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373Y1 -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 - Google Patents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373Y1
KR200406373Y1 KR2020050030104U KR20050030104U KR200406373Y1 KR 200406373 Y1 KR200406373 Y1 KR 200406373Y1 KR 2020050030104 U KR2020050030104 U KR 2020050030104U KR 20050030104 U KR20050030104 U KR 20050030104U KR 200406373 Y1 KR200406373 Y1 KR 200406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ff
sap
carbonized
outlet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순
강기주
Original Assignee
최영순
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순, 강기주 filed Critical 최영순
Priority to KR2020050030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3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3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2Solid waste from mechan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seed coats, olive pits, almond shells, fruit residue, rice hu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05F17/979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the other material being gase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05F17/986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the other material being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하나의 제조 장치에서 모두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왕겨를 맥동연소기에 의해 팽창연화왕겨를 제조하고, 상기 맥동연소기와 연계되어 멀티사이클론 즉 탄화왕겨회수장치에 의해 탄화왕겨를 제조하게 되며, 상기 멀티사이클론의 배기가스분출라인에서 왕겨수액을 회수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하나의 시스템에 의해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생산하는 통합시스템에 관한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A unit system for manufacturing expanding, charcoal and pyroligneous liquor from rice hulls}
도 1은 종래의 탄화왕겨 자동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의 제조공정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의 팽창연화왕겨 제조공정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의 탄화왕겨 제조공정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의 왕겨수액 제조공정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의 왕겨저장탱크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의 맥동연소기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의 멀티사이클론 단면도
도 9는 도 5의 본 고안에 따른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의 "A"부위의 응축기 단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위한 통합시스템 : 100
왕겨저장탱크 : 200 제2배출구 : 375
모터 : 201 분쇄장치 : 380
교반임펠러 : 202 블러워 : 381
제1투입구 : 210 이송기 : 382
로타리밸브 : 220 포장장치 : 383
맥동연소기 : 300 멀티사이클론 : 400
맥동연소기본체 : 310 집진부 : 410
가열챔버 : 320 여과집 : 415
공급노즐 : 321 제1호퍼 : 420
점화플러그 : 322 로타리밸브 : 430
공기유도장치 : 323 탄화회수탱크 : 440
흡기밸브 : 324 제3배출구 : 450
연소챔버 : 330 응축기 : 500
연소튜브 : 340 냉각수라인 : 510
배기챔버 : 350 제4배출구 : 520
회전스크류챔버 : 360 왕겨수액저장탱크 : 550
모터 : 361 연도 : 600
제1배출구 : 370
본 고안은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하나의 제조 장치에서 모두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왕겨를 맥동연소기에 의해 팽창연화왕겨를 제조하고, 상기 맥동연소기와 연계되어 멀티사이클론 즉 탄화왕겨회수장치에 의해 탄화왕겨를 제조하게 되며, 상기 멀티사이클론의 배기가스분출라인에서 왕겨수액을 회수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하나의 시스템에 의해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생산하는 통합시스템에 관한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왕겨는 미곡종합처리장 및 도정공장 운용시 발생되는 주부산물로서 조곡의 약 17%(무게기준)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로 번개탄, 과실포장용 충진재, 돈사용 깔개 및 퇴비 등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연탄사용의 격감, 포장재료의 고급화 및 운반비의 상승으로 인하여 왕겨의 이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왕겨는 표면에 굵은 강모가 존재하고 리그닌으로 다져져 있고 표피세포에 규산으로 침적되어 있어 조직이 강하고 수분침투가 어려워서 할 부식되지 않 기 때문에 분쇄기로 분쇄하여 퇴비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왕겨를 단순하게 분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왕겨의 특성상 분쇄된 왕겨의 조직이 강하고, 수분 침투가 어려워 부식이 잘되지 않기 때문에 이용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분쇄기로 왕겨를 분쇄하는 경우에는, 왕겨의 조직이 강하기 때문에 분쇄기의 마모가 심하여 부품을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왕겨의 조직을 팽창 및 연화시켜 수분 흡수율을 향상되도록 한 왕겨 팽연화장치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팽창연화왕겨를 생산하는 것에 있어서는 분쇄한 왕겨와는 현저하게 다른 부드러운 조직과 수분 흡수성을 가지기 때문에 발효가 빠르고 가스 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함수율과 분쇄입자가 매우 일정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팽연왕겨는 수분조절재 및 축사깔개, 조사료, 원예용상토, 벼재배용상토 등 다방면에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왕겨 팽연화 장치를 살펴보면, 투입된 왕겨를 압축하는 원통형케이싱에 팽연왕겨를 수평방향으로 배출하도록 배출구를 형성하고, 원통형케이싱의 끝단면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구성함과 동시에, 원통형케이싱 내에 나선형의 스크류가 구비된 스크류축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압축하도록 구성하고, 스크류축의 끝단면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구성하여 왕겨의 팽창 및 연화를 행하도록 되어있다.
