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068Y1 - 수질정보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수질정보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068Y1
KR200410068Y1 KR2020050034396U KR20050034396U KR200410068Y1 KR 200410068 Y1 KR200410068 Y1 KR 200410068Y1 KR 2020050034396 U KR2020050034396 U KR 2020050034396U KR 20050034396 U KR20050034396 U KR 20050034396U KR 200410068 Y1 KR200410068 Y1 KR 200410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pipe
central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광
Original Assignee
김수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광 filed Critical 김수광
Priority to KR2020050034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0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0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0/00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지점의 수질정보를 신속하게 중앙관리시스템에게로 전송하여 중앙관리시스템에서 실시간적으로 수질관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수질정보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관 및 제 2관이 이음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수도관에 설치되는 측정수 유입관; 상기 상수도관에 설치되고, 상기 상수도관으로 유입된 수돗물을 상기 측정수 유입관으로 분기시키는 분기 밴드; 상기 측정수 유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관리시스템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측정수 유입관내에 흐르는 측정수를 일시적으로 가두워두는 개폐기; 상기 개폐기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두워진 측정수에 대한 수질측정을 행하고, 상기 수질측정한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질측정기; 및 상기 개폐기 및 수질측정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관리시스템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기에게로 보내며, 상기 수질측정기로부터의 결과 데이터를 무선신호화하여 상기 중앙관리시스템에게로 송신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질정보 전송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an information of water quality}
도 1은 본 고안이 채용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수질정보 전송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2, 14, 16, 18, 20 : 수질정보 전송장치
30 : 제 1중계기 40 : 제 2중계기
50 : 중앙관리시스템 60 : 지면
62 : 상수도관 64 : 분기 밴드
66 : 측정수 유입관 68 : 수질측정기
70 : 맨홀 72 : 이음부재
74 : 제 1밸브 75 : 맨홀 뚜껑
76 : 제 2밸브 78a, 78b : 케이블
80 : 송수신기
본 고안은 수질정보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돗물의 수질 오염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중앙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한 수질정보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증가와 산업사회화로 인하여 인구의 도시집중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수돗물의 수요증가가 점차적으로 가속화되어 물부족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수질악화로 인한 수원확보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고, 시가지에 부설되어 있는 수로관로의 주위환경이 오염되어 수로관로내 수질 오염현상을 가중시키고 있다.
통상적으로, 상수원으로부터 정수장으로 공급된 수원은 해당 정수장에서 정수되어 각 가정에게로 공급되는데, 정수장에서 수도관을 거쳐 각 가정의 수도꼭지에 도달하기까지에는 수십 Km 정도의 이동경로를 경유하게 된다. 그에 따라, 그 수십 Km 정도의 이동경로에서 오염될 소지가 다분하며, 그로 인해 각 가정에서는 수돗물의 수질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수질측정을 위해서는 측정대상인 상수원 또는 지하, 위험한 지역 등에 사람이 직접 가서 측정수를 채취하여야 되므로, 위험한 상황이 발 생하기도 한다.
그리고, 해당 측정지역에 대한 수질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부정확한 데이터 입력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수질오염이 발생하였을 경우 어느 지역 또는 어느 지점에서 수질오염이 발생하였는지를 신속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각 지점의 수질정보를 신속하게 중앙관리시스템에게로 전송하여 중앙관리시스템에서 실시간적으로 수질관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수질정보 전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보 전송장치는, 중앙관리시스템과의 양방향 통신을 행하는 수질정보 전송장치로서, 제 1관 및 제 2관이 이음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수도관에 설치되는 측정수 유입관; 상기 상수도관에 설치되고, 상기 상수도관으로 유입된 수돗물을 상기 측정수 유입관으로 분기시키는 분기 밴드; 상기 측정수 유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관리시스템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측정수 유입관내에 흐르는 측정수를 일시적으로 가두워두는 개폐기; 상기 개폐기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두워진 측정수에 대한 수질측정을 행하고, 상기 수질측정한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질측정기; 및 상기 개폐기 및 수질측정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관리시스 템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기에게로 보내며, 상기 수질측정기로부터의 결과 데이터를 무선신호화하여 상기 중앙관리시스템에게로 송신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기 밴드는 제 1밴드 및 제 2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밴드는 상기 제 1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 2밴드는 상기 제 2관의 일측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기는 개방 또는 폐쇄동작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제 1밸브 및 제 2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제 1밸브는 상기 측정수 유입관의 제 1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밸브는 상기 측정수 유입관의 제 2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질측정기는 방수 및 항부식처리되어 상기 제 1밸브 및 제 2밸브 사이에 설치되되, 말단부가 상기 이음부재를 통해 상기 측정수 유입관의 관로내에 삽입되어 상기 측정수 유입관내의 측정수와 접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보 전송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채용된 시스템 구성도로서, 상수도관망의 각기 다른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수질정보 전송장치(10, 12, 14, 16, 18, 20); 상기 다수의 수질정보 전송장치(10, 12, 14, 16, 18, 2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중앙관리시스템(50); 상기 수질정보 전송장치(10, 12, 14)를 제 1그룹으로 하여 해당 제 1그룹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상기 중앙관리시스템(50)에게로 보내고 상기 중앙관리시스템 (50)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를 해당하는 수질정보 전송장치(10, 12, 14)에게로 보내는 제 1중계기(30); 및 상기 수질정보 전송장치(16, 18, 20)를 제 2그룹으로 하여 해당 제 2그룹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상기 중앙관리시스템(50)에게로 보내고 상기 중앙관리시스템(50)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를 해당하는 수질정보 전송장치(16, 18, 20)에게로 보내는 제 2중계기(4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세 개의 수질정보 전송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두개의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룹내에 존재하는 수질정보 전송장치의 수를 가감한다면 그룹의 수는 달라지게 되고, 도 1에 도시된 수질정보 전송장치가 7개 이상이라면 두개 이상의 그룹으로 구획된다.
