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411Y1 - Connection subsidiary materials of combination structure for a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nection subsidiary materials of combination structure for a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9411Y1 KR200409411Y1 KR2020050033763U KR20050033763U KR200409411Y1 KR 200409411 Y1 KR200409411 Y1 KR 200409411Y1 KR 2020050033763 U KR2020050033763 U KR 2020050033763U KR 20050033763 U KR20050033763 U KR 20050033763U KR 200409411 Y1 KR200409411 Y1 KR 2004094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ut
- coupled
- connecting member
- coupling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강재로된 구조물의 연결부재에 결합 되는 보울트와 너트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출력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하므로서 유지 및 보수비용이 절감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고, 다른 목적으로는 구조물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면서 작업공정을 감소시켜 공사기간이 단축되게 하는 데에 있으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면서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가 토목공사 용도로서 흄관(또는 토관)에 사용될 때 우천시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해서 흔히 발생하는 균열현상이나 분리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nection member for a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reduce the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by preventing the bolt and nut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steel structure is not loosened by the vibration or outpu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 other purpose is to reduce the work process while making it easier to assemble the structure, and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other object is to form the structure while being formed of concrete.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used in a fume pipe (or a soil pipe) as a civil engineering purpose, it is to prevent cracking or separation that commonly occur due to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n rainy weather.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호 마주 접하면서 이어지는 연결부재(2)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는 결합부(4)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는, 상기 연결부재(2)에 고정 설치되는 너트(8)와, 상기 연결부재(2)에 설치되면서 너트(8)상에 배치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에 결합되면서 너트(8)에 결합되는 보울트(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the connecting member 2 is formed while facing each other, the connecting member 2 is 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the structure fixedly installed by the coupling portion 4, the The coupling part 4 includes a nut 8 fixed to the connection member 2, a fixing member 10 disposed on the nut 8 while being attached to the connection member 2, and the fixing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bolt 12 is coupled to the nut (8) while being coupled to the (1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철강재로 형성되면서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관이나 H형강, 판넬, 프레임 등에 너트가 용접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면 보울트만 영향을 받아 풀림이 적게 되므로 결합성이 우수하면서 유지 및 보수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로 형성되면서 연결부 재를 구성하는 흄관(또는 토관)에 너트가 매설되어 있어서, 흄관(또는 토관)이 토목공사 용도로 사용될 때 보울트가 결합 되는 결합부분에서 흔히 발생하는 균열현상이나 분리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nut is welded to the tube, H-shaped steel, panel, frame, etc. constituting the connecting member while being made of steel, so that only the bolt is affected by loosening when the vibration or shock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so less loosening It has excellent bondability and reduces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Also, when the fume pipe (or earth pipe) is used for civil engineering work because the nut is embedded in the fume pipe (or earth pipe) that forms the connection material while being formed of concrete There is an effect that prevents cracking or separation that commonly occur in the joint portion where the bolt is bonded.
H형강, 흄관, 토관, 이형관, 밸브, 휀스 H-beam, fume pipe, earth pipe, release pipe, valve, fence
Description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부의 분리 단면도. 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a,2b 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연결부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Figure 2a,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connecting portion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연결부의 분리 사시도. Figure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show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연결부의 결합 단면도. 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show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 예의 다른 고정부재 사시도.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fix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연결부의 분리 사시도. Figure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showing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 예의 다른 고정부재 사시도.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fixing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c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 예의 다른 결합부 분리 사시도. Figure 5c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por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 연결부의 분리 사시도. Figure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showing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b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3 실시 예의 다른 고정부재 사시도. 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fixing member of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 연결부의 분리 사시도. Figure 7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showing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b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4 실시 예의 다른 플레이트 사시도. 7B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plate of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8b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5 실시 예를 나타낸 연결부 사시도. Figure 8a, 8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showing a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6 실시 예를 나타낸 연결부의 분리 사시도. Figure 9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showing a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b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6 실시 예를 나타낸 연결부의 결합 단면도. Figure 9b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showing a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c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6 실시 예의 다른 상부커버 단면도. 9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top cover of a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7 실시 예를 나타낸 연결부의 분리 사시도. Figure 10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b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7 실시 예의 다른 타입인 상부커버 사시도. 10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cover of another type of a s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8 실시 예를 나타낸 연결부의 분리 사시도. Figure 1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showing an eigh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b는 본 고안에 따른 제 8 실시 예의 다른 관 사시도. 11B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tube of the eigh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9 실시 예가 휀스에 설치된 상태도. 12 is a state in which the ni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fence.
도 13 은 도 12의 A-A선 단면도.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2;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8,29,60,78,94,140,163:연결부재 2,18,29,60,78,94,140,163: Connector
4,20,31,62,80,96,120,141,173:결합부 4,20,31,62,80,96,120,141,173
6,28,38,104,142:관 7:골격근 6,28,38,104,142: Tube 7: skeletal muscle
8,22,33,64,82,98,122,148,168:너트 8,22,33,64,82,98,122,148,168: Nuts
10,21,24,34,66,84,100,124,167:고정부재 10,21,24,34,66,84,100,124,167: Fixed member
12,26,36,68,86,102,126,150,174:보울트 12,26,36,68,86,102,126,150,174: Bolt
14:슬리브 16,17,32,42,74,76,81,92,114,138,146,165:홀 14: Sleeve 16, 17, 32, 42, 74, 76, 81, 92, 114, 138, 146, 165: Hall
23,72:플레이트 25:안내공 23,72: Plate 25: Guideman
30,40:고정체 70:판넬 30, 40: fixed body 70: panel
88:프레임 90:플레이트 88: Frame 90: Plate
106,130:상부커버 108,132:하부커버 106,130: Upper cover 108,132: Lower cover
110,112,134,136,144:플랜지 116:힌지축 110,112,134,136,144: Flange 116: Hinge Shaft
160:휀스 162:안내파이프 160: Higgs 162: guide pipe
164:지주 166:러그 164: Holding 166: Rug
170:그물망 172:프레임 170: net 172: frame
본 고안은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강재로 형성되면서 구조물의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관(토관, 흄관, 이형관, 파이프, 밸브 등)이나 U자관, H형강, 판넬(panel), 프레임, 휀스 등에 너트를 매설하거나 내,외측면에 용접하여 고정하므로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의 영향을 보울트만 전달받도록 하여 풀림이 방지되게 하는 동시에 작업공정을 감소시켜 공사기간이 단축되게 하며, 또한 콘크리트로 형성되면서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가 토목공사 용도로서의 흄관(또는 토관)으로 사용될 때 결합상태가 안정되도록 한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nection member for a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a pipe (soil pipe, a fume pipe, a release pipe, a pipe, a valve, etc.) or a U-shaped pipe, an H-shaped steel, and a panel, which are formed of steel and constitute a connection member of the structure. By embedding nuts in panels, frames, fences, etc., or fixing them by welding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nly the bolts ar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o prevent the loosen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necting member for a structure which is shortened and made of concrete so that the coupling state is stabilized when the connecting member constituting the structure is used as a fume pipe (or earth pipe) for civil engineering.
