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049Y1 - Reclaimer of loss article - Google Patents

Reclaimer of loss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049Y1
KR200409049Y1 KR2020050034645U KR20050034645U KR200409049Y1 KR 200409049 Y1 KR200409049 Y1 KR 200409049Y1 KR 2020050034645 U KR2020050034645 U KR 2020050034645U KR 20050034645 U KR20050034645 U KR 20050034645U KR 200409049 Y1 KR200409049 Y1 KR 200409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dapter
handle
wire
str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6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샘찬
Original Assignee
김샘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샘찬 filed Critical 김샘찬
Priority to KR2020050034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04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04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망실 물품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에 밀착되어 있는 장롱 또는 소파를 비롯하여, 산재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공장의 산업설비 사이에서 탈락 내지 망실 된 각종 물품을 취출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망실 물품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되어 외력을 가하면 작동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일단이 삽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는 관통된 하나 이상의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단과 동일한 축선상에서 결합되어 삽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 내부에 체결되고, 그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하우징과 동일한 축선상을 이루는 아답터와, 상기 아답터의 내부를 따라 삽입되면 오므려지고, 취출되면 벌려지도록 상기 아답터와 동일한 축선상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집게부와, 상기 작동하는 핸들에 결합되어 연동되고, 상기 관통된 연결대, 하우징의 내부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집게부의 일측에 재결합되고, 상기 핸들의 작동을 상기 집게부로 전달하여 상기 집게부가 상기 아답터의 내부에서 삽탈되도록 하는 스트래들와이어를 포함하므로서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 loss article recovery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take out or recover a variety of items dropped or lost between industrial facilities of the factory containing the risk of industrial accidents, including the closet or sofa close to the wall A missile recovery device, which is rotated by a hinge coupling, which is operat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ne end of which is removably connected to the handle, the inside of which has one or more connecting rods, and the same a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A housing coupled to and detachably connected on an axis line,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of the housing, the inside of which is penetrated to form the same axis as the housing, and is retracted when inserted along the inside of the adapter, Radially extending on the same axis as the adapter so as to open when ejected Coupled to and coupled to the operative handle, the piercer is pass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passage, the housing is recombined to one side of the claw, and the operation of the handle to the claw to the claw This is accomplished by including a straddle wire to be inserted and detached from inside the adapter.

하우징, 아답터, 스트래들와이어, 핸들, 연결대, 집게 Housing, Adapter, Straddle Wire, Handle, Connecting Rod, Grapples

Description

망실 물품 회수기{Reclaimer of loss article}Lost Item Reclaimer {Reclaimer of loss artic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망실 물품 회수기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et loss article recove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망실 물품 회수기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net articl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망실 물품 회수기의 단면 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net articl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핸들을 작동하기 전 상태를 보인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ng the hand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된 핸들을 작동시켜 망실 물품을 회수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to recover the lost article by operating the hand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핸들 20: 연결대10: handle 20: connecting rod

30: 하우징 40: 아답터30: housing 40: adapter

50: 집게부 60: 스트래들와이어50: tong 60: straddle wire

70,80: 탄성체 90: 엘이디70, 80: elastomer 90: LED

본 고안은 망실 물품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에 밀착되어 있는 장농 또는 소파를 비롯하여, 산재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공장의 산업설비 사이에서 탈락 내지 망실된 각종 물품을 취출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망실 물품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 loss article recovery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take out or recover a variety of items dropped or lost between industrial facilities of the factory containing the risk of industrial accidents, such as farms or sofa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To one lost goods reclaimer.

일반적으로 비좁은 틈새 사이에 끼워져 있거나, 여기에 망실되어 있는 물품 등은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하고 있어 이를 취출하기가 쉽지 않았다.In general, items that are sandwiched between the narrow gaps, or are lost, are not easily reachable because they are located out of reach of people.

공지의 예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1994-0013680호(1994.06.13) "청소집게"가 개시되어 있다.As a known exampl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994-0013680 (1994.06.13) "cleaning tongs" is disclosed.

