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159Y1 - Frame connector and assembly of fram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rame connector and assembly of fram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159Y1
KR200406159Y1 KR2020050026768U KR20050026768U KR200406159Y1 KR 200406159 Y1 KR200406159 Y1 KR 200406159Y1 KR 2020050026768 U KR2020050026768 U KR 2020050026768U KR 20050026768 U KR20050026768 U KR 20050026768U KR 200406159 Y1 KR200406159 Y1 KR 200406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or
vertical
sides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7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원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원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원기업
Priority to KR2020050026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15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15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처분되는 쓰레기 중에서 재활용 가능한 물품을 분리수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분리수거대에 있어서, 각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과 수직 이음부분을 분리 및 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연결구의 몸체 일측 또는 직각 방향 2개소에 프레임에 끼워 고정되는 결속바가 몸체와 턱이 진 단부로 연결되고, 상기 결속바의 외면 소정부에 돌기부를 구성하여 프레임과 억지끼움이 가능하게 되며, 몸체의 일측에 재활용품을 담는 그물망을 걸 수 있도록 걸이핀이 나합 가능한 나공이 일체로 형성된 재활용품 분리수거대용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connector and a frame assembly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separation collec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rames in order to separate and collect the recyclable items from the waste disposed of, the edge portion and the vertical joint portion of each frame For the purpose of making it possible to connect and detachably assembled, the binding bar fixed to the frame on one side of the body or at two right angles of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ody and the jaw, and a protrus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outer surface of the binding bar. The frame and the interference fit is possible, and the frame connector for the recycled material separating collection unit and the frame assembly using the same is formed integrally formed by the hook hole can be hooked to hang the net containing the recycled product on one side of the body.

Description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FRAME CONNECTOR AND ASSEMBLY OF FRAME USING THE SAME}FRAME CONNECTOR AND ASSEMBLY OF FRAM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대의 전체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ba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프레임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rame connector enlarged "A" portion of FIG.

도 3은 도 1의 "B"부를 확대한 프레임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rame connector enlarged "B" portion of FIG.

도 4는 도 1의 "C"부를 확대한 프레임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rame connector enlarged "C"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횡프레임 2 : 외측 횡간프레임1: transverse frame 2: outer transverse frame

2a : 내측 횡간프레임 3 : 종프레임2a: inner transverse frame 3: vertical frame

4 : 지지프레임 5 : 걸이핀4: support frame 5: hanger pin

6 : 체결나사 10 : 모서리연결구6: fastening screw 10: corner connector

11, 21 : 몸체 12, 13, 24 : 결속바11, 21: body 12, 13, 24: binding bar

14, 25 : 단부 15, 26 : 돌기부14, 25: end 15, 26: projection

16, 27 : 나공 20 : 수직연결구16, 27: Nagong 20: Vertical connector

22 : 고정날개 23 : 체결공22: fixed blade 23: fastening hole

본 고안은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처분되는 쓰레기 중에서 재활용 가능한 물품을 분리수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분리수거대에 있어서, 각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과 수직 부분을 분리 및 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separation collec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rames in order to separate and collect the recyclable material from the waste disposed of, the corner and vertical parts of each frame is connected and separated It relates to a frame connector and a frame assembly using the same.

최근 일회용품의 소비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생활쓰레기 및 산업폐기물의 배출량도 증가하고 있고, 이들 중 재활용이 충분히 가능한 물품이 그냥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파트와 같은 주거지는 물론이고 공공건물에서도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수거하는 풍토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consumption of disposable products has increased rapidly, and the amount of household waste and industrial waste has also increased. Among them, waste that can be recycled in public buildings as well as in residential areas, such as apartments, in order to prevent the disposal of just enough recyclable items. The climate to separate and collect is spreading nationwide.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쓰레기의 종류, 예컨대 병류, 고철류, 합성수지류 등으로 분리하여 버릴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거대가 아파트 단지나 건물 내부 곳곳에 설치되고 있으며, 분리수거 풍토가 확산됨에 따라서 분리수거대의 수요 또한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In order to collect wastes that can be recycled more efficiently, separate collection basins are installed in apartment complexes and various places inside the building to separate them into different kinds of wastes such as bottles, scrap metal, and synthetic resins. As the climate spreads, the demand for segregation basins continues to increase.

