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911Y1 - Wireless headset having electric power source switched by sliding - Google Patents

Wireless headset having electric power source switched by sli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911Y1
KR200409911Y1 KR2020050035747U KR20050035747U KR200409911Y1 KR 200409911 Y1 KR200409911 Y1 KR 200409911Y1 KR 2020050035747 U KR2020050035747 U KR 2020050035747U KR 20050035747 U KR20050035747 U KR 20050035747U KR 200409911 Y1 KR200409911 Y1 KR 200409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set
sliding
wireless headset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74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경순
배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스턴테크놀로지
비티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스턴테크놀로지, 비티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스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50035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91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91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딩에 의해 전원이 스위칭되는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위칭은, 상기 무선 헤드셋 유니트의 외측 외장부 전체의 슬라이딩에 의한, 헤드셋 유니트와 외측 외장부의 상대 위치의 변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칭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동작 상태의 여부를 알기에 보다 편리할 뿐만 아니라, 헤드셋 제조시에도 공정부담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eadset in which power is switched by sliding, wherein the switching is performed by a change i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headset unit and the outer exterior part by sliding the entire outer exterior part of the wireless headset unit. do. This is more convenient to know whether the operating state by using the switching means operated by the sliding method, and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rocess burden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headset.

무선 헤드셋, 헤드셋 유니트, 헤드밴드부, 슬라이딩 Wireless headset, headset unit, headband section, sliding

Description

슬라이딩에 의해 전원이 스위칭되는 무선 헤드셋{WIRELESS HEADSET HAVING ELECTRIC POWER SOURCE SWITCHED BY SLIDING}Wireless headset switching power by sliding {WIRELESS HEADSET HAVING ELECTRIC POWER SOURCE SWITCHED BY SLID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1 is a state of use when switching the power of the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전원이 스위칭되는,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the power of the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전원이 스위칭되는, 다른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Figure 3a, 3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the power of the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을, 헤드셋 유니트가 유선으로 연결된 스테레오형 헤드셋에 적용한 경우의 사용상태도.Figure 4 is a state of use when the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set unit is applied to a stereo headset connected by wir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헤드셋 유니트 10a : 전원 스위치 10: headset unit 10a: power switch

20 : 헤드셋 외측 외장부 20a : 노브 20: outside the headset 20a: knob

30 : 헤드밴드부 a1, a2, b1, b2 : 접점30: headband portion a 1 , a 2 , b 1 , b 2 : Contact

본 고안은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헤드셋 유니트 외측의 일측, 혹은 양측 외장부에 구비되고, 상기 외장부의 슬라이딩에 의해 헤드셋의 전원이 온/오프되는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ead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headset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exterior parts of the wireless headset unit outside, the power of the headset is turned on / off by sliding the exterior part.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나 통신기기 등의 온/오프 전원 스위치는 푸쉬(push)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형광등이나 백열등의 온/오프 스위치, PC나 카세트의 전원 스위치 등은 지금도 푸쉬 방식의 스위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on / off power switch such as electronic devices or communication devices use a lot of push (push) method. On / off switches such as fluorescent lamps and incandescent lamps, and power switches of PCs and cassettes, push-type switches are still widely used.

그러나, 최근 들어 휴대폰 키패드를 여는 방식, 카메라의 줌 버튼 등 여러 부분에서 슬라이딩 형태의 스위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미관상 좋을 뿐 아니라, 작동하기 보다 편리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However, in recent years, sliding switches have been widely used in various parts, such as a mobile phone keypad opening method and a zoom button of a camera. This is not only good looking,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more convenient to operate.

그런데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 수단은 예전과 같은 푸쉬 방식의 전원 스위치가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이는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동시키기 위해 누를 때 압박되는 신체부위가 아플 뿐만 아니라,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시각적, 촉각적으로 작동 상태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By the way, in the wireless headset, as for the power switch means, most of the push type power switches as in the past are used. This not only hurts the body part that is pressed when the user presses to operate in the state of wearing the headse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it is in a visual, tactile operation state when wearing the headset.

한편, 무선 헤드폰의 전원 스위치를 슬라이딩 형태로 제조한 선출원 기술이 공지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known a prior application technology that manufactures the power switch of the wireless headphones in the sliding form.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03624호에 따르면, 슬라이드 스위치가 좌우로 이동조작됨으로써 헤드폰의 온/오프 동작상태가 전환되는 무선 헤드폰이 개시되어 있음을알 수 있다.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03624, it can be seen that a wireless headphone is disclosed in which the on / off operation state of the headphone is switched by the slide switch being moved left and right.