위와 같이 공지된 청소집게는, 바닥 또는 손이 닿지 않은 곳에 있는 오물을 쉽게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것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깊은 곳까지 닿을 수 있도록 한 중공바, 여기에 호형인 작동판이 한 쌍을 이루면서 서로 대향되어 있고, 작동판이 굽혀지거나 펴지면 이에 연동되어 오물을 움켜지는 고무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작동판을 펴겨나 굽힘으로써 오물을 제거하는 방아쇠를 더 포함하고 있다.Known cleaning tongs as above, to easily remove the dirt on the floor or out of reach, which is a hollow bar tha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each deep, paired with the arc of the operation plate here Opposed to each other, the operating plate is bent or extended, it consists of a rubber plate which is interlocked with it to pick up the dirt, and further includes a trigger for removing the dirt by extending or bending the operating plate.

특히, 한 쌍의 작동판은 방아쇠의 작동에 따라 굽혀지거나 벌어져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특성으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작동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In particular, the pair of operating plates can be bent or sprea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trigger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the user is characterized by the operation with a small force.

그러나, 작동판은 통상 철판을 구부려 가공해야 하고, 탄성반발력을 증대시 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호의 크기를 증대시켜야 한다. 이는 당연히 방아쇠를 잡아당기는 사용자의 악력을 증대시키게 되고, 출원이 목적하는 바인 적은 힘으로는 작동이 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However, the working plate is usually required to bend the iron plate, and to increase the elastic repulsive force to remove the dirt of a certain siz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arc. This of course increases the grip force of the user to pull the trigger, a problem that can not be operated with a small force that the application is intended.

또 하나의 공지의 예로서, 위와 같이 적은 힘으로도 작동되도록 한 "청소용 집게"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01-0034915호(2001.11.13)에 개시되어 있다.As another known example, "cleaning tongs" which are operated with such a low force are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0034915 (Nov. 13, 2001).

위 공지의 예는 레버가 일단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수직으로 연장되어 몸체를 이루는 수직대, 수직대 내부를 통과하되, 일단이 상기 레버에 연결된 두개의 와이어, 와이어의 작동에 따라 회동되도록 일단이 수직대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내측으로 와이어와 결합되어 있는 파지부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파지부는 집게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레버의 작동거리에 비례하여 작동되는 폭 내지 악력이 작용된다.In the above known example, the lever is operatively installed at one end and vertically extends to form a body, and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vertical stand,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of the two wires and wires connected to the lever. One end is hinged to the vertical stand, and consists of a gripping portion coupled to the wire inwardly. In particular, the gripping portion serves as a tong, and a width to grip force operated in proportion to the operating distance of the lever is applied.

그러나, 위와 같은 레버와 와이어 타입은 사용 후 재사용시 당연히 발생하는 탄성반발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켜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랐고, 이는 도리어 반복 사용에 따른 소모되는 힘이 더욱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However, the lever and the wire type as described above do not use the elastic repulsion force that occurs naturally when reused after use, but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is necessary to artificially return the lever to its original position, which is more consumed by repeated use. There is a growing problem.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좁은 틈새 또는 깊은 틈새에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 록 다단으로 삽탈되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몸체와,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악력을 발생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며, 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일단이 결합되어 상하로 작동하는 와이어와, 적은 힘으로도 다양한 물체를 집을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결합되어 있고, 다수개로 이루어진 투망식 집게발에 의해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망실 물품 회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into a narrow gap or a deep gap that can not be reached by the human body to be inserted into multiple stages to adjust the length, and The handle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to generate a grip force, the wire penetrates the body, and the end is coupled to operat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andle, and can pick up a variety of objects with a small force, the o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trieval device for retrieval that is coupled to a stage and can lift a heavy object by a plurality of mesh pincer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어두운 곳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의 내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lighting device inside the body for use in a dark plac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Further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show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되어 외력을 가하면 작동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일단이 삽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는 관통된 하나 이상의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단과 동일한 축선상에서 결합되어 삽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 내부에 체결되고, 그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하우징과 동일한 축선상을 이루는 아답터와, 상기 아답터의 내부를 따라 삽입되면 오므려지고, 취출되면 벌려지도록 상기 아답터와 동일한 축선상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집게부와, 상기 작동하는 핸들에 결합되어 연동되고, 상기 관통된 연결대, 하우징의 내부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집게부의 일측 에 재결합되고, 상기 핸들의 작동을 상기 집게부로 전달하여 상기 집게부가 상기 아답터의 내부에서 삽탈되도록 하는 스트래들와이어를 포함하므로써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andle that is rotated by a hinge coupling to operat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ne e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andle, the inner one or more connecting rod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and A housing coupled to and detachably connected on the same axis, an adapter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of the housing, the inside of which is penetrated to form the same axis as the housing, and is retracted when inserted along the inside of the adapter The forceps are extended radially on the same axis as the adapter so as to be opened when they are taken out. The forceps are coupled to and interlocked with the operating handles, and then re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rceps af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transferring the operation of the handle to the tongs, the tongs in the inside of the adapter This is accomplished by including a straddle wire to be inserted and removed.