즉, 종래의 왕겨 팽연화 장치는 왕겨를 투입하여 물을 가하면서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압축하면 왕겨는 압축가열되고, 압축가열된 왕겨를 원통형케이싱 끝단부의 배출구에서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왕겨를 단열팽창시킴과 동시에 분쇄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왕겨 팽연화 장치에 의해 제조된 팽연왕겨는 원료인 왕겨에 비해 작은 입도로 형성되고, 그 입도는 스크류축과 배출구 벽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작게 함으로써 팽연왕겨의 입자를 미세하게 할 수가 있고, 이 간극을 크게 함으로써 팽연왕겨의 입자를 거칠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수평 왕겨 팽연화 장치는 원통형케이싱 내에 스크류축이 테이퍼진 반대측에만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어서 회전시 스크류축의 수평 흔들림이 커지고 왕겨의 하부 편재와 불균일한 분포에 의해서 수평 흔들림이 더욱 크게 되어, 결국 회전관성모멘트가 일정치 않아 스크류축의 피로파괴를 발생시키게 되어 스크류의 마모율이 높아 교체 시기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류축과 원통형케이싱이 고정되어 있어 분도를 조절하기 어려워 그 필요에 따른 분도를 조정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 왕겨공급 스크류의 경우 잦은 막힘 현상으로 인하여 왕겨 평연화 장치의 연속적인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탄화왕겨 제조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탄화왕겨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이는 지상탑(10) 상부에 공압공기에 의해 지상의 왕겨를 유입토록 하는 사이클론을 가진 왕겨탱크(11)가 구비되어 있고, 이의 하부측에는 유압실린더(미도시됨)에 의해서 지지축(12-1)을 중심으로 뒤집혀지는 식으로 회전하는 탄화제조탱크(1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화제조탱크(12)는 내부에 왕겨가 투입되어 불완전연소되는 연소실(12-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측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도실(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측은 덮개개폐용실린더(12-3)에 의해 개폐되는 탱크덮개(1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화제조탱크(12)의 하부측에는 상기 탄화제조탱크(12)에서 배출되는 훈탄이 저장되는 탄화저장탱크(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화저장탱크(13)의 하부측에는 탄화왕겨배출콘베이어(14)가 구비되어 탄화저장탱크(13)내의 탄화왕겨응 차량에 적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탄화제조탱크(12)의 탱크덮개(12-4)에 형성된 배기구(12-4A)에는 대기와의 온도차로 목초액을 응축시키는 목초액회수관(1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목초액회수관(15)의 하부측에는 목초액수집통(16)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탄화왕겨 자동제조장치는 먼저, 공압공기에 의해서 지상의 왕겨가 사이클론(11-A)을 통해 왕겨탱크(11)로 투입되고, 상기 왕겨탱크(11) 내의 왕겨는 다시 탄화제조탱크(12)로 투입된다. 이렇게 탄화제조탱크(12)에 투입된 왕겨는 그 위에 경유가 묻은 왕겨를 인위적으로 투입시켜 착화시킨 후 덮개개폐용실린더(12-3)의 작동으로 탱크덮개(12-4)를 닫아 밀폐된 상태에서 왕겨를 연소시키게 된다.
