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179Y1 -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179Y1
KR200405179Y1 KR2020050030497U KR20050030497U KR200405179Y1 KR 200405179 Y1 KR200405179 Y1 KR 200405179Y1 KR 2020050030497 U KR2020050030497 U KR 2020050030497U KR 20050030497 U KR20050030497 U KR 20050030497U KR 200405179 Y1 KR200405179 Y1 KR 200405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rib
protruding
frame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근
Original Assignee
송주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근 filed Critical 송주근
Priority to KR2020050030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1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1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4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clamp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판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여 단부로부터 절곡된 제1걸림부가 형성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돌출리브와, 상기 제1돌출리브의 바깥 영역에 소정간격을 두고 하부로 돌출한 한 쌍의 제2돌출리브와, 상기 제2돌출리브의 바깥 영역에 소정거리 간격을 두고 하부로 돌출한 한 쌍의 제3돌출리브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돌출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리브의 제1걸림부에 상호 걸리도록 단부로부터 절곡된 제2걸림부가 형성된 한 쌍의 제4돌출리브를 구비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일단의 하부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면에 맞닿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기 제1돌출리브와 상기 제2돌출리브에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기 제4돌출리브와 함께 개재되는 제5돌출리브를 구비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시공 및 분해가 가능한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가 제공된다.
건축물의 벽체, 천장구조물, 폴리카보네이트

Description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Panel Supporting System for Wall or Roof in Structur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결합치구에 의해 패널을 지지하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 중 상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 중 하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중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프레임 11: 상부판
12: 제1돌출리브 13: 제1걸림부
14: 제2돌출리브 15: 제3돌출리브
16: 연결부 20: 하부프레임
21: 하부판 22: 제4돌출리브
23: 제2걸림부 24: 나사결합홈
30: 패널 31: 본체
32: 날개부 33: 제5돌출리브
40: 천장골조 50: 실링부재
본 고안은 건축물의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에 설치되는 패널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벼우면서 간단한 방법에 의해 시공할 수 있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재래시장의 통로에 설치되어 행인들이 비 또는 눈에 구애받지 않 고 자유로이 다닐 수 있는 천장구조물이 설치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재래시장의 통로에 설치되는 옥외 구조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은 기둥과 연결되는 여러 개의 천장골조를 등간격으로 배열한 다음 이를 한 개 이상의 횡골조로 지지하여 벽체 또는 천장의 기초를 만든 후, 골조 상면에 패널을 설치하여 벽체 또는 천장의 구조물을 구성한다. 골조에 설치되는 패널은 종과 횡으로 구성되는 여러 개의 골조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그 단부를 골조에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이때, 여러개의 패널을 상호 연결하고 골조에 결합시키는 별도의 결합치구가 요구되며, 이러한 결합치구로써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실용신안 등록 제20-0238568호에 개시된 것들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결합치구에 의해 패널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지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지지 구조물의 지지구조는 상면 양측에 형성된 하부부착홈(110)에 부착되는 하부 고무재패킹(120) 및 중앙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하부돌출부(13)를 포함하는 하부프레임(100)과; 하면 양측에 형성된 상부부착홈(210)에 부착되는 상부 고무재패킹(220)과, 중앙부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상부돌출부(230)와, 상부돌출부(230)의 하면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연장부(240)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200)과; 하부돌출부(130)와 상부돌출부(230)를 체결하여 하부프레임(100)과; 상부프레임(20)을 결합시키는 나사(30)를 포함한 결합치구에 의해 천장골조에 결합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패널의 지지구조는 결합치구가 패널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마련되어 외관상 매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결합치구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나사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게 되므로, 그 결합 및 해체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천장구조물의 설치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어 시공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치구의 두께가 패널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마련하여 수려한 외관을 가진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결합치구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클립방식으로 결합하여 결합 및 분해가 간단하며, 이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을 신속하며 간단하게 시공하여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패널의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판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여 단부로부터 절곡된 제1걸림부가 형성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돌출리브와, 상기 제1돌출리브의 바깥 영역에 소정간격을 두고 