여기에서 상기 핸들은, 상기 연결대의 일단과 체결되어 있고, 그 내부로 상기 연결대와 동일 축을 이루면서 와이어안내홀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안내홀로 상기 스트래들와이어가 통과되는 고정레버와, 상기 고정레버와 작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도록 상기 스트래들와이어의 단부가 결합된 후 상기 와이어안내홀로 상기 스트래들와이어를 안내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in, the handle is fasten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and a wire guide hole passes through the same axis as the connecting rod therein, a fixing lever through which the straddle wire passes through the wire guide hole, and the fixing And an actuating lever for guiding the straddle wire to the wire guide hole after the end of the straddle wire is coupled to the lever to be operably hinged.

또한, 상기 작동, 고정레버 사이에는 탄성체가 개재되어 상기 작동레버를 일 방향으로 밀고 있다.In addition, an elastic body is interposed between the operation lever and the fixed lever to push the operation lever in one direction.

한편, 상기 하우징은 그 내부로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이격시키고, 이격된 전방 내부로는 상기 아답터가 체결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tion is formed in the interior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spaced front interior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to which the adapter is fastened.

또한, 상기 집게부는 상기 아답터의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되고, 삽입된 방향으로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된 스트래들와이어가 결합되는 환형부과, 상기 환형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방사형으로 분리 연장된 다수개의 집게발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ongs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adapter is operated, the hook ring is formed in the inserted direction is formed an annular portion coupled to the extended straddle wire,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annular portion Dog's claws protrude outwards.

또한, 상기 집게발은 상기 환형부의 외부를 향해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고, 다시 내측을 향해서 재 연장된 다음 단부를 이루는 곳에서 상기 환형부과 수평을 이루는 집게팁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ngs are inclined to extend toward the outside of the annula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ng tip is in parallel with the annular portion protrudes from the end portion is extended again to the inner side.

