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814Y1 -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814Y1
KR200406814Y1 KR2020050031100U KR20050031100U KR200406814Y1 KR 200406814 Y1 KR200406814 Y1 KR 200406814Y1 KR 2020050031100 U KR2020050031100 U KR 2020050031100U KR 20050031100 U KR20050031100 U KR 20050031100U KR 200406814 Y1 KR200406814 Y1 KR 200406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locking
contact
cover body
contac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원
Original Assignee
이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원 filed Critical 이인원
Priority to KR2020050031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8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8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02B1/043Contact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8Colouring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성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구의 각막부에 접촉되는 렌즈몸체의 일부가 일측면이 자외선차단부로 이루어진 렌즈커버체와 중합된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는 혼합형 단량체로 이루어지고, 안구의 각막부에 접촉되는 초박형 렌즈몸체와, 상기 렌즈몸체의 일부에 부착되며, 혼합형 단량체로 이루어진 렌즈커버체의 일측면은 자외선차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몸체와 렌즈커버체가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택트렌즈, 컨택트렌즈, 자외선차단

Description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A contact lens having ultraviolet protection functions}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1000
렌즈몸체: 100 렌즈커버체: 110
자외선차단부: 120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도 1은 종래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렌즈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렌즈커버체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렌즈몸체와 렌즈커버체가 중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고안은 다기능성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구의 각막부에 접촉되는 렌즈몸체의 일부가 일측면이 자외선차단부로 이루어진 렌즈커버체와 중합된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태양광에는 각종 유해광선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자외선의 경우 각막, 수정체를 통과하여 망막에까지 이르러,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각막 손상이나 백내장, 망막염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눈은 그 구조상 태양광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고 이를 차단하기 위해 이미 오래전부터 안경, 선글라스, 콘택트렌즈 등의 형태로 시장에 선보이고 있었다.
이 중 콘택트렌즈는 안구로 들어오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로써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점점 높아져 가는 추세에 맞추어 눈 건강을 위한 좋은 수단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자외선 차단기능을 가진 콘택트렌즈의 개발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콘택트렌즈의 사용목적인 자외선차단과 안미용을 위하여 광학부위를 제외한 홍채의 형상에 맞추어서 색상을 입힌 채색콘택트렌즈를 제조하 여 사용함으로서 시력을 보정하는 효과와 예뻐지고 싶은 기대심리에 부응하는 이중의 효과를 최대한 충족시키는 렌즈가 꾸준히 개발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세계적으로 다수의 회사가 콘택트렌즈에 색상을 채색하는 채색콘택트렌즈를 개발하였다.
우선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의 경우로서, 미국의 웨슬리 잭슨회사가 개발한 불투명 착색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제조기술은 HEMA를 중합하여 렌즈부(13)를 형성하고, 그 렌즈부(13) 상에 무수하게 많은 점으로 선을 이루게 하여 눈동자의 홍채부위에 채색부위(15)를 형성하여 채색콘택트렌즈(11)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 1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렌즈부(13)의 표면에 홍채채색부(15)가 직접적으로 형성되므로 미용효과는 탁월하지만 돌출되어진 홍채채색부위에 눈꺼풀의 내측면이 지속적으로 마찰이 발생되므로 눈꺼풀의 내면에 손상을 가하게 되어 결막염이 발생되거나 채색부위에 단백질과 지질 등의 노폐물이 렌즈에 흡착되므로 렌즈를 장기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의 경우로서, 영국의 세레코사가 개발한 착색소프트렌즈 기술은 주형을 제작하여 그 위에 색소와 HEMA 단량체( 모노머; Monomer)를 혼합한 불투명한 색소를 이용하여 홍채모양을 인쇄한 홍채채색부(25)에 HEMA모노머를 중합시킨 렌즈부(23)를 형성하고, 절삭가공을 하여 채색소프트렌즈(21)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 2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렌즈부(23)를 주형을 이용하여 제조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지만 눈을 깜박일 때, 렌즈의 움직임에 따라 렌즈 내면의 채색부위로 인한 마찰력증가로 안구에 부담을 주어서 착용감을 저하시키고, 심하면 각막염증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첫째, 초박형으로 형성된 렌즈몸체와 일측면이 자외선차단부로 이루어진 렌즈커버체는 자외선 조사 및 열을 이용하여 중합됨으로써, 사용자의 눈에 이물감이 없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상기 렌즈몸체와 중합되는 렌즈커버체의 일측면에 채색된 자외선차단부는 돗트패턴(Dot Pattern)을 사용하여 점을 무수하게 연결하여서 하나의 무늬부를 표현하고, 색상을 다중 인쇄로 형성하여서 색상을 다양화하면서 정밀하고 선명한 색상을 지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상기 렌즈몸체 및 렌즈커버체가 결합된 렌즈표면은 렌즈 절삭선반을 이용하여 가공함으로써 렌즈의 두께를 얇게 하여 산소투과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는
혼합형 단량체로 이루어지고, 안구의 각막부에 접촉되는 초박형 렌즈몸체와,
상기 렌즈몸체의 일부에 부착되며, 혼합형 단량체로 이루어진 렌즈커버체의 일측면은 자외선차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몸체와 렌즈커버체가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렌즈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렌즈커버체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1000)(이하,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콘택트렌즈'라 한다)는 기본적으로 렌즈몸체(100), 자외선차단부(120) 및 렌즈커버체(110)를 포함하여 구비한다.
