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673Y1 - Foot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 Google Patents

Foot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673Y1
KR200407673Y1 KR2020050032820U KR20050032820U KR200407673Y1 KR 200407673 Y1 KR200407673 Y1 KR 200407673Y1 KR 2020050032820 U KR2020050032820 U KR 2020050032820U KR 20050032820 U KR20050032820 U KR 20050032820U KR 200407673 Y1 KR200407673 Y1 KR 200407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toe
outer shell
fighting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82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동석
Original Assignee
송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동석 filed Critical 송동석
Priority to KR2020050032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67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67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63B69/004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63B2071/127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for the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63B2071/1283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fo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태권도 등과 같은 격투 연습/경기를 할 때 발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격투용 발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개구부(10)를 가지며, 발바닥 부위(A)에는 앞축구멍(20)과 뒷축구멍(30)이 형성되고, 발가락 부위(B)에는 발가락 구멍(45)이 마련된 발가락 착용부(40)가 형성되며, 발목 부위(C)의 말단에는 고정수단(150)이 결합된 외피(100)와; 이 외피(100)의 발등 부위(D)에 결합된 발등 보호커버(200);를 포함하는 격투용 발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외피(100)의 인사이드 부위(F)에 인사이드 보호커버(600)가 결합된 격투용 발 보호대를 제공한다. 상기 인사이드 보호커버(600)는 전방 보호부(610), 중앙 보호부(620), 및 후방 보호부(630)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되, 상기 후방 보호부(630)는 복사뼈 부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발의 인사이드 부위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ghting foot protector that is worn to protect the foot during a fighting practice / game such as taekwond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ing 10, the toe portion (A) is formed in the front axle hole 20 and the rear axle hole (30), the toe portion (B) toe wearing portion 40 provided with a toe hole (45) Is formed, the end of the ankle portion (C) and the outer shell 100 is coupled to the fixing means 150; In the foot guard for fighting comprising a; foot protection cover 200 coupled to the foot portion (D) of the outer shell 100, the inner protective cover 600 in the inner portion (F) of the outer shell (100) Provides a combined grappling foot guard. The inner protective cover 600 has a structure separated into a front protective portion 610, a central protective portion 620, and a rear protective portion 630, the rear protective portion 630 is located in the astragalus region It is preferabl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injury of the inside of the foot.

격투기, 발, 보호대, 탄력성, 외피, 인사이드, 보호커버 Martial Arts, Feet, Guard, Elasticity, Jacket, Inside, Protective Cover

Description

격투용 발 보호대 {FOOT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Fighting Footguards {FOOT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격투용 발 보호대의 사시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foot protection for fighting in accordance with the prior art.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격투용 발 보호대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ghting foot prot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상기 도 3의 I-I선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격투용 발 보호대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ghting foot prot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개구부 20 : 앞축구멍10: opening 20: front shaft hole

30 : 뒷축구멍 40 : 발가락 착용부30: rear shaft hole 40: toe wearing portion

42 : 발가락 착용부의 측면 45 : 발가락 구멍42: side of the toe wearing part 45: toe hole

60 : 절개부 100 : 외피60: incision 100: sheath

150 : 고정수단 152 : 탄성밴드150: fixing means 152: elastic band

154 : 체결수단 200 : 발등 보호커버154: fastening means 200: foot protection cover

300 : 완충재 400 : 발목 보호커버300: cushioning material 400: ankle protection cover

420 : 결합부 430 : 절첩선420: coupling portion 430: fold line

440 : 플랩부 600 : 인사이드 보호커버440: flap 600: inside protective cover

610 : 전방 보호부 620 : 중앙 보호부610: front protection 620: central protection

630 : 후방 보호부 A : 발바닥 부위630: rear protector A: the sole area

B : 발가락 부위 C : 발목 부위B: toe area C: ankle area

D : 발등 부위 E : 접힘 부위D: Instep area E: Folded area

F : 인사이드 부위 F: Inside site

본 고안은 태권도 등과 같은 격투기 연습/경기를 할 때 발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발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피의 인사이드 부위에 보호커버를 결합시킴으로써, 발의 인사이드 부위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격투용 발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 protector worn to protect the foot during martial arts practice / competitions, such as taekwondo.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ghting foot protector capable of preventing an injury of an inside part of a foot by bonding a protective cover to an inside part of an outer skin.

