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289Y1 -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 - Google Patents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289Y1
KR200407289Y1 KR2020050031865U KR20050031865U KR200407289Y1 KR 200407289 Y1 KR200407289 Y1 KR 200407289Y1 KR 2020050031865 U KR2020050031865 U KR 2020050031865U KR 20050031865 U KR20050031865 U KR 20050031865U KR 200407289 Y1 KR200407289 Y1 KR 200407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unit
coins
display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경
Original Assignee
강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경 filed Critical 강민경
Priority to KR2020050031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2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2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12Savings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05Means for indicating features of the content from outsid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에 관한 것으로, 저금통의 외부에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투입되는 각 동전의 수량과 총액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아이들의 수리력을 향상시키며, 동전이 투입되는 순간 기억된 음성이 발생됨으로 인하여 재미 및 호기심 발생과 함께 저축심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저금통 몸체, 상기 몸체 외부로 돌출된 부위의 일부가 절개되는 다수의 동전투입부, 상기 동전투입부의 내측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 내로 인입된 동전을 감지하는 투입감지부, 상기 투입감지부의 출력신호를 받아 투입된 동전 개수 및 합산 금액을 연산하고 시스템의 동작을 콘트롤하는 제어부, 태양전지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투입된 각 동전의 수량 및 총 액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투입된 동전을 꺼낼 수 있는 개폐부로 이루어지는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을 제공한다.
저금통, 화폐투입구, 디스플레이, 카운터, 태양전지, 동전, 음향

Description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COPPER SAVING BOX TO DISPLAY THE SUM}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전저금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전투입부 부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동전저금통을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메카니즘을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동전 10 : 몸체 11a,11b,11c,11d : 동전투입부
20 : 투입감지부 21 : 센서 30 : 제어부
40 : 음향메모리 50 : 태양전지부 50a : 태양전지판
60 : 디스플레이부 63 : 총액디스플레이부 65 : 제1카운터부
66 : 제2카운터부 67 : 제3카운터부 68 : 제4카운터부
70 : 스피커구동부 80 : 스피커 90 : 개폐부
본 고안은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에 관한 것으로, 저금통의 외부에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투입되는 각 동전의 수량과 총액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동전이 투입되는 순간 기억된 음성이 발생되며, 태양전지부를 통하여 별도의 충전이나 전지 교체를 할 필요가 없어 수명이 반영구적인 저금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금통은 화폐로 사용되는 주화나 지폐를 장기간 보관하거나 아이들에게 저축의 습관을 배양시켜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 형상을 가진 몸체의 적당한 위치에 동전투입부만이 뚫려 있는 단순한 구조를 가진다. 이런 일반적인 저금통은 저금통 내의 총 액수는 알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저금액을 무게로 어림짐작할 뿐 정확히 알 수 없어 개봉하여 금액을 정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동전 투입 시 별다른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단조로움이 있고, 저금액의 회수를 위한 과정에서 파손되는 1회성 구조를 가짐으로 인한 자원낭비와 새로운 저금통을 마련해야 하는 비용부담의 단점이 있다.