이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연소연기는 상기 탱크덮개(12-4)에 형성된 배기구(12-4A)를 통해 목초액회수관(15)으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연소연기는 대기와의 온도차로 응축되어 하부측 목초액수집통(16)으로 분리 수거되며, 나머지 연소연기 중에 포함된 가연성 가스는 그대로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그리고 상기 탄화제조탱크(12)에 의한 탄화왕겨가 완성된 후에는 덮개개폐용실린더(12-3)를 작동시켜 탱크덮개(12-4)를 개방시킨 다음, 지지축(12-1)을 중심으로 탄화제조탱크(12)를 유압실린더의 유압력으로 뒤집어서 탄화저장탱크(13)로 배출 및 저장시킴으로써 일련의 탄화왕겨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탄화왕겨 제조장치는 일단, 탄화제조탱크(12)에 의한 탄화왕겨제조를 마친 후에 일일이 다시 경유가 묻은 왕겨를 상기 탄화제조탱크(12)에 투입 및 착화시켜 탄화작업을 수행해야만 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탄화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작업의 비연속성으로 작업의 비효율성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왕겨수액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일반적으로 왕겨의 탄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연기의 응축물인 탄화재는 참나무를 이용한 숯의 제조과정에서 얻어지는 목초액과 유사한 성분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데, 목초액은 초산, 개미산, 알콜류, 프로피오산, 페놀류, 아세톤 등 중성성분과 염기성 성분의 결정체로서 약 200여가지의 유기물로 구성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살균, 해독력이 강하며, 침투 흡수력이 빨라 식물생리작용과 토양오염원 제거등 농업용과 비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은 이와 같은 효과가 있는 탄화액을 왕겨의 탄화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회수하지 못하고 많은 양을 대기로 방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맥동연소기에서 초기 착화후 외부의 동력원이 없이도 연속적인 팽창연화 및 탄화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맥동연소기에서 초기 연소에 의해 맥동연소기내부에 높은 압력이 발생하여 탱크에서 유입된 왕겨가 맥동연소기에서 온도와 압력에 의해 팽창연화왕겨가 제조되어 지고, 또한 맥동연소기의 온도의 제어에 의해 탱크에서 유입된 왕겨가 탄화되어 탄화왕겨가 제조되어 멀티사이클론으로 이동되어 탄화왕겨가 회수되면서 동시에 탄화과정중 발생된 배기가스가 배기관을 통해 이송되며 상기 배기가스가 이동되는 배기관중에 왕겨수액을 제조할 수 있는 냉각시스템 즉 응축기에 의해 왕겨수액을 회수되어 하나의 시스템에 의해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제공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100)은 수직의 왕겨저장탱크(200) 하단부와 연결된 제1투입구(210)에 로타리밸브(2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투입구(210)와 연계된 왕겨를 탄화 및 팽창연화시키는 맥동연소기(300)가 구비되고,
상기 맥동연소기(300)에 중앙부에 구성된 맥동연소기본체(310)의 일측 끝단부 상부에 제1투입구(210)와 연결되고,
상기 맥동연소기본체(310)의 다른 일측 끝단부 하부에 제1배출구(37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배출구(370)의 일측부와 연통되어 제2배출구(375)가 멀티사이클론(400)의 상부측면에 연계되어 구비되고,
상기 멀티사이클론(400) 하부에 로타리밸브(430)에 의해 탄화된 왕겨를 회수하는 탄화회수탱크(440)가 구비되고,
상기 멀티사이클론(400) 상부에 멀티사이클론(400)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분진을 배출하는 제3배출구(450)가 구비되고,
상기 제3배출구(450)의 구획되는 라인에 왕겨수액을 회수하는 응축기(500)가 구비되고,