일반적으로 킥복싱, 공수도, 쿵푸, 유도, 합기도 그리고 태권도 등과 같은 격투기는 크게 손기술과 발기술로 나눌 수 있다. 특히 발차기 기술은 상대방을 공격하기에 유리하고 위협적인 공격을 가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기술이 많이 발전되어 왔고 그 연습량 또한 많이 요구되고 있다. In general, martial arts such as kick boxing, karate, kung fu, judo, aikido and taekwondo can be divided into hand and foot techniques. In particular, the kicking technique is advantageous to attack the opponent and threatening attack can be a lot of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the amount of practice is also required a lot.

위와 같은 태권도를 포함한 격투기는, 몸에는 도복이나 보호 장비를 착용하나, 발에는 아무것도 착용하지 않고 맨발로 연습 및 경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Martial arts including taekwondo as described above, wearing a uniform or protective gear on the body, it is common to practice and play barefoot without wearing anything on the feet.

양말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너무 미끄럽고, 신발(운동화)를 착용하는 경우에 는 상대방에게 정확한 발차기 기술에 의한 충격이기보다는 신발의 둔탁한 고무창이나 외부구조에 의한 공격이어서, 이에 의한 상해의 피해가 우려된다. 무엇보다 양말이나 신발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태권도나 격투기가 근본적으로 추구하는 정확한 자세나 필요한 모양의 동작이 나오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바람직한 자세를 습득하기 위해 맨발로 하는 것을 기본으로 여기면서 원칙으로 해왔다. 그러나 맨발로 하는 경우 많은 부상이 발생시킨다. If you wear socks, it is too slippery, and if you wear shoes (sneakers), it is an attack by the dull rubber sole or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shoe, rather than the shock by the exact kicking technique. . Most of all, if you wear socks or shoes, you will not get the exact posture or shape you need to pursue. For this reason, in order to acquire a desirable posture, it has been a principle that bare feet are the basis. But barefoot causes a lot of injuries.

예를 들어, 태권도에서 발차기 기술은 앞차기 기술, 옆차기 기술 및 뒷차기 기술로 대별될 수 있다. 특히, 앞차기 기술 중에서도 발등으로 상대방의 측면을 가격하는 앞돌려차기 기술은 경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공격 기술이다. 이때, 상대방은 팔을 뻗어 '막기' 자세로 앞돌려차기 공격을 방어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앞돌려차기로 공격한 선수의 발등이 상대방의 팔꿈치 등에 부딪혀 심하게 붓거나 타박상을 입는 등의 부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부상은 선수의 연습량이 많은 큰 대회를 앞두고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정작 실제 대회에서는 기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거나 아예 출전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For example, in taekwondo, kicking techniques may be roughly classified into front kicking techniques, side kicking techniques, and rear kicking techniques. In particular, the forward kick technique that strikes the opponent's side with the instep among the front kick technique is the most used attack technique. At this time, the opponent will extend the arm to prevent the kick attack in the 'blocking' posture, in the process of injuring the instep of the player attacked with the forward kick hit the elbow of the opponent, such as severe swelling or bruises It often happens. Most of these injuries occur in front of large competitions where a lot of athletes are trained. Therefore, in actual competitions, they do not fully exercise their skills or give up their participation.

그런데, 선수의 팔과 다리를 보호해주는 보호대는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발을 보호해주는 보호대는 개발되지 못하고 단순히 일반적인 신발보다 좀더 가볍게 제작된 태권도화로 대신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9704호에서는 태권도화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발등 보호대가 제시되어 있다. By the way, the protector to protect the arms and legs of the athletes are being developed a lot, but the protector to protect the foot is not developed and is simply replacing the Taekwondo shoes made lighter than ordinary shoes. In additio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99704 proposes an instep protector that is used to attach to Taekwondo shoes.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태권도화 및 이 태권도화에 부착되어 사용되 는 발등 보호대는 착용자 자신의 발은 보호할 수 있으나, 무게 및 둔탁한 외관 등으로 인하여 상대방에게 부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 태권도화 내에서 발의 움직임, 특히 발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여 고도의 순발력을 요구하는 격투기 연습에 있어서는 움직임이 용이하지 못하고 바람직한 자세와 발 모양을 갖춘 동작을 습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taekwondo sho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foot protector used to be attached to the taekwondo shoe can protect the wearer's own foot, but there is a problem of injuring the other party due to weight and dull appearance. Above all, in the martial arts practice that requires high agility because the movement of the foot, in particular the movement of the toe, is not free within the taekwondo shoe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movement with the desired posture and foot shape.

