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290Y1 -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290Y1
KR200408290Y1 KR2020050030708U KR20050030708U KR200408290Y1 KR 200408290 Y1 KR200408290 Y1 KR 200408290Y1 KR 2020050030708 U KR2020050030708 U KR 2020050030708U KR 20050030708 U KR20050030708 U KR 20050030708U KR 200408290 Y1 KR200408290 Y1 KR 200408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ounting plate
fixed
chandeli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경
Original Assignee
김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경 filed Critical 김대경
Priority to KR2020050030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2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multi-branched, e.g. a chandel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로 전선이 안내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소정 길이의 본체부를 갖고, 본체부의 하단이나 중간부위에 끼워져 결합되며, 면상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장착플레이트와, 장착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파이프 형태의 다수의 암과, 본체부와 암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각 전선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서로 끼워져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암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암과 상기 장착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암을 내측에 삽입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기 관통공에 고정시키는 핀으로 구성되므로, 암을 보다 간편하게 장착플레이트에 대하여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며, 내측에 암수커넥터에 의해 결합되어 연결된 전선을 수납하고, 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부 및 암고정부재가 필요 없으므로 빠르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BONDING STRUCTURE FOR CHANDELIER ARM}
도 1은 종래 샹들리에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 샹들리에용 암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분리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샹들리에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샹들리에용 암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샹들리에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일실시에에 따른 샹들리에용 암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샹들리에 110 : 본체
120 : 장착플레이트 122 : 관통공
130 : 암 140, 150 : 핀
142, 152 : 내측구멍 144, 154 : 머리부
146, 156 : 삽입관
본 고안은 샹들리에용 암(Arm)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샹들리에를 구성하는 다수의 암이 나사와 암나사를 대체하여 손쉽게 암고정핀을 이용하여 암을 고정시켜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본체부와 각 암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전선의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조립 및 분해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샹들리에용 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샹들리에는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조명등으로서의 기능은 물론, 외관이 매우 화려하기 때문에 실내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어 주거용 건물이나 사무용 건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샹들리에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샹들리에용 암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이고, 또한,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샹들리에(10)는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로 전선(12)이 안내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5cm 내지 15cm 길이의 본체부(14)와, 상기 본체부(14)의 하단이나 중간부위에 끼워져 결합되며, 면상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관통공(1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장착플레이트(18)와, 상기 장착플레이트(18)의 상방으로부터 각 관통공(16)을 통하여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장착플레이트(18)의 저면에서 너트(20)에 의하여 고정되는 다수의 관형상의 암(2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샹들리에(10)에서 상기 각각의 암(22)은 별도의 전선(12')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형상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암(22)의 상단에는 전구(24)가 끼워지는 소켓부(26)가 형성된다.
또한, 암(22)의 하단에는 장착플레이트(18)상의 각 관통공(16)에 끼워지며, 바깥 둘레면에 나사가 형성된 볼트부(28)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암(22)의 내부에는 본체부(14)쪽으로 인입되는 전선(12)과는 별도로 상기 암(22)의 상단에 형성된 소켓부(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12')이 끼워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2는 커버이다.