일반적으로, 연결부재를 이루는 관이나, 판넬, H형강 사각형 프레임 등을 보울트와 너트로 결합하여 여러개를 연결하므로서 구조물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물에는 교량이나 건축물에 적용될 때 통과하는 차량 등으로 인해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In general, by forming a structure by connecting a pipe, a panel, a H-shaped steel square frame, etc. with a bolt and a nut to connect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such a structure is vibrated due to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bridge or building Will occur.
따라서 상기 구조물은 진동에 의해 보울트와 너트가 종종 풀려지게 되어 안전성에 문제가 있게 되는데, 이러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에 대해 주 기적으로 정비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Therefore, the structure is often loosened bolts and nuts due to vib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e safety, in order to ensure this safety it is necessary to perform regular maintenance work on the structure.
더욱이 상기 구조물을 구성하는 관을 토목공사 용도로 사용하면,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흄관(또는 토관)의 경우에는 우천시 지면으로 노출되어 연결부분에 균열현상이나 분리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pipe constituting the structure is used for civil engineering purposes, in the case of commonly used fume pipes (or earth pipes) are exposed to the ground during rainy weather often cause cracking or separation at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와 같은 구조물에 대해 정비작업을 실시하면 유지 및 보수비용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곤란성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결합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정비작업 주기를 줄일 수 있게 하므로서, 구조물에 대한 유지 및 보수비용의 저렴화가 실현될 수 있게 하는 추세에 있다. If the maintenance work on such a structure is carried out to increase the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in order to overcome this difficulty in recent years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device to reduce the maintenance work cycle,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structure There is a trend to enable cost reduction to be realized.
한편 상기 연결관을 지중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흄관(또는 토관)에 적용할 경우 결합부분에 대해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상호 연결시키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관은 경미한 지진이나 우천시에 연결부분이 분리되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or is applied to the concrete fume pipe (or earth pipe) buried in the ground will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mortar for the coupl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such a connector is separated or cracked during a slight earthquake or rainy weather This has a problem that arises.
또한 종래의 다른 기술인 실용신안공개번호 제91-2869호를 도 1에서 살펴 보면, 먼저 2개의 연결관(4,4a) 사이에 접속관(1)이 끼워져 결합되는데, 상기 접속관(1)은 연결관(4,4a) 내부에 끼워지는 삽입관(3,3a)이 중간부에 돌출윤(2)을 구비하면서 형성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1-2869, which is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in FIG. 1, first, a connecting
그리고 상기 돌출윤(2)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패킹(5,5a)과 소켓(6,6a)이 위치하면서 연결관(4,4a) 외주에 결합되고, 상기 소켓(6,6a)의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7,7a)에는 보울트(8)와 너트가 결합된다. And the packing (5, 5a) and the sockets (6, 6a)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lubrication (2)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ng pipe (4, 4a), the circumference of the socket (6, 6a) A
따라서 상기 연결관(4,4a)은 보울트(8)와 너트로 결합된 소켓(6)에 의해 연 결되는 상태가 된다. Therefore, the connec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결합순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prior art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sequence as follows.
먼저 상기 접속관(1) 양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삽입관(3,3a)에 연결관(4,4a)을 끼워 결합하면, 돌출윤(2) 끝단부에 상기 연결관(4,4a)이 접하면서 결합 되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관(4,4a)의 양측에서 패킹(5,5a)과 소켓(6,6a)을 순차적으로 각각 결합하여 돌출윤(2) 양측에 배치한다. First, when the connecting
이후로 상기 소켓(6,6a)의 플랜지(7,7a)에 보울트(8)와 너트를 결합하여 고정하므로서 연결관(4,4a)이 접속관(1)에 결합 되게 한다. Thereafter, the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연결관(4,4a) 여러개를 연결할 때 사용되는 소켓(6)에 보울트(8)와 너트를 개별적으로 결합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증가하여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bolt (8) and the nut must be individually coupled to the socket (6) used to connect a plurality of connectors (4, 4a), the work process is increas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There is this.
다른 문제점으로는 연결관(4,4a)이 구조물로서 교량이나 건축물에 사용될 경우 통과하는 차량 등으로 인해 진동이 발생하면, 상기 보울트(8)와 너트에 풀림현상이 빨리 일어나게 되어 조임 작업을 실시하는 주기가 짧아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연결관(4,4a)의 유지 및 보수비용은 상승하게 된다. Another problem is that when the connecting pipe (4, 4a) is used in the bridge or building as a structure, if the vibration occurs due to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철강재로 형성된 구조물의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보울트와 너트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풀려지지 않도록 하므로서 유지 및 보수비용이 절감되게 하는 데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reduce the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by preventing the bolt and nut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structure formed of steel is not released by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It is in getting it done.
다른 목적으로는 구조물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면서 작업공정을 감소시켜 공사기간이 단축되게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is to reduce the work process and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while making it easier to assemble the structure.