이에 진보한 형태로 합성수지의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형태 또는 금속플레이트의 가공에 의해 제조되는 형태에 별도의 전자적 기능을 가미한 저금통이 있는데, 이는 전원을 투입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별도의 충전을 필요로 하거나 전지를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소액을 보관하는 저금통에 대해 효율적이지 못하고, 단편적인 기능만을 제공할 뿐 복합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저금에 대한 흥미 유발과 저 축 유도가 극대화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저금통의 외부에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동전이 투입될 때마다 각 동전의 수량 및 총 액수를 즉각 확인할 수 있고, 동전이 투입되는 순간 기억된 음성이 발생되며, 태양전지부를 통하여 별도의 충전이나 전지 교체를 할 필요가 없어 수명이 반영구적인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공의 저금통 몸체, 제조 시 상기 몸체의 외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몸체 내로 액수가 각기 다른 동전을 투입하기 위해 돌출된 부위의 일부가 절개되는 다수의 동전투입부, 상기 동전투입부의 내측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 내로 인입된 동전을 감지하는 투입감지부, 상기 투입감지부의 출력신호를 받아 투입된 동전 개수 및 합산 금액을 연산하고 시스템의 동작을 콘트롤하는 제어부, 태양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시켜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부, 상기 몸체의 외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투입된 각 동전의 수량 및 총 액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몸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투입된 동전을 꺼낼 수 있는 개폐부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태양전지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탈거 후 재장착 시 리셋(RESET)되어 총액이 “0”이 되고, 상기 개폐부는 일부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몸체 내부의 동전을 꺼낼 수 있도록 여닫이식 도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최종 누산적으로 산출된 저금액을 표시하는 총액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다수의 동전투입부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액수나 크기가 다른 각 동전의 수량을 표시하는 카운터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카운터부는 500원 동전, 100원 동전, 50원 동전, 10원 동전의 투입 개수를 각각 표시하는 제1카운터부, 제2카운터부, 제3카운터부, 제4카운터부로 이루어지는 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전저금통은 특정한 음향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제어부에 음향데이터를 제공하는 음향메모리, 상기 제어부로부터 음향신호를 인가받아 스피커 작동에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구동부 및 상기 변환된 음향신호를 음원으로 바꾸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몸체가 동물 형상일 때 상기 동물 형상의 입부근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크게 몸체(10), 동전투입부(11a,11b,11c,11d), 투입감지부(20), 제어부(30), 태양전지부(50), 디스플레이부(60), 음향메모리(40), 스피커구동부(70), 스피커(80) 및 개폐부(90)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전저금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몸체(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동전(5)을 보관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그 형태 유지를 위해 사출 시 일정 강도를 가지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동물, 식물, 건축물 또는 캐릭터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동전투입부(11a,11b,11c,11d)는 제조 시 상기 몸체(10)의 외면 상부에서 외측을 향해 각각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고, 상기 몸체(10) 내로 액수가 다른 동전(5)을 투입하기 위하여 돌출된 부위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상기 몸체(10)보다 훨씬 얇은 두께를 가진다. 여기서, 500원 동전, 100원 동전, 50원 동전 및 10원 동전이 각각 인입될 수 있는 폭과 길이의 개구를 가진 동전투입부(11a), 동전투입부(11b), 동전투입부(11c) 및 동전투입부(11d)가 몸체(10)의 상부에 일렬로 나란히 배열된다. 그리고 각 동전투입부(11a,11b,11c,11d)의 측면에는 투입할 동전의 사용자 인식이 가능하도록 각 투입할 동전(5)의 액수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전투입부 부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메카니즘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상기 투입감지부(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30)로 동전(5)이 몸체(10)내로 인입됨을 감지하여 신호를 보내는 역활을 하는 것으로, 상기 동전투입부(11a,11b,11c,11d)의 내측 근방에 설치된 센서(21)와 전선을 포함하며, 이 센서(21)는 보통 근접스위치, 광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가 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투입감지부(20)의 센서(21)로부터 발생된 동전 투입 출력신호를 받아 투입된 동전 개수 및 합산 금액을 연산하고 시스템의 동작을 콘트롤한다. 특히, 이 제어부(30)는 후술할 태양전지부(50)가 상기 몸체(10)로부터 탈거되어 전원 공급이 끊기면 리셋(RESET)되어 초기 상태로 돌아가 각 동전 개수와 총액을 “0”으로 인식한다.