이에, 본 고안자는 발을 보호하여 연습도중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가능한 한 맨발 상태에서와 같이 발가락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고, 지면과 미끄러짐이 없도록 하여 고도의 순발력을 갖게 할 수 있는 발 보호대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72285호에 제시하였다. 이 발 보호대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provide a foot protector that can protect the foot and prevent injuries during practice, while freeing the movement of the toes as in bare feet as possible, and having a high wits without slipping with the ground.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72285. This foot guard is shown in FIGS. 1 and 2.

상기 특허출원 제10-2004-0072285호에 제시된 발 보호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0)를 가지는 탄력성의 외피(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피(100)가 발바닥 부위(A)에는 지면과 맞닿는 발바닥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앞축구멍(20)과 뒷축구멍(20)이 형성되고, 발가락 부위(B)에는 발가락을 감싸 안으면서 발가락의 끝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발가락 구멍(45)이 마련된 발가락 착용부(40)를 가지며, 발목 부위(C)에는 발목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1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 보호를 위한 발등 보호커버(200)가 외피(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Foot protector present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72285 is made of an elastic outer shell 100 having an opening 10, as shown in Figure 1, wherein the outer shell 100 is the sole portion (A) The front axle hole 20 and the rear axle hole 20 are formed so that the sol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toe hole B is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toe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toe part B is wrapped around the toe. ) Is provided with a toe wearing portion 40, the ankle portion (C) is formed with a fixing means 150 to be fixed to the ankle. And the foot protection cover 200 for the foot protection as shown in Figure 2 has a configuration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ell (100).

상기 도 1 및 도 2에 보인 발 보호대는 외피(100)의 수축력(탄성력)에 의해 최대한 발에 밀착되고, 가벼움에 따라 맨발과 같은 착용감이 있으며, 지면과 맞닿 는 발바닥 부위는 앞축구멍(20), 뒷축구멍(30) 및 발가락 구멍(45)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이 노출된 발바닥 부위에 의해 미끄럼이 방지되고, 특히 발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로워 고도의 순발력을 갖게 한다. 그리고 외피(100)의 상부, 즉 발등 부위에 결합된 발등 보호커버(200)에 의해 선수의 발등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and 2 is the foot protector as close to the foot as possible by the contraction force (elastic force) of the outer shell 100, there is a feeling of wearing such as bare feet according to the lightness, the sol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the front axle hole 20 As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ar axle hole 30 and the toe hole 45, the exposed sole part is prevented from slipping, and in particular, the movement of the toe is free, thereby providing a high quickness.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tect the foot of the athlete by the foot protection cover 20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that is, the foot portion of the outer shell (100).

그러나 상기 발 보호대는 발의 부상을 완벽하게 방지하기에는 약간 미흡하였다. 구체적으로, 보호커버(200)가 외피(100)의 상부, 즉 발등 부위에만 결합되어 있어 발의 인사이드(inside) 부위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남아 있었다. However, the foot guards were slightly insufficient to completely prevent foot injury. Specifically, the protective cover 200 is coupled to only the upper portion, that is, the instep of the outer shell 100,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effectively protect the inside (inside) of the foot.

일반적으로, 선수들은 상대방을 발로 공격함에 있어서 발의 인사이드 부위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상대방의 팔꿈치나 주먹에 부딪혀 더 이상 경기에 임할 수 없을 정도의 아픔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복사뼈 부위에 타박상을 입을 경우 큰 아픔을 호소한다. 따라서 발등 부위는 물론 인사이드 부위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발 보호대가 요구된다. In general, athletes often use the inside of their feet to attack their opponent. At this time, you may complain about the pain of hitting the elbow or fist of the opponent so that you can no longer play. In particular, if you have a bruise on the astragalus, it can be a major pai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oot protector that can effectively protect the inside area as well as the instep.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외피를 가지는 발 보호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인사이드 부위에 이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커버를 결합시킴으로써, 인사이드 부위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격투용 발 보호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constructing a foot protector having an outer shell, by combining a protective cover that can protect the inner portion of the outer shell, i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injury of the inner por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ighting foot protec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개구부를 가지며, 발바닥 부위에는 앞축구멍과 뒷축구멍이 형성되고, 발가락 부위에는 발가락 구멍이 마련된 발가락 착용부가 형성되며, 발목 부위의 말단에는 고정수단이 결합된 외피와; 이 외피의 발등 부위에 결합된 발등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격투용 발 보호대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ing, and the sole part has a front axle hole and a rear axle hole, a toe part is provided with a toe worn part provided with a toe part, and an outer part of the ankle part with a fixing means coupled to the outer part; ; In the foot guard for fighting comprising a; foot protection cover coupled to the instep of the outer shell,

상기 외피의 인사이드 부위에 인사이드 보호커버가 결합된 격투용 발 보호대를 제공한다. Provides a fighting foot protector coupled to the inside protective cover to the inside portion of the shell.

