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225Y1 - Electronic Doorlock capable of Changing Top and Bottom of Keypad - Google Patents

Electronic Doorlock capable of Changing Top and Bottom of Key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225Y1
KR200409225Y1 KR2020050034217U KR20050034217U KR200409225Y1 KR 200409225 Y1 KR200409225 Y1 KR 200409225Y1 KR 2020050034217 U KR2020050034217 U KR 2020050034217U KR 20050034217 U KR20050034217 U KR 20050034217U KR 200409225 Y1 KR200409225 Y1 KR 200409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door lock
key
unit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21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50034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22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22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도어록의 외측 조작부를 상하 변환하여 도어에 설치하는 경우 키패드를 상하 변환하여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oor lock capable of vertically changing the keypa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oor lock capable of vertically converting a keypad that can be installed by converting the keypad up and down when installed on the door by vertically converting the outer operation par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본 고안은, 키 입력을 위한 키패드(110)를 구비하여 도어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조작부(100)와, 상기 키패드(110)를 통해 입력된 키값이 정당한 경우에 록 구동부를 구동시켜 록을 해정시키며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조작부(400)를 포함하는 전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110)는 상기 외측 조작부(100)에 상하 변환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 조작부(400)에는 상기 키패드(110)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키패드(110)를 통해 입력되는 키값을 전환시키는 키입력 전환부(4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keypad 110 for key input to unlock the lock by driving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and the lock drive unit when the key value input through the keypad 110 is justified. In the electronic door lock including an inner operation unit 400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door, the keypad 11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up and down in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the inner operation unit 400 ) I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door lock capable of vertically changing the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input switching unit 460 for switching the key value input through the keypad 11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keypad 110 is provided. .

도어록, 전자식, 디지털, 키패드, 상하 변환 Door lock, electronic, digital, keypad, vertical change

Description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Electronic Doorlock capable of Changing Top and Bottom of Keypad}Electronic door lock capable of changing the top and bottom of the keypad {Electronic Doorlock capable of Changing Top and Bottom of Keypad}

도 1은 슬라이드 커버를 아래로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된 전자식 도어록의 외측 조작부를 도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operation portion of the electronic door lock configured to slide the slide cover down installed in the door,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키패드를 상하 변환시킨 외측 조작부를 도어에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2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an outer operation unit in which the keypad is vertically converted is installed in the door in the electronic door lock capable of vertically converting the keypa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키패드를 상하 변환하여 외측 조작부에 설치하는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installing the keypad up and down in an electronic door lock capable of vertically converting the keypa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stalling the keypad to an outer operation part;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의 블록 구성도이다.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oor lock capable of vertically changing the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외측 조작부 110 : 키패드100: outer operation panel 110: keypad

120 : 슬라이드 커버 300 : 하부 케이스120: slide cover 300: lower case

310 : 상부 케이스 400 : 내측 조작부310: upper case 400: inner operation portion

410 : 키패드 입력부 420 : 도어록 제어부410: keypad input unit 420: door lock control unit

430 : 메모리부 440 : 록 구동부430: memory unit 440: lock driving unit

450 : 전원부 460 : 키입력 전환부450: power supply unit 460: key input switching unit

본 고안은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도어록의 외측 조작부를 상하 변환하여 도어에 설치하는 경우 키패드를 상하 변환하여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oor lock capable of vertically changing the keypa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oor lock capable of vertically converting a keypad that can be installed by converting the keypad up and down when installed on the door by vertically converting the outer operation par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전자식 도어록이란 자물쇠와 맞물리는 기계식 키 대신 비밀번호나, 반도체 칩, 스마트 카드, 지문이나 홍채 등의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잠금 장치를 말한다. 전자식 도어록은 입력된 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잠금 장치를 해제시키게 되는데, 통상적으로는 데드 볼트(Dead Bolt)를 솔레노이드(Solenoid)나 전동 모터(Motor)를 이용하여 구동시킴으로써 도어록을 괘정(Lock)하거나 해정(Unlock)하도록 한다. An electronic door lock is a locking device that use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a semiconductor chip, a smart card, a fingerprint, or an iris instead of a mechanical key that engages with a lock. The electronic door lock releases the lock only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information stored therein. Normally, the dead bolt is driven by using a solenoid or a motor. Lock or unlock the door lock.