그러나 이 발명은 비교적 크기가 작은 전원 스위치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헤드폰의 작동 여부를 알기에 여전히 어려울 뿐 아니라, 스위치가 헤드폰 헤드밴드부의 정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조작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헤드폰 제작시 음 출력수단(스피커), 음 입력수단(마이크) 등이 위치하는 헤드폰 유니트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스위치가 위치하는 헤드밴드부까지도 주요부분으로서 정밀하게 제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더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전원 스위치, 음 출력수단(스피커), 음 입력수단(마이크) 등 각각의 구성이 같은 모듈에 함께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군데로 나뉘어 있는 공지발명의 경우, 각각을 같은 공정 라인으로 제작하지 못하는 데 따른 비용 문제와 공정의 복잡화의 문제가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ove the relatively small power switch to the left and right, it is still difficult to know whether the headphones are operating, and the switch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headphone headband portion,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operate. In addition, since headphone units in which sound output means (speakers) and sound input means (microphones) are located, as well as the headband portion in which the slide switch is located, must be manufactured precisely as main parts, the production of headphones is more difficult. there is a problem. In other words, the power switch, the sound output means (speakers), the sound input means (microphones), etc., each component is not located together in the same module, but in the case of the known invention divided into several places, each does not manufacture the same process line There are cost problems and complexity of the process.

또한, 일반적으로 헤드셋 유니트의 일측이 고장이 나서 타측만 사용하게 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함을 고려할 때, 상기 공지발명의 경우 스위치가 헤드밴드부의 정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일측이 고장나면 타측도 함께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general, when one side of the headset unit has a problem that only one side of the headset unit is used, the switch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headband part. This can cause problem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헤드 셋 전원을, 헤드셋 유니트 외측에 구비된 외장부 전체의 슬라이딩에 의해 작동시킴으로써, 푸쉬 방식으로 작동되는 일반적인 전원 스위치에 비해, 보다 시각적, 촉각적으로 확인이 용이하고, 작동을 위하여 신체 측으로 가압할 필요가 없으며, 보다 편리한 전원 스위치를 갖는 무선 헤드셋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operating the wireless headset power supply by sliding the entire exterior part provided outside the headset unit, it is more visual than the general power switch operated in the push metho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headset having a tactile confirmation, no need to press the body side for operation, and a more convenient power switch.