또한, 큰 충격에도 인사이드 부위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인사이드 보호커버의 내부에는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재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hock absorbing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inside protective cover so as to sufficiently protect the inside part even in a large impact.

아울러, 상기 인사이드 보호커버는 전방 보호부, 중앙 보호부, 및 후방 보호부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후방 보호부는 발의 복사뼈 부위에 위치된다. In addition, the inside protective cover may have a structure separated into a front protective part, a central protective part, and a rear protective part. At this time, the rear protector is located at the astragalus portion of the fo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본 고안은 본 고안자가 제시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72285호를 개량한 것으로서, 특히 인사이드 부위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72285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in particular to be a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jury of the inside area.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 보호대의 착용 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I-I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 보호대 의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ing state of the foot prot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t prot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발 보호대는 외피(100)와; 이 외피(100)의 발등 부위(D)에 결합된 발등 보호커버(200)와; 상기 외피(100)의 인사이드 부위에 결합된 인사이드 보호커버(6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부위(C)에 결합된 발목 보호커버(400)를 더 포함한다. 3 to 5, the foo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shell 100; Foot protection cover 200 coupled to the instep portion (D) of the outer shell (100); It includes; inside protective cover 600 coupled to the inside portion of the shell (100). Preferably it further comprises an ankle protection cover 400 coupled to the ankle portion (C) as shown.

외피(100)는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10)를 가지며, 발목 부위(C)의 말단에는 고정수단(150)이 결합되어 있다. 외피(100)는 발에 최대한 밀착될 수 있도록 탄력성을 가지는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외피(100)는 발에 착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하되 발의 크기보다는 약간 작게 구성된다. 외피(100)는 탄력성을 가지는 것이면 본 고안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탄력성의 직물 또는 부직물이 될 수 있으며, 스판덱스(Spandex) 등과 같이 탄력성을 가지는 섬유를 사용하여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직조하여서 된 직물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가공한 부직물에 탄력성을 부여한 것이거나, 통상의 발가락 양말을 사용할 수 있다. 외피(100)는 탄력성의 직물 또는 부직물이 한 겹 또는 2겹 이상으로 된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땀을 잘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력이 높은 재질일수록 좋다. Outer shell 100 has an opening 10 so that the foot can be inserted, the fixing means 15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ankle portion (C). Outer shell 100 is used to have elasticity to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foot. The outer shell 100 has a shape that can be worn on the foot, but is configured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oot. The outer shell 100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has elasticity. For example, it may be an elastic fabric or a nonwoven fabric, and a fabric made by weaving to have a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using a fiber having elasticity such as spandex may be usefully used. In addition, elasticity is imparted to the nonwoven fabric processed to have a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or a normal toe sock can be used. Sheath 100 includes one or two or more layers of elastic fabric or nonwoven fabric. In addition, the higher the absorbent material to absorb sweat is better.

상기 외피(100)는 발에 대응하는 발바닥 부위(A), 발가락 부위(B), 발목 부위(C) 및 발등 부위(D)로 구분되어질 수 있는 데, 이때 발바닥 부위(A)에는 앞축구멍(20)과 뒷축구멍(30)이 형성된다. 그리고 발가락 부위(B)에는 발가락 마디 부분이 삽입되는 발가락 착용부(40)가 형성되는 데, 그 말단 부분은 발가락 끝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발가락 구멍(45)이 마련된다. 이때, 발가락 착용부(40)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섯 개의 발가락이 각기 삽입되도록 다섯 개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앞축구멍(20), 뒷축구멍(30) 및 발가락 구멍(45)의 가장자리는 찢어지거나 풀리지 않도록 오버로크(overlock) 등의 방법으로 마감 처리된다. The outer shell 100 may be divided into a sole portion (A), a toe portion (B), ankle portion (C) and instep portion (D) corresponding to the foot, wherein the sole portion (A) in the front axle hole ( 20 and rear shaft hole 30 are formed. And the toe portion (B) is formed with a toe wearing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toe section, the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toe hole 45 so that the to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wo or more toes wearing portion 40 may be formed, preferably five are formed so that five toes are respectively inserted as shown in the figure. In addition, the edges of the front axle hole 20, the rear axle hole 30 and the toe hole 45 are finished by an overlock method so as not to be torn or loosened.