이러한 분리수거대를 합성수지제로 제조할 경우에는 그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금형 제작비 등 초기 비용이 대단히 많이 들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취약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나 강도 등을 고려하여 대부분 분리수거대 프레임을 금속으로 제작하고 그 내부에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담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그물망을 설치하고 있으며, 프레임의 고정 형태는 각 프레임 간 연결부분을 용접을 통해 고정하고 있다.When the separate collection stand is made of synthetic resin, the volume is so large that the initial cost such as mold manufacturing cost is very high and the durability is also weak. Therefore, most of the separate collection frame is made of metal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or strength. There are a plurality of nets are installed in the inside so as to classify the recycled goods by type, and the fixed form of the frame is fixing the connection between each frame by welding.

그러나 용접으로 연결된 분리수거대의 경우,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차량 적재에 한계가 있는 점을 고려하면 운반비가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를 일일이 용접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이 복잡하여 결국 제작비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eparate collection platform connected by welding, considering the limitation of the loading of the vehicle due to its large volume, it is not only expensive to carry, but also requires a long time to weld the joints, which is time-consuming and complicated to manufacture. There is an expensive problem.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X"자 형 프레임의 크로스(CROSS) 부분을 힌지로 연결하여 프레임을 절첩되게 한 접이식 분리수거대가 출시되고는 있으나, 이 역시 부피를 충분히 줄일 수 없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or example, there is a folding detachable collection platform that allows the frame to be folded by connecting a cross portion of the "X" shaped frame with a hinge, but this also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volume cannot be sufficiently reduced. But there is a problem of weak durability.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분리수거대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 연결 부분을 간단하게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적 강도가 우수한 분리수거대용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simply connecting each frame connecting part constituting the separate collection in a prefabricated structure, but also excellent separation strength frame connector for durability The object is to provide a used frame assembly.

아울러 본 고안은 분리수거대를 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되, 작업성을 고려하여 특별한 공구 없이 효율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조립을 완료할 수 있는 분리수거대용 프레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collection assembly, but in consideration of the workability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frame connector for the separation collection can be completed quickly and efficiently without special tool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 연결구의 몸체 일측 또는 직각 방향 2개소에 형성된 결속바가 몸체와 턱이 진 단부로 연결되고, 상기 결속바의 외면 소정부에 돌기부를 구성하여 프레임과 억지끼움이 가능하게 되며, 몸체의 일측 에 재활용품을 담는 그물망을 걸 수 있도록 걸이핀이 나합 가능한 나공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inding bar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or two right angles of the fram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ody and the jaw, and constitutes a proj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inding bar to form a tight fit It will be possi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of the body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ok pins can be hooked to hang the net containing the recyclable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대의 전체 사시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e collection ba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분리수거대의 일반적인 형태는 상부에 소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횡프레임(1)이 평행하게 마련되고, 각 횡프레임(1)의 사이에는 각 선단에 외측 횡간프레임(2)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내측 횡간프레임(2a)이 설치되어 각 횡간프레임(2)(2a)의 사이 공간이 재활용품을 버릴 수 있는 투입구로 활용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general form of the separate collection stand, a pair of transverse frames 1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re provided in parallel, and an outer transverse frame 2 at each end between each transverse frame 1. Is installed, the inner transverse frame (2a)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space between each transverse frame (2) (2a) is utilized as an inlet for discarding the recycled products.

이때, 상기 횡프레임(1)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입설된 적어도 4개 이상의 종프레임(3)에 의해 지지되며, 이들 각 프레임(1)(2)(2a)(3) 간의 지지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프레임(3)의 하부에 각 종프레임(3)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프레임(4)이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horizontal frame (1) is supported by at least four or more vertical frames (3) vertically placed from the ground, and improves the bearing capacity and durability between each of the frames (1) (2) (2a) (3) A support frame 4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ongitudinal frame 3 to interconnect each longitudinal frame 3.

도시된 분리수거대의 예는, 분리수거대를 구성하는 일반적이고 최소한의 구성을 갖춘 형태로써, 대용량 및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종프레임(3)의 수를 늘리거나 각 종프레임(3)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이 선택적 위치에 더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이들 각 프레임은 경량화를 위해 대부분 속이 빈 중공상태로 제조된다.An example of the separate collection shown is a general and minimal configuration that constitutes the separation collection,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capacity and strength, the number of the vertical frames 3 is increased or the vertical frames 3 are interconnected. It is obvious that the supporting frame 4 may be further installed in an optional position, and each of these frames is mostly manufactured in a hollow hollow state for light weight.