또 다른 목적으로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면서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가 토목공사 용도로서 흄관(또는 토관)에 사용될 때, 우천시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해서 흔히 발생하는 균열현상이나 분리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purpose is to prevent cracking or separation that are often caused by rain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of concrete and constitutes the structure when used in a fume pipe (or earth pipe) as a civil engineering work. .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상호 마주 접하면서 이어지는 연결부재(2)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는 결합부(4)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는, 상기 연결부재(2)에 고정 설치되는 너트(8)와, 상기 연결부재(2)에 설치되면서 너트(8)상에 배치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에 결합되면서 너트(8)에 결합되는 보울트(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nec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각종 교량이나 건축물 또는 토목공사 부분의 구조물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물은 이하 다른 실시 예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데 그 구조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o be applied to a structure of various bridges or buildings or civil engineering parts, such a structure can be applied to all other embodiments below, looking at the structure as follows.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2)가 결합부(4)로 결합 되면서 연결되는데, 상기 결합부(4)는 연결부재(2)가 맞대어 지는 부분에 위치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와 연결부재(2)를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보울트(12)와, 상기 연결부재(2) 배면에 용접되어 고정 설치되면서 보울트(12) 와 결합하는 너트(8)로 구성된다. First, as shown in FIG. 2A, the connecting
또한 상기와는 달리 고정부재(10)의 외측면으로 보울트(12)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물의 특수한 상황에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시머리형 보울트(12)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unlike the above, in a special situation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계속하여 상기 구조물을 이용한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를 도 3a, 3b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above structure in Figure 3a, 3b as follows.
먼저 상기 구조물은 연결부재(2)(도3a참조) 여러개가 상호 마주 접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2)는 결합부(4)에 의해 결합 되면서 연결된다. First, the structure is install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whil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 (see Fig. 3a) are facing each other, the connec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부재(2)에는 원통으로 이루어진 관(6)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6)은 다양한 사이즈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유체용이나 각종 통신용 케이블의 통로로도 사용할 수 있다. The
따라서 상기 관(6)은 금속으로 된 파이프로 형성할 수도 있고, 콘크리트로 된 흄관(또는 토관)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관(6)(도3b참조)의 경우에는 내부에 골격근(7)이 설치된다. Therefore, the
계속하여 상기 결합부(4)(도3a참조)는 너트(8)와 고정부재(10)와 보울트(12)로 구성되는데, 상기 너트(8)는 관(6)의 양측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매설되고, 상기 고정부재(10)는 원통으로 된 슬리브(14)로 형성되면서 관(6)에 결합 된다. Subsequently, the engaging portion 4 (see FIG. 3A) is composed of a
이때 상기 너트(8)는 관(6)(도3b참조)이 콘크리트로 제조될 때 골격근(7)에 용접되어 설치되므로, 상기 너트(8)는 관(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매설되어 있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상기와 같이 결합된 슬리브(14) 양측 둘레에는 다수개의 홀(16)이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홀(16)은 너트(8)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보울트(12)는 슬리브(14)에 형성된 각각의 홀(16)에 결합 되면서 관(6)에 매설된 너트(8)에 결합된다. A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관(6)은 슬리브(14)에 결합 되어 고정되면서 상호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Thus,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를 결합 순서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coupling sequence and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관(6)(도2참조) 일측에 슬리브(14)의 타측 일부를 결합하고, 상기 슬리브(14) 일측에 다른 관(6)의 타측을 결합하며, 이후로 여러개의 보울트(12)를 상기 슬리브(14)에 형성된 각각의 홀(16)에 끼워 결합하면서 관(6)에 매설된 너트(8)에 결합한다. First, a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따라서 상기 관(6)은 슬리브(14)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보울트(12)에 의해 고정되어 있게 된다. Thus, the
상기와 같이 결합 되는 여러개의 관(6)이 금속으로 제조되어 구조물로서 교량에 사용될 경우에는, 상기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 되는 진동이 관(6)의 결합부분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너트(8)가 관(6)에 매설된 상태로 있어서 풀림이 없게 되므로, 상기 보울트(12)는 슬리브(14)와 관(6)에 안정적으 로 결합되어 있게 된다. When a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관(6)이 교량에 적용될 때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안전점검 및 정비 시기를 길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상기와는 달리 상기 관(6)을 금속으로 제조하여 건축물에 적용할 경우 주변을 통과하는 차량이나 공사현장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수시로 관(6)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너트(8)가 관(6)에 매설되어 있어서 풀림이 없게 되므로 보울트(12)는 슬리브(14)와 관(6)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게 된다. Unlike the above, when the
따라서 상기 관(6)은 구조물로서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게 된다. Therefore, the
또한 상기와는 달리 관(6)이 토목공사에 적용될 경우에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흄관(또는 토관) 형태로 만들어져 매설되는데, 이때 흄관(또는 토관)은 슬리브(14)에 의해 견고히 결합 되면서 연결되어 있게 되므로 경미한 지진으로 인해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흄관(또는 토관)의 결합부분은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Unlike the above, when the
또한 우천시에 관(6)이 지면으로 노출되더라도 결합부분에서 흔히 발생하는 균열현상이나 분리현상이 방지된다. In addition, even if the
상기와는 달리 상기 관(6)을 지하에 매설하여 유체나 통신용케이블의 통로로 이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슬리브(14)와 관(6)을 금속으로 제조하여 결합부분에 대해 용접을 실시하거나 실링작업을 실시하므로서 기밀이 유지되게 한다. Unlike the above,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슬리브(14)에 의해 결합 되면서 연결되는 관(6)은 설치상태가 견고하여 안전성 면에서 우수하다. Therefore, the
상기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10)의 다른 구조를 도4에서 살펴보면, 상기 고정부재(10)는 전술한 바와 달리 콘크리트가 아닌 금속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재(10)를 구성하는 슬리브(14)에 다수개의 홀(16)이 둘레를 따라 너트(8)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면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홀(16) 입구에는 너트(8)가 슬리브(14) 외주면에 위치하면서 용접되어 고정되며, 상기 관(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너트(8)가 매설된다. Looking at another structure of the fixing
그리고 상기 보울트(12)는 슬리브(14)에 설치된 너트(8)와 관(6)에 매설된 너트(8)에 순차적으로 결합 되어 2개의 관(6)을 연결시키게 된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부재(10)의 다른 구조에 대한 결합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coupling sequence for the other structure of the fixing
먼저 슬리브(14)(도4참조) 내부에 2개의 관(6)을 끼워 결합한 다음 보울트(12)를 너트(8)에 결합하면, 상기 보울트(12)는 슬리브(14)에 설치된 너트(8)와 관(6)에 매설된 너트(8)에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First, by fitting two
따라서 상기 보울트(12)에 의해 슬리브(14)와 관(6)은 상호 견고하게 결합 되고, 동시에 상기 2개의 관(6)은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Therefore, the
한편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인 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교량이나 건축물 또는 토목공사 부분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물을 도 5a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a bridge, a building, or a civil engineering part, and the structure is as follows.