상기 수질정보 전송장치(10, 12, 14, 16, 18, 20)는 상수도관망에서 수질관리가 필요한 지점의 상수도관에 설치되고, 해당 지점에서 측정한 수질 데이터를 송신가능한 대역의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해당하는 중계기(30, 40)를 통해 중앙관리시스템(50)에게로 전송한다.
상기 제 1중계기(30) 및 제 2중계기(40)는 상기 수질정보 전송장치(10, 12, 14, 16, 18, 2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중앙관리시스템(50)에게로 전송한다. 그 제 1중계기(30)는 자신을 기점으로 반경 1∼2Km이내에 위치한 수질정보 전송장치(10, 12, 14)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소출력의 무선신호를 수집하여 중앙관리시스템(50)에게로 전송하고, 그 제 2중계기(40)는 자신을 기점으로 반경 1∼2Km이내에 위치한 수질정보 전송장치(16, 18, 2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소출력의 무선신호를 수집하여 중앙관리시스템(50)에게로 전송한다.
상기 제 1그룹내의 수질정보 전송장치(10, 12, 14)는 각기 다른 채널을 통해 무선신호를 제 1중계기(30)에게로 보내고, 그 제 1중계기(30)는 수신된 각기 다른 채널의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중앙관리시스템(50)에게로 무선전송한다.
상기 제 2그룹내의 수질정보 전송장치(16, 18, 20)는 각기 다른 채널을 통해 무선신호를 제 2중계기(40)에게로 보내고, 그 제 2중계기(40)는 수신된 각기 다른 채널의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중앙관리시스템(50)에게로 무선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각 수질정보 전송장치(10, 12, 14, 16, 18, 20)가 사용하는 채널을 각기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수질정보 전송장치에서의 사용 채널이 각기 다르다면 중앙관리시스템(50)은 상기 제 1중계기(30) 또는 제 2중계기(40)를 거쳐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채널을 파악하면 어느 수질정보 전송장치로부터의 무선신호인지를 금방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으로는, 다른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다른 그룹내에서의 사용 채널들중의 임의의 사용 채널과는 동일하지만 해당 그룹내에서는 서로 상이한 사용 채널을 사용한다면 이 역시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중계기의 식별코드가 무선신호와 함께 중앙관리시스템(50)에게로 전송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중계기(30) 및 제 2중계기(40)는 중앙관리시스템(50)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를 해당하는 수질정보 전송장치에게로 보낸다. 물론, 이 경우에도 중앙관리시스템(50)에서는 어느 수질정보 전송장치에게로 보내는 원격제어신호인지를 알려주는 식별정보(목적지 정보라고도 함)를 그 원격제어신호와 함께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야 상기 제 1중계기(30) 또는 제 2중계기(40)에서 어느 수질정보 전송장치가 지정되었는지를 파악하여 올바르게 중계해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중앙관리시스템(50)은 각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상수도사업소의 전산센터가 될 수 있다. 그 중앙관리시스템(50)은 중계기(30, 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각 수질정보 전송장치(10, 12, 14, 16, 18, 20)로부터의 무선신호(수질측정한 결과 데이터가 실린 신호임)를 구역별,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종합적인 수질관리체계를 구축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수질정보 전송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수질정보 전송장치는, 측정수 유입관(66), 분기 밴드(64), 개폐기, 수질측정기(68), 및 송수신기(8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수질정보 전송장치는 송수신기(8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가 지면(60) 아래의 맨홀(70)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고서 설명한다. 물론, 그 지면(60)위에 설치할 수도 있겠으나 대부분의 상수도관(62)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지상에 설치하게 되면 설치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나 다니는 사람들에 의해 파손의 위험이 있다. 그래서, 본 고안에서는 대부분의 구성요소를 지하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측정수 유입관(66)은 역기역자 형태의 제 1관(66a) 및 기역자 형태의 제 2관(66b)이 이음부재(72; 예컨대, 밴드)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수도관(62)에 설치된다. 상기 측정수 유입관(66)은 상기 제 1관(66a) 및 제 2관(66b)이 상호 연결됨에 따라 상수도관(62)을 향하는 상호 이격된 제 1개구부 및 제 2개구부를 가지게 된다.