상기 렌즈몸체(100)는 혼합형 단량체를 투입하여 안구의 각막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단량체(Monomer)혼합물은, HEMA, HEMA + NVP (N-Vinyl-2-Pyrrolidone) 또는 HEMA + NVP +MMA(Methylmethacrylate)등과, 여기에 교차결합제(Crosslinking agent)인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또는 TMPTMA(Trimethylpropane trimethacrylate)등과, 광개시제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Benzone methyl ether) 또는 포토이니시에이트(Potoinitiator)를 투입하여 완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몸체(100)의 일부에 중합되는 렌즈커버체(110)는 렌즈몸체와 동일한 렌즈 재료인 혼합된 단량체를 투입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몸체(100)와 대응되어 부착되는 렌즈커버체(110)의 일측면은 패드작업을 통하여 채색된 자외선차단부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자외선차단부는 자외선차단부는 미반응형 자외선차단부 또는 반응형 차단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미반응형 자외선 차단물질은 렌즈의 주재료인 HEMA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가 없고 자외선 차단기능 만을 가진 물질로서 benzophenone계 차단제와 benzotriazole계 차단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형 자외선 차단물질은 HEMA와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진 물질로서 benzophenone 또는 benzotriazole 화합물에 비닐기가 결합되어 있는 물질이다.
이하 본 고안의 콘택트렌즈(1000)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콘택트렌즈(1000)의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된 단량체를 1차로 하부주형(200)의 상부에 투입하여 안구의 각막부와 접촉되는 렌즈몸체(100)를 초박형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몸체(100)와 결합되는 렌즈커버체(110)는 렌즈몸체(100)와 동일한 렌즈재료인 혼합된 단량체를 2차로 투입하여 형성하도록 하는데, 상기 렌즈커버체(110)의 일측면은 패드작업을 통하여 자외선차단부(120)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자외선차단부(120)는 돗트패턴(Dot Pattern)을 사용하여 점을 무수하게 연결하여서 하나의 무늬부를 표현하고, 색상을 다중 인쇄로 형성하여서 색상을 다 양화하면서 정밀하고 선명한 색상을 지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차단부(120)에 사용되는 색소혼합물은 TiO2를 포함한 안전성이 입증된 색소, 즉 염료와 안료 및 렌즈재료인 HEMA 등을 포함한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커버체(110)에 자외선자단물질이 채색되는 범위는 동공 최대확대크기부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주형(300)을 유리(500)에 접촉시킨 후에 렌즈커버체(110)를 자외선(400) 조사 및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렌즈커버체(110)를 렌즈몸체(100)에 중합하도록 한다.
상기 렌즈몸체(100) 및 렌즈커버체(110)를 중합하기 위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때, 질소나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가스 존재 하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무산소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을 가할 때는 30∼90분 동안 35℃∼15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과정 후에 상부주형(300)을 이탈시켜 상기 렌즈커버체(110)를 렌즈 절삭선반을 이용하여 렌즈표면을 가공하도록 한다.