상기 제3배출구(450)와 연계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연도(600)가 구비되어 구성하는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도 6의 왕겨저장탱크에 도시된 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수직의 왕겨저장탱크(200) 내부에는 상기 왕겨저장탱크(200) 상부에 구비된 모터(201)의 작동에 의해 저장된 왕겨를 교반하는 교반임펠러(202)가 구비되어 왕겨의 뭉침 및 엄킴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해섬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상기 왕겨저장탱크(200)에 왕겨가 투입되어 지고, 상기 투입된 왕겨는 수분이나 이물질이 혼합되어 있어 왕겨가 뭉침 및 엄킴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왕겨저장탱크(200) 하단부에 구비된 로타리밸브(220)에 의해 공급되는 상태가 불량해짐과 동시에 투입되는 왕겨양이 불규칙하여 맥동연소기(300)에서 탄화 또는 팽창연화되는 왕겨의 탄화도가 불량을 발생시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왕겨저장탱크(200) 내부에 왕겨를 해섬시키는 교반임펠러(202)를 구비하여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상기 도 2에서 수직의 왕겨저장탱크(200) 하단부와 연계된 제1투입구(210)에 로타리밸브(220)에 구비되고, 상기 제1투입구(210)는 좌측 끝단 상부에 구비되고, 우측 끝단 하부에는 제1배출구(370)가 형성된 도 7에 도시된 맥동연소기(300)에 있어서,
상기 맥동연소기본체(310) 좌측부에 연료를 공급하는 공급노즐(321) 및 연료를 착화시키는 점화플러그(322)가 구비되어 있는 가열챔버(320)와,
상기 가열챔버(320) 하단부에 흡기밸브(324)에 의해 공기량을 유도하는 공기유도장치(323)가 구비되고,
상기 가열챔버(320)와 연통된 좌측부에 연료를 연소하는 연소챔버(330)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챔버(330)와 연통된 좌측부에 연소된 화력이 전달되는 연소튜브(340)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튜브(340) 외부둘레에 맥동연소기본체(310)가 구비되고,
상기 맥동연소기본체(310) 좌측 끝단 상부에 왕겨저장탱크(200)와 연계된 제1투입구(210)가 연결되고,
상기 맥동연소기본체(310) 우측 끝단 하부에 제1배출구(370)가 구비되고,
상기 맥동연소기본체(310)의 양쪽 끝단에 구비된 제1투입구(210)와 제1배출 구(370) 사이에 이격된 회전스크류챔버(360)가 구비되고,
상기 맥동연소기본체(310) 우측 끝단부에 연소튜브(330)와 연통된 배기챔버(350)가 구비되어 구성하는 맥동연소기(300)를 제공한다.
상기 제1투입구(210)는 왕겨저장탱크(200)에서 왕겨를 배출하는 수단을 하는 동시에 맥동연소기(300)로 왕겨를 투입하는 수단으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구비되는 제1투입구(210)이다.
상기 맥동연소기(300)는 시동시에만 외부동력을 사용하며, 가열챔버(320)에 일단 연소가 시작되면 외부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공기와 연료의 흡입, 점화, 배기가 자력으로 반복하여 연소가 이루어진다.
상기 맥동연소기(300)의 작동원리를 다음과 같이 세단계로 이루어진다.
(1) 시동단계
상기 가열챔버(320)내에 초기 시공시에만 연료 및 공기가 유입되어 점화플러그(322)에 의해 연료가 점화되어 그 화력이 연소챔버(330)에 전달되어 연소튜브(340)를 통해 상기 화력이 전달되는 원리로 작동되며, 상기 연소챔버(330)내에서 연료의 점화가 이루어진다.
(2) 배기단계
상기 연소챔버(330)에서 연소에 의해 강한 압력이 생겨 플래퍼밸브는 닫히게 되고, 연소가스는 배기튜브(350)의 배기가스관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배기가스의 배출 관성에 의하여 연소챔버(330)내의 압력은 대기압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3) 흡입단계
배기단계에 의해서 발생되는 연소챔버(330)내의 부압으로 공기 및 연료 플래퍼 밸브는 열리게 되고 연소실과 공기 및 연료 공급라인의 압력차에 의해서 다음 연소를 위한 새로운 공기와 연료가 흡입되며, 이때 관성력을 상실한 배기가스의 일부도 연소실로 역류된다.