또한, 최근의 전자식 도어록은 전자 정보를 이용한 키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전자식 도어록은 ID 코드가 저장되는 E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내장한 전자 정보 키와 이 전자 정보 키의 ID 코드를 확인하여 전자키를 인증하는 키 판독 장치를 구비한 도어 키 장치이다. 전자 정보를 이용한 키 장치는 도어 키 조작이 간편하고 기계식 키의 무단 복사로 인 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recent years, the use of a key device using electronic information has become commonplace in electronic door locks. The electronic door lock is a door key device having an electronic information key containing an EEPROM (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toring an ID code, and a key reading device for authenticating the electronic key by checking the ID code of the electronic information key. . Key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information has the advantage of easy door key operation and prevent damage caused by unauthorized copying of the mechanical key.

이러한 키 장치는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키 장치를 상호 복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키거나 사용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전자 정보를 이용한 키 장치, 지문 인식에 의한 키 장치 또는 생체정보 인식 키 장치 중 어느 하나를 10개의 숫자판을 이용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문을 개폐하는 키패드(Keypad)와 함께 사용하고 있다.Each of these key devices may be used individually, but by using a combination of key devices, security can be improved or convenience of use can be enhanced. Typically, any one of a key device using electronic information, a key device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or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key device is used together with a keypad that opens and closes a door by inputting a password using ten numeric plates.

전자식 도어록은 상기와 같은 키 장치로부터 키 입력을 받도록 구성되어 도어의 외측에 부착되는 외측 조작부와, 키 입력값을 저장된 값과 비교하고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내측 조작부, 및 잠금 작동을 수행하는 모티스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 중 전자식 도어록의 외측 조작부의 일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electronic door lock is configured to receive a key input from the key device as described above, an outer operation part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an inner operation part for comparing the key input value with the stored valu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a mortise for performing the locking operation. Contains wealth. One configuration of the outer operation par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is described as follows.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096120호에서는 보조 도어록으로 활용되는 전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부 키 하우징과 하부 키 하우징을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중 키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에 개시된 내용은 상부 키 하우징에는 전자 정보 키와 같은 키 장치를 구비하고 하부 키 하우징에는 키패드를 구비하도록 하여, 상부 키 하우징을 위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하부 키 하우징의 키패드가 노출되도록 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부 키 하우징은 하부 키 하우징의 키패드를 보호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0096120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discloses a slide type dual key device having an upper key housing and a lower key housing in an electronic door lock utilized as an auxiliary door lock. Disclosed herein relates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key housing includes a key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information key and the lower key housing includes a keypad so that the upper key housing slides upward to expose the keypad of the lower key housing. Wherein the upper key housing is to perform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keypad of the lower key housing.

한편, 상기한 특허공개공보에 개시된 내용 외에 키패드를 보호하기 위한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식 도어록 장치가 종래에도 다수 존재하였다. 이러한 슬라이드 커버는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를 이동시킴으로써 키패드를 노출 시킬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content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there have been many electronic door lock devices having a slide cover for protecting the keypad. Such a slide cover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so that the keypad can be exposed by moving it.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상부 키 하우징이나 슬라이드 커버는 위로 슬라이드시키는 구성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미적 효과를 위한 디자인 또는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슬라이드 커버를 아래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하는 전자식 도어록이 출시되는 상태이다. By the way, the upper key housing or the slide co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was generally configured to slide up. However, due to the design or structural problems for the aesthetic effect, an electronic door lock is being released to slide the slide cover down.

도 1은 슬라이드 커버를 아래로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된 전자식 도어록의 외측 조작부를 도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uter operation portion of an electronic door lock configured to slide a slide cover down is installed in a door.

도어록의 외측 조작부(100)는 도어(150)에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도어(150)에는 외측 조작부(1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천공(미도시)이 타공된다. 외측 조작부(100)에는 키패드(110)가 구비되고, 키패드(110)를 보호하기 위한 슬라이드 커버(120)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외측 조작부(100)에는 전자 정보 키로부터 키 입력을 받는 전자 정보 키 입력부(130)가 구비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자 정보 키 입력부(130) 대신 생체정보 등을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 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어록이 건전지와 같은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경우 전원 소모시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 전원 공급부(140)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outer operation part 100 of the door lock is fixed to the door 150. To this end, the door 150 has a perforation for fixing (not shown) for fixing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is provided with a keypad 110, a slide cover 120 for protecting the keypad 110 is provided to be slidable. On the other hand,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i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information key input unit 130 that receives a key input from the electronic information key. In some cases, a key input device for receiving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stead of the electronic information key input unit 130. In addition, when the door lock is operated using an internal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it is generally provided with an emergency power supply unit 140 for supplying emergency power when power is consumed.