상기 분기 밴드(64)는 상기 상수도관(62)에 설치되는데, 상기 상수도관(62)으로 유입된 수돗물을 상기 측정수 유입관(66)으로 분기시킨다. 상기 분기 밴드(64)는 상수도관(62)에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설치된 제 1밴드(64a) 및 제 2밴드(64b)로 이루어진다. 그 제 1밴드(64a)는 상기 측정수 유입관(66)의 제 1관(66a)의 일측(즉, 제 1개구부)과 연결되고, 그 제 2밴드(64b)는 상기 측정수 유입관(66)의 제 2관(66b)의 일측(즉, 제 2개구부)에 연결된다.
상기 개폐기는 상기 측정수 유입관(66)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관리시스템(50)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측정수 유입관(66)내에 흐르는 측정수를 일시적으로 가두워둔다. 상기 개폐기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제 1밸브(74) 및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제 2밸브(76)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밸브(74)는 상기 측정수 유입관(66)의 제 1관(66a)에 설치되며, 상기 제 2밸브(76)는 상기 측정수 유입관(66)의 제 2관(66b)에 설치된다.
상기 1밸브(74) 및 제 2밸브(76)는 중앙관리시스템(50)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즉, 개방신호 또는 폐쇄신호)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수질측정이 이루어져야 할 때에는 그 중앙관리시스템(50)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폐쇄동작을 수행하여 측정수 유입관(66)의 일부 구간을 폐쇄시킨다. 그리고, 수질측정이 종료된 경우에는 그 중앙관리시스템(50)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개방동작을 수행하여 측정수 유입관(66)내를 개방시킨다.
상기 제 1밸브(74) 및 제 2밸브(76)는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동작을 수행하여도 되고, 어느 한 밸브가 먼저 동작한 후에 다른 밸브가 동작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는 중앙관리시스템(50)에서 원격제어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느냐 아니면 약간의 시차를 두고 전송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호간에 약간의 시차를 두고 동작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수질측정기(68)는 상기 개폐기(74, 76)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두워진 측정수에 대한 수질측정을 행하고, 상기 수질측정한 결과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수질측정기(68)는 내부의 동작부품들이 습기에 의해 부식되거나 단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방수 및 항부식처리되어 상기 제 1밸브(74) 및 제 2밸브(76) 사이에 설치되되, 말단부가 상기 이음부재(72)를 통해 상기 측정수 유입관(66)의 관로내에 삽입되어 상기 측정수 유입관(66)내의 측정수와 접촉한다.
상기 수질측정기(68)는 5V∼24V 정도의 직류전원으로 동작하며 수질오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질측정기(68)로는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측정기 또는 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측정기가 사용된다. 그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측정기로는 DO(Dissolved Oxygen; 용존 산소량)값을 측정할 수 있는 DO측정기, BOD(Biological Oxygen Demand;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값을 측정할 수 있는 BOD측정기가 있다. 그 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측정기로는 COD(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 산소 요구량)값을 측정할 수 있는 COD측정기가 있다. 그 DO측정기, BOD측정기, COD측정기는 당업자라면 통상적으로 익히 알고 있는 측정기들이다. 이외에도 질소 또는 인, 부유고형물이나 유기탄소량 등의 기타 수질측정항목들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이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기(80)는 케이블(78a)을 통해 수질측정기(68)와 연결되고 케이블(78b)을 통해 개폐기(74, 76)에 연결된다. 그 송수신기(80)는 상기 중앙관리시스템(50)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기(74, 76)에게로 보내며, 상기 수질측정기로(68)부터의 결과 데이터를 무선신호화하여 상기 중앙관리시스템(50)에게로 송신한다. 도 2에서는 그 케이블(78a, 78b)을 각각 별개로 구성시켜 수질측정기(68) 및 개폐기(74, 76)와 연결시켰으나, 하나의 케이블로 하여 분기되는 형태로 구성시켜도 된다.
