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498Y1 -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498Y1
KR200410498Y1 KR2020050036190U KR20050036190U KR200410498Y1 KR 200410498 Y1 KR200410498 Y1 KR 200410498Y1 KR 2020050036190 U KR2020050036190 U KR 2020050036190U KR 20050036190 U KR20050036190 U KR 20050036190U KR 200410498 Y1 KR200410498 Y1 KR 200410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uilding
motor
structural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문
Original Assignee
김국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문 filed Critical 김국문
Priority to KR2020050036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4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상발생 시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건물의 내측벽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정/역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로프용 릴과, 상기 로프용 릴의 회전에 따라 풀리거나 감기는 구조용 로프와, 상기 구조용 로프의 끝단에 연결되며 인원이 탈 수 있도록 구비된 구조용 함체와, 상기 구조용 함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된 인출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배터리를 포함함으로써, 고층건물의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건물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화재, 지진 등의 비상발생 시 건물 밖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고층건물, 비상, 화재, 모터, 구조용 릴, 구조용 루프, 구조용 함체, 배터리

Description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building}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를 건물의 내측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우징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를 건물의 내측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인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하우징, 110 : 손잡이,
120 : 암경첩, 130 : 힌지축,
140 : 수경첩, 150 : 덮개,
160 : 고정받침부재, 170 : 보관공간,
180 : 관통홀, 190 : 내측 저면,
200 : 모터, 250 : 회전축,
300 : 로프용 릴, 400 : 구조용 로프,
500 : 구조용 함체, 600 : 인출부,
610 : 힌지축, 620 : 인출커버,
630 : 잠금/해제부, 631 : 이동손잡이,
632 : 가이드부재, 633 : 걸림편,
640 : 가이드홀, 700 : 배터리,
800 : 내측벽
본 고안은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의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화재, 지진 등의 비상발생 시 건물 밖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지진 등의 비상발생 시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는 고층건물 예를 들어, 호텔, 아파트 및 사무용 건물 등에서 많은 수의 재산 피해는 물론 인명피해가 발생한다.
또한, 화재발생 지점보다 상부에 거주하고 있던 인원들은 불길을 탈출하기 가 어렵고 구조용 헬기나 고가 사다리차량이 적시에 도착하지 않을 경우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화재발생 시 전원공급이 끊어짐으로써 엘리베이터는 사용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비상계단을 통하여 지상으로 탈출을 하는 것은 과도하게 많은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에 의한 연기는 탈출을 더욱 어렵게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동력을 사용한 완강기가 개시된 바가 있으나 이는 화재발생 등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층건물의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건물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화재, 지진 등의 비상발생 시 건물 밖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은, 비상발생 시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건물의 내측벽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하우징; 상 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정/역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로프용 릴; 상기 로프용 릴의 회전에 따라 풀리거나 감기는 구조용 로프; 상기 구조용 로프의 끝단에 연결되며 인원이 탈 수 있도록 구비된 구조용 함체; 상기 구조용 함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된 인출수단;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인명구조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경첩을 이용하여 상기 건물 유리창 근처의 내측 벽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사용 시 일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건물 밖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회동이 용이하도록 그 일측에 손잡이를 더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는 직류 기어드 모터(DG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용 로프의 길이는 설치된 건물의 해당 층 높이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용 함체는 상기 하우징 내에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며, 상기 인출수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펼쳐지도록 그물형상의 포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용 함체는 안전벨트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조용 함체를 상기 하우징 내에 보관하거나 외 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커버; 및 상기 인출커버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의 개폐 시 상기 인출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잠금/해제되도록 구비된 잠금/해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의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의 공급전압 부족 시 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고해주기 위한 경고부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를 건물의 내측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우징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를 건물의 내측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인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는, 고층건물(예컨대, 호텔, 아파트 및 사무용 건물 등)의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비상발생(예컨대, 화재 또는 지진 등) 시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우징(100), 모터(200), 로프용 릴(300), 구조용 로프(400), 구조용 함체(500), 인출부(600) 및 배터리(7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사각박스 형태로 전체적인 몸체를 이루는 바, 상기 고층건물 내측벽(800)의 적소(예컨대, 유리창 근처의 내측 벽면)에 통상의 경첩(hinge) 등을 이용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주요 구성요소들 즉, 모터(200), 로프용 릴(300), 구조용 로프(400), 구조용 함체(500) 및 배터리(700) 등이 내장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일측면에는 일 방향 즉, 건물 밖으로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손잡이(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타측면에는 상기 고층건물의 내측벽(800)에 통상의 못이나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 암경첩(120)에 회동가능하도록 소정의 힌지축(130)에 의해 결합되는 수경첩(14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정면측에는 통상의 나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덮개(150)가 고정됨으로써, 이러한 덮개(150)를 분리하여 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된 주요 구성요소들의 수리 또는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모터(200)를 안착시켜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받침부재(16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700)가 안전하게 안착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보관공간(170)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200)는 하우징(100)의 고정받침부재(160)에 통상의 나사 또는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며, 그 회전축에 기어(Gear) 등의 감속기구가 부착되어 저속 회전을 실현하거나 큰 토크(Torque)를 발생할 수 있는 통상의 직류 기어드 모터(DC Geared Motor, DGM)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0.75kw(1HP)의 출력, 1/60의 기어감속비, 12V의 정격전압, 82A의 정격전류 사양을 갖는 직류 기어드 모터(DGM)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류 기어드 모터(DGM)를 적용함으로써, 약 50kg 내지 80kg의 몸무게를 가진 성인 한 명이 구조용 함체(500)에 들어가 모터(200)의 구동 없이 자유 낙하할 경우 저속(약 10m/min 내지 30m/min 정도)으로 내려갈 수 있게 된다.