하부로 돌출한 한 쌍의 제2돌출리브와, 상기 제2돌출리브의 바깥 영역에 소정거리 간격을 두고 하부로 돌출한 한 쌍의 제3돌출리브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리브의 제1걸림부에 상호 걸리도록 단부로부터 절곡된 제2걸림부가 형성된 한 쌍의 제4돌출리브를 구비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일단의 하부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면에 맞닿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기 제1돌출리브와 상기 제2돌출리브에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기 제4돌출리브와 함께 개재되는 제5돌출리브를 구비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2돌출리브와 상기 제3돌출리브는 상호 연결된 것이 하부프레임의 제4돌출리브와 패널의 제5돌출리브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2돌출리브와 상기 제3돌출리브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상부 및 하부프레임에 개재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패널은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이며, 상기 하부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인 것이 경량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프레임은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나사결합홈이 형성되어 골조에 결합시킬 수 있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의 지 지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3의 AA'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는 크게 골조(40)에 패널(30)을 결합시키는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으로 구성된 결합치구와, 결합치구에 의해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을 형성하는 패널(30)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 중 상부프레임(1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은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마련되며, 골조(4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부판(11)과, 상부판(11)의 판면으로부터 아랫방향으로 제1돌출리브(12), 제2돌출리브(14), 제3돌출리브(15)가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1돌출리브(12)는 중앙부의 가장 가깝게 형성되며, 제1돌출리브(12)의 단부에는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1걸림부(13)가 형성되어있다. 제2돌출리브(14)는 제1돌출리브(13)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비슷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한 제4돌출리브(22)와 제5돌출리브(33)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로 제1돌출리브(12)와 이격되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3돌출리브(15)는 제2돌출리브(14)의 바깥측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제2돌출리브(14)의 2/3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돌출리브(14)와 제3돌출리브(15)는 연결부(16)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있다. 즉, 제3돌출리브(15)의 하단부와 제2돌출리브(14)의 중간영역이 상호 연결되도록 연결부(16)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돌출리브(14), 제3돌출리브(15), 연결부(16)의 형상은 뒤집어진 "h"형상을 가진다.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는 일반적으로 내충격성, 투명성, 내열성, 내연성 등이 우수하며, 통상, 폴리카보네이트 시이트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패널은 폴리카보네이트 뿐만아니라 아크릴패널 등 다양한 패널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 중 하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0)은 알루미늄재질로 마련되며, 상부프레임(10)의 상부판(11)의 판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마련되는 하부판(21)과, 하부판(21)의 상면의 중앙영역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돌출한 제4돌출리브(22)가 마련된다. 한편, 제4돌출리브(22)의 단부에는 상술한 제1돌출리브(12)의 제1걸림부(13)와 상호 걸릴 수 있도록 중앙을 향하여 절곡된 제2걸림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 중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패널(30)은 폴리가보네이트 재질로 마련되며, 복층으로 구성된다. 패널(30)은 본체(31)의 일 측 단부의 하부영역으로부터 연장된 날개부(32)와, 날개부(32)의 일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된 제5돌출리브(33)를 포함한다. 패널(30)은 일단영역의 상면이 상부프레임(10)의 상부판(11) 하면과 접촉하여 밀착되어 있으며, 날개부(32)가 하부프레임(20)의 하부면에 접촉하여 밀착됨으로써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20)에 개재된다. 또한, 제5돌출리브(33)는 하부프레임(20)의 제4돌출리브(22)와 함께 상부프레임(10)의 제1돌출리브(12)와 제2돌출리브(14)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20), 패널(30)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날개부(32)는 상술한 제2돌출리브(14)와 제3돌출리브(15)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어 있어, 연결부(16)에 의해 연결된 제2돌출리브(14)와 제3돌출리브(15)가 패널(30)의 본체(31) 일단부와 제5돌출리브(32)가 이루는 이격공간으로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하부프레임(20)을 천장골조(40)에 결합한다. 이때, 하부프레임(20)과 골조(40)를 나사(45)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킨다. 이어, 하부프레임(20)의 양측에 패널(30)을 위치시킨다. 이때, 패널(30)의 날개부(32)를 하부프레임(20)의 하부판(21) 양측에 위치시킨 후 하부프레임(20)의 제4돌출리브(22)와 패널(30)의 제5돌출리브(33)를 서로 맞닿도록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부프레임(10)을 하부프레임(20)과 결합시킨다. 이때, 제1걸림부(13)와 제2걸림부(23)가 상호 체결되도록 상부프레임(10)의 제1돌출리브(12)와 하부프레임(20)의 제4돌출리브(22)는 서로 맞닿게 된다. 