한편, 키패드(110)는 0 내지 9까지의 숫자키와 크로스해치(#) 및 아스테리스크(*)의 특수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합성수지나 실리콘 고무 또는 소정 두께의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연한 소재의 패드에 상기와 같은 숫자키 및 특수키가 표시되고 그 하부면은 접점을 위한 인쇄회로 기판 등에 접한 상태가 된 다. On the other hand, the keypad 110 is configured to input the numeric keys 0 to 9 and special keys of the cross hatch (#) and asterisk (*), made of synthetic resin, silicone rubber, or a film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numeric keys and special keys as described above are displayed on the pad of the flexible material,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in contact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for a contact.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도어록의 외측 조작부(100)는 슬라이드 커버(120)가 하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되었다. 만약 도어에 기존 설치된 도어록의 외측 조작부(100)가 슬라이드 커버(120)를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된 것이어서 그에 따른 고정용 천공이 도어에 구비되어 있던 경우, 그 고정용 천공에 도 1과 같이 하방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커버(120)를 구비한 외측 조작부(10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커버(120)가 도어 핸들(160)에 부딪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By the way, the outer operation part 100 of the door lock shown in FIG. 1 was configured such that the slide cover 120 slides downward. If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of the door lock that is already installed in the door is configured to slide the slide cover 120 upwards and the fixing perforation is provided in the door, the fixing perforation downward as shown in FIG. When installing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having the slide cover 120 to be sli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lide cover 120 hits the door handle 160.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어(150)에 새로운 고정용 천공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나 종래의 고정용 천공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거나 향후 외측 조작부(100)를 제거하는 경우 도어(150)에 다수의 고정용 천공이 남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는 다양한 디자인과 구성의 도어록을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결과가 되는 문제점이 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there is a method of installing a new fixing perforation on the door 150, but the conventional fixing perfora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damage the aesthetics or to remove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in the future a plurality of doors 15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xing perforations remain. This is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to the consumer who wants to use the door lock of a variety of designs and configurations and results in not meeting the needs of the consumer.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자식 도어록의 외측 조작부를 상하 변환하여 설치하는 경우 키패드를 상하 변환하여 설치하고 전자식 도어록의 주제어부가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키값을 정상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the external control uni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up and down, the installation of the keypad up and down by converting and the main control of the electronic door lock is able to recognize the key value input through the keypad norm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oor lock capable of vertically chang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키 입력을 위한 키패드(110)를 구 비하여 도어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조작부(100)와, 상기 키패드(110)를 통해 입력된 키값이 정당한 경우에 록 구동부를 구동시켜 록을 해정시키며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조작부(400)를 포함하는 전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110)는 상기 외측 조작부(100)에 상하 변환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 조작부(400)에는 상기 키패드(110)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키패드(110)를 통해 입력되는 키값을 전환시키는 키입력 전환부(4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keypad 110 for key input, and an outer operation unit 100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and a key value input through the keypad 110 when the lock is justified. In the electronic door lock including an inner operation unit 400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door by releasing the lock by driving the drive unit, the keypad 11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up and down converted to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And, the inner operation unit 400 is a vertical input of the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input switching unit 460 for switching the key value input through the keypad 11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keypad 110 is provided Provide this possible electronic door lock.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고안에 따른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은 도어록의 외측 조작부에 구비되는 키패드를 상하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록의 설치 방법에 다양성을 주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도어록 외측 조작부의 키패드를 상하 변환하여 설치하고 도어록에서 키패드의 위치 변환에 따른 버튼 입력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키패드 입력 인식을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Electronic door lock that can be converted up and down th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giving a variety to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door lock by allowing the keypad provided on the outer operation portion of the door lock to be installed up and down. To this end,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keypad input recognition so that the keypad of the door lock outer operation part is installed upside down and can recognize the button input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the keypad in the door lock.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 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키패드를 상하 변환시킨 외측 조작부를 도어에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키패드를 상하 변환하여 외측 조작부에 설치하는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outer operation portion that the up and down conversion of the keypad is installed in the door in the child door lock capable of up and down conversion of the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oor lock capable of vertically changing a keypad and vertically converting the keypad and installing the keypad on an outer operation part.