이때, 모터(200)의 기어감속비는 약 65kg의 몸무게를 갖는 성인이 구조용 함체(500)에 들어가 모터(200)의 구동 없이 자유 낙하하여 약 20m/min의 하강속도로 내려갈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로프용 릴(300)은 모터(200)의 회전축(250)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도록 회전축(250) 상에 결합되며, 그 몸통에 일정 길이의 구조용 로프(400)가 감겨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조용 로프(400)의 일단은 로프용 릴(300)의 몸통에 고정되어 일정 길이로 감겨져 있으며, 그 타단은 구조용 함체(50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용 로프(400)의 길이는 지면에서부터 해당 건물에 설치된 본 고안의 장치까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조용 로프(400)는 인명구조 시 구조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자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화재발생 시를 대비하여 불에 타지 않는 재질의 것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구조용 함체(500)는 보통의 성인 한 명 이상이 들어갈 수 있도록 그물형태의 포대로 이루어지는 바, 하우징(100) 내의 소정 공간에 보관될 수 있도록 납작하게 접혀지며, 인출부(600)에 의해 외부로 인출될 경우 포대형태로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용 함체(500)는 통상의 안전벨트(미도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출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홀(180)을 소정의 힌지축(610)을 이용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며, 구조용 함체(500)를 하우징(100) 내에 보관하거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커버(620)와, 인출커버(6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며, 관통홀(180)의 개폐 시 인출커버(620)가 하우징(100)에 잠금/해제될 수 있도록 구비된 잠금/해제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잠금/해제부(630)는 인출커버(6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소정 길이의 가이드홀(64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하우징(100)의 외측에 형성된 이동손잡이(631)와, 이동손잡이(631)의 끝단에 연장 형성되며 가이드홀(640)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가이드부재(632)와, 가이드부재(632)의 끝단에 고정결합되어 가이드부재(632)의 수평이동에 따라 하우징(100)의 내측 저면(190)에 걸림되어 잠금될 수 있도록 구비된 걸림편(633)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700)는 하우징(100)의 보관공간(170)에 설치되어 모터(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량의 충전이 되어있으면 일정시간 동안 모터(200)를 구동 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외부의 교류전원(예컨대, AC 220V)을 이용하여 배터리(700)를 충전하기 위하여 통상의 A/D 변환기 등을 포함한 충전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700)의 공급전압 부족 시 통상의 전압측정수단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보다 작을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예컨대, LED 또는 전구 등) 또는 청각적(예컨대, 스피커 등)으로 경고해주기 위한 경고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일측면에는 구조용 함체(500)에 사람이 들어가 모터(200)의 구동 없이 예컨대, 정회전하여 기 설정된 모터(200)의 기어감속비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자유 낙하하여 지면에 닿아 탈출할 경우, 건물에 남아 있는 다른 사람이 탈출할 수 있도록 모터(200)를 빠른 속도로 예컨대, 역회전하여 구조용 함체(500)가 상승되게 모터(200)의 구동회로에 연결되는 상승버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모터(200)를 인위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정지버튼(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모터(200)의 구동 없이 예컨대, 정회전하여 기 설정된 모터(200)의 기어감속비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자유 낙하 시 가속될 경우 즉, 기 설정된 기준 속도(약 60m/min 정도)이상으로 자유 낙하할 경우 속도 감소를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를 건물의 내측벽(800)에 돌출되어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하였지만, 이에 국 한하지 않으며,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건물의 내측벽에 회동가능하게 내장설치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서랍 등에서 사용되는 수평이동레일을 이용하여 건물 밖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건물의 내측벽에 내장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는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고층건물 예컨대, 15층 아파트에 거주하는 어느 가정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현관을 통해 밖으로 대피할 수 없는 경우에 예컨대, 베란다 유리창 근처의 내측벽(800)에 설치된 본 고안의 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즉, 대피자는 본 고안의 장치가 설치된 근처의 유리창을 열고, 하우징(100)의 손잡이(110)를 잡은 상태에서 하우징(100)이 건물 밖으로 돌출되도록 회동시킨 후, 하우징(100)의 저면부에 구비된 잠금/해제부(630, 도 3 및 도 4 참조)의 이동손잡이(631)를 일측 방향으로 밀게되면, 하우징(100)의 내측 저면(190, 도 4 참조)에 걸림되어 잠금상태로 된 걸림편(633)이 하우징(100)의 내측 저면(190)으로부터 해제되면서 인출커버(620)가 힌지축(610, 도 3 참조)을 기준으로 하우징(100)의 하측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관통홀(180, 도 3 및 도 4 참조)을 통해 접혀진 구조용 함체(500)가 펼쳐지면서 하우징(100) 밖으로 인출된다.