먼저 상기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18)(도5a참조) 여러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되면서 상호 마주 접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18)는 결합부(20)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부(20)는 너트(22)와 고정부재(24)와 보울트 (26)로 이루어진다. First,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8 (see FIG. 5A) constituting the structure are connect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부재(18)와 고정부재(24)는 콘크리트 또는 금속으로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계속하여 상기 연결부재(18)는 원통으로 된 관(28)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28)의 양측에는 너트(22) 다수개가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매설된다. Subsequently, the connecting
이때 상기 관(28)이 콘크리트로 제조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너트(22)가 관(28)에 고정 설치된다. At this time, when the
그리고 상기 마주 접하는 관(28)의 둘레에는 고정부재(24)인 고정체(30) 다수개가 직사각형 모양의 판으로 형성되면서 동일한 간격으로 각각의 너트(22)상에 포개어져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각각의 고정체(30) 양측에는 관통된 홀(32)이 형성되면서 너트(22)와 일치하여 있게 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각각의 고정체(30)에는 보울트(26)가 홀(32)에 결합되면서 관(28)에 매설된 너트(22)에 결합된다. Each
따라서 상기 고정체(30) 여러개가 관(28) 둘레를 따라 보울트(26)로 결합 되면, 상기 2개의 관(28)은 고정체(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Therefore, when the plurality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를 결합 순서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2개의 관(28)(도5a참조)을 상호 마주 접하게 한 다음, 상기 관(28)의 측단부에 다수개의 고정체(30) 양측을 각각 배치하면서 너트(22)상에 포개어지게 하고, 이후로 상기 보울트(26)를 각각의 고정체(30)에 형성된 홀(32)에 결 합하면서 관(28)에 매설된 너트(22)에 결합한다. First, the two tubes 28 (see FIG. 5A)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two ends 28 of the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관(28)은 각각의 보울트(26)로 결합 되는 고정체(3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The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여러개의 관(28)이 구조물로서 교량이나 건축물 그리고 토목공사 등에 적용될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너트(22)가 관(28)에 매설되어 있어서 보울트(26)는 안정적으로 결합 되어 있게 된다. When 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른 타입의 고정부재(24)를 도 5b에서 살펴 보면, 상기 고정부재(24)는 전술한 바와는 달리 콘크리트가 아닌 금속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재(24)를 구성하는 고정체(30)에 형성된 각각의 홀(32) 입구에 너트(22)가 용접되어 고정 설치된다. Looking at another type of fixing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너트(22)에 전술한 바와 같이 보울트(26)(도5a참조)를 결합하면, 상기 보울트(26)는 고정체(30)(도5b참조)에 설치된 너트(22)와 관(28)에 설치된 너트(2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결합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관(28)은 고정체(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When the bolt 26 (see FIG. 5A) is coupled to the
또한 상기 결합부(20)와는 달리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부(20)는 콘크리트가 아닌 금속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재(18)인 관(28) 양측 둘레에는 다수개의 홀(17)이 등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홀(17) 입구에 너트(22)가 용접되면서 관(28) 외주 면에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다. In addition, unlike the
상기 관(28) 둘레에는 고정부재(21)인 플레이트(23) 다수개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동일한 간격으로 각각의 너트(22)상에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플 레이트(23)에는 슬롯(slot) 타입의 안내공(25)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25)에는 관(28) 외측에 설치된 너트(22)가 끼워져 결합 된다. A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각각의 너트(22)에는 보울트(26)가 플레이트(23)를 관(28) 외주 면에 밀착시키면서 결합 된다. And each of the nuts 22,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결합부(2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먼저 상기 관(28)(도5c참조)의 끝단 부를 상호 마주 접하게 하면서 외주 둘레 면을 따라 다수개의 플레이트(23)를 각각의 너트(22)상에 배치하고, 이후로 상기 플레이트(23)에 형성된 안내공(25) 내부로 관(28)에 설치된 너트(22)가 끼워져 결합 되도록 한 다음, 상기 너트(22)에 보울트(26)를 결합한다. First, a plurality of
이로 인해 상기 플레이트(23)는 보울트(26)에 의해 관(28)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면서 상기 2개의 관(28)을 연결시키게 된다. As a result, the
한편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인 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교량이나 건축물 또는 토목공사 부분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물을 도 6a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a bridge, a building, or a civil engineering part, and the structure is as follows.