상기 고정수단(150)은 외피(100)를 발목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가능한 한 외피(100)의 발목 부위(C)가 발목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강한 탄력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고정수단(15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목 부위(C)의 말단에 결합된 탄성밴드(152)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목 부위(C)의 말단에 결합된 탄성밴드(152)와, 이 탄성밴드(152)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수단(15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수단(154)으로는 재접착 테이프 또는 후크-루프 시스템(Hook & Loop System, 고리와 고리를 연결시키는 구조)이 적용되거나, 통상적으로 '칙칙이'라고 불리는 벨크로(Velcro)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력도 우수하고 착탈(着脫)이 간편한 벨크로(Velcro)가 좋다. 이와 같이, 고정수단(150)이 탄성밴드(152)와 체결수단(154)으로 구성된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목 부위(C)에는 절개부(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부(60)는 1군데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목 부위(C)의 양쪽으로 2군데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절개부(60)는 개구부(10)의 크기를 확장시켜 발의 출입을 용이하게 한다. The fixing means 150 is to fix the outer shell 100 to the ankle, it is used to have a strong elasticity so that the ankle portion (C) of the outer shell 100 as closely as possible to the ankle. Fixing means 150 is composed of an elastic band 152 coupled to the end of the ankle portion (C), as shown in Figure 3, or coupled to the end of the ankle portion (C) as shown in FIG. Elastic band 152, and the fastening means 15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band 152. The fastening means 154 may be a re-adhesive tape or hook-and-loop system (hook and loop system), or Velcro (commonly referred to as "dummy") may be applied. Preferably Velcro is also excellent in the bonding force and easy to remove (着 脫). As such, when the fixing means 150 is composed of an elastic band 152 and the fastening means 154,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ision portion 60 is formed in the ankle portion (C) as shown in FIG. The incision 60 may be formed in one place, but preferably, two plac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nkle part C as shown in FIG. 5. The cutout 60 extends the size of the opening 10 to facilitate the entry and exit of the foot.

또한, 발목 부위(C)를 구성함에 있어서, 위와 같이 그 양쪽에 절개부(60)를 형성시키고, 탄성밴드(152)와 체결수단(154)으로 구성한 고정수단(150)을 결합시키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밴드(152)에는 이로부터 연장된 날개부(153)가 더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날개부(153)로 발목을 감은 상태에서 체결수단(154)을 체결시켜 고정시키는데, 이와 같이 체결, 고정하는 경우 발목에 편안함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n forming the ankle portion (C), as described above, when forming the incisions 60 on both sides, and combining the fixing means 150 composed of an elastic band 152 and the fastening means 154, FIG. As shown in 5, the elastic band 152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wing portion 153 extending therefrom. At this time, by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154 in a state in which the ankle is wound by the wing unit 153, in this case, when fastening and fix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give comfort to the ankle.

일반적으로, 발바닥의 여러 부위 중에서 사람이 서있을 때나 신속한 방향 전환을 할 때에, 신체의 체중을 지면으로 직접적으로 전달하면서 지면과 맞닿는 발바닥 부위는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발바닥의 앞부분(20')과, 뒷부분(30'), 그리고 발가락의 바닥부분(45')이다. In general, the sole part of the sole contacting the ground while transferring the weight of the body directly to the ground when the person is standing or during a quick changeover of the sole of the sole, as shown in Figure 3 and the front 20 ' , Back (30 '), and bottom (45') of the toes.

위와 같이, 외피(100)는 신체의 체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면서 지면과 맞닿는 발바닥 부위, 즉 발바닥의 앞부분(20') 및 뒷부분(30') 그리고 발가락의 바닥부분(45')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각각에 대응하는 구멍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발바닥의 앞부분(20')은 외피(100)의 앞축구멍(20)으로 노출되고, 뒷부분(30')은 외피(100)의 뒷축구멍(30)으로 노출되며, 발가락의 바닥부분(45')은 외피(100)의 발가락 구멍(45)으로 노출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shell 100 is the sole portion of the foot contacting the ground, ie, the front portion 20 'and the rear portion 30' of the sole and the bottom portion 45 'of the toe are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ransferring the body weight to the ground. Each has a corresponding hole. In detail, the front portion 20 'of the sole is exposed to the front axle hole 20 of the outer shell 100, and the rear portion 30' is exposed to the rear axle hole 30 of the outer shell 100,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toe ( 45 ′) is exposed to the toe hole 45 of the sheath 100.