다시,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는 탄성체의 일측이 압축되어 있으며, 타 측은 상기 환형부을 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gain, one side of the elastic body is compressed into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side pushes the annular por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on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functionally identical or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망실 물품 회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망실 물품 회수기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망실 물품 회수기의 단면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t loss article recove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net loss articl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net loss article recove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망실 물품 회수기는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되어 외력을 가하면 작동하는 핸들(10)과, 상기 핸들(10)에 일단이 삽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는 관통된 하나 이상의 연결대(20)와, 상기 연결대(20)의 타단과 동일한 축선상에서 결합되어 삽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의 전방 내부에 체결되고, 그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하우징(30)과 동일한 축선상을 이루는 아답터(40)와, 상기 아답터(40)의 내부를 따라 삽입되면 오므려지고, 취출되면 벌려지도록 상기 아답터(40)와 동일한 축선상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집게부(50)와, 상기 작동하는 핸들(10)에 결합되어 연동되고, 상기 관통된 연결대(20), 하우징(30)의 내부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집게부(50)의 일측에 재결합되고, 상기 핸들(10)의 작동을 상기 집게부(50)로 전달하여 상기 집게부(50)가 상기 아답터(40)의 내부에서 삽탈되도록 하는 스트래들와이어(60)를 포함한다.1 to 3, the net loss articl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by a hinge coupling and the handle 10 which is operat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ne e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andle 10, the inside It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of the housing 30 and one or more connecting rod 20, the housing 30 which is coupled on the same axis a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20 and detachably connected, and the front of the housing 30, The adapter 40 extends radially on the same axis as the adapter 40 so that the adapter 40 penetrates through the inside of the adapter 40 and penetrates when inserted through the inside of the adapter 40. It is coupled to the forceps portion 50 and the operating handle 10, and interlocked with each other,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penetrating connecting rod 20, the housing 30 in order to one side of the forceps 50 Are recombined, and the handle 10 The passes with forceps unit 50 includes a straddle the wire 60 for the index section 50 is such that saptal in the interior of the adapter 40.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래들와이어(60)는 통상적인 자전거의 브레이크 또는 기어변속시 적용될 수 있도록 힌지핀(62)과, 여기에 결합된 후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64)로 이루어진 스트래들와이어(60)이다. 특히, 와이어(64)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겠지만 일정한 장력으로 항시 긴장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straddle wire 60 is connected to the hinge pin 62 so as to be applied at the time of brake or gear shift of a conventional bicycle, and the wire 6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being coupled thereto. Straddle wire 60 made of. In particular, the wire 6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but is always tense under constant tens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은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되어 외력을 가하면 상하로 작동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handle 10 is made of a shape that can be held by one hand, and has a characteristic of operating up and down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by being rotated by the hinge coupling.

이러한 핸들(10)은 크게 고정레버(12)와 작동레버(14)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술한 상, 하작동을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벌어져 있다. 이를 위해 고정레버(12)와 작동레버(14)가 벌어진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70)가 설치되어 있다.The handle 10 is largely composed of a fixed lever 12 and the operation lever 14, and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for the above-mentioned up and down operation. To this end, an elastic body 70 such as a compression coil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fixed lever 12 and the operating lever 14.

고정레버(12)는 후술하는 연결대(20)의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도록 돌출단부(A)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단부(A)의 반대방향으로 포크블레이드(B)가 좌우로 동시에 형성되어 있다.The fixed lever 12 has a protruding end portion A formed so that one end of the connecting table 2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fastened, and the fork blade B is formed at the same tim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otruding end portion A. .

좌, 우의 포크블레이드(B)에는 힌지홀(12a)이 동일 축을 이루고 있으며, 여기로 전술한 스트래들와이어(60)의 힌지핀(62)이 삽입된다.The hinge holes 12a form the same axis in the left and right fork blades B, and the hinge pins 62 of the above-described straddle wire 60 are inserted therein.

고정레버(12)의 돌출단부(A) 내부로는 상기 연결대(20)와 동일 축을 이루는 와이어안내홀(13)이 관통되어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안내홀(13)을 통해 상기 스트래들와이어(60)의 와이어(64)가 통과된다.The wire guide hole 13 having the same axis as the connecting table 20 penetrates into the protruding end portion A of the fixing lever 12, and the straddle wire 60 is formed through the wire guide hole 13. Is passed through the wire 64.

작동레버(14)는 상기 고정레버(1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조립되어 있으며, 조립시 전술한 좌, 우 포크블레이드(B)를 안착시키는 안착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착부(14a)에는, 전술한 고정레버(12)가 조립되면 포크블레이드(B)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홀(12a)과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안착홀(14b)이 관통되어 있다.The actuating lever 14 is assembl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xing lever 12, and a seating portion 14a for seating the left and right fork blades B is provided at the time of assembly. When the fixing lever 12 is assembled, the mounting hole 14b penetrates the mounting portion 14a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axis as the hinge hole 12a formed in the fork blade B.