또한, 상기 슬라이딩이 상하 방향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동여부를 보다 잘 알 수 있고, 전원을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무선 헤드셋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sliding is mad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better know whether the operation, and to provide a wireless headset that can easily operate the power sour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원을 작동시킬 수 있는 외장부가 헤드셋 유니트 외측에 구비됨으로써, 음 입력수단(마이크), 음 출력수단(스피커) 등의 다른 구성과 동일 모듈에 제작할 수 있어, 제작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헤드셋 유니트의 일측이 고장났을 때에도 타측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 헤드셋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external unit capable of operating a power source is provided outside the headset unit,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in the same module as other components such as sound input means (microphone), sound output means (speaker), and the production is convenient.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headset which can normally use the other side even when one side of the headset unit has fail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은, 무선 헤드셋 좌, 우의 유니트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무선 헤드셋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 전원 공급수단과,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된 본기와의 음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무선통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음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음 출력수단과, 외부에서 입력된 음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본기로 송신하기 위한 음 입력수단과, 상기 무선통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음 데이터를 상기 음 출력수단으로 보내도록 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된 음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수단으로 보내도록 하거나, 전원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외부 전원 공급수단을 제어하거나, 상기 본기와의 무선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전원의 온오프에 의하여 무선 헤드셋의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 사이가 스위칭 되도록 하는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된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의 스위칭 동작은, 상기 무선 헤드셋 유니트의 외측 외장부 전체의 슬라이딩에 의한, 헤드셋 유니트와 외측 외장부의 상대 위치의 변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units of the wireless headset, the external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headset, and the main unit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sound data communication with, sound output means for outputting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o the outside, and externally input sound data to the main uni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 sound input means for transmitting the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o the sound output means, sending sound data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or adjusting the power supply amount Controlling the supply means 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in unit; A wireless headset comprising a control means and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between an operating state and a non-operating state of a wireless headset by turning on and off a power source, wherein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ans is performed on the entire outer exterior of the wireless headset unit. Sliding of the,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the change of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headset unit and the outer exteri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은 상하 방향으로 이루어진다.Preferably, the sliding is made in the vertic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장부에 LED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LED 램프는 상기 무선 헤드셋이 작동상태가 되었을 때 점등되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다.Preferably, the exterior portion is provided with an LED lamp, the LED lamp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ing means, such that the LED lamp is turned on when the wireless headset is in oper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사용상태도이다.1 is a state diagram used to switch the power of the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헤드셋의 유니트(10) 외측에 외장부(20)가 위치해 있다. 상기 외장부(20) 전체가 슬라이딩 되어 전원이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장부(20)를 밑으로 밀면 동작 상태가 on이 되고, 반대로 위로 밀면 off 상태가 된다. 혹은 반대로, 외장부(20)를 밑으로 밀면 동작 상태가 off가 되고, 반대 로 위로 밀면 on 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장부(2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헤드셋 유니트(10)와, 이에 대하여 상대 위치가 변동되는 상기 외측에 구비된 외장부(20)는, 상기 유니트(10)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 스위치의 규격에 의하여 규정되는, 소정의 슬라이딩 거리만큼 서로 어긋나게 되거나, 서로 정합하게 된다. 혹은, 유니트(10)와 외장부(20) 내부에 구비된, 대응되는 접점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거리만큼 어긋나거나, 서로 정합하게 된다. 상기 외측 외장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기 때문에, 조작하기도 편리하고, 동작여부도 시각적, 촉각적으로 쉽게 알 수 있다.As shown, the exterior 20 is located outside the unit 10 of the wireless headset. The entire exterior portion 20 is configured to slide so that power is operated. When the exterior portion 20 is pushed downward, the operation state is turned on, and if the exterior portion 20 is pushed upward, the exterior state is off. Alternatively, if the exterior part 20 is pushed downward, the operation state is turned off, and if the external part 20 is pushed upward, the operation state is turned on. The headset unit 10 fixed by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exterior part 20 and the exterior part 20 provided on the outside of which the relative position is changed are provided in the unit 10. They are shifted or matched with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sliding distance defined by the specification of the power switch. Alternatively, they may be shifted or matched with each other by the relative sliding distance of the corresponding contact provided in the unit 10 and the exterior part 20. As shown in FIG. 1, the outer exterior part is sli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us, the outer exterior part is convenient to operate, and the operation can be easily seen visually and tactilely.

좀 더 상세하게 무선 헤드셋의 전원이 스위칭되는 윈리를 살펴보기로 한다.In more detail, let's look at Winry, where the power of the wireless headset is switched.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전원이 스위칭되는,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Figure 2 is a side view of one embodiment, the power of the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셋 유니트(10) 내부에 고정된 스위치(10a)가 구비되어 있고, 헤드셋 외측 외장부(20) 내부에 고정된 노브(knob)(20a)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의 좌측 그림처럼, 유니트(10)와 외장부(20)가 정합되어 있으면 전원이 공급되어 헤드셋이 on 상태가 되고, 우측 그림처럼, 외장부(20)를 유니트(10)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밑으로 내리면 외장부(20)에 구비된 노브(20a)도 함께 연동되어 내려오게 되는데 이렇게 서로 어긋나게 되면, 전원이 차단되어 헤드셋이 off 상태가 된다. 이를 반대로 구성하여, 도 2의 좌측 그림이 off 상태, 우측 그림이 on 상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슬라이딩 되는 과정은 예컨대, 상기 헤드 셋 유니트(10)의 양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장부(20) 양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하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As shown, a switch 10a fixed inside the headset unit 10 is provided, and a knob 20a fixed inside the headset outer shell 20 is provided. As shown in the left figure of FIG. 2, when the unit 10 and the external unit 20 are matched, power is supplied to turn on the headset, and as shown in the right figure, the external unit 20 is slid with respect to the unit 10. When lowered down, the knob 20a provided on the exterior part 20 is also linked together and comes down together. When this is displaced, power is cut off and the headset is turned off. By conversely, the left picture of FIG. 2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off state and the right picture may be in an on state. At this time, the sliding process is, for example,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eadset unit 10, the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terior portion 20 so as to slide in the guide groove. In this case,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pushed or pu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the guide protrusion may be manufactured to slide along the guide groove.