외피(100)는 발을 보호함과 동시에 그 수축력(탄성력)에 의해 최대한 발에 밀착되고 가벼움에 따라 맨발과 같은 착용감을 갖게 한다. 그리고, 앞축구멍(20)과 뒷축구멍(30) 그리고 발가락 구멍(45)으로 지면과 맞닿는 발바닥 부위는 외부로 노출되어 이 노출된 발바닥 부위가 미끄럼 방지 역할을 하게 되고, 특히 다섯 개의 발가락 모두가 다섯 개의 발가락 착용부(40)에 각각 삽입되어 움직임이 자유롭고 발가락의 바닥부분(45')은 외부로 노출되어 미끄럼을 방지함에 따라 고도의 순발력을 갖게 한다. 이에 더하여 발가락 착용부(40)가 그 수축력(탄성력)에 의해 발가락 마디를 감싸 안음에 따라 발가락이 삐는 등의 부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발가락 착용부(40)는 발가락에 끼워져 있으므로 외피(100)가 발에서 도는 현상(외피가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앞축구멍(20) 및 뒷축구멍(30)이 각각에 대응되는 발바닥의 앞부분(20') 및 뒷부분(30')에서 이탈되지는 것을 방지한다. Outer shell 100 protects the foot and at the same time as close to the foot by its contracting force (elastic force) and to give a feeling of wearing, such as bare feet as light. In addition, the sole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by the front axle hole 20, the rear axle hole 30, and the toe hole 45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exposed sole portion plays a non-slip role, in particular, all five toes are five.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toes wearing portion 40, the movement is free and the bottom portion 45 'of the to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o have a high quickness to prevent slipping. In addition, the toe worn portion 40 prevents injuries such as toe sprains as the toe node is wrapped by the contracting force (elastic force). In addition, since the toe wearing part 40 is fitted to the toe, the outer shell 100 prevents the phenomenon of turning around the foot (the outer shell rotating phenomenon) so that the front axle hole 20 and the rear axle hole 30 correspond to each other. It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 portion 20 'and the rear portion 30'.

위와 같은 외피(100)에는 그 발등 부위(D)에 발등 보호커버(200)가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발목 부위(C)에는 발목 보호커버(400)가 결합된다. The outer shell 100, such as the foot protection cover 200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tep (D). And the ankle portion (C) is ankle protection cover 400 is coupled.

이때, 상기 발등 보호커버(200)는 전방부(210), 중앙부(220) 및 후방부(230)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210)와 중앙부(220)의 사이, 그리고 중앙부(220)와 후방부(230)의 사이에는 각각 접힘부(215)(225)가 형성되는 데, 이러한 접힘부(215)(225)는 발의 접힘성을 좋게 하여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는 이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 instep protection cover 200 may have a structure separated into a front portion 210, a central portion 220 and the rear portion 230.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folding portions 215 and 225 are formed between the front portion 210 and the central portion 220 an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220 and the rear portion 230, respectively. The folded portions 215 and 225 have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foldability of the foot to free movement.

또한, 상기 발목 보호커버(400)는 결합부(420)와, 이 결합부(420)로부터 연장된 플랩(flap)부(440)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부(420)는 외피(100)에 고정 결합되나, 플랩부(440)는 외피(100)에 고정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랩부(440)는 외피(100)로부터 자유롭게 이격되어 절첩선(430)을 기준으로 접힘이 가능하다. 이러한 플랩부(440)는 발등 부위(D)와 발목 부위(C)의 사이에 있는 접힘 부위(E)를 덮어 관절(발등과 발목사이의 접히는 부분)을 보호하면서, 외피(100)에 고정 결합되지 않고 떨어져 있어 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ankle protection cover 400 is preferably divided into a coupling portion 420 and a flap portion 440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420. 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 420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shell 100, but the flap portion 440 is not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shell 100. Therefore, the flap portion 440 is freely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hell 100 and can be folded based on the fold line 430. The flap portion 440 is fixed to the outer shell 100 while covering the folded portion (E) between the instep (D) and the ankle (C) to protect the joint (folding portion between the instep and the ankle), It does not interfere with joint movement.

구체적으로, 발목 보호커버(400)의 결합부(420)는 발목 부위(C)를 덮어 발목을 보호하고, 플랩부(440)는 접힘 부위(E)를 덮어 발등과 발목 사이의 관절을 보호한다. 그리고 플랩부(440)는 외피(100)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 접힘 부위(E)의 접힘을 자유롭게 한다. Specifically, the coupling portion 420 of the ankle protection cover 400 covers the ankle portion (C) to protect the ankle, the flap portion 440 covers the folded portion (E) to protect the joint between the foot and the ankle. . And the flap portion 440 is not fixed to the outer shell 100 to free the folding of the folded portion (E).