재충전된 공기와 연료의 혼합물은 역류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와 만나게 되므로 점화플러그(322)의 작동없이 자력으로 점화되어 연소가 일어나게 되어 연속적으로 배기단계와 흡입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맥동연소기(300)는 시동시에만 별도의 외부 동력 즉 점화플러그(322)의 작동이 없이 맥동연소기(300)내의 연소를 정상적인 사이클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맥동연소기(300)의 연소튜브(340) 외부둘레에 구비된 맥동연소기본체(310)의 제1투입구(210)로 왕겨가 유입되고, 상기 제1투입구(210)로 유입된 왕겨는 연소튜브(34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팽창연화 및 탄화왕겨가 제조되어지고, 상기 팽창연화왕겨와 탄화왕겨의 제조는 연료공급노즐(321)에 의해 분출되는 연료의 양과 이에 따른 온도조절과 연료의 연소에 의해 동시에 발생되는 압력조절과 회전스크류챔버(360)의 회전속도에 의해 팽창연화왕겨와 탄화왕겨로 구별되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을 설명하면, 상기에 의해 맥동연소기(300)의 작동시스템에 의해 맥동연소기본체(310) 좌측 끝단부 하부에 구비된 제1배출구(370)로 팽창연화왕겨 또는 탄화왕겨가 배출되며, 상기 팽창연화왕겨의 제조에 있어서는 상기 맥동연소기본체(310) 좌측 끝단부 하부에 구비된 제1배출구(370)와 연계된 분쇄장치(380)가 구비되고,
상기 분쇄장치(380)와 연계되어 분쇄된 팽창연화왕겨를 회수하는 블러워(381)가 구비되고,
상기 블러워(381)를 통해 회수된 팽창연화왕겨를 이송기(382)에 의해 운반되어 포장장치(383)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맥동연소기(300)에 의해 팽창연화왕겨는 높은 열과 압력에 의해 엄김과 뭉침현상이 발생되어 이를 해섬하고 파쇄하는 분쇄장치(3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의 맥동연소기본체(310) 좌측 끝단부 하부에 구비된 제1배출구(370)를 통해 탄화왕겨가 배출되어 탄화왕겨를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는 상기 제1배출구(370) 일측부와 연통되어 제2배출구(375)가 멀티사이클론(400)의 상부측면에 연계되어 구비되고,
상기 멀티사이클론(400)은 상부에 제2배출구(375)로 유입된 탄화왕겨의 미세먼지와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집진부(410)와,
상기 집진부(410) 내부에는 미세먼지와 배기가스를 여과는 여과집(415)이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410) 하부에는 집진부(410)에 의해 탄화왕겨 입자들이 낙화되는 공간부가 구비된 제1호퍼(4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호퍼(420) 하부에는 탄화왕겨 입자들이 로타리밸브(430)에 의해 탄 화된 왕겨를 회수하는 탄화회수탱크(44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도 4에서 나타낸 시스템과 같이 탄화왕겨 제조시스템으로 탄화왕겨가 제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맥동연소기(300)에 의해 탄화왕겨를 배출함에 있어 상기 탄화왕겨는 배기가스와 미세먼지를 함유하고 있어 이를 정화하고 고순도의 탄화왕겨를 회수하기 위해 멀티사이클론(40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5의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멀티사이클론(400)의 집진부(410)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분진을 배출하는 집진부(410) 상부에 제3배출구(450)가 구비되고,
상기 제3배출구(450)의 구획되는 라인 둘레에 왕겨수액을 회수하는 응축기(500)가 구비되고,
상기 제3배출구(450) 라인 둘레 주위에 지그재그형태의 냉각수라인(510)이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500) 하단부에 응축기(500)내부에 발생된 왕겨수액을 배출하는 제4배출구(520)가 구비되어 왕겨수액을 제조하게 된다.