도 2를 참고하면, 도어록의 외측 조작부(100)의 상하를 변경하여 도어(150)에 설치한다. 키패드(110)도 상하 변경하여 외측 조작부(100)에 설치함으로써 키패드(100)의 숫자키가 역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커버(120)는 위쪽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게 되어 슬라이드 커버(120)가 도어 핸들(160)에 충돌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er operation part 100 of the door lock are changed and installed in the door 150. The keypad 110 is also vertically changed to be installed on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to prevent the numeric keys of the keypad 100 from being loc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ccordingly, the slide cover 120 can slide upward,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that the slide cover 120 collides with the door handle 160.

도 3을 참고하면, 도어록의 외측 조작부(100)의 상하를 변경하여 설치하기 위해 외측 조작부(100)를 분해하고 하부 케이스(300)와 상부 케이스(310)의 사이에 키패드(110)를 상하 변환하여 조립한다. 여기서 키패드(110)는 대칭이 되도록 제작됨으로써 키패드(110)를 상하 변환시켜도 외측 조작부(100)에 조립되도록 하여야 한다. Referring to FIG. 3, in order to change and install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of the door lock,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is disassembled and the keypad 110 is vertically converted between the lower case 300 and the upper case 310. To assemble. Here, the keypad 110 is manufactured to be symmetrical, so that the keypad 110 is assembled to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even when the keypad 110 is vertically converted.

그런데, 키패드(110)의 숫자키 및 특수키는 키 자체가 해당 숫자 또는 특수 문자에 대한 값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숫자키 또는 특수키를 누르면 키패드(1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회로기판(320) 상의 접점을 누름으로써 키값이 출력된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접점이 구비된 회로기판(320)을 대신하여 키패드의 버튼에 의해 작동하는 버튼 타입의 입력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By the way, the numeric key and the special key of the keypad 110 is not a key itself to output a value for the corresponding number or special character, and when the numeric key or the special key is pressed circuit board which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keypad 110 ( The key value is output by pressing the contact on 320). However, in some cases, a button type input device operated by a button of a keypad may be provided instead of the circuit board 320 provided with a contact.

키패드(110)를 상하 변환하여 외측 조작부(100)에 설치한 후 키패드(110)의 키를 누르면 표시된 것과는 다른 값이 출력된다. 예컨대 키패드(110)의 상의 "1"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면 크로스해치(#)키 값이 출력되고, "2"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면 "O" 값이 출력되게 되는 것이다.After the keypad 110 is vertically converted and installed in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pressing a key of the keypad 110 outputs a different value from that displayed. For example, when a button corresponding to "1" on the keypad 110 is pressed, a cross hatch (#) key value is output, and when a button corresponding to "2" is pressed, a "O" value is output.

따라서, 키패드(110)를 상하 변환하여 설치함과 함께 변환 설치된 키패드(110)에 따른 키 입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도어록 자체에서 키입력을 변환하여 인식하도록 함이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key input in the door lock itself so that the key input according to the converted keypad 110 is normally installed while the keypad 110 is installed upside down.

이를 위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for this is as follows.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의 블록 구성도이다.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oor lock capable of vertically changing the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자식 도어록은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조작부(100)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조작부(400)를 구비한다. The electronic door lock includes an outer operation unit 100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and an inner operation unit 400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door.

외측 조작부(1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키패드(110)가 구비되며, 키패드(110)에 구비된 버튼을 누름에 따라 키값을 입력받는 키패드 입력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키패드 입력부(410)는 전술한 회로기판(320)과 같이 키패드(110)에 의해 키값을 출력하는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외측 조작부(1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정보 키 또는 생체정보 키를 입력받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The outer operation unit 100 is provided with a keypad 110 as described above, and is provided with a keypad input unit 410 for receiving a key value according to pressing a button provided on the keypad 110. Here, the keypad input unit 410 may be understood as a device for outputting a key value by the keypad 110, as in the above-described circuit board 32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external operation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n apparatus for receiving an electronic information key or a biometric information key as described above.

내측 조작부(400)는 외측 조작부(100)로부터 입력된 키값을 저장된 키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잠금 장치를 해제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nner operation unit 400 compares the key value input from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with the stored key value and performs a function of releasing the locking device when the inner operation unit 400 matches.

도어록 제어부(420)는 일반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구현되 며, 전체 전자식 도어록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door lock control unit 420 is implemented as a general microprocesso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ntire electronic door lock.