누구라도 알 수 있듯이, 스트래들와이어(60)의 힌지핀(62)은 전술한 힌지홀(12a)과 안착홀(14b)을 차례로 통과한 후 힌지결합 된다. 이때, 고정레버(12)와 작동레버(14)를 힌지핀(62)으로 결합시킨 후 연장된 와이어(64)는 고정레버(12)의 와이어안내홀(13)로 통과시키기 위하여 와이어안내홀(13) 및 안착홀(14b)이 서로 연통되도록 작동레버(14)에 연통홀(14c)을 형성시킨다.As anyone can see, the hinge pin 62 of the straddle wire 60 is hin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hinge hole 12a and the seating hole 14b. At this time, after the fixing lever 12 and the operating lever 14 are coupled with the hinge pin 62, the extended wire 64 passes through the wire guide hole 13 to the wire guide hole 13 of the fixing lever 12. The communication hole 14c is formed in the operation lever 14 so that the 13 and the mounting hole 14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20)는 그 일단이 핸들(10), 바람직하게는 고정레버(12)의 돌출단부(A)에 삽입, 체결되고, 계속해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타단에는 걸림단(22)이 내측 및 외측 어느 한 곳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연결대(20)는 걸림단(22)을 서로 조립하여 다단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ing table 20 has one end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protruding end A of the handle 10, preferably the fixing lever 12, and then the other e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22) is formed at either the inside or the outside.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the connection table 20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by assembling the engaging ends 22 to each other.

이러한 연결대(20)의 내부는 관통되어 있고, 전술한 와이어안내홀(13)과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하고 있어 연장된 와이어(64)가 통과된다.The inside of the connecting table 20 is penetrated and located on the same axis as the wire guide hole 13 described above, and the extended wire 64 passes therethrough.

최종적으로 구비된 연결대(20)의 타단으로는 내부가 관통된 하우징(30)이 삽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여기에서도 조립되는 하우징(30)은 연결대(20)와 동일한 축선상에서 위치하고 있어야 한다.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table 20 finally provided, a housing 30 penetrated inside is detachably assembled. Here, the housing 30 to be assembled must be located on the same axis as the connecting table 20.

하우징(30)의 선단, 즉 연결대(20)와 조립되는 방향에서 연장된 곳에서는 격벽(32)이 형성되어 내부가 이격되어 있다. 이때, 하우징(30)의 선단 내부로는 일정 한 수용공간(34)을 형성되어 있고, 당연하지만 격벽(32)에도 와이어(64)가 통과하도록 와이어안내홀(32a)이 관통되어 있다.At the distal end of the housing 30, that is,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table 20 is assembled, the partition wall 32 is form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34 is form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30, and of course, the wire guide hole 32a penetrates the partition wall 32 so that the wire 64 passes therethrough.

이러한 수용공간(34)으로는 아답터(40)가 삽입되어 있으며, 아답터(40)에도 와이어(64)와 후술하는 집게부(50)가 통과 내지 삽입되도록 관통되어 있다.The adapter 4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34, and the wire 40 and the forceps 50 to be described later pass through the adapter 40.

본 고안에 따른 집게부(50)는 좁고, 깊은 틈새에 적절히 투입될 수 있도록 아답터(40)에 삽입, 수용되어 있으며, 아답터(40)의 내부에서 상하로 작동되어 망실된 물품을 잡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tongs uni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arrow and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adapter 40 so as to be properly inserted into a deep gap, and acts to catch the lost article by operating up and down inside the adapter 40. do.

이러한 집게부(50)는 관통된 아답터(40) 내부의 형상과 동일한 환형부(52)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집게발(54)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The tongs 50 has an annular portion 52 that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penetrated adapter 40, which has a constant thickness to serve to support the tongs 54 to be described later.