상기 인출된 구조용 함체(500)에 대피자가 들어가면, 모터(200)의 구동 없 이 기 설정된 모터(200)의 기어감속비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자유 낙하하여 지면에 닿아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물에 다른 대피자가 남아 있을 경우, 다른 대피자는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상승버튼(미도시)을 눌러 구조용 함체(500)를 상승시켜 상기와 같이 탈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가 유리창을 열 수 없는 사무용 건물 유리창 근처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하우징(100)의 손잡이(110)를 잡고 하우징(100)이 건물 밖으로 돌출되도록 회동시키면, 유리창이 깨지면서 건물 밖으로 돌출하게 된다.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에 따르면, 고층건물의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건물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화재, 지진 등의 비상발생 시 건물 밖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비상발생 시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건물의 내측벽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정/역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로프용 릴;
    상기 로프용 릴의 회전에 따라 풀리거나 감기는 구조용 로프;
    상기 구조용 로프의 끝단에 연결되며 인원이 탈 수 있도록 구비된 구조용 함체;
    상기 구조용 함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된 인출수단;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인명구조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경첩을 이용하여 상기 건물 유리창 근처의 내측 벽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사용 시 일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건물 밖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인명구조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회동이 용이하도록 그 일측에 손잡이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인명구조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직류 기어드 모터(DG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인명구조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로프의 길이는 설치된 건물의 해당 층 높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인명구조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함체는 상기 하우징 내에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며, 상기 인출수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펼쳐지도록 그물형상의 포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인명구조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함체는 안전벨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인명구조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조용 함체를 상기 하우징 내에 보관하거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커버; 및
    상기 인출커버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의 개폐 시 상기 인출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잠금/해제되도록 구비된 잠금/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인명구조용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의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인명구조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공급전압 부족 시 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고해주기 위한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인명구조용 장치.
KR2020050036190U 2005-12-23 2005-12-23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KR200410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190U KR200410498Y1 (ko) 2005-12-23 2005-12-23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190U KR200410498Y1 (ko) 2005-12-23 2005-12-23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443A Division KR100673428B1 (ko) 2005-12-23 2005-12-23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498Y1 true KR200410498Y1 (ko) 2006-03-07

Family

ID=4176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190U KR200410498Y1 (ko) 2005-12-23 2005-12-23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4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06Y1 (ko) * 2009-05-14 2010-03-09 신동우 옥외 설치용 완강기 거치대
KR101700447B1 (ko) * 2016-12-02 2017-01-31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거치대 절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06Y1 (ko) * 2009-05-14 2010-03-09 신동우 옥외 설치용 완강기 거치대
KR101700447B1 (ko) * 2016-12-02 2017-01-31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거치대 절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428B1 (ko)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KR200410498Y1 (ko)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CN103599598A (zh) 一种楼房逃生装置
CN112983225A (zh) 一种可排烟便于逃生的防火门
CN207957460U (zh) 可升降式电梯轿厢
CN207750010U (zh) 一种快开启应急逃生窗结构
JP2008156923A (ja) 開閉体の開放装置
CN211885095U (zh) 一种用于高层建筑消防的智能消防箱结构
CN213040481U (zh) 一种安全可靠的风光互补路灯
CN201826709U (zh) 多功能新型逃生窗
CN207392424U (zh) 一种多功能折叠阳台
CN210020891U (zh) 一种用于高楼火灾逃生的具有保护功能的逃生装置
CN2547342Y (zh) 大厦救生门
CN207792397U (zh) 一种电梯紧急救援机构
CN206218987U (zh) 一种具有逃生装置的消防电梯
CN219222271U (zh) 一种可循环利用的室内装饰吊挂器
CN111017681A (zh) 一种自助逃生电梯轿厢
GB2414515A (en) Powered sash window
KR100629906B1 (ko) 화재피난장치
CN214835970U (zh) 一种安全防护逃生窗
CN216319559U (zh) 一种高层建筑独立型逃生设备
CN216767144U (zh) 一种带有逃生装置的密闭门
CN218754440U (zh) 一种施工升降机可左右对开门的连锁自动装置
CN211301816U (zh) 一种基于逃生平台的伸缩平台
CN220632787U (zh) 一种高楼火灾逃生营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