본 고안은 상기 각 프레임(1)(2)(2a)(3)(4)의 단부를 모서리연결구(10)와 수 직연결구(20)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each of the frame (1) (2) (2a) (3) (4) can be connected to the corner connector 10 and the vertical connector (20).

즉, 횡프레임(1)과 외측 횡간프레임(2)이 맞닿은 외곽 모서리 부분은 모서리연결구(10)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기타 횡프레임(1), 횡간프레임(2)(2a), 종프레임(3) 및 지지프레임(4)의 각 단부는 수직연결구(20)를 사용하여 연결한 것인데, 이들 연결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한다.That is, the outer edge portion where the transverse frame 1 and the outer transverse frame 2 contact each other is connected by using the corner connector 10, and the other transverse frame 1, the transverse frame 2, 2a, and the vertical frame ( 3) and each end of the support frame 4 is connected by using the vertical connector 20,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se connect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프레임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2a는 모서리연결구(10)로써 횡프레임(1)과 외측 횡간프레임(2)을 연결하기 전의 분해 상태를, 도 2b는 이들이 상호 조립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rame connector enlarged "A" of Figure 1, Figure 2a is an exploded state before connecting the transverse frame (1) and the outer transverse frame (2) as a corner connector (10) 2b shows a state in which they are assembled together.

도 2a를 참조하면, 모서리연결구(10)는 6면체로 형성된 몸체(11)의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속바(12)(13)를 구비하고, 몸체(11)에 대한 각 결속바(12)(13) 연결부분은 턱이 진 단부(14)를 형성하고 있으며, 단부(14)의 높이는 각 결속바(12)(13)에 결속될 횡프레임(1) 및 외측 횡간프레임(2)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2A, the corner connector 10 includes binding bars 12 and 13 protruding at right angles to the body 11 formed of a hexahedron, and each binding bar 12 for the body 11. (13) The connecting portion forms a tucked end 14, the height of the end 14 being the thickness of the transverse frame 1 and the outer transverse frame 2 to be bound to the respective engagement bars 12, 13; It is aesthetically preferable to make it almost the same a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각 결속바(12)(13)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1)의 소정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나사산이 가공된 나공(16)이 천공되어 있어서 걸이핀(5)이 나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모서리연결구(10)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모든 구성요소를 일체로 성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재질 및 제조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binding bars 12, 13 is formed with a projection 15 protruding outward,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11, as shown in the screw thread is processed on the inner surface 16 The perforated hook pin (5) can be screwed together to be fixed, the corner connector (10) formed in this way is preferably molded by injection molding all components integrally, but th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is limited It is not there.

도 2b는 모서리연결구(10)의 각 결속바(12)(13)에 외측 횡간프레임(2)과 횡프레임(1)이 각각 결속되고, 걸이핀(5)이 나공(16)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다.2b shows that the outer transverse frame 2 and the transverse frame 1 are respectively bound to each binding bar 12, 13 of the corner connector 10, and the hook pin 5 is fastened to the hole 16. Indicates.

도 2b와 같이 외측 횡간프레임(2) 및 횡프레임(1)이 각 결속바(12)(13)에 끼워져 결속될 때 돌기부(15)에 의해서 억지끼움이 가능하게 되어 외측 횡간프레임(2) 및 횡프레임(1)이 각 결속바(12)(13)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되고, 또한 몸체(11)의 외면과 각 프레임(1)(2)의 외면이 단부(14)에 의해 어느 한 쪽이 돌출되지 않고 평면 상태를 이루어서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As shown in FIG. 2B, when the outer transverse frame 2 and the transverse frame 1 are fitted to each of the binding bars 12 and 13 and bound together, the outer transverse frame 2 and the transverse frame 1 can be pressed by the protrusions 15. The transverse frame 1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each of the binding bars 12 and 1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 and the outer surface of each frame 1, 2 are either ended by the end 14 This does not protrude and becomes a flat state so as not to harm the aesthetics.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핀(5)은 재활용품을 담을 수 있는 그물망(부호 미표기)을 거는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걸이핀(5)은 도 1에서와 같이 모서리연결구(10)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수직연결구(20)에도 결속됨으로써 재활용품을 용도별도 분리할 때 각 재활용품을 담는 그물망을 걸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b hanger pin (5) is used for hanging the net (not shown) that can contain the recycled, the hanger pin (5) as shown in Figure 1 as well as the corner connector 10 In addition, it is also bound to the vertical connector 20 to be described later to separate the recycled products for each use so that each can hold a net containing the recycled products.