먼저 상기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29)(도6a참조) 여러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되면서 상호 마주 접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29)의 마주 접하는 부분에는 결합부(31)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부(31)는 너트(33)와 고정부재(34)와 보울트(36)로 이루어진다. First, a plurality of connec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부재(29)와 고정부재(34)는 콘크리트 또는 금속으로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계속하여 상기 연결부재(29)는 반원모양의 관(38)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38)의 양측에는 다수개의 너트(33)가 호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매설된다. Subsequently, the connecting
이때 상기 관(38)이 콘크리트로 제조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너트(33)가 관(38)에 고정 설치된다. At this time, when the
그리고 상기 마주 접하는 관(38)의 외주면에는 고정부재(34)인 고정체(40)가 반원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40) 양측에는 관통된 다수개의 홀(42)이 호를 따라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홀(42)은 너트(33)와 일치하는 선상에 형성된다.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cing
상기와 같이 설치된 고정체(40)에는 보울트(36)가 홀(42)에 결합 되면서 관(38)에 매설된 너트(33)에 결합 된다. In the fixed
따라서 상기 관(38)은 고정체(40)에 결합 되면서 상호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Therefor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관(38)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토목공사에 사용될 때 통상적으로 U형플륨관(U type flume pipe)으로서 사용된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를 결합 순서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bonding order and operation.
먼저 상기 2개의 관(38)(도6a참조)을 상호 마주 접하게 한 다음, 상기 관(38)의 측단부 외주에 고정체(40)를 결합하면서 너트(33)상에 포개어지게 하고, 이후로 상기 고정체(40)의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홀(42)에 보울트(36)를 결합하면서 관(38)에 매설된 너트(33)에 결합한다. First, the two tubes 38 (see Fig. 6a)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are superimposed on the
따라서 상기 관(38)은 각각의 보울트(36)로 결합 되는 고정체(4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The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여러개의 관(38)이 구조물로서 교량이나 건축물 그리고 토목공사 등에 적용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When a plurality of
특히 상기와 같은 관(38)이 금속으로 제조되어 교량이나 건축물에 적용될 경우에는 구조물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되고, 상기와는 달리 관(38)을 콘크리트로 제조하여 토목공사에 적용하게 될 경우에는 도로 외측에 설치하여 배수로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상기와는 달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4)는 콘크리트가 아닌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재(34)는 반원모양으로 된 고정체(40)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체(40)에는 호를 따라 다수개의 홀(42)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홀(42) 입구에는 너트(33)가 용접되면서 외주 면에 설치된다. Unlike the above, as shown in FIG. 6B, the fixing
상기 고정체(40)의 설치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installation order of the
먼저 상기 관(38)(도6a참조) 외주에 고정체(40)를 밀착시키면서 보울트(36)(도6b참조)를 결합하면, 상기 보울트(36)는 고정체(40)에 설치된 너트(33)와 관(38)(도6a참조)에 설치된 너트(33)에 순차적으로 결합 된다. First, when the bolt 36 (see FIG. 6B)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be 38 (see FIG. 6A), the
따라서 2개의 관(38)은 상기 고정체(4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Thus, the two
한편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인 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교량이나 건축물 부분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물을 도 7a, 7b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ridge or a building part as described above. Looking at the structure in FIGS.
먼저 상기 구조물을 구성하는 금속재료인 연결부재(60)(도7a참조) 여러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되면서 상호 마주 접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60)는 결합부(62)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부(62)는 너트(64)와 고정부재(66)와 보울트(68)로 이루어진다. First,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60 (see FIG. 7A), which are metal materials constituting the structure,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부재(60)는 특정한 크기로 된 판넬(70)로 형성되고, 상기 판넬(70) 양측에는 다수개의 너트(64)가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매설된다. 이때 상기 너트(64)를 홀(76) 입구에 용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The
그리고 상기 마주 접하는 판넬(70) 전면에는 고정부재(66)인 플레이트(72) 다수개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너트(64)상에 포개어지는데, 이때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72) 양측에는 홀(74)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이 설치된 플레이트(72)의 홀(74)에는 보울트(68)가 결합 되면서 판넬(70)에 매설된 너트(64)에 결합된다. As the
따라서 상기 판넬(70)은 플레이트(72)에 결합 되면서 상호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Therefore, the
상기와는 달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72)의 홀(74) 입구에 너트(64)를 용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Unlike the above, as shown in FIG. 7B,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를 결합 순서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2개의 판넬(70)(도7a참조)을 상호 마주 접하게 한 다음, 상기 판 넬(70) 전면에 플레이트(72)를 설치하면서 너트(64)상에 포개어지게 하는데, 이때 상기 플레이트(72) 다수개를 길이 방향으로 동일하게 배치하고, 이후로 상기 보울트(68)를 플레이트(72)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홀(74)에 결합하면서 판넬(70)에 매설된 너트(64)에 결합한다. First, the two panels 70 (see FIG. 7A)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overlapped on the
그리고 상기와는 달리 판넬(70)의 홀(76) 입구에 너트(64)가 설치되었을 경우, 상기 보울트(68)는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결합 된다. Unlike the above, when the
따라서 상기 판넬(70)은 각각의 보울트(68)로 결합 되는 플레이트(72)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The
상기와는 달리 도 7b에 도시된 플레이트(72)에 보울트(68)가 결합 되면, 상기 보울트(68)는 플레이트(72)의 너트(64)와 판넬(70)의 너트(6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결합 된다. Unlike the above, when the
상기와 같이 결합 되는 여러개의 판넬(70)이 구조물로서 교량이나 건축물에 적용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When
한편 본 고안의 제 5 실시 예인 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교량이나 건축물 부분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물을 도 8a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ridge or a building part as described above. Looking at the structure in FIG. 8A as follows.