이와 같은 종래 샹들리에(10)에서 암(22)을 장착플레이트(18)상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장착플레이트(18)의 상방으로부터 관통공(16)을 통하여 암의 (22)하단에 형성된 볼트부(28)를 끼운 상태에서 장착플레이트(18)의 저면에서 너트(20)를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암(22)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전선(12')과 본체부(14)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전선(12)을 서로 결선시킨 상태에서 절연튜브(30)를 끼우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샹들리에용 암의 결합구조에서는 장착플레이트(18) 상의 각 관통공(16)을 통하여 암(22)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볼트부(28)를 맞추어 끼운 상태에서 한 손으로 암(22)을 잡고, 다른 손으로 볼트부(28)에 너트(20) 를 맞추어 끼워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 작업성이 매우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암(22)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전선(12')과 본체부(14)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전선(12)을 일일이 결선시키고 절연튜브(30)를 끼워야 하기 때문에 전선결선 작업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운반 및 보관을 위하여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결선된 전선(12)(12')을 일일이 풀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고안과 동일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64828호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 그 구성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64828호는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로 전선이 안내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5cm 내지 15cm 길이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이나 중간부위에 끼워져 결합되며, 면상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으 로 형성된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방으로부터 각 관통 공을 통하여 끼워져 결합되며, 상단부에는 전구가 접속되는 소켓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5cm 내지 15cm 길이이며 볼트부가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다수의 암과; 상기 각 관통공의 동일 중심선상에 해당되는 장착플레이트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암고정부재와; 상기 본체부와 암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각 전선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서로 끼워져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암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64828호는 종래기술에 비하여서는 조립 및 운반 등이 간편하게 구성되었지만, 암(60)의 하단부에 볼트부(66)를 구성하여 고정시켜야 하며, 암(60)을 고정시키는 암고정부재(68)를 장착플레이트(56)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역시 암나사 및 수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야 하므로 그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샹들리에를 구성하는 다수의 암이 각각 장착플레이트에 대하여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고, 본체부와 각 암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전선의 연결이 간편하게 구성하여 조립 및 분해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조립과정을 간편화시킬 수 있어 샹들리에의 조립 및 해체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샹들리에용 암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로 전선이 안내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5cm 내지 15cm 길이의 본체부를 갖고, 본체부의 하단이나 중간부위에 끼워져 결합되며, 면상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장착플레이트와, 장착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파이프 형태의 다수의 암과, 본체부와 암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각 전선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서로 끼워져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암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암과 상기 장착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암을 내측에 삽입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기 관통공에 고정시키는 핀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샹들리에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샹들리에용 암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보면, 먼저, 샹들리에(100)용 결합구조는 본체(110)의 하부를 연결하는 장착플레이트(120)가 구성된다. 이때, 본체(110)의 내부는 전선 등의 연결을 위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이다. 본체(110)의 상부는 벽면 또는 천장 등에 피스 또는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장착플레이트(120)의 측면에는 다수의 암(130)을 연결하기 위한 암(130)과 동수의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22)은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구성한다. 암(130)은 내측이 비어 있는 파이프로 그 내측에 배선이 연결된다. 암(130)과 장착플레이트(12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파이프 형태의 암(130)을 내측에 삽입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시 원형 또는 사각형의 장착플레이트(120)의 관통공(122)에 고정시키는 핀(140)을 구성한다.
장착플레이트(120)의 내측으로는 동일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6482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암커넥터와 숫커넥터(70)를 이용하여 배선을 연결한다.
핀(140)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130)에 고정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7에 구성된 바와 같이 핀(140)과 암(130)을 따로 조립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난 핀(140)의 내측구멍(142)은 암(130)을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내측구멍(142)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구성된 머리부(144)는 관통공(122)으로 빠지지 않고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머리부(144)의 하부에 있는 사각형의 삽입관(146)이 관통공(122)에 삽입됨으로써, 내측구멍(142)에 수용된 암(130)이 장착플레이트(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나타난 삽입관(146)의 외측의 형상은 사각형이며, 관통공(122)의 형상도 사각형이다. 이와같이 삽입관(146)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구성하면, 그 마찰력이 우수하고 및 회전하지 않게 되어 고정성이 뛰어나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난 핀(150)의 내측구멍(152)은 암(130)을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내측구멍(152)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구성된 머리부(154)는 원형의 관통공(도시되지 않음)으로 빠지지 않고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머리부(154)의 하부의 원형의 삽입관(156)은 관통공(122)에 삽입되어 내측구멍(152)에 수용된 암이 장착플레이트(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나타난 삽입관(156)의 내측의 형상은 원형이며, 관통공(122)의 형상도 원형이다.