도 3은 도 1의 "B"부를 확대한 프레임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3a는 수직연결구(20)로써 횡프레임(1)과 내측 횡간프레임(2a)을 연결하기 전의 분해 상태를, 도 3b는 이들의 상호 조립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rame connector enlarged "B" of Figure 1, Figure 3a is a vertical connector 20 is a disassembled state before connecting the transverse frame 1 and the inner transverse frame (2a) 3b shows their mutually assembled state.

도 3a를 참조하면, 수직연결구(20)는 6면체로 형성된 몸체(21)의 대향 면에 각각 체결공(23)이 형성된 고정날개(22)를 구비하고, 고정날개(22)에 대해서 직각한 일 방향으로 돌출된 결속바(24)를 구비하며, 몸체(11)에 대한 결속바(24) 연결부분은 턱이 진 단부(25)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단부(25)의 높이는 결속바(24)에 결속될 내측 횡간프레임(2a)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3A, the vertical connector 20 includes fixing blades 22 having fastening holes 23 form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body 21 formed of a hexahedron, and perpendicular to the fixing blades 22. The binding bar 24 protrudes in one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bar 24 connecting to the body 11 forms a tucked end 25, and the height of the end 25 is a binding bar ( Although it is aesthetically preferable to make it almost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inner side frame 2 to be bound to 24), it is not limited to this.

그리고 상기 각 결속바(24)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21)의 소정부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가공된 나공(27)이 천공 되어 있어서 걸이핀(5)이 나합 고정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수직연결구(20)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모든 구성요소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재질과 제조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And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binding bar 24 is formed with a protrusion 26 protruding outward,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21 is a threaded ho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eaded hole (27) is drilled to the hook pin ( 5) It is possible to fix the combination, the vertical connector 20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ll components integrally with synthetic resin, but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도 3b는 수직연결구(20)의 결속바(24)에 내측 횡간프레임(2a)이 결속되고, 걸이핀(5)이 나공(27)에 체결되며, 고정날개(22)가 횡프레임(1)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로 체결나사(6)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다.3b shows that the inner transverse frame 2a is fastened to the binding bar 24 of the vertical connector 20, the hook pin 5 is fastened to the hole 27, and the fixed blade 22 is the transverse frame 1. It shows the state which is fastened by the fastening screw 6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도 3b와 같이 내측 횡간프레임(2a)이 결속바(24)에 끼워져 결속될 때 돌기부(26)에 의해서 억지끼움이 가능하게 되어서 내측 횡간프레임(2a)이 결속바(24)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되고, 또한 몸체(21)의 외면과 내측 횡간프레임(2a)의 외면이 단부(25)에 의해 어느 한 쪽이 돌출되지 않고 평면 상태로 결속되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3B, when the inner transverse frame 2a is fitted into the binding bar 24 and bound,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inner transverse frame 2a is easily removed from the binding bar 24 by the protrusion 26. Further,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ransverse frame 2a are bound in a planar state without any one protruding by the end 25, they do not harm the aesthetics.

또한, 수직연결구(20)는 체결나사(6)가 체결공(23)을 관통하여 횡프레임(1)에 체결되기 때문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때 횡프레임(1)에는 체결나사(6)가 체결될 수 있는 구멍(부호 미표기)을 미리 천공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vertical connector 20 is firmly fixed because the fastening screw 6 is fastened to the horizontal frame 1 through the fastening hole 23, and the fastening screw 6 is fastened to the horizontal frame 1. A hole (unsigned) that may be used may be drilled in advance.

한편, 수직연결구(20)에 나합된 걸이핀(5)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서리연결구(10)에 나합된 걸이핀(5)과 함께 재활용품을 담는 그물망을 거는 용도로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hanger pin 5 screwed to the vertical connector 20 is used for hanging the net containing the recycled goods with the hanger pin 5 screwed to the corner connector 10 as described above.