도 2에 있어서의 스위칭 수단은, 전원 라인에 연결되는 양 단자를 가지는 스위치(10a)와, 상기 스위치(10a)에 형성된 가이드 홈의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양 단자를 접속, 분리시키는 노브(2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판의 스위치 모듈과, 상기 스위치 모듈이 고정된 유니트(10)와, 상기 노브(20a)에 일체 결합되어 상기 유니트(10)에 대하여 슬라이딩에 의한 상대운동이 가능한 외측 외장부(20)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외측 외장부(20)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노브(20a)가 슬라이딩 되어, 상기 양 단자의 접속,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0a)와 노브(20a)의 작용에 의한 스위칭 동작은 공지의 기술에 의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The switching means in FIG. 2 includes a switch 10a having both terminal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and a knob 20a for sliding and connecting the two terminals by sliding within a range of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switch 10a. A commercially available switch module comprising a), a unit 10 to which the switch module is fixed, and an outer exterior part integrally coupled to the knob 20a to allow relative movement by sliding with respect to the unit 10. 20, the knob 20a is slid by the sliding of the outer sheath 20, so that both terminals are connected and separated. Here, since the switching operation by the action of the switch 10a and the knob 20a is by a known technique,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전원이 스위칭되는 또 다른 실시예이다.Figure 3a, 3b i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power of the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셋 유니트(10)의 슬라이딩 면에 전원이 공급되는 한 쌍의 접점 a1, a2 가 구비되어 있고, 헤드셋 외장부(20) 슬라이딩 면의 상기 접점 a1, a2 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체로 연결된 한 쌍의 접점 b1, b2 가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a pair of contacts a 1 , a 2 supplied with power to the sliding surface of the headset unit 10. Is provided, and the contact points a 1 and a 2 of the headset exterior part 20 sliding surface are provided. A pair of contacts b 1 , b 2 connected by a conduct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Is provided.

도 3a의 좌측 그림처럼, 유니트(10)와 외장부(20)가 정합되어 있으면, 접점 a1 과 b1, a2 와 b2가 서로 만나지 않게 되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3a의 우측 그림처럼 외장부(20)를 유니트(10)에 대해 슬라이딩 시켜서 밑으로 내려 어긋나게 하면, 접점 a1 과 b1, a2 와 b2가 서로 만나게 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on 상태가 된다.As shown in the left figure of FIG. 3A, if the unit 10 and the exterior part 20 are matched, the contact a 1 And b 1 , a 2 And b 2 do not meet each other, so the power is off. In this state, as shown in the right figure of FIG. 3A, when the exterior part 20 is slid down with respect to the unit 10 to shift downward, the contact a 1 And b 1 , a 2 And b 2 meet each other and the power is on.

도 3b는 상기 도 3a를 반대로 적용한 경우로서, 좌측 그림처럼 외장부(20)를 유니트(10)에 대해 슬라이딩 시켜서 밑으로 내려 어긋나게 하면, 접점 a1 과 b1, a2 와 b2가 서로 만나게 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on 상태가 되고, 우측 그림처럼 외장부(20)와 유니트(10)가 서로 정합되면, 접점 a1 과 b1, a2 와 b2가 서로 만나지 않게 되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off 상태가 된다. FIG. 3b is a case in which the above FIG. 3a is applied in reverse. When the exterior part 20 is sli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unit 10 as shown in the left figure, the contact part a 1 is moved downward. And b 1 , a 2 When and b 2 meet each other and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on state, as shown in the figure on the right, when the exterior part 20 and the unit 10 is matched with each other, the contact a 1 And b 1 , a 2 And b 2 do not meet each other, so the power is off.

도 3a, 3b에 있어서의 스위칭 수단은, 헤드셋 유니트(10)와 외장부(20)가 직접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음이 특징이다. The switching means in Figs. 3A and 3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set unit 10 and the external unit 20 are configured to directly supply or cut off power.