상기 태양전지부(50)는 도 1에서처럼, 별도의 충전이나 전지 교환 없이 전원을 안정하게 보내는 역활을 하는 것으로, 태양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며 내부 시스템 동작에 필요한 전원, 충전전류 및 충전전압을 만들어 주는 회로(미도시)를 포함한 태양전지판(50a)과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시켜 상기 제어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태양전지부(50)는 탈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10)의 외부에 별도로 부착이 되나 동물 형상 몸체의 다리부분처럼 몸체(10)의 일부분을 탈거하여 재장착되도록 할 수 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0)는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몸체(10)의 외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30)의 출력신호에 따라 투입된 각 동전(5)의 수량 및 연산된 저금액의 누산 결과치를 표시하는 역활을 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외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30)의 신호에 따라 최종 누산적으로 산출된 저금액을 표시하는 총액디스플레이부(63)와 상기 다수의 동전투입부(11a,11b,11c,11d)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액수나 크기가 다른 각 동전(5)의 수량을 표시하는 카운터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카운터부는 상기 동전투입부(11a), 동전투입부(11b), 동전투입부(11c) 및 동전투입부(11d)에 각각 대응하면서 각 동전투입부(11a,11b,11c,11d) 주위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카운터부(65), 제2카운터부(66), 제3카운터부(67) 및 제4카운터부(68)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향메모리(4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감사합니다”, “저축은 국력”, “배부르다”와 같은 특정한 멘트의 음향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음향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스피커구동부(70)는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음향신호를 인가받아 스피커(80) 작동에 맞는 증폭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스피커(80)는 상기 변환된 음향신호를 음원으로 바꾸어 소리를 생성한다. 이때, 이 스피커(80)는 상기 몸체(10)의 전체 형상이 동물일 때, 동물 형상의 입 부근 내부에 설치되어 동물 형상의 저금통이 직접 말하는 것처럼 보여 아이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동전저금통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상기 개폐부(90)는 억지끼움식 캡 또는 서랍식 도어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일부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몸체 내부의 동전(5)을 꺼낼 수 있도록 여닫이식 도어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동전저금통의 동전(5) 투입에 따른 음향 발생과 총액 표시의 작동과정을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저금통의 각 동전투입부(11a,11b,11c,11d)에 맞는 동전(5)의 투입이 행해지면, 도 2에서처럼 각 해당 동전(500원 동전, 100원 동전, 50원 동전, 10원 동전)의 투입이 센서(21)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30)로 알려지고, 제어부(30)에서는 인입된 동전(5)의 각 수량과 총 합산 액수를 계산하여 그 수치를 각각 제1카운터부 (65), 제2카운터부(66), 제3카운터부(67), 제4카운터부(68) 및 총액디스플레이부(63)에 표시되도록 하며, 동시에 제어부(30)는 음향메모리(40)로부터 저장된 음향데이터를 가져와 스피커구동부(70)로 음향신호를 보내어 스피커(80)를 통해 “감사합니다”라는 멘트가 발생된다.
한편, 사용자가 개폐부(90)를 열어 저금액을 모두 꺼내는 경우, 상기 태양전지부(50)를 몸체(10)에서 분리시켜 저금액을 리셋(RESET)시킬 수 있는데, 제어부(30)에서 이를 인지하여 투입된 동전(5)의 각 수량 및 총액이 초기 상태인 “0”으로 되게끔 한다.