이상, 설명된 모서리연결구(10) 및 수직연결구(20)는 도 1의 "A"부 및 "B"부에 한정된 도면으로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연결구로써 도 1의 각 프레임(1)(2)(2a)(3)(4)의 단부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므로, 각 연결부분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The corner connector 10 and the vertical connector 20 described above have been described in the drawings limited to the "A" part and the "B" part of FIG. 1, but each frame (1) (2) of FIG. Naturally, it can be appropriately installed at the ends of 2a) (3) (4) in the same manner,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nnection portion is omitted.

도 4는 도 1의 "C"부를 확대한 프레임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종프레임(3)의 하단에서 지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넓게 하여 분리수거대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목적으로 구성된 받침대를 보인 것이지만, 이는 전술한 수직연결구(20)를 적용한 것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rame connector enlarged in the "C" of Figure 1, showing a pedestal configured for the purpose of stably installing the separation basin by widening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groun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frame (3) However, this applies to the vertical connector 20 described above.

즉, 수직연결구(20)의 몸체(21)와 고정날개(22)의 바닥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1)의 외면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고정날개(22)에 의해 접촉면적이 넓어지므로 지면과 접촉될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21 and the fixed blade 22 of the vertical connector 20 is flat, as described above, the fixed blade 22 can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 As the contact area is widened, it can be used as a pedestal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따라서 도 4a와 같이 수직연결구(20)에 형성된 결속바(24)는 종프레임(3)의 하단으로 삽입되어 도 4b와 같은 상태로 결속되며, 이때 몸체(21) 하단과 고정날개(22) 하단이 지면에 접촉됨으로써 분리수거대가 지면에 설치되게 하는 것으로, 수직연결구(20)가 종프레임(4)의 하단에 결속되는 구조는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refore, the binding bar 24 formed in the vertical connector 20 as shown in Figure 4a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3) and boun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4b, at this time the lower body 21 and the lower wing 22 By contacting the ground so that the separate collection basin is installed on the grou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connector 20 is boun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4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3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에 의하면, 각 프레임 및 연결구를 조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한번에 많은 양의 분리수거대를 운반할 수 있고 분리수거대를 보관할 때에도 각 프레임을 분리하여 체적을 줄인 상태에서 보관이 가능하므로 물류비 및 관리비가 현저하게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rame assembly us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transport a large amount of separate collection basins at a time without assembling each frame and the connection, and to separate each frame even when storing the separate collection vol. Since it can be stored in a reduced st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gistics and management costs ar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분리수거대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까지 운반한 상태에서 각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과 수직 연결부분을 각각 억지 끼움방식과 나사체결 방식으로 적절하게 혼용하여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직연결구는 프레임 연결과 분리수거대의 받침대로 사용이 가능하고 연결구에 그물망 걸이핀을 설치할 수 있는 나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부품의 효율성 향상과 함께 복잡한 작업 없이 간단하게 체결, 조립이 가능하므로, 결국 분리수거대의 제조원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by appropriately mixing the corners and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of each frame by the interference fitting method and the screwing method while transporting to the place where the separate collection platform is to b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use as a pedestal and to form a hollow hole for installing a net hook pin in the connector, so that it is possible to fasten and assemble it without any complicated work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parts. Has the effect.