또한, 상기 도 2, 도 3a 또는 도 3b의 유니트(10)와 외장부(20)의 슬라이딩 면에는, 서로 맞물려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과 돌출부가 구비되고, 그 슬라이딩부의 양단 동작 한계점에는 스토퍼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liding surface of the unit 10 and the exterior part 20 of FIG. 2, 3A, or 3B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and a protrusion for engaging so as to slide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It is preferred to be provided.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을, 양측 유니트(10)가 유선으로 연결된 스테레오형 무선 헤드셋에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그림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tereo type wireless headset in which both units 10 are connected by wire.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에 의해 전원이 스위칭되는 무선 헤드셋의 양측 유니트(10)는 좌, 우 양측 귀에 거치되고, 상기 유니트(10) 외측에 전원의 온/오프 역할을 하는 외장부(2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측 유니트(10)는 헤드밴드부(30)에 구비된 전선에 의하여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상태 이외에도 일반적인 헤드셋의 종류에 따라 본 고안을 여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데, 이하 가능한 예들을 살펴보겠다.As shown, both units 10 of the wireless headset to which power is switched by sliding are mounted on both left and right ears, and the exterior unit 20 serving as on / off power is provided outside the unit 10. It is provided. In addition, the both side units 10 are connected by wires by wires provided in the headband unit 30.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stat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a general headset.

본 고안의 슬라이딩에 의해 전원이 스위칭되는 무선 헤드셋은, 일반적인 무선 헤드셋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적용 가능하다.The wireless headset whose power is switched by the sli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various modifica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general wireless headset.

먼저, 본 고안을 헤드셋 유니트가 일측만 있는 모노형 무선 헤드셋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주로 휴대폰에 이용하는 헤드셋일 경우 사용되는 형태이다. 이 때는, 일측의 유니트만으로서 헤드셋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헤드셋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 즉, 음 입력수단, 음 출력수단, 무선통신수단, 외부 전원 공급수단, 전원의 온/오프 역할을 하는 유니트 외측에 구비된 외장부 등 모든 구성요소가 함께 동일 모듈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것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ono type wireless headset having only one side of the headset unit. This is mainly used for a headset used in a mobile phone. In this case, since only one unit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headset, all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headset, that is, the sound input means, the sound output mean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external power supply means, and the on / off role of the power source All components, such as the exterior portion provided outside the unit, will be configured to be located together in the same module.

다음으로, 본 고안을 헤드셋의 양측 유니트가 유선으로 연결된, 스테레오형 무선 헤드셋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휴대폰, mp3 등에서 좋은 음질의 음악을 듣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이 때는, 상기 헤드셋 유니트의 적어도 일측에, 음 입력수단, 무선통신수단, 외부 전원 공급수단 및 전원의 온/오프 역할을 하는 외장부가 위치하고, 또한 유니트 양측 모두에 음 출력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무선 헤드셋 제조시, 주요 구성 부분을 하나의 모듈에 함께 제조할 수 있게 되고, 특히 헤드셋 유 니트 일측에만 주요구성이 집중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헤드밴드부는 단순 기능으로 족하게 되므로, 헤드밴드부의 공정에 대한 부담이 훨씬 줄어들게 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tereo type wireless headset in which both units of the headset are wired. It is often used to listen to good quality music on mobile phones, mp3, etc. At this time, at least one side of the headset unit has a sound input means,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 external power supply means, and an external part serving as an on / off power source, and sound output mean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nit. Therefore, when manufacturing a wireless headset, the main components can be manufactured together in one module, and in particular, the main components can be concentrated on only one side of the headset unit. Also, the headband part is satisfied with simple functions. The burden on the process will be much less.

마지막으로, 본 고안을 헤드셋 유니트끼리 무선으로 연결된 스테레오형 무선 헤드셋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헤드셋 유니트 양측이 무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외관상 깔끔하며 사용하기 편리하다. 이 때는, 양측 유니트 상호간에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해야 하므로, 유니트 양측 모두에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되어야 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외부 전원 공급수단, 헤드셋의 필수적인 구성인 음 출력수단 역시 유니트 양측 모두에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음 입력수단 및 전원의 온/오프 역할을 하는 외장부는 유니트 일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혹은 양측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양측 모두에 전원의 온/오프 역할을 하는 외장부를 구비시키면 각각이 독립적으로 온/오프가 가능하고, 일측이 고장나더라도 다른 쪽은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Fin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tereo type wireless headset connected wirelessly between headset units. Since both sides of the headset unit are connected wirelessly, it is clean and easy to use. In this case, since data must be transmitted / received wirelessly between both units,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must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nit, and external power supply means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sound output means, which are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headset, are also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nit. Should be. In addition, the external portion that serves to turn on / off the sound input means and the power may be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unit, or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If both sides are provided with an external portion that acts as a power on / off, each can be turned on and off independently, even if one side fails, the other side can perform a normal function.