메모리부(430)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의 기억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430)에는 키 인증을 위한 정보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므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그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불활성 메모리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mory unit 430 may be a memory device such as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flash memory,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or the like. Since the memory 430 stor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for key authentica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n inactive memory device whose contents are not erased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록 구동부(440)는 전자식 도어록의 록(442)을 괘정 또는 해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록 구동부(440)는 전동 모터나 솔레노이드(Solenoid)를 포함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록(442)을 괘정 위치와 해정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키패드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메모리부(430)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게 되면 도어록 제어부(420)는 록 구동부(440)를 구동시켜 록(442)을 해정시키게 된다. The lock driver 440 is a device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lock 442 of the electronic door lock. The lock driver 440 includes an electric motor or a solenoid to move the lock 442 to the locked and unlocked positions using electrical energy. When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keypad input unit 410 matche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430, the door lock controller 420 drives the lock driver 440 to release the lock 442.

전원부(450)는 전자식 도어록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AC 전원 및 DC 전원 모두 가능하다. 전원부(450)에 공급되는 전원은 전자식 도어록의 외부에서 공급될 수도 있으나 전자식 도어록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Battery)로부터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450 is a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oor lock, and can be both an AC power source and a DC power source.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450 may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oor lock, but may be supplied from a battery provided inside the electronic door lock.

키입력 전환부(460)는, 키패드(110)의 설치 상태에 따라 키패드 입력부(4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조작부(10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키패드(110)가 정상 위치에 있게 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조작부(10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키패드(110)에 표시된 키값과 키패드 입력부(410)에서 전달되는 키값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키 패드(110)를 상하 변환시켜 설치하는 경우에는 키패드 입력부(4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키패드(110)에 표시된 키값과 일치하도록 도어록 제어부(420)가 인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키입력 전환부(460)는 키패드(110)의 설치 상태에 따라 키패드 입력부(410)로부터의 신호값을 도어록 제어부(420)가 변환하여 인식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The key input switching unit 460 switches a signal input from the keypad input unit 41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keypad 110. When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1, the keypad 110 is in a normal position. However, when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2, the keypad 110 is located in the keypad 110. The displayed key value and the key value transmitted from the keypad input unit 410 do not match. Accordingly, when the keypad 110 is installed upside down, the door lock controller 420 should recognize the signal input from the keypad input unit 410 to match the key value displayed on the keypad 110. To this end, the key input switching unit 460 performs a function of causing the door lock control unit 420 to recognize the signal value from the keypad input unit 41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keypad 110.

이러한 키입력 전환부(460)는 회로 구성을 변경하기 위한 점퍼(Jumper) 형태이거나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키입력 전환부(460)를 이용하여 회로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키패드 입력부(410)로부터 전달되는 키값을 도어록 제어부(420)가 변환된 형태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The key input switching unit 460 may be a jumper (Jumper) form or switch, for chang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That is, by chang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by using the key input switching unit 460, the door lock control unit 420 may recognize the key value transmitted from the keypad input unit 410 in the converted form.

또한, 키입력 전환부(46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자식 도어록의 세팅시에 특정 명령어를 도어록 제어부(420)에 입력함으로써 도어록 제어부(420)가 키패드(110)의 설치 상태에 따른 키값을 제대로 인식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key input switching unit 460 may be configured in software. In this case, by setting a specific command to the door lock control unit 420 at the time of setting the electronic door lock, the door lock control unit 420 is configured to properly recognize the key valu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keypad 110.

따라서 설치 상태에 따라 키패드(110)의 위치를 변환시킨 외측 조작부(100)를 도어에 설치하고 키입력 전환부(460)를 이용하여 키패드(110)로부터의 신호 입력 상태를 변환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the installation of various methods by installing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keypad 11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in the door and converting the signal input state from the keypad 110 using the key input switching unit 460. Becomes possible.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 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intended to be described,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슬라이드 커버가 하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전자식 도어락의 외측 조작부 설치가 곤란한 경우에 외측 조작부의 상하를 변경하고 키패드도 이에 따라 변환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도어에 불필요한 타공을 하는 것이 방지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자식 도어록의 외측 조작부를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de cover slides downward and the installation of the outer operation par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is difficul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outer operation part can be changed and the keypad can be converted accordingly and installed. Accordingly, unnecessary perforations are prevented in the door, an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uter operation par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can be variously installed.