또한, 제1돌출리브(12)와 제2돌출리브(14) 사이에 제4돌출리브(22)와 제5돌출리브(33)는 함께 끼워지며, 제5돌출리브(33)와 패널(30)의 본체 일단면 사이에 연결부(16)에 의해 연결된 제2돌출리브(14)와 제3돌출리브(15)가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은 모든 조립이 완료되더라도 패널(30)의 상하면으로부터 크게 돌출되지 않으면서 두 장의 패널(30)을 상호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20)을 상호 끼워서 조립하므로 두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나사가 필요치 않아 간단한 방법으로 패널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달리 상부프레임(10)의 상부판(11)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실링부재(50)가 마련되어 있으며, 다른 구성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실링부재(50)로서 고무재 패킹 또는 양면 접착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50)가 상부프레임(10)의 상부판(11)과 패널(30)의 본체(31) 상부면을 보다 기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어, 비 또는 눈이 오더라도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을 통하여 누수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달리 하부프레임(20)의 하면 중앙을 따라 나사결합홈(24)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 된다. 따라서, 하부프레임(20)을 천정골조(40)에 조립할 때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가능한 다양한 변형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등의 결합치구의 두께가 패널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마련하여 수려한 외관을 가진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결합치구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클립방식으로 결합하므로 결합 및 분해가 간단하며, 이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을 신속하며 간단하게 시공하여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가 제공된다.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판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여 단부로부터 절곡된 제1걸림부가 형성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돌출리브와, 상기 제1돌출리브의 바깥 영역에 소정간격을 두고 하부로 돌출한 한 쌍의 제2돌출리브와, 상기 제2돌출리브의 바깥 영역에 소정거리 간격을 두고 하부로 돌출한 한 쌍의 제3돌출리브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돌출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리브의 제1걸림부에 상호 걸리도록 단부로부터 절곡된 제2걸림부가 형성된 한 쌍의 제4돌출리브를 구비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일단의 하부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면에 맞닿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기 제1돌출리브와 상기 제2돌출리브에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기 제4돌출리브와 함께 개재되는 제5돌출리브를 구비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리브와 상기 제3돌출리브는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
  3. 제1항 또는 제2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2돌출리브와 상기 제3돌출리브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패널은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이며, 상기 하부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 나사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지지구조.
KR2020050030497U 2005-10-27 2005-10-27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KR200405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497U KR200405179Y1 (ko) 2005-10-27 2005-10-27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497U KR200405179Y1 (ko) 2005-10-27 2005-10-27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179Y1 true KR200405179Y1 (ko) 2006-01-10

Family

ID=4175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497U KR200405179Y1 (ko) 2005-10-27 2005-10-27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17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090B1 (ko) 2007-06-12 2009-04-06 이윤희 채광패널 시스템
KR100903648B1 (ko) 2008-04-17 2009-06-18 주식회사 동부애드산업 광고판 조립 구조
KR200449094Y1 (ko) * 2010-02-18 2010-06-17 송주근 패널조립체
KR101052892B1 (ko) 2010-12-13 2011-07-29 서북종합금속 주식회사 차양장치용 차양 지붕재 고정판
KR102149846B1 (ko) * 2019-11-05 2020-09-01 (주)동신폴리켐 굽힘하중 및 단열성 향상구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다층시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090B1 (ko) 2007-06-12 2009-04-06 이윤희 채광패널 시스템
KR100903648B1 (ko) 2008-04-17 2009-06-18 주식회사 동부애드산업 광고판 조립 구조
KR200449094Y1 (ko) * 2010-02-18 2010-06-17 송주근 패널조립체
KR101052892B1 (ko) 2010-12-13 2011-07-29 서북종합금속 주식회사 차양장치용 차양 지붕재 고정판
KR102149846B1 (ko) * 2019-11-05 2020-09-01 (주)동신폴리켐 굽힘하중 및 단열성 향상구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다층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4727B2 (en) Wall structure assembly
AU2011340799B2 (en) Frame connection
US7600350B2 (en) Thermally broken sunshade anchors
KR200405179Y1 (ko)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KR200446655Y1 (ko) 패널조립체
CN101720373A (zh) 用于建筑用途的组合式面板组件
KR200450351Y1 (ko) 패널조립체
US20040065031A1 (en) Cornerboard assembly
KR200423646Y1 (ko)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KR20110001689U (ko)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JP4886724B2 (ja) 建築用外装ルーバー
KR20090005191U (ko) 패널의 지지구조
KR101715680B1 (ko) 보강형 골조 및 에어패널을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구조물
KR101682977B1 (ko) 간판용 프레임
KR200494910Y1 (ko) 온실용 용마루
KR200407694Y1 (ko) 조립식 배기 덕트
KR200489531Y1 (ko) 복층패널 연결용 프레임
KR102247837B1 (ko) 조립식하우스
JP2754449B2 (ja) 面材支持部材
KR100663107B1 (ko) 건물용 조립식 캐노피의 구조 및 설치방법
KR100959631B1 (ko) 채광판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지붕 구조
JPH06146450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
RU48565U1 (ru) Алюминиевый профиль
KR100471961B1 (ko) 조립식 문짝
KR20200000602U (ko) 온실용 용마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