한편, 상술된 본 고안의 헤드셋에는,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오프와 함께, LED 램프를 사용하여 헤드셋이 작동상태일 경우 램프가 켜져 있고, 작동하지 않을 때는 램프가 꺼져 있도록 하는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이는 일반 전자기기나 통신기기의 전원 버튼 등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the on / off of the power switch, using a LED lamp can be added to the configuration that the lamp is turned on when the headset is in operation, the lamp is off when not in operation have. This is a method commonly used for power buttons of general electronic devices or communication devices, and since it is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전원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외측 외장부의 상대위치 일측 변동될 뿐만 아니라, LED 램프도 점등되고, 전원 스위치가 off인 경우에는 외측 외장부의 상대위치 타측 변동될 뿐만 아니라, LED 램프도 소등되므로, 더욱 시 각적으로 전원의 on/off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not only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uter exterior part is changed, the LED lamp is turned on, and when the power switch is off,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uter exterior part is not only changed at the other side, and the LED lamp is turned off. In addition, the on / off state of the power supply can be easily recognized more visually.

본 고안에 있어서, 전원의 온/오프 역할을 하는 외장부 이외에 무선 헤드셋을 구성하는 다른 부분들은, 일반적인 헤드셋의 구성과 동일하며, 따라서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무선 헤드셋의 형태 및 구성은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other parts constituting the wireless headset in addition to the external portion that serves as the power on / off,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headset, and thus 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headset shown in FIG. It is just one examp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따라서,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에 의해 전원이 스위칭되는 무선 헤드셋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headset in which power is switched by sli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슬라이딩에 의해 전원이 스위칭되는 무선 헤드셋에 의하면, 무선 헤드셋의 외측 외장부 전체가 슬라이딩 형태로 동작하여 전원을 온/오프 시킴으로써, 동작 상태의 여부를 알기에 보다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푸쉬 방식의 스위치로 인한 가압부위의 통증 유발을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ireless headset in which the power is switched by the sli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outer exterior of the wireless headset operates in a sliding form to turn on / off the power, so that it is more convenient to know whether or not the operating state.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pain caused by the pressing area due to the conventional push-type switch.

또한, 상기 외측 외장부를 상하로 이동조작함으로써, 작동여부를 보다 잘 알 수 있고, 조작하기 간편하게 전원이 스위칭 되도록 하는 무선 헤드셋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moving the outer exterior up and dow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wireless headset that can be better known whether the operation, the power is switched easily to operate.

또한, 전원을 스위칭할 수 있는 외장부가 헤드셋 유니트 일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헤드셋 제조시에도 헤드밴드부에 대한 공정부담이 줄고, 헤드셋 유니트에 음 입력수단, 음 출력수단 등의 다른 구성을 함께 집중시킬 수 있어, 공정과정에서도 편리하고, 제조비용과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셋 유니트 타측의 고장시에도 구애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ternal part that can switch the power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headset unit, the process burden on the headband part can be reduced even when the headset is manufactured, and other components such as sound input means and sound output means can be concentrated together in the headset unit. Therefore, the process is convenient, and the manufacturing cost and time is reduce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eadset can be used normally regardless of the failure of the other side of the headset unit.

그리고, LED 램프가 헤드셋 외장부의 슬라이딩에 따라 점등, 소등되도록 구성하면, 헤드셋의 작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D lamp is configured to be turned on or off in accordance with the sliding of the headset exterior part, the operation of the headset can be visually recognized more easily.