환형부(52)의 상면으로는 걸림고리(52a)가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64)는 작동레버(14)의 안착홀(14b)에서 연장된 후 걸림고리(52a)에 최종적으로 결합, 고정된다A hook ring 52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nular portion 52, and the wire 64 extends from the seating hole 14b of the operation lever 14, and finally is engaged and fixed to the hook ring 52a. do

환형부(52)의 외측 테두리로는 방사형으로 분리 연장된 다수개의 집게발(54)이 외부를 향해서 간격을 이루며 경사지게 돌출, 연장되어 있다. 돌출된 집게발(54)은 아답터(40)의 내부로 삽입되면 수축되어 일정한 탄성 반발력을 내포하면서 삽입되고, 외부로 취출되면 본래의 탄성력을 회복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복원된 집게발(54)의 상태는 물건을 집을 수 있는 크기로 벌려져 있다.The outer rim of the annular portion 52 protrudes and extends obliquely at intervals toward the outside with a plurality of claws 54 radially separated. The protruding tongs 54 are inserted into the adapter 40 to be contracted to be inserted while containing a constant elastic repulsive force, and to be taken out to restore the original elastic force to the original state. At this time, the state of the restored claws 54 is opened to a size that can pick up the object.

위와 같은 역할을 위해서 돌출, 연장된 집게발(54)은 다시 환형부(52)의 내측을 향해서 재 연장되어 있고, 연장된 말단으로는 상기 환형부(52)과 수평을 이루 도록 집게팁(56)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집게팁(56)은 잡혀지는 물건을 최종적으로 잡는 역할로서 잡혀진 물건을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Protruding and extending forefinger 54 for the above role is again extend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annular portion 52, the extended end to the tip tip 56 to be parallel to the annular portion 52 It protrudes inward. This tong tip 56 serves to finally catch the object to be caught to prevent it from exiting the caught object.

한편, 집게부(50)는 스트래들와이어(60)에 의해서 아답터(40) 내부로 삽탈되므로 최종적으로 스트래들와이어(60)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핸들(10)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때, 집게부(50)는 평상시 일정한 길이만큼, 바람직하게는 환형부(52)의 두께만큼 아답터(40)에서 빠져나와 있어야 하므로 항시 집게부(50)를 외측으로 미는 탄성체(80)를 전술한 하우징(30)의 수용공간(34)에 설치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tongs 50 are inserted into the adapter 40 by the straddle wire 60, the straddle wire 60 is finally controlled by the handle 10 is hinged. At this time, since the forceps 50 should normally be pulled out of the adapter 40 by a predetermined length,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annular portion 52, the elastic body 80 that pushes the forceps 50 to the outside is always described above. It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34 of the housing 30.

특히, 탄성체(80)는 전술한 격벽(32)에 일단이 압축되어 있으며, 타단은 환형부(52)의 상면을 밀고 있다. 이는 전술한 스트래들와이어(60)에 일정한 긴장력을 발생시키므로써, 집게발(56)을 항시 일정한 길이만큼 아답터(40)에서 취출시켜 망실된 물건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one end of the elastic body 80 is compressed to the partition wall 32 described above, and the other end pushes the upper surface of the annular portion 52. This causes the above-mentioned straddle wire (60) to generate a constant tension, and serves to recover the lost article by taking the claws (56) out of the adapter 40 at any time by a certain length.

다음에는 이러한 망실 물품 회수기를 사용하여 물품을 회수하는 과정 및 이에 따른 효과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recovering the article using the net loss art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핸들을 작동하기 전 망실 물품을 추적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된 핸들을 작동시켜 망실 물품을 회수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racking the lost article before operating the hand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to recover the lost article by operating the hand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장롱이나 소파 기타 산업설비 사이의 틈새에 망실되어 있는 물품을 육안으로 확인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first visually check the article that is lost in the gap between the dresser, sofa and other industrial equipment.

확인된 물품에 본 고안에 따른 망실 물품 회수기를 접근시킨다. 이때, 물품 과 회수장치의 거리는 전술한 연결대(20)를 삽탈시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Access the identified article retrie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article and the recovery device can be adjusted by inserting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table 20.

물품에 근접된 회수장치, 바람직하게는 집게부(50)를 물품에 최대한 접근시켜 집게발(54) 내측으로 물품이 들어오도록 한다. 계속하여, 손을 움켜줘 작동레버(14)을 작동시킨다. A retrieval device, preferably tongs 50, in close proximity to the article allows maximum access to the article so that the article enters into the tongs 54. Subsequently, the hand is operated to operate the operation lever 14.