도 5의 "A"부위에 내부를 상세히 도시된 도 9에서 상기 제3배출구(450) 라인은 높은 열과 함께 왕겨의 탄화시 발생되는 탄화가스에 왕겨에 함유하고 있는 유용한 성분을 함유한 탄화가스가 이동됨으로서 응축기(500)내부에 지그재그형태의 냉각수라인(510)을 통해 냉각수가 이동됨에 따라 응축기(500)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왕겨수액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3배출구(450)를 통해 직접적으로 외부로 높은 열을 가진 대기가스가 방출됨에 따라 제3배출구(450) 라인에 응축기(500)를 구비함으로서 대기가스의 높은 열을 감소시켜 주는 역할을 함으로서 대기의 환경오염을 줄이는 역할에 도움을 준다. 이에 제3배출구(450)와 연계된 연도(600)를 통해 저열을 가진 배기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왕겨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하나의 시스템(100)에 의해 모두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팽창연화왕겨 및 탄화왕겨의 제조에 있어서 맥동연소기(300)의 온도, 압력, 회전스크류챔버(360)의 회전속도의 조절에 의해 선택적으로 팽창연화왕겨 및 탄화왕겨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100)이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하나의 시스템에 의해 모두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시스템으로서 일반적인 별도의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 제조에 개별적인 설비없이 본 고안은 통합적으로 이루어져 원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산성토양을 개선시키는 탄화왕겨와 같은 유기질비료성분을 얻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대기의 환경적인 오염을 배제시키므로 쾌적한 시설의 운영을 도모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100% 회수할 수 있어 생산성이 좋으므로 경제적인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수직의 왕겨저장탱크(200) 하단부와 연결된 제1투입구(210)에 로타리밸브(2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투입구(210)와 연계된 왕겨를 탄화 및 팽창연화 시키는 맥동연소기(300)가 구비되고,
    상기 맥동연소기(300)에 중앙부에 구성된 맥동연소기본체(310)의 일측 끝단부 상부에 제1투입구(210)와 연결되고,
    상기 맥동연소기본체(310)의 다른 일측 끝단부 하부에 제1배출구(37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배출구(370)의 일측부와 연통되어 제2배출구(375)가 멀티사이클론(400)의 상부측면에 연계되어 구비되고,
    상기 멀티사이클론(400) 하부에 로타리밸브(430)에 의해 탄화된 왕겨를 회수하는 탄화회수탱크(440)가 구비되고,
    상기 멀티사이클론(400) 상부에 멀티사이클론(400)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분진을 배출하는 제3배출구(450)가 구비되고,
    상기 제3배출구(450)의 구획되는 라인에 왕겨수액을 회수하는 응축기(500)가 구비되고,
    상기 제3배출구(450)와 연계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연도(600)가 구비되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동연소기(300)는 맥동연소기본체(310) 좌측부에 연료를 공급하는 공급노즐(321) 및 연료를 착화시키는 점화플러그(322)가 구비되어 있는 가열챔버(320)와,
    상기 가열챔버(320) 하단부에 흡기밸브(324)에 의해 공기량을 유도하는 공기유도장치(323)가 구비되고,
    상기 가열챔버(320)와 연통된 좌측부에 연료를 연소하는 연소챔버(330)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챔버(330)와 연통된 좌측부에 연소된 화력이 전달되고, 맥동연소기본체(310)내부에 구비되는 연소튜브(340)가 구비되고,
    상기 맥동연소기본체(310) 좌측 끝단 상부에 왕겨저장탱크(200)와 연계된 제1투입구(210)가 연결되고,
    상기 맥동연소기본체(310) 우측 끝단 하부에 제1배출구(370)가 구비되고,
    상기 맥동연소기본체(310)의 양쪽 끝단에 구비된 제1투입구(210)와 제1배출구(370) 사이에 이격된 회전스크류챔버(360)가 구비되고,
    상기 맥동연소기본체(310) 우측 끝단부에 연소튜브(340)와 연통된 배기챔버(350)가 구비되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동연소기본체(310) 좌측 끝단부 하부에 구비된 제1 배출구(370)와 연계된 분쇄장치(380)가 구비되고,
    상기 분쇄장치(380)와 연계되어 분쇄된 팽창연화왕겨를 회수하는 블러워(381)가 구비되고,