먼저 상기 구조물을 구성하는 여러개의 연결부재(78)(도8a참조)가 결합부(80)에 의해 상호 결합 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부재(78)는 용도에 따라 T자형, 십자형, ㄱ자형 등으로 설치할 수 있다. First,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78 (see FIG. 8A) constituting the structure are mutually coupled by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결합부(80)는 너트(82)와 고정부재(84)와 보울트(86)로 이루어진다. Coupling
계속하여 상기 연결부재(78)는 H형강으로 된 프레임(88)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88) 중간부에는 보울트(86)를 결합할 수 있게 한 다수개의 홀(8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88) 양단부에는 다른 프레임(88)을 결합할 수 있게 한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90)로 된 고정부재(84)가 용접되어 고정 설치된다. Subsequently, the connecting
그리고 상기 프레임(88) 양측에 설치된 각각의 플레이트(90)에는 다수개의 홀(92)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88) 타측에 설치된 플레이트(90)의 홀(92) 입구에는 너트(82)가 용접되면서 프레임(88) 내측에 설치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프레임(88) 일측에 설치된 플레이트(90)에는 너트가 용접되어 설치 되지 않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홀(92) 입구에 너트(82)를 용접하여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nut is not welded to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설치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installation procedure of the subject innova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프레임(88)의 양단부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프레임(88)을 각각 배치하면서 상호 마주 접하게 한 다음, 상기 프레임(88) 일측에 설치된 플레이트(90)에 보울트(86)를 결합하면, 상기 보울트(86)는 플레이트(90)에 형성된 홀(92)과, 다른 플레이트(90)에 형성된 홀(9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너트(82)에 결합 된다. First, the
이로 인해 상기 플레이트(90)는 상호 마주 접하면서 결합 되어 프레임(88)을 연결시키게 된다. As a result, the
계속하여 상기와는 달리 프레임(88) 중간부에 다른 프레임(88)을 수직으로 배치하면, 상기 프레임(90) 일단부에 설치된 플레이트(90)와 프레임(88)의 중간부 일면은 상호 마주 접하게 된다. Subsequently, unlike the above, when another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프레임(88) 중간부에 형성된 홀(81)을 통하여 보울트(86)를 끼우면, 상기 보울트(86)는 프레임(88)의 홀(81)과 플레이트(90)의 홀(9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플레이트(90)에 설치된 너트(82)에 결합 된다. When the
따라서 상기 프레임(88)의 중간부에 다른 프레임(88)이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Therefore, the
이때 상기 프레임(88)은 용도에 따라 T자형, 십자형, ㄱ자형 등으로 설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상기와는 달리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강으로 된 연결부재(78)가 T자형으로 배치되면서 결합부(80)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부(80)는 너트(82)와 고정부재(84)와 보울트(86)로 이루어진다. Unlike the above, as shown in FIG. 8B, the connecting
상기 연결부재(78)는 H형강으로 된 프레임(88)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88)의 중간부와 끝단부에는 다수개의 홀(8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홀(81) 입구에는 너트(82)가 용접되면서 프레임(88) 내측에 배치된다. The connecting
그리고 상기 프레임(88)이 T자형으로 배치되면서 상호 접하는 위치에 고정부재(84)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부재(84)는 T자형으로 만들어진 고정쇠(91)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쇠(91)에는 다수개의 홀(9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And the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고정쇠(91)의 홀(92)과 프레임(88)의 홀(91)에는 보울트(86)가 순차적으로 결합 되면서 프레임(88) 내측에 설치된 너트(82)에 결합 된다. The
이로 인해 상기 고정쇠(91)는 보울트(86)에 의해 프레임(88)에 고정되면서 상기 2개의 프레임(88)을 연결시키게 된다. As a result, the
상기 프레임(88)은 작업현장의 특성에 따라서 십자형, 기억자형 등으로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고정쇠(91)도 프레임(88)의 설치 상태에 따라 십자형, 기억자형 등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88)은 구조물로서 교량이나 건축물에 적용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The
또한 상기와 같이 H형강으로 된 프레임(88)을 이용하여 지하차도 이외에 도로 및 하천의 옹벽 등을 공사할 때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프레임(88) 사이에 금속판넬을 끼워 넣으면서 보울트(86)로 프레임(88)에 결합하면 흙의 무너짐이 방지된다. In addition, using the
그리고 지하철 공사할 때 상기와 같은 프레임(88) 상부에 복공판을 올려 놓을 경우, 상기 복공판을 보울트(86)로 프레임(88)에 간단히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And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on the
한편 본 고안의 제 6 실시 예인 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교량이나 건축물 또는 토목공사 부분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물을 도 9a,9b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a bridge, a building, or a civil engineering part, and the structure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9A and 9B.
먼저 상기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94)(도9a참조) 여러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되면서 상호 마주 접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94)는 결합부(96)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부(96)(도9b참조)는 너트(98)와 고정부재 (100)와 보울트(102)로 이루어진다. First,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94 (see FIG. 9A) constituting the structure are connect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부재(94)는 콘크리트 또는 금속으로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는 관(104)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와 같이 금속으로 제조되는 결합부(96)에는 관(104) 외주면에 결합 되는 상,하부커버(106, 108)가 반원형 모양을 하면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커버(106,108) 일단부에는 플랜지(110,112)가 일체로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절곡 되며, 상기 각각의 플랜지(110,112)에는 다수개의 홀(114)이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관통되어 형성된다. The upper and
또한 상기 상,하부커버(106,108)의 타단부에는 개,폐시 회동 중심을 이루는 힌지축(116)이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ver,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부커버(108)의 플랜지(112) 외면에는 너트(98)가 각각의 홀(114) 입구에 위치하면서 용접되고, 상기와는 달리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06)의 플랜지(110) 외면에도 각각의 홀(114) 입구에 너트(113)를 용접하여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계속하여 상기 보울트(102)(도9b참조)는 상부커버(106)의 홀(114)에 결합되면서 하부커버(108)의 너트(98) 또는 상부커버(106)의 너트(113)(도9c참조)를 포함하여 결합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관(104)(도9b참조)은 상,하부커버(106,108)에 결합 되면서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Subsequently, the bolt 102 (see FIG. 9B) is coupled to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 예를 결합순서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2개의 관(104)(도9b참조)을 상호 마주 접하게 한 다음 상,하부커버(106,108)를 힌지축(116) 중심으로 회동시켜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104)의 측단부 외주에 결합하면, 상기 상,하부커버(106,108)는 힌지축(116)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관(104)의 외주에 밀착하게 된다. First, the two tubes 104 (see FIG. 9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upper an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보울트(102)를 상부커버(106)의 플랜지(110)에 형성된 홀(114)에 결합하면서 하부커버(108)의 플랜지(112)에 설치된 너트(98)에 결합하면, 상기 상,하부커버(106,108)는 관(104)의 외주 면에 더욱 밀착하며 고정된다. When the
따라서 상기 2개의 관(104)은 각각의 보울트(102)로 결합 되는 상,하부커버(106,108)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Thus, the two
또한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트(102)가 플랜지(110,112)에 결합 되면, 상기 보울트(102)는 너트(98,113)에 결합되어 상,하부커버(106,108)가 관(104)(도9b참조) 외주에 밀착 고정되게 한다. Also, as shown in FIG. 9C, when the
상기와 같이 결합 되는 여러 개의 관(104)이 구조물로서 교량이나 건축물 그리고 토목공사 등에 적용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When a plurality of
한편 본 고안의 제 7 실시 예는 지중선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교량이나 건축물 또는 토목공사 부분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그 구조를 도 10a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protecting underground lines, and can be applied to a bridge, a building, or a civil engineering par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thereof is as follows.