작동된 작동레버(14)은 여기에 힌지결합된 스트래들와이어(60)를 작동시키게 되고, 스트레들와이어(60)는 집게부(50)를 아답터(40)의 내측으로 밀어올린다.The actuated operating lever 14 actuates the straddle wire 60 hinged thereto, and the straddle wire 60 pushes the forceps 50 into the adapter 40.

밀어 올려진 집게부(50)는 수축되고, 이는 집게발(54)을 내측으로 조여주게 된다. 집게발(54)의 내측에 위치한 물품은 집게발(54)의 수축력에 의해서 잡혀지게 되고, 사용자는 핸들(10)을 움켜진 상태에서 회수장치를 외부로 들어올려 물품을 회수한다.The pushed up tong portion 50 is contracted, which tightens the tongs 54 inward. The article located inside the tongs 54 is caught by the contracting force of the tongs 54, and the user lifts the recovery device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handle 10 is grasped to collect the items.

그리고 위와 같은 집게부(50)의 수축작용, 이를 제어하는 핸들(10), 스트래들와이어(60)의 연속적인 작용 때문에, 비교적 크고, 무거운 물품도 손쉽게 회수할 수 있다.And because of the continuous action of the above-mentioned shrinkage of the forceps 50, the handle 10, the straddle wire 60 to control this, relatively large, heavy items can be easily recovered.

본 고안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 내의 것이다.This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various forms, without deviating from the mind or main character. For this reas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and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ation text. Again, all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ing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있어서, 그 밖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 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아답터(40)의 하면(42)에 어두운 좁은 틈새를 조사할 수 있는 조명수단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조명수단은 적은 소비전력으로 조사할 수 있는 통상의 엘이디(90)가 적용되는 것도, 본 고안으로부터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참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예는, 모두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 lighting means for irradiating a dark narrow gap may be added to the lower surface 42 of the adapter 40 as needed. At this time, the lighting means to be used does not deviate from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onventional LED 90 that can be irradiated with low power consumption is applied. Therefore, modifications exist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망실 물품 회수기에 의하면, 핸들 및 여기에 연결된 스트레들와이어, 이들의 제어를 받는 다수개의 집게발에 의해서 간편히 작동되고, 비교적 크거나 무거운 물품의 쉽게 잡을 수 있어 소제 내지 물품회수의 작업신뢰성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net loss article recover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and the strainer wire connected thereto, are easily operated by a plurality of claws under their control, and can easily hold a relatively large or heavy artic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 reliability of the cleaning to the recovery of goods is significantly improved.