또한, 외피(100)의 인사이드 부위(F)에는 본 고안에 따라서 인사이드 보호커버(600)가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인사이드 보호커버(600)는 발등 보호커버(200)와 일체로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발등 보호커버(200)와 분리된 구조로 결합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인사이드 보호커버(6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전방 보호부(610), 중앙 보호부(620) 및 후방 보호부(630)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후방 보호부(630)는 착용 시 복사뼈 부위에 위치되도록 그 결합 위치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ner protective cover 600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portion F of the outer shel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protective cover 600 may be coupled to the foot protection cover 200 integrally and integrally, but preferably, the inside protection cover 600 is separated from the instep protection cover 200 so as to be free to move. In addition, the inside protective cover 600 may have a structure separated into a front protection part 610, a central protection part 620, and a rear protection part 630 to freely move the foot as shown in the drawing. In addition, the rear protection unit 630 is preferably set to the coupling position so that it is located in the astragalus when worn.

위와 같은 인사이드 보호커버(600)는 인사이드 부위(F)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특히 인사이드 보호커버(600)가 복사뼈 부위까지 위치된 경우 부상 정도가 심한 복사뼈를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Inside protective cover 600 as described above effectively prevents the injury of the inside portion (F), especially when the inner protective cover 600 is located to the astragalus portion can protect the astragalus severely severe injury.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발의 아웃사이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외피(200)의 아웃사이드 부위에 아웃사이드 보호커버(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웃사이드 보호커버는 인사이드 보호커버(600)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er protective cove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an outer portion of the outer shell 200 to protect the outside of the foot. Specifically, the outside protective cover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ide protective cover 600.

이상에서 설명한 발등 보호커버(200), 발목 보호커버(400) 및 인사이드 보호 커버(600)는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이나, 천 그리고 합성수지제 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벼우면서도 약간의 쿠션(cushion) 기능을 가지는 합성수지제 시트가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보호커버(200)(400)(600)는 가죽, 천 및 합성수지제 시트가 단독 또는 혼합되어, 한 겹 또는 2겹 이상으로 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200)(400)(600)는 재봉(sewing),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방법으로 외피(100)에 결합된 것을 포함한다. 이때,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커버(200)(400)(600)의 중앙 영역을 제외한 테두리 부분을 재봉 결합하여 외피(100)의 탄력성이 저하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ot protection cover 200, the ankle protection cover 400 and the inside protection cover 600 described above may be natural or artificial leather, cloth and synthetic resin sheets, preferably light but with a slight cushion (cushion) Synthetic resin sheet having a function is used. And the protective cover 200, 400, 600 includes a leather, cloth and synthetic resin sheet alone or mixed, one or two or more layers. 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s 200, 400, 600 include those that are coupled to the outer shell 100 by a method such as sewing (sewing), adhesion by an adhesive or the like. At this time, as shown, it is preferable to sew the edge portion of the protective cover 200, 400, 600 except for the center region of the outer cover 100 so as not to reduce the elasticity.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피(100)와 보호커버(200)(400)(600)의 사이에는 큰 충격에도 발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완충재(300)가 삽입,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재(30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면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재(300)는 큰 충격에도 강하고 가벼우면서도 충격 흡수 성능이 우수한 재질이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솜, 부드러운 천, 압축 스폰지, 솜을 압축한 시트, 또는 천을 잘게 절단하여 시트 상으로 가공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4, it is preferable that the buffer member 300 is inserted and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shell 100 and the protective covers 200, 400, 600 so as to protect the feet even under a large impact. . The buffer 300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absorb shock. Specifically,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300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that is strong in light of impact and excellent in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For example, cotton, a soft cloth, a compressed sponge, a sheet compressed cotton, or a finely cut cloth may be used. Processed into, etc. can be used.