조립상태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암(130)의 내측에서 연장된 커넥터(70)와 본체(110)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장착플레이트(120)의 내측에 있는 커넥터(70)를 연결하여 장착플레이트(120) 내측에 수납한다. 즉, 전원으로부터 피복을 벗겨내지 않고 배선을 쉽게 할 수 있다.
이제는, 핀(150)과 암(130)을 연결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핀(150)과 암(130)을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고정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의 편리성을 봐서는 핀(150)와 암(130)을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된 핀(150)과 암(130)을 장착플레이트(120)에 삽입시켜 고정시킨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해체과정은 조립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거친다.
본 고안은 핀의 작용에 의하여 암을 보다 간편하게 장착플레이트에 대하여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며, 내측에 암수커넥터에 의해 결합되어 연결된 전선을 수납하고, 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부 및 암고정부재가 필요 없으므로 빠르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로 전선이 안내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5cm 내지 15cm 길이의 본체부를 갖고, 상기 본체부의 하단이나 중간부위에 끼워져 결합되며, 면상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파이프 형태의 다수의 암과, 상기 본체부와 암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각 전선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서로 끼워져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암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암과 상기 장착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암을 내측에 삽입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기 관통공에 고정시키는 핀(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140)이 상기 암에 고정식으로 구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조립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140)의 내측에 상기 암이 삽입되어 조립된 후에 상기 관통공에 조립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샹들리 에 암의 결합구조.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140)은,
    상기 암을 수용하는 내측구멍과;
    상기 내측구멍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으로 빠지지 않고 정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됨으로써, 내측구멍에 수용된 암이 장착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삽입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외측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
KR2020050030708U 2005-10-28 2005-10-28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 KR200408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708U KR200408290Y1 (ko) 2005-10-28 2005-10-28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708U KR200408290Y1 (ko) 2005-10-28 2005-10-28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290Y1 true KR200408290Y1 (ko) 2006-02-08

Family

ID=41758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708U KR200408290Y1 (ko) 2005-10-28 2005-10-28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2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5747A2 (en) * 2008-02-22 2009-08-27 Gauger Derek K Lighting apparatus with candles and electric lamp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5747A2 (en) * 2008-02-22 2009-08-27 Gauger Derek K Lighting apparatus with candles and electric lamps
WO2009105747A3 (en) * 2008-02-22 2009-11-19 Gauger Derek K Lighting apparatus with candles and electric lamp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2139B2 (en) Structure of an assembled type christmas tree
US20150159850A1 (en) Reconfigurable modular lighting system
US2988633A (en) Fluorescent ceiling light fixture assembly
KR200408290Y1 (ko) 샹들리에 암의 결합구조
JP2007059284A (ja) 照明スタンド
KR101021007B1 (ko) 장식용 엘이디 라이트 파이프
KR200364828Y1 (ko) 샹들리에용 암의 결합구조
USD515221S1 (en) Building structure
CN210806187U (zh) 一种家用插座接线器
WO2020235068A1 (ja)
KR200448263Y1 (ko) 프레임 연결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프레임
KR20080002246U (ko) 나무장식 조명기구
JPS6330081Y2 (ko)
EP2833057B1 (en) Lighting arrangement
CN220892023U (zh) 一种分体扣压式防水灯头及其灯具、灯串
KR200490556Y1 (ko) 등기구 커버의 결합구조
CN2491695Y (zh) 塑料装饰灯
KR200420592Y1 (ko) 조명구
KR20070009513A (ko) 장식용 등
TWI601447B (zh) Smart lamps and their packages
KR930002035Y1 (ko) 다수의 등기구 배선용 접속기
KR200389278Y1 (ko) 직관형광등기구들의 등간 연결구
KR200447506Y1 (ko) 백열 전구형 천장등
KR200380066Y1 (ko) 장식물 걸이용 슬라이드 결합관을 갖는 천장용 조명등
KR200330163Y1 (ko) 형광등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