Claims (8)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되어 외력을 가하면 작동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일단이 삽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는 관통된 하나 이상의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단과 동일한 축선상에서 결합되어 삽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 내부에 체결되고, 그 내부는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과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하는 아답터와, 상기 아답터의 내부를 따라 삽입되면 오므려지고, 취출되면 벌려지도록 상기 아답터와 동일한 축선상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집게부와, 상기 작동하는 핸들에 결합되어 연동되고, 상기 관통된 연결대, 하우징의 내부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집게부의 일측에 재결합되고, 상기 핸들의 작동을 상기 집게부로 전달하여 상기 집게부가 상기 아답터의 내부에서 삽탈되도록 하는 스트래들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실 물품 회수기.The handle is rotated by a hinge coupling and is operated by external force, one e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andle, and the inside is connected to and detachably connected at one or more connecting rods and on the same axis a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An adapter which is fastened to the housing, inside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penetrated therein, and which is positioned on the same axis as the housing, is retracted when inserted along the inside of the adapter, and opened when taken out; A forceps portion extending radially on the same axis, and coupled to and interlocked with the operating handle, passing through the penetrating connecting rod and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n turn, and then recombined to one side of the forceps, and the operation of the handle Straddle wye to be delivered to the part so that the forceps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adapter LOST articl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핸들은, 상기 연결대의 일단과 체결되어 있고, 그 내부로 상기 연결대와 동일 축을 이루면서 와이어안내홀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안내홀로 상기 스트래들와이어가 통과되는 고정레버와, 상기 고정레버와 작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도록 상기 스트래들와이어의 단부가 결합된 후 상기 와이어안내홀로 상기 스트래들와이어를 안내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실 물품 회수기.The handle is fasten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and a wire guide hole penetrates through the wire guide hole while forming the same axis as the connecting rod, and a fixing lever through which the straddle wire passes through the wire guide hole, and the fixing lever. And an actuating lever for guiding the straddle wire to the wire guide hole after the end of the straddle wire is coupled to be operably hinged.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작동, 고정레버 사이에는 탄성체가 개재되어 상기 작동레버를 일 방향으로 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실 물품 회수기.An elastic material collector is disposed between the actuating and fixing levers and the actuating lever is characterized in that pushing the actuating lever in one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은 그 내부로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이격시키고, 이격된 전방 내부로는 상기 아답터가 체결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실 물품 회수기.The housing has a partition wall formed therein spaced apart from the interior of the housing, spaced apart front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to which the adapter is fasten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집게부는 상기 아답터의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되고, 삽입된 방향으로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된 스트래들와이어가 결합되는 환형부과, 상기 환형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방사형으로 분리, 연장된 다수개의 집게발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실 물품 회수기.The tongs are inserted into the adapter and operated, and a hook is formed in the inserted direction to form an annular portion to which the extended straddle wire is coupled, and a plurality of radially separated and extend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annular portion. A lost goods recovery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ws protrude outwards.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집게발은 상기 환형부의 외부를 향해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고, 다시 내측을 향해서 재 연장된 다음, 단부를 이루는 곳에서 상기 환형부과 수평을 이루는 집게팁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실 물품 회수기.And the claws extend obliquely toward the outside of the annular portion, and again extend toward the inner side, and then a tong tip parallel to the annular portion protrudes from the end portion.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는 탄성체의 일측이 압축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환형부을 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실 물품 회수기.One side of the elastic body is compressed into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the other side is a net article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ushing the annular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아답타의 하면에 전방으로는 엘이디가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실 물품 회수기.Missing article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LEDs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dapter.
KR2020050034645U 2005-12-08 2005-12-08 Reclaimer of loss article KR20040904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645U KR200409049Y1 (en) 2005-12-08 2005-12-08 Reclaimer of loss art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645U KR200409049Y1 (en) 2005-12-08 2005-12-08 Reclaimer of loss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049Y1 true KR200409049Y1 (en) 2006-02-20

Family

ID=4175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645U KR200409049Y1 (en) 2005-12-08 2005-12-08 Reclaimer of loss art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04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485B1 (en) * 2018-04-16 2019-02-18 이강혁 Apparatus For Dressing For Billiard Roo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485B1 (en) * 2018-04-16 2019-02-18 이강혁 Apparatus For Dressing For Billiard Ro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9049Y1 (en) Reclaimer of loss article
US2607098A (en) Slip
US20040217612A1 (en) Gripping claw for tubular goods
US458614A (en) Gripping device
US2578072A (en) Tongs for handling building blocks
CN205849409U (en) Sponge roller mop
US1831477A (en) Lamp replacer
KR101373632B1 (en) Fishing Scoop Net
CN211129050U (en) Novel insulating chuck
US20010050487A1 (en) Handle and grapple with sliding closure for lifting and carrying elongated objects
DE102008002835A1 (en) hooks catcher
US832143A (en) Policeman's nippers.
WO2005015980A1 (en) Tree pusher
US3161432A (en) Ground anchor upsetting and retrieving device
US9795237B2 (en) Reacher assembly
CN201053113Y (en) Needle picking type pick-up device
US2957722A (en) Weeding tool
EP1041203A1 (en) Hydraulic spike puller with frictionally delayed moving jaws
DE202011100801U1 (en) Walking stick with gripping device
JP4067011B2 (en) Article picking device
US2149880A (en) Soil opener for planting bulbs and the like
KR101842662B1 (en) Device for connecting and releasing fishing tool
US6776648B1 (en) Electrical plug installer and remover
KR20050010598A (en) Hose-fixing pin hit inserting device
CN203280939U (en) Deep well life sa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