또한, 완충재(300)는 보호커버(200)(400)(600)가 2겹 이상으로 된 경우 그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완충재(300)에는 통기성을 갖도록 하여 통기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커버(200)(400)(600)에도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완충재(300)와 보호커버(200)(400)(600) 모두에 통기공을 형성시키는 경우, 가능한 한 같은 위치에 형성시켜 외부의 공기 출입이 원활하게 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over 200, 400, 600 when the two or more layers. In addition, the cushioning material 300 may be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not shown) to have a breathability. In addition, ventila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protective covers 200, 400, and 600. When the vent hole is formed in both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300 and the protective cover 200, 400, 600,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ame position as possible to facilitate the outside air ingres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사이드 보호커버(600)가 결합되어 인사이드 부위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발등 보호커버(200) 및 인사이드 보호커버(600)가 다수 개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움직임이 자유로운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inside protective cover 600 is coupled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jury of the inside portion. In addition, when the instep protective cover 200 and the inside protective cover 600 has a structur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movement has a free effect.

Claims (7)

개구부(10)를 가지며, 발바닥 부위(A)에는 앞축구멍(20)과 뒷축구멍(30)이 형성되고, 발가락 부위(B)에는 발가락 구멍(45)이 마련된 발가락 착용부(40)가 형성되며, 발목 부위(C)의 말단에는 고정수단(150)이 결합된 외피(100)와; 이 외피(100)의 발등 부위(D)에 결합된 발등 보호커버(200);를 포함하는 격투용 발 보호대에 있어서, Has an opening 10, the sole portion (A) is formed with a front shaft hole 20 and the rear shaft hole 30, the toe portion (B) is formed with a toe wearing portion 40 provided with a toe hole (45) At the end of the ankle portion (C) and the outer shell 100 is coupled to the fixing means 150; In the foot protector for fighting comprising a; foot protection cover 200 coupled to the foot portion (D) of the outer shell (100), 상기 외피(100)의 인사이드 부위(F)에 인사이드 보호커버(60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발 보호대. Foot protection for figh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protective cover 600 is coupled to the inside portion (F) of the outer shell (100).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사이드 보호커버(600)는 전방 보호부(610), 중앙 보호부(620), 및 후방 보호부(630)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발 보호대. The inside protective cover 600 is a foot guard for figh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separated into a front protective portion (610), a central protective portion (620), and a rear protective portion (630).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후방 보호부(630)는 발의 복사뼈 부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발 보호대. The rear protector 630 is a foot guard for grappling,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astragalus of the foo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인사이드 보호커버(600)의 내부에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재(300)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발 보호대.Foot protection for grapp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30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inside protective cover 60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발등 보호커버(200)는 접힘부(215)(225)를 갖도록 전방부(210), 중앙부(220) 및 후방부(230)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발 보호대. The foot protection cover 200 is a fighting foot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separated into a front portion 210, the central portion 220 and the rear portion 230 to have a folded portion (215, 22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발목 부위(C)의 양쪽에 절개부(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발 보호대. Fighting foot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portion (6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nkle portion (C).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외피(200)의 아웃사이드 부위에 아웃사이드 보호커버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발 보호대. Fighting foot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rotective cover is further coupl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outer shell (200).
KR2020050032820U 2005-11-21 2005-11-21 Foot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KR20040767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20U KR200407673Y1 (en) 2005-11-21 2005-11-21 Foot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20U KR200407673Y1 (en) 2005-11-21 2005-11-21 Foot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673Y1 true KR200407673Y1 (en) 2006-02-01

Family

ID=4448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820U KR200407673Y1 (en) 2005-11-21 2005-11-21 Foot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67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2326B2 (en) Foot protection device for a fight
US4756026A (en) Limb protector
US5717996A (en) Shin and ankle protection device
US5829170A (en) Protective cover for an ice hockey skate
US20110010965A1 (en) Athletic shoe
WO2008067168A2 (en) Protective article
AU2009282763A1 (en) Padded shoe
CA2669097A1 (en) Padded shoe
US9622521B1 (en) Impact-resistant padding
KR200414510Y1 (en) Foot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WO2010125862A1 (en) Soccer shoes
KR200407673Y1 (en) Foot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KR100480974B1 (en) Foot protection device for a fight
WO2020212675A1 (en) Glove for combat sports
KR200363025Y1 (en) Foot protection device for a fight
US20140230278A1 (en) Ankle Flexi System for Soccer shoes, Football shoes, Baseball Shoes, Speed skates skateboard, Ice skates and Hockey shoes.
US4326299A (en) Soccer cuff
KR200329280Y1 (en) Foot protection device for training a fight
KR100486468B1 (en) Foot protection device for training a fight
KR100714405B1 (en) Hand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KR102540206B1 (en) Baseball shoe protector
KR100699250B1 (en) A foot protector for martial arts
KR200402961Y1 (en) A foot protector for martial arts
KR100495613B1 (en) Hand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KR100642322B1 (en) Shoes for Tae-kwon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