먼저 지중선에는 충격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부(120)를 외주에 결합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결합부(120)에는 지중선 외주 면에 결합 되는 상,하부커버(130,132)가 분리된 구조를 하면서 반원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 ,하부커버(130,132) 양단부에는 플랜지(134,136)가 일체로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플랜지(134,136)에는 다수개의 홀(138)이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First, the underground line is used to coupl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그리고 상기 플랜지(134,136)에는 고정부재(124)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부재(124)는 보울트(126)와 너트(122)로 이루어진다. A fix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너트(122)는 하부커버(132)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136)의 홀(138) 입구에 용접되면서 외측면에 위치한다. The
계속하여 상기 보울트(126)는 상부커버(130)의 플랜지(134)에 형성된 홀(138)에 결합 되면서 하부커버(132)의 플랜지(136)에 설치된 너트(122)에 결합된다. Subsequently, the
따라서 지중선 외주에는 상기 결합부(120)가 견고히 결합 되어 있게 된다. Therefor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7 실시 예를 결합순서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지중선에 상,하부커버(130,132)(도10a참조)를 결합하면, 상기 상,하부커버(130,132)는 지중선의 외주에 밀착하게 되고, 플랜지(134,136)는 상호 마주 접하여 있게 된다. First, when the upper and
이후로 상기 보울트(126)를 상부커버(130)에 형성된 플랜지(134)의 홀(138)에 결합하면서 하부커버(132)의 플랜지(136)에 설치된 너트(122)에 결합하면, 상기 상,하부커버(130,132)는 지중선 외주에 견고히 결합 되는 상태가 된다. After the
따라서 상기 지중선 측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하부커버 (130,132)가 지중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상기 지중선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underground line, the upper and
상기와 같은 상,하부커버(130,132)는 필요에 따라서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제작할 수 있다. The upper and
상기와는 달리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30) 양측에 형성되는 플랜지(134)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개의 홀(138)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홀(138) 입구에는 너트(122)가 플랜지(134) 외면에 위치하면서 용접되어 고정된다. Unlike the above, as shown in FIG. 10B, 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커버(130)가 지중선 외주에 결합 되면, 상기 상부커버(130)에 설치된 너트(122)와 하부커버(132)(도10a참조)에 설치된 너트(122)에 보울트(126)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결합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결합부(120)는 지중선 외주에 견고히 결합되는 상태가 된다. When the
한편 본 고안의 제 8 실시 예인 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교량이나 건축물 또는 토목공사 부분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물을 도 11a,11b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ridge, a building, or a civil engineering par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structure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1A and 11B.
먼저 상기 구조물을 구성하는 연결부재(140)(도11a참조) 여러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되면서 상호 마주 접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140)는 결합부(141)를 통하여 상호 결합 되면서 연결된다. First, a plurality of connec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부재(140)는 관(142)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142) 양단부에는 플랜지(144)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44)에는 다수개의 홀(146)이 동 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관통되어 형성된다. The
그리고 상기 결합부(141)는 플랜지(144)와 너트(148)와 보울트(150)로 구성되는데, 상기 너트(148)는 상기 관(142)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플랜지(144)에 형성된 각각의 홀(146) 입구에 용접되면서 플랜지(144) 배면 측에 설치되고, 상기 관(142) 일측에 위치한 다른 플랜지(144)의 홀(146)은 너트가 설치되지 않는다. And the
계속하여 상기 보울트(150)는 관(142)의 플랜지(144)에 형성된 홀(146)에 결합되면서 다른 관(142)의 플랜지(144)에 설치된 너트(148)에 결합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관(142)은 플랜지(144)에 결합된 보울트(15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Subsequently, the
상기와는 달리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142)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144)에는 타측에 위치한 다른 플랜지와 동일하게 너트(148)를 홀(146) 입구에 용접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Unlike the above, as shown in FIG. 11B, the
상기와 같이 플랜지(144)(도11a참조)를 일체로 형성하는 관(142)은, 이형관[T자관, Y자관, +자관, 엘보우(ellbow), 레듀샤(reducer), 드레인(drain) 등]이나 각종 밸브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너트(148)를 플랜지(144)에 매설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8 실시 예를 결합순서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2개의 관(142)(도11a참조)을 연결시키면 플랜지(144)가 상호 마주 접하는데, 이때 상기 관(142)의 플랜지(144)에 형성된 홀(146)에 보울트(150)를 결 합하면서 다른 관(142)의 플랜지(144)에 설치된 너트(148)에 결합하면, 상기 관(142)은 상호 결합 되면서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First, when the two pipes 142 (see FIG. 11A) are connected, the
상기와는 달리 상기 플랜지(144)(도11b참조)에 보울트(150)가 결합 되면, 상호 마주 접하는 2개의 상기 플랜지(144)에 설치된 각각의 너트(148)를 보울트(150)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결합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2개의 관(142)은 보울트(150)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Unlike the above, when the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여러개의 관(142)이 구조물로서 교량이나 건축물 그리고 토목공사 등에 적용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When a plurality of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제 9 실시 예를 도 12,13에서 살펴 보면, 먼저 도로와 인도의 경계용으로 사용되는 휀스(fence)(160)(도12참조)에 2개의 안내파이프(162)가 상,하부에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안내파이프(162) 사이에는 다수개의 지주(164)가 등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상,하부가 각각 안내파이프(162)에 용접되는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안내파이프(162)와 지주(164)는 하나의 연결부재(163)를 구성하게 된다. 12 and 13, two
그리고 상기 각각의 지주(164) 양측 외주 면과 상,하부에는 고정부재(167)인 러그(166)가 관통된 홀(165)을 형성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용접된다. The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지주(164) 사이에 경계 보호용 그물망(170)이 설치되는데, 상기 그물망(170)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짜여진 프레임(172)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72)은 결합부(173)를 통하여 러그(166)에 결합 된다.