    상기 블러워(381)를 통해 회수된 팽창연화왕겨를 이송기(382)에 의해 운반되어 포장장치(38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구(370) 일측부와 연통되어 제2배출구(375)가 멀티사이클론(400)의 상부측면에 연계되어 구비되고,
    상기 멀티사이클론(400)은 상부에 제2배출구(375)로 유입된 탄화왕겨의 미세먼지와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집진부(410)와,
    상기 집진부(410) 내부에는 미세먼지와 배기가스를 여과는 여과집(415)이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410) 하부에는 집진부(410)에 의해 탄화왕겨 입자들이 낙화되는 공간부가 구비된 제1호퍼(4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호퍼(420) 하부에는 탄화왕겨 입자들이 로타리밸브(430)에 의해 탄화된 왕겨를 회수하는 탄화회수탱크(44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사이클론(400)의 집진부(410)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분진을 배출하는 집진부(410) 상부에 제3배출구(450)가 구비되고,
    상기 제3배출구(450)의 구획되는 라인 둘레에 왕겨수액을 회수하는 응축기(500)가 구비되고,
    상기 제3배출구(450) 라인 둘레 주위에 지그재그형태의 냉각수라인(510)이 구비되고,
    상기 응축기(500) 하단부에 응축기(500)내부에 발생된 왕겨수액을 배출하는 제4배출구(5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
KR2020050030104U 2005-10-20 2005-10-20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 KR200406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104U KR200406373Y1 (ko) 2005-10-20 2005-10-20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104U KR200406373Y1 (ko) 2005-10-20 2005-10-20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373Y1 true KR200406373Y1 (ko) 2006-01-20

Family

ID=4175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104U KR200406373Y1 (ko) 2005-10-20 2005-10-20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3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01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lletizing unprocessed sugar-cane bagasse
KR101888582B1 (ko)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차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
CN106350084A (zh) 一种高性能活性炭的生化物质燃料生产系统及其生产方法
CN104973597A (zh) 一种活性炭生产方法
CN206191603U (zh) 一种新型环境固废处理装置
CN111548809A (zh) 移动式秸秆碳化裂解装置
KR20200081907A (ko) 바이오매스로부터 제조되는 바이오차를 이용한 완효성 비료의 제조 방법
CN110240913A (zh) 一种农作物秸秆制炭炉及其制炭方法
CN107365601A (zh) 一种利用农林废弃物的生物质气化发电方法
CN110616099A (zh) 一种利用农作物秸秆制备生物质燃料的设备及方法
CN210885970U (zh) 一种利用农作物秸秆制备生物质燃料的设备
KR200406373Y1 (ko) 왕겨를 이용한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왕겨수액을제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
CN209669132U (zh) 一种移动式农业秸秆综合处理系统
KR101042619B1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압축성형 숯연료 제조방법
KR101457600B1 (ko) 팜 쉘을 연속적으로 탄화시켜 활성 탄소 및 목초액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CN207276546U (zh) 园林绿化垃圾和污泥的资源化处理系统
CN110407429A (zh) 一种低能耗湿物料快速干化系统及方法
KR102354443B1 (ko) 버섯 폐배지 및 왕겨를 이용한 슬러지 연료탄 제조 시스템
KR102354457B1 (ko) 버섯 폐배지 및 왕겨를 이용한 슬러지 연료탄의 제조방법
KR101457598B1 (ko) 팜 쉘을 연속적으로 탄화시켜 탄소 및 목초액을 제조하는 방법
KR102365646B1 (ko) 버섯 폐배지 및 버개스를 이용한 슬러지 연료탄의 제조방법
CN109593537A (zh) 一种移动式农业秸秆综合处理系统与方法
CN109708121A (zh) 一种秸秆发电致密燃烧机组
CN205953953U (zh) 一种秸秆加工设备
KR20100004627U (ko) 음식물쓰레기 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