이상 설명된 프레임 연결구는 재활용품 분리수거대의 예시로써 설명되었지만, 동일한 기술사상 및 구성에 의해서라면 분리수거대로만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을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곳에 적용이 가능함은 당연하고, 그러한 변경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의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Although the frame connector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separate collection stand for recycling, it is not limited to the separate collection area by the same technical concept and configuration, and it is obvious that the frame connector can be applied to a place where the frame can be assembled by assembly. It can be easi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belongs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중공 프레임을 직각 또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결시킨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A fram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hollow fram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re interconnected in a perpendicular or vertical direction, 각 프레임의 모서리부분을 결속하는 모서리연결구는 6면으로 형성된 몸체의 직각 방향 면 2개소에 마련된 결속바가 몸체와 턱이 진 단부를 가지도록 돌출 연장되게 구성되고,  The corner connector that binds the corners of each frame is configured to extend so that the binding bars provided at the two right sides of the body formed of six sides have a protruding end with the body. 각 프레임의 수직 연결부분을 결속하는 수직연결구는 6면으로 형성된 몸체의 대향 면 2개소에 체결나사가 관통하는 체결공이 구비된 고정날개가 돌출 연장되고 고정날개에 대한 몸체의 수직면에 마련된 결속바가 몸체와 턱이 진 단부를 가지도록 돌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The vertical connector, which binds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of each frame, has two fastening blades provided with fastening holes through the fastening screws on two opposite surfaces of the body formed by six sides, and a binding bar provided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fixed blades. And a jaw extending protruding to have a protruding end.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모서리연결구 및 수직연결구의 각 몸체 소정부에 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Fram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formed in each of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orner connector and the vertical connector.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수직연결구의 몸체와 고정날개의 바닥면은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Fram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the fixed blade of the vertical connector.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각 결속바의 외면에는 프레임과 억지끼움이 가능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Fram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binding bar to enable the frame and interference fit.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모서리연결구 및 수직연결구의 단부 높이는 프레임의 판재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Frame en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height of the corner connector and the vertical connector is almost the same as the plate thickness of the frame.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중공 프레임을 직각 또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결시킨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A fram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hollow fram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re interconnected in a perpendicular or vertical direction, 프레임의 모서리연결구는 6면으로 형성된 몸체의 직각 방향 면 2개소에 마련된 결속바가 몸체와 턱이 진 단부를 가지도록 돌출 연장되어 중공 프레임에 내입 결속되고,    The corner connector of the frame is formed in two orthogonal sides of the body formed in six sides protrudingly extended so as to have a body and the end of the jaw, the in-bound binding to the hollow frame, 프레임의 수직연결구는 6면으로 형성된 몸체의 대향 면 2개소에 체결나사가 관통하도록 체결공이 구비된 고정날개가 돌출 연장되고 고정날개에 대한 몸체의 수직면에 마련된 결속바가 몸체와 턱이 진 단부를 가지도록 돌출 연장되어 중공 프레임에 내입 결속되며,    The vertical connector of the frame has a fixed blade with fastening holes to protrude through two opposite faces of the body formed of six sides, and a binding bar provided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fixed blade has a body and a tucked end. Protruding so that it is indented to the hollow frame, 상기 각 몸체의 소정부에 나공을 마련하되 상기 나공에 걸이핀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Frame assembly using a fram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hole in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each body, the hook pin is fastened to the hole. 삭제delete
KR2020050026768U 2005-09-16 2005-09-16 Frame connector and assembly of frame using the same KR2004061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68U KR200406159Y1 (en) 2005-09-16 2005-09-16 Frame connector and assembly of fram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68U KR200406159Y1 (en) 2005-09-16 2005-09-16 Frame connector and assembly of fram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159Y1 true KR200406159Y1 (en) 2006-01-20

Family

ID=4175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768U KR200406159Y1 (en) 2005-09-16 2005-09-16 Frame connector and assembly of fram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15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768B1 (en) * 2006-02-20 2007-04-17 양선아 Folding type garbage ca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768B1 (en) * 2006-02-20 2007-04-17 양선아 Folding type garbage c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4998A1 (en) Unitary body bedding foundation
CZ295263B6 (en) Construction system
KR101669575B1 (en) Booth frame capable of assembly of the various panels
KR200406159Y1 (en) Frame connector and assembly of frame using the same
US20070062896A1 (en) Hanging shelving system for utility shed
JP3841177B2 (en) Plastic pallet
KR101404424B1 (en) Prefabricated warehouse
US7516864B2 (en) Built-up container
KR101359906B1 (en) Modular assembly partition
US7322483B2 (en) Cantilever shelving for utility shed
KR101359491B1 (en) Knockdown furniture system
WO2012032517A1 (en) Strengthening element for an objec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1852520B1 (en) Prefabricated pallet equipped with a fixing pin
KR200473130Y1 (en) Prefabrted storage closet
KR101612531B1 (en) Steel pallet
KR102113337B1 (en) Sewing partition
KR101844991B1 (en) container
JPH11188066A (en) Coffin
KR101902874B1 (en) A floor structures
JP2004345737A (en) Resin-made pallet
KR20100008163U (en) Hanger for separate collection
CN218736479U (en) Cat lavatory with beta structure
KR200216031Y1 (en) Door-hung multipurpose shelf assembly with hangers and clips
JP3238995U (en) Assembled storage box
KR960009818Y1 (en) Assembling brick for ornamental purpo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