따라서 상기 그물망(170)은 프레임(172)과 함께 러그(166)에 결합 되어 있게 된다. Therefore, the
상기 결합부(173)는, 상기 러그(166) 일면에 위치하면서 홀(165) 입구에 용접되는 너트(168)와, 상기 프레임(172)과 러그(166)에 결합 되면서 너트(168)에 결합되는 보울트(174)로 구성된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휀스(16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assembly process of the
먼저 상기 그물망(170)(도12참조)을 결합하고 있는 프레임(172)을 러그(166)의 일면에 밀착시키면서 보울트(174)로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울트(174)는 프레임(172)과 러그(166)의 홀(16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너트(168)에 결합된다. First, the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172)은 그물망(170)과 함께 러그(166)에 고정되어 있게 되고, 상기 그물망(170)은 안내파이프(162)와 지주(164)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상기와 같은 휀스(160)는 도로 경계용 이외에 보안용이나 방호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게 된다.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철강재로 형성되면서 연결부재(2,18,29,60,78,94,140,163)를 구성하는 관(6,28,38,104,142)(토관, 흄관, 이형관, 파이프, 밸브 등)이나 판넬(70), 프레임(88) 등에 너트(8,22,33,64,82,98,122,148,168)가 매설되거나 용접되어 고정되므로, 외부로부터 진동이 연결부재에 전달되면 보울트(12,26,36,68,86,102,126,150,174)만 영향을 받아 풀림이 적게 되어 결합성이 우수하게 되고, 또한 유지 및 보수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steel and constitutes the connecting
다른 효과로는 연결부재에 너트가 매설되어 있어서 조립이 용이함에 따라 우수한 작업성을 가지게 되고, 또한 연결작업을 할 때 작업공정이 감소 되어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Another effect is that the nut is embedded in the connection member has an excellent workability as easy to assemble, and also the work process is reduced when the connection work is carried out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또 다른 효과로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면서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흄관(또는 토관)에 너트를 매설한 상태에서 고정부재(10,21,24,34,66,84,100,124,167)와 보울트로 연결부재를 연결하므로 우수한 결합성을 지니게 되는데, 이로 인해 흄관(또는 토관)을 토목공사 용도로 사용하게 될 경우 결합부분에서 흔히 발생하는 균열현상이나 분리현상이 방지된다. Another effect is that the connec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10, 21, 24, 34, 66, 84, 100, 124, 167) and the bowl while the nut is embedded in the fume pipe (or earth pipe) constituting the connecting member formed of concrete It has a bond, which prevents cracking or separation that commonly occurs at the joint when a fume pipe (or earth pipe) is used for civil engineering.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3763U KR200409411Y1 (en) | 2005-11-30 | 2005-11-30 | Connection subsidiary materials of combination structure for a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3763U KR200409411Y1 (en) | 2005-11-30 | 2005-11-30 | Connection subsidiary materials of combination structure for a structur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5342A Division KR20070056538A (en) | 2005-11-30 | 2005-11-30 | Connection subsidiary materials of combination structure for a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9411Y1 true KR200409411Y1 (en) | 2006-02-22 |
Family
ID=4175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3763U KR200409411Y1 (en) | 2005-11-30 | 2005-11-30 | Connection subsidiary materials of combination structure for a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9411Y1 (en) |
-
2005
- 2005-11-30 KR KR2020050033763U patent/KR200409411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7960B1 (en) | PC culvert box connected metal strap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EP0558344A1 (en) | Apparatus for joining precast concrete units | |
KR100665811B1 (en) | Device for connecting precast concrete structures | |
KR20030051002A (en) | Ground anchor | |
KR20060069419A (en) | This install structure and carrying out method with the watertight and flexible of the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ox culverts | |
KR100717290B1 (en) | Connection subsidiary materials of combination structure for a structure | |
KR200409411Y1 (en) | Connection subsidiary materials of combination structure for a structure | |
KR20130061537A (en) | Connection apparatus of steel pipe for strut, steel pipe strut using thereof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teel pipe strut | |
KR20070056538A (en) | Connection subsidiary materials of combination structure for a structure | |
JP4033804B2 (en) | Repair equipment and method for repairing corroded steel pipe columns | |
KR100726736B1 (en) | Fixing construction of drainage | |
JP7550045B2 (en) | Precast panel connection structure and precast panel connection method | |
JP2007032042A (en) | Flexible joint structure, concrete block and flexible joint | |
JP7517010B2 (en) | Connection structure, connection method, and segment | |
KR100917951B1 (en) | A connection pipe device for manhole | |
JP5169924B2 (en) | Floor slab bridge, floor slab uni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 slab bridge | |
JP3607755B2 (en) | Box culvert flexible joint structure | |
KR100522142B1 (en) | Band together structure of a sewage pipe in the ground and a branch pipe | |
KR100624009B1 (en) | A connection pipe device of manhole | |
JP2002364283A (en) | Segment piece for press-in construction method and immersed body using the same | |
KR200375104Y1 (en) | Pipe joint | |
KR200352643Y1 (en) | Pipe coupler | |
JP7431705B2 (en) | Joint structure of steel shell element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90061868A (en) | Assembling structure of arch-type precast culvert and method constructing the culvert | |
JP4722820B2 (en) | seg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21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