상기 렌즈 절삭선반으로 가공한 부위는 전면 표면연마와 가장자리연마를 통하여 매끄럽게 형성시키게 되면, [도 6]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택트렌즈(1000) 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르면,
첫째, 초박형으로 형성된 렌즈몸체와 렌즈커버체는 자외선 조사 및 열을 이용하여 중합하여 생산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에 이물감이 없게 하여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렌즈몸체와 중합되는 렌즈커버체의 일측면에 채색된 자외선차단부는 돗트패턴(Dot Pattern)을 사용하여 점을 무수하게 연결하여서 하나의 무늬부를 표현하고, 색상을 다중 인쇄로 형성하여서 색상을 다양화하면서 정밀하고 선명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렌즈몸체 및 렌즈커버체가 결합된 렌즈표면은 렌즈 절삭선반을 이용하여 가공함으로써 렌즈의 두께를 얇게 하여 산소투과율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혼합형 단량체로 이루어지고, 안구의 각막부에 접촉되는 초박형 렌즈몸체와,
    상기 렌즈몸체의 일부에 부착되며, 혼합형 단량체로 이루어진 렌즈커버체의 일측면은 자외선차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몸체와 렌즈커버체가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부는 돗트패턴(Dot Pattern)으로 이루어진 무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부에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물질은
    벤조페노네(benzophenone) 또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화합물에 아크릴기가 결합되어 있는 반응형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부에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물질은
    벤조페논(benzophenone)계 차단제 또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의 미반응형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커버체에 자외선자단물질이 채색되는 범위는 동공 최대확대크기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KR2020050031100U 2005-11-02 2005-11-02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KR2004068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100U KR200406814Y1 (ko) 2005-11-02 2005-11-02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100U KR200406814Y1 (ko) 2005-11-02 2005-11-02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814Y1 true KR200406814Y1 (ko) 2006-01-24

Family

ID=4929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100U KR200406814Y1 (ko) 2005-11-02 2005-11-02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81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619A1 (ko) * 2015-04-30 2016-11-03 재단법인김해시차세대의생명융합산업지원센터 청색광 차단 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청색광 차단 콘택트 렌즈
KR101944717B1 (ko) 2017-11-17 2019-02-01 주식회사 인터로조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3085A (ko) 2020-06-10 2021-11-26 주식회사 케미그라스 스마트 블루 렌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619A1 (ko) * 2015-04-30 2016-11-03 재단법인김해시차세대의생명융합산업지원센터 청색광 차단 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청색광 차단 콘택트 렌즈
KR101944717B1 (ko) 2017-11-17 2019-02-01 주식회사 인터로조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3085A (ko) 2020-06-10 2021-11-26 주식회사 케미그라스 스마트 블루 렌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8064B2 (en) Method of making and prescribing tinted lenses
KR101757183B1 (ko) 컬러 콘택트 렌즈
CA2657443C (en) Tinted contact lenses having iris patterns with enhanced depth
CN108351537A (zh) 用于阻挡紫外光和蓝光的功能眼镜镜片
EP2506064B1 (en) Method of making and prescribing tinted lenses
US8414127B2 (en) Method of making and prescribing tinted lenses
TWI587023B (zh) 具有光環效應的隱形眼鏡及其製造方法
TWI639041B (zh) 具有珠光鞏膜之隱形眼鏡
JP2009503578A (ja) コンタクトレンズ
TW202125048A (zh) 具經改良多重及整合效果的隱形眼鏡
JP6902808B1 (ja) ブルーライトカット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TWI588564B (zh) 彩色隱形眼鏡及其製法
KR200406814Y1 (ko)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KR20200064201A (ko) 광변색 소프트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50094094A1 (en) Contact lenses colored with crystalline colloidal array technology
CN206331194U (zh) 一种彩色隐形眼镜
JP2001311915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2102332A1 (ja) 老眼矯正体及び老眼矯正方法
KR101593934B1 (ko) 스포츠용 소프트 콘택트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11373A (ko) 채색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KR102449121B1 (ko) 청광차단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JP5675915B1 (ja) 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そのための治具
CN109425998A (zh) 具有元件保护功能的隐形眼镜
CN109070503B (zh) 彩色隐形眼镜及其制法
JP2001311916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