적으로 센터아암을 갖게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센터아암의 양측으로 좌우아암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좌우아암은 샤프트를 받쳐주어 보다 나은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지면과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휠을 통해 샤프트로 충격이 전달되며 이어서 센터아암 및/또는 좌우아암으로 힘의 분배가 이루어지며 동시에 충격완화가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의하면 종래기술로서는 달성할 수 없는 탁월한 충격흡수기능과 점프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방향전환도 원활하게 구사할 수 있는 특성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트럭을 이루는 판상부재의 재질이나 판의 두께 등을 변화하므로서 사용자의 체중에 가장 적합한 트럭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트럭 구조는 스케이트보드 뿐 아니라 휠을 가지는 다양한 탈것에 응용적용될 수 있어 레저산업을 활성화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3)

  1. 양단부에 휠(310)이 결합되며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3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돌출된 지지부(330)가 갖추어진 샤프트(300)가 결합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판상부재이고 좌우 양단부 중심으로부터 마주보도록 벤딩되는 센터아암(230) 중 일측에서 상기 결합부(320)와 커넥터(400)에 의해 체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부(330)가 삽입될 수 있게 오목한 포켓(235)이 형성되고 상기 포켓에는 탄성체(237)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아암(230)은,
    내측으로 오므라진 형태를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은,
    상기 포켓(235)이 형성된 센터아암(230)을 사이에 두고 좌우아암(220)이 더 갖추어져 샤프트(300)를 지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은,
    상기 샤프트의 결합부(320)와 체결되는 센터아암(230)을 사이에 두고서 좌우 아암(220)이 더 갖추어져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5. 양단부에 휠(310)이 결합되며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320)가 갖추어진 샤프트(300)가 결합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판상부재이고 좌우 어느 일측단부로부터 벤딩되며 분할된 좌우아암(220)과 상기 좌우아암의 사이에 센터아암(230)이 갖추어지고, 상기 센터아암에서 샤프트의 결합부가 커넥터에 의해 체결되고 좌우아암은 샤프트를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6. 양단부에 휠(310)이 결합되며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320)가 갖추어진 샤프트(300)가 결합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판상부재이고 어느 일측단부 중심으로부터 벤딩되어 센터아암(230)을 형성하고, 타측단부로부터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벤딩되어 좌우아암(220)을 이루며 상기 결합부(320)는 커넥터(400)에 의해 상기 센터아암(230)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7. 양단부에 휠이 결합되며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320)가 갖추어진 샤프트(300)가 결합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판상부재이고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벤딩되어 좌우아암 (220)을 형성하고, 타측단부 근처에서 ㄷ 자형으로 따내기 되어 상기 좌우아암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센터아암(230)이 갖추어져 상기 결합부(320)가 센터아암(230)과 커넥터(40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8. 양단부에 휠(310)이 결합되며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3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돌출된 지지부(330)가 갖추어진 샤프트(300)가 결합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판상부재이고 좌우 어느 일측단부 중심으로부터 벤딩되어 센터아암(230)을 형성하고, 타측단부로부터 벤딩되어 수평한 말단부가 좌우아암(220)을 이루도록 Y 자형태를 이루고 상기 좌우아암 사이에 포켓(235)이 형성된 보조아암(240)이 돌출되므로서 상기 결합부(320)는 센터아암(230)과 커넥터(400)로 체결되고 상기 지지부(330)는 오목한 탄성체(237)가 결합된 포켓(235)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아암(230)은,
    그 내측면에 보강판(250)이 덧대어져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10.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 기 센터아암(230)과 좌우아암(220)은,
    그 내측면에 보강판(250)이 덧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11.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아암(220)은,
    상기 샤프트(300)와 접촉되는 부위에 마찰방지판(260)이 추가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400)는,
    헤드부(k)의 상부가 볼록하고 중심부에 렌치홈(r)이 형성되며 헤드부 하면 가장자리는 고정턱(s)이 형성되는 와셔일체형볼트(408)와;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는 결합부(320)의 상하에 배치되는 완충고무(410)와;
    상기 센터아암을 관통하는 와셔일체형볼트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너트(40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13. 양단부에 휠(310)이 결합되며 중심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된 결합부(3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돌출된 지지부(330)가 갖추어진 샤프트(300)가 결합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에 있어서,
    판상부재이고 좌우 양단부 중심으로부터 마주보도록 벤딩되는 센터아암(230) 중 일측에서 상기 결합부(320)와 커넥터(400)에 의해 체결되고 타측에는 코일스프링(239)이 수용되는 하우징(238)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코일스프링의 상단부에 상기 지지부(330)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한 탄성체(237)가 설치되는 것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KR2020050035023U 2005-10-21 2005-12-13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KR200410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023U KR200410632Y1 (ko) 2005-11-17 2005-12-13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JP2008536484A JP2009512492A (ja) 2005-10-21 2006-10-17 スケートボード用トラック
PCT/KR2006/004197 WO2007046609A1 (en) 2005-10-21 2006-10-17 The truck for a skateboard
US12/089,877 US20080252026A1 (en) 2005-10-21 2006-10-17 Truck For a Skateboard
EP06799275A EP1937373A4 (en) 2005-10-21 2006-10-17 AXLE FOR A SKATE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548 2005-11-17
KR2020050035023U KR200410632Y1 (ko) 2005-11-17 2005-12-13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632Y1 true KR200410632Y1 (ko) 2006-03-09

Family

ID=4176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023U KR200410632Y1 (ko) 2005-10-21 2005-12-13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6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12492A (ja) スケートボード用トラック
US6425161B1 (en) Industrial caster wheel with elastomeric spring/damper member
US6474666B1 (en) Shock absorbing skate truck assembly
US9415295B2 (en) Skateboard truck assembly
US5853182A (en) Truck assembly for skateboards
CN101858171B (zh) 撞针组件
WO1998035872B1 (en) Truck assembly for skateboards
US8870199B2 (en) Spring resistant riser system
US20130168936A1 (en) Skateboard
US20080023898A1 (en) Geometric shaped side bearing pad
AU2013206563A1 (en) Shock absorbing caster assembly
KR200410632Y1 (ko)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CN216184315U (zh) 悬架结构、车辆
AU2004314756B2 (en) Spring element for rail vehicles
KR101020012B1 (ko) 기능성 신발
US5180176A (en) Elastic truck for roller skates
CN202656821U (zh) 重型汽车后悬架减震用弹性体总成
US20080115316A1 (en) Vacuum Having Wheels And Shock Absorbing Features
EP0993326B1 (en) Ergonomic skate boot with shock absorber
CN218996950U (zh) 一种电动滑板车电池稳定结构
CN220743274U (zh) 一种用于滑板车的摇臂式减震结构及滑板车
CN212028403U (zh) 一种钢板弹簧
CN201006713Y (zh) 常接触减振旁承
CN216971773U (zh) 一种防风铁鞋
WO2007061229A1 (en) Spring sk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