그 송수신기(80)는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수질측정기(68)로부터 전송되어 온 결과 데이터를 송신가능한 대역의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제 1변환부, 상기 중앙관리시스템(50)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원격제어신호(즉, 개방신호, 폐쇄신호)를 해독하여 상기 개폐기(74, 76)에 대한 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제 2변환부, 및 그 제 1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해당하는 중계기(30 또는 40)에게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중계기(30 또는 40)를 거쳐 전송되어 온 상기 중앙관리시스템(50)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제 2변환부에게로 보내는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기(80)의 송수신 안테나 및 중계기(30 또는 40)는 최대2Km 정도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겠지만, 100∼30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소출력(10mW 정도)으로도 충분히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송수신기(80)는 직류 충전지 또는 교류 전원을 전원으로 사용한다. 다르게는 태양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태양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면(60)의 일정 위치에 집광판을 설치하여 입사되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류를 생산하고, 그 집광판에서 생산된 전류를 배터리에 저장하여 사용한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75는 맨홀 뚜껑이다.
이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보 전송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근거로 설명하되, 수질측정기(68)에서 수질을 측정하여 송수신기(80)를 통해 그 결과 데이터를 중앙관리시스템(50)에게로 보내기까지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송수신기(80)는 중계기(30 또는 40)를 통해 전송되어 온 중앙관리시스템(50)으로부터의 제 1원격제어신호(즉, 폐쇄신호)를 해독하여 케이블(78b)를 통해 제 1밸브(74) 및 제 2밸브(76)에게로 보낸다. 그에 따라, 그 제 1밸브(74) 및 제 2밸브(76)는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던 측정수 유입관(66)의 일부 구간을 폐쇄하여 해당 구간내의 측정수를 일시적으로 가두게 된다.
그리고, 수질측정기(68)는 그 가두어진 측정수에 대한 수질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케이블(78a)을 통해 상기 송수신기(80)에게로 보낸다. 그 송수신기(80)는 입력된 그 결과 데이터를 무선송신가능한 대역의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중계기(30 또는 40)를 통해 중앙관리시스템(50)에게로 무선전송한다.
그에 따라, 그 중앙관리시스템(50)에서는 수신된 무선신호(즉, 수질측정 결과 데이터가 실린 신호임)를 해독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게 된다. 한편, 해당 측정수 유입관(66)에서의 수질측정이 종료된 경우에는 해당 수질정보 전송장치는 그 중 앙관리시스템(50)으로부터의 제 2원격제어신호(즉, 개방신호)에 따라 상기 제 1밸브(74) 및 제 2밸브(76)를 개방시켜 측정수 유입관(66)내를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중앙관리시스템(50)은 각 지점에 설치된 수질정보 전송장치(10, 12, 14, 16, 18, 20)에게 실시간적으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수질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수질정보 전송장치(10, 12, 14, 16, 18, 20)는 해당 지점에서의 수질을 측정하여 그 결과 데이터를 해당 중계기(30 또는 40)를 통해 중앙관리시스템(50)에게로 전송한다. 그 중앙관리시스템(50)은 각 지점에서 전송되어 온 수질 측정 결과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하수도 수용가로 보내지는 수돗물의 수질을 간편하게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중앙관리시스템(50)에서는 데이터베이스화된 각 지점의 수질에 대한 실시간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수질관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중앙관리시스템(50)이 실시간적으로 원격제어신호(즉, 개방신호 또는 폐쇄신호)를 수질정보 전송장치(10, 12, 14, 16, 18, 20)에게로 보내는 것으로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부정기적으로 보내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상술한 수질정보 전송장치(10, 12, 14, 16, 18, 20)와 중앙관리시스템(50)은 RF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여도 되고, VHF 또는 인터넷 방식 등으로 상호 통신을 수행하여도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수도관망에 수질측정기를 설치하여 그 수질측정기에서 측정된 수질 데이터를 실시간적으로 중앙관리시스템에게로 전송하므로, 원격지의 중앙관리시스템에서 실시간적으로 각 지점의 수돗물의 수질 오염 여부를 신속/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상수도 수질관리 체계의 구축이 가능해지고, 글로벌시대에 부흥할 수 있는 통합 네트워크의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간적인 수질 오염 파악이 가능하고, 정확하고 신속한 수질관리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업무 경감 및 예산 절감의 효과를 얻게 된다.