Claims (3)

무선 헤드셋 좌, 우의 유니트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무선 헤드셋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 전원 공급수단과;An external power supply means provided at at least one side of the wireless headset left and right units to supply power to the wireless headset;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된 본기와의 음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수단과;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soun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in unit provid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상기 무선통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음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음 출력수단과;Sound output means for outputting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o the outside; 외부에서 입력된 음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본기로 송신하기 위한 음 입력수단과;Sound input means for transmitting externally input sound data to the main apparatu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상기 무선통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음 데이터를 상기 음 출력수단으로 보내도록 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된 음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수단으로 보내도록 하거나, 전원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외부 전원 공급수단을 제어하거나, 상기 본기와의 무선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Send the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o the sound output means, send the externally input sound data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ontrol the external power supply means to adjust the power supply amount,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n accordance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main unit; 전원의 온오프에 의하여 무선 헤드셋의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 사이가 스위칭 되도록 하는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된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A wireless headset comprising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between an on and off state of a wireless headset by power on and off, 상기 스위칭 수단의 스위칭 동작은, 상기 무선 헤드셋 유니트의 외측 외장부 전체의 슬라이딩에 의한, 헤드셋 유니트와 외측 외장부의 상대 위치의 변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에 의해 전원이 스위칭되는 무선 헤드셋.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ans is performed by the sliding of the entire outer exterior of the wireless headset unit by a change i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headset unit and the outer exterior, the wireless headset of which power is switched by slid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딩은 상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에 의해 전원이 스위칭되는 무선 헤드셋.The sliding is a wireless headset,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wer is switched by slid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장부에 LED 램프가 구비되고, The exterior part is provided with an LED lamp, 상기 LED 램프는 상기 무선 헤드셋이 작동상태가 되었을 때 점등되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에 의해 전원이 스위칭되는 무선 헤드셋.And the LED lamp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ing means such that the LED lamp is turned on when the wireless headset is in an operating state.
KR2020050035747U 2005-12-20 2005-12-20 Wireless headset having electric power source switched by sliding KR20040991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747U KR200409911Y1 (en) 2005-12-20 2005-12-20 Wireless headset having electric power source switched by sli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747U KR200409911Y1 (en) 2005-12-20 2005-12-20 Wireless headset having electric power source switched by sli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911Y1 true KR200409911Y1 (en) 2006-03-03

Family

ID=4176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747U KR200409911Y1 (en) 2005-12-20 2005-12-20 Wireless headset having electric power source switched by sli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911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244B1 (en) 2006-03-21 2007-07-06 크레신 주식회사 Wireless headset
KR100760341B1 (en) 2006-03-21 2007-09-20 (주)와이즈앤블루 Sound instrument
KR101121927B1 (en) 2011-01-17 2012-02-2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Stereo bluetooth headset
KR101323854B1 (en) * 2007-10-16 2013-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Switch Assembly and Earphone with the Same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244B1 (en) 2006-03-21 2007-07-06 크레신 주식회사 Wireless headset
KR100760341B1 (en) 2006-03-21 2007-09-20 (주)와이즈앤블루 Sound instrument
KR101323854B1 (en) * 2007-10-16 2013-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Switch Assembly and Earphone with the Same Thereof
KR101121927B1 (en) 2011-01-17 2012-02-2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Stereo bluetooth heads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3241B2 (en) Microphone assembly
EP1518440B1 (en) Headset
US8507812B2 (en) Switch assembly and earphone set with the same
KR200409911Y1 (en) Wireless headset having electric power source switched by sliding
US7450731B2 (en) Hearing aid device and corresponding operating method
US8699741B2 (en) Headset with more buttons for activating the same switch pad
CN1998264A (en) An ear headphone unit and a computer system
CN202759571U (en) Wireless earphone
CN1391761A (en) Reconfigurable headset switch
EP2165563B1 (en) Headset with switching earbud
CN211128128U (en) Earphone set
JP3111103U (en) Hands-free switching adapter for fixed telephone and fixed telephone having the function
KR200293414Y1 (en) Earphone socket
CN205029832U (en) Necklace and electronic equipment who has it
KR200255393Y1 (en) multi function head set
KR200217915Y1 (en) Microphone
KR100640172B1 (en) Hands-fre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to
KR200356181Y1 (en) Compatible multi-functional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and audio apparatus
JP6675077B2 (en) Operation device
KR101622603B1 (en) Portable terminal
KR200208059Y1 (en) Ear mike phone
KR200189848Y1 (en) Multi-connecter for computer
KR200193791Y1 (en) Device for selecting output termial of computer-sound card
KR200295081Y1 (en) Navigation apparatus
CN103501370A (en) Mobile phone capable of being used in case of detaching mobile phone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