Claims (3)

키 입력을 위한 키패드(110)를 구비하여 도어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조작부(100)와, 상기 키패드(110)를 통해 입력된 키값이 정당한 경우에 록 구동부를 구동시켜 록을 해정시키며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조작부(400)를 포함하는 전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The keypad 110 for key input includes an outer operation unit 100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and when the key value input through the keypad 110 is justified, the lock driving unit is driven to unlock the lock. In the electronic door lock including an inner operation unit 400 provided on the inside, 상기 키패드(110)는 상기 외측 조작부(100)에 상하 변환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The keypad 11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up and down in the outer operation unit 100, 상기 내측 조작부(400)에는 상기 키패드(110)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키패드(110)를 통해 입력되는 키값을 전환시키는 키입력 전환부(460)가 구비되는 것The inner operation panel 400 is provided with a key input switching unit 460 for switching the key value input through the keypad 110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keypad 110. 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Electronic door lock that can be changed up and down of the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입력 전환부(460)는, 점퍼 또는 스위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키패드 입력부(41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키값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The key input switching unit 4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jumper or switch, the electronic door lock capable of up and down conversion of the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key value input from the keypad input unit (41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입력 전환부(460)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상기 내측 조작부에 구비된 도어록 제어부(420)에 특정 명령어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키패드 입력부(410) 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키값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The key input switching unit 460 is a software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key value input from the keypad input unit 410 by inputting a specific command to the door lock control unit 420 provided in the inner operation unit. Electronic door lock that can be switched up and down.
KR2020050034217U 2005-12-05 2005-12-05 Electronic Doorlock capable of Changing Top and Bottom of Keypad KR20040922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217U KR200409225Y1 (en) 2005-12-05 2005-12-05 Electronic Doorlock capable of Changing Top and Bottom of Key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217U KR200409225Y1 (en) 2005-12-05 2005-12-05 Electronic Doorlock capable of Changing Top and Bottom of Key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225Y1 true KR200409225Y1 (en) 2006-02-22

Family

ID=4175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217U KR200409225Y1 (en) 2005-12-05 2005-12-05 Electronic Doorlock capable of Changing Top and Bottom of Key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225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67B1 (en) 2006-09-29 2008-01-21 (주)메이즈텍 Digital doorlock apparatus improved the function of inputting password
KR101109112B1 (en) 2011-10-17 2012-02-24 (주)혜강씨큐리티 Left handed and right handed conver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digital door lock
KR101328392B1 (en) * 2012-11-01 2013-11-21 주식회사 뉴온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simpled left handed and right handed conver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67B1 (en) 2006-09-29 2008-01-21 (주)메이즈텍 Digital doorlock apparatus improved the function of inputting password
WO2008038952A1 (en) * 2006-09-29 2008-04-03 Mazetech Digital doorlock apparatus having improved password input function
KR101109112B1 (en) 2011-10-17 2012-02-24 (주)혜강씨큐리티 Left handed and right handed conver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digital door lock
KR101328392B1 (en) * 2012-11-01 2013-11-21 주식회사 뉴온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simpled left handed and right handed conve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83713A1 (en) Padlock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ic Switch Actuated System with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US20140028439A1 (en) Sensor-embedded door handle with fingerprint identification function
JPH10512638A (en) Programmable electronic locking device
KR200409225Y1 (en) Electronic Doorlock capable of Changing Top and Bottom of Keypad
KR101319373B1 (en) Locker digital door-lock
KR20180127167A (en) Lock with finger scan
KR101899864B1 (en) A push pull digital doorlock
KR101471437B1 (en) Digital door-lock
JP2007070999A (en) System for unlocking and locking key by issuing qr code from cellular phone
US6809628B1 (en) Personal or personalizable device for the conditional use of electric or electronic appliances, method of use
KR20060019136A (en) Digital door lock with cleaning means for keypad and cleaning method for keypad
KR101161088B1 (en) Toy Jewel Box Equipped With Electronic Locking Device
KR20040111101A (en) Communication device
KR200351031Y1 (en) Number inputting device for automatic door locking apparatus
KR100693331B1 (en) Digital door lock having device with a variable arrangement of keypad, and method therefor
JP4704840B2 (en) Switchgear control system
JP2011226120A (en) Electric thumb-turn lock
JP7248543B2 (en) Electric Cylinder with Dial Verification Mechanism for Crime Prevention
JP4704839B2 (en) Switchgear control system
KR200425563Y1 (en) Handle-type Digital Doorlock
KR200425566Y1 (en) Digital Doorlock for Prison
JP2018184767A (en) Lock
KR100664690B1 (en) Apparatus For Electronic Key Switch
US2006012982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reinforcing security thereof
KR101577987B1 (en) Password input system using F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