덧붙여, 상기 동전투입부(11a,11b,11c,11d)의 폭과 길이는 우리나라 동전뿐만 아니라 외국의 다양한 동전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고안은 저금통의 외부에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투입되는 각 동전의 수량과 총액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아이들의 수리력을 향상시키며, 동전이 투입되는 순간 기억된 음성이 발생됨으로 인해 재미 및 호기심 발생과 함께 저금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유도하여 저축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태양전지부를 통하여 별도의 충전이나 전지 교체를 할 필요가 없어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과학적 원리 습득과 산술 학습의 매체로 유아 교육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중공의 저금통 몸체;
    제조 시 상기 몸체의 외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몸체 내로 액수가 각기 다른 동전을 투입하기 위해 돌출된 부위의 일부가 절개되는 다수의 동전투입부;
    상기 동전투입부의 내측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 내로 인입된 동전을 감지하는 투입감지부;
    상기 투입감지부의 출력신호를 받아 투입된 동전 개수 및 합산 금액을 연산하고 시스템의 동작을 콘트롤하는 제어부;
    태양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시켜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부;
    상기 몸체의 외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투입된 각 동전의 수량 및 총 액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몸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투입된 동전을 꺼낼 수 있는 개폐부로 이루어지는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탈거 후 재장착 시 리셋(RESET)되어 총 액이 “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최종 누산적으로 산출된 저금액을 표시하는 총액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다수의 동전투입부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액수나 크기가 다른 각 동전의 수량을 표시하는 카운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부는 500원 동전, 100원 동전, 50원 동전, 10원 동전의 투입 개수를 각각 표시하는 제1카운터부, 제2카운터부, 제3카운터부, 제4카운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일부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몸체 내부의 동전을 꺼낼 수 있도록 여닫이식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저금통은
    특정한 음향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제어부에 음향데이터를 제공하는 음향메모리;
    상기 제어부로부터 음향신호를 인가받아 스피커 작동에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구동부; 및
    상기 변환된 음향신호를 음원으로 바꾸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몸체가 동물 형상일 때 상기 동물 형상의 입부근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
KR2020050031865U 2005-11-10 2005-11-10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 KR200407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865U KR200407289Y1 (ko) 2005-11-10 2005-11-10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865U KR200407289Y1 (ko) 2005-11-10 2005-11-10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289Y1 true KR200407289Y1 (ko) 2006-01-26

Family

ID=4175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865U KR200407289Y1 (ko) 2005-11-10 2005-11-10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2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52Y1 (ko) 2010-06-29 2010-10-08 이윤열 용돈기입장이 구비된 저금통
KR101268011B1 (ko) 2011-06-16 2013-05-30 이승민 동전 감별용 저금통
KR101520940B1 (ko) * 2014-05-12 2015-05-18 홍철진 투입 동전금액 감지장치가 구비된 저금통 및 운용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52Y1 (ko) 2010-06-29 2010-10-08 이윤열 용돈기입장이 구비된 저금통
KR101268011B1 (ko) 2011-06-16 2013-05-30 이승민 동전 감별용 저금통
KR101520940B1 (ko) * 2014-05-12 2015-05-18 홍철진 투입 동전금액 감지장치가 구비된 저금통 및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7289Y1 (ko) 저금액을 표시하는 동전저금통
CN205909927U (zh) 一种旋钮式发电的电子秤
CN109445857A (zh) 一种基于快递柜的快件存取方法及快递柜
CN105804574B (zh) 控制装置
CN109305490A (zh) 一种基于图像识别技术的智能分类垃圾箱
US6896573B1 (en) Animated novelty bank and its method of operation
CN201886605U (zh) 家用出门提示装置
CN204029028U (zh) 一种断电保护且具有安全提醒的自动取款机
KR101520940B1 (ko) 투입 동전금액 감지장치가 구비된 저금통 및 운용방법
Wickramasinghe et al. Bank notes recognition device for Sri Lankan vision impaired community
JP2001252481A (ja) 貯金箱玩具
CN201499747U (zh) 存钱罐
CN212233425U (zh) 一种新型智能储钱罐
KR200255861Y1 (ko) 저금액수가 표시되는 저금통
CN107752268A (zh) 一种储钱罐
CN105935341B (zh) 一种带有腕环的老年人模块化电子药箱
KR200337079Y1 (ko) 지폐 저금통
CN208096272U (zh) 太阳能智能存钱罐
CN211124467U (zh) 外语教学情景用具
CN106350958B (zh) 刷卡式自助洗衣机
KR200255769Y1 (ko) 저금정보 표시기능을 갖는 저금통
KR100445414B1 (ko) 손잡이가 부착된 기능성 저금통
CN106503982A (zh) 一种电子支付与结算自助终端
CN208152181U (zh) 一种马桶紫外杀菌装置
CN209297194U (zh) 一种多媒体播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