또, 종래에 행해졌던 수작업 데이터 처리의 부실화의 한계를 극복하게 되고, 수질오염이 발생되었을 경우 어느 지점에서 수질오염이 발생되었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되어 현장조사의 한계를 극복하게 된다.

Claims (4)

  1. 중앙관리시스템과의 양방향 통신을 행하는 수질정보 전송장치로서,
    제 1관 및 제 2관이 이음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수도관에 설치되는 측정수 유입관;
    상기 상수도관에 설치되고, 상기 상수도관으로 유입된 수돗물을 상기 측정수 유입관으로 분기시키는 분기 밴드;
    상기 측정수 유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관리시스템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측정수 유입관내에 흐르는 측정수를 일시적으로 가두워두는 개폐기;
    상기 개폐기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두워진 측정수에 대한 수질측정을 행하고, 상기 수질측정한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질측정기; 및
    상기 개폐기 및 수질측정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관리시스템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기에게로 보내며, 상기 수질측정기로부터의 결과 데이터를 무선신호화하여 상기 중앙관리시스템에게로 송신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보 전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밴드는 제 1밴드 및 제 2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밴드는 상기 제 1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 2밴드는 상기 제 2관의 일측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보 전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개방 또는 폐쇄동작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제 1밸브 및 제 2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제 1밸브는 상기 측정수 유입관의 제 1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밸브는 상기 측정수 유입관의 제 2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보 전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측정기는 방수 및 항부식처리되어 상기 제 1밸브 및 제 2밸브 사이에 설치되되, 말단부가 상기 이음부재를 통해 상기 측정수 유입관의 관로내에 삽입되어 상기 측정수 유입관내의 측정수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보 전송장치.
KR2020050034396U 2005-12-06 2005-12-06 수질정보 전송장치 KR200410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396U KR200410068Y1 (ko) 2005-12-06 2005-12-06 수질정보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396U KR200410068Y1 (ko) 2005-12-06 2005-12-06 수질정보 전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872A Division KR100744429B1 (ko) 2005-12-06 2005-12-06 수질정보 전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068Y1 true KR200410068Y1 (ko) 2006-03-03

Family

ID=4176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396U KR200410068Y1 (ko) 2005-12-06 2005-12-06 수질정보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0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9354A (zh) * 2020-04-01 2020-06-26 宁夏北斗星物联科技有限公司 多用途全智能净水数据水质传输装置
KR102378542B1 (ko) 2021-12-06 2022-03-24 주식회사 엠에스텍 수질 측정용 플로우셀 및 이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9354A (zh) * 2020-04-01 2020-06-26 宁夏北斗星物联科技有限公司 多用途全智能净水数据水质传输装置
KR102378542B1 (ko) 2021-12-06 2022-03-24 주식회사 엠에스텍 수질 측정용 플로우셀 및 이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429B1 (ko) 수질정보 전송장치
RU2600211C2 (ru) Газовыпускной клапан с датчиком активации
US7956767B2 (en) Automatic meter reading communication
KR100947246B1 (ko) 상수도 누수 감지시스템 및 상수도 누수 감지방법
KR20020008628A (ko) 원격 수질 측정에 의한 감시 및 제어시스템
US20070047875A1 (en) Remote monitoring of optical fibers
KR20090028222A (ko) 무선통신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교량 상태 관리 시스템 및방법
CN109917768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污水管网监测系统
KR200410068Y1 (ko) 수질정보 전송장치
KR100992618B1 (ko) 원격감시모듈의 통신방식 자동선택 장치
GB9704101D0 (en) Utility metering and control data carrying system
KR101440136B1 (ko) 이동통신을 이용한 맨홀 내부의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CN109737307B (zh) 一种城市雨污水管网错接漏接快速排查系统和方法
KR20110068141A (ko) 위성 기반 센서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RU6871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RU18974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измерения и контроля параметров работы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й защиты трубопроводов тепловых сетей канальной прокладки
KR100504630B1 (ko) 수도관로용 원격 누수탐지모니터링시스템
CN111080979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污水管网监测系统
KR200393565Y1 (ko) 구역 및 제수변 소출력 유수량 관리 시스템
KR10098805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하수관망 유지관리 시스템
KR20090111462A (ko) 환경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경감시 방법
KR101689735B1 (ko)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중선로 표지기 및 상기 지중선로 표지기의 관리시스템
CN204916074U (zh) 水感知系统中的浮标式水质自动监测浮标装置
JP2011033511A (ja) ワイヤレス水質計測装置
CN208605336U (zh) 一种蓄水系统的控制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