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805Y1 - 흡착구 - Google Patents

흡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805Y1
KR200404805Y1 KR20-2005-0028544U KR20050028544U KR200404805Y1 KR 200404805 Y1 KR200404805 Y1 KR 200404805Y1 KR 20050028544 U KR20050028544 U KR 20050028544U KR 200404805 Y1 KR200404805 Y1 KR 200404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plate
adsorption port
port
attach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명
김광철
Original Assignee
김광철
최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철, 최재명 filed Critical 김광철
Priority to KR20-2005-0028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8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8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Landscapes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착구의 구조를 개량하여 흡착구의 흡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흡착구에 관한 것이다.
벽면에 부착 설치된 흡착구가 벽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흡착구에 하중이 전가되는 경우 하중의 진행 방향에 대향되는 부위가 제일먼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고, 이러한 이격이 계속 진행되면서 결국 흡착구가 벽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 이탈된다.
본 고안은 흡착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흡착구에 전가되는 하중의 진행방향과 대향되는 부위에 별도의 보조부착장치(5)를 부가 설치시켜 구성함으로써, 흡착구의 취약부인 하중 전가방향의 대향부에 별도의 보조부착장치가 설치됨에 따라 흡착구의 흡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착구{Absorber}
본 고안은 진공력을 이용하여 피 부착물을 부착 고정시키는 흡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착구의 구조를 개량하여 흡착구의 흡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흡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착구는 진공력을 이용하여 매끄러운 면을 갖는 벽이나 거울 또는 타일 등의 평탄면에 흡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각종 생활용품을 비롯하여 산업상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흡착구는 별도의 설치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과 탈착 후에도 벽체면이 손상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그 이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흡착구는 흡착구가 발휘할 수 있는 흡착력의 한계로 중량체의 물건인 경우 지속하여 부착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흡착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다양한 종류의 흡착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흡착구에 연질의 실린콘 링과 같은 실링부재를 설치시켜 흡착구의 흡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제안된 바 있다.
벽면에 부착 설치된 흡착구가 벽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흡착구에 하중이 전가되는 경우 하중의 진행 방향에 대향되는 부위가 제일먼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고, 이러한 이격이 계속 진행되면서 결국 흡착구가 벽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 이탈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흡착구의 구조를 개량하여 흡착구의 흡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흡착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흡착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흡착구에 전가되는 하중의 진행방향과 대향되는 부위에 별도의 보조부착장치를 부가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흡착구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흡착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흡착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흡착구에 전가되는 하중의 진행방향과 대향되는 부위에 별도의 보조부착장치(5)를 부가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착구가 흡착판(1)의 이면 중앙에 피부착물이 설치되는 걸이구(10)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는 보조부착장치(5)가 흡착판(1)의 이면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부착장치(5)는 흡착판(1)과 연결되는 링크(51)와, 링크(51)의 선단에 형성되는 부착판(52)과, 부착판(52)의 전면에 설치되는 양면테이프(53)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크(51)는 흡착판(1)에 일체감 있게 고정 설치될 수도 있으나, 흡착판(1)에 축수(54)를 형성시키고, 링크(51)의 일단에 상기 축수(54)와 연결되는 힌지축(55)을 형성시켜 링크(51)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써, 흡착구가 흡착판(1)과 흡착판(1)에 매립 설치되는 볼트축(2)과, 상기 흡착판(1)의 이면에 설치되어 흡착판(1)을 지지하는 하우징(3)과, 상기 하우징(3)을 관통하는 볼트축(2)에 체결되어 흡착판(1)의 흡착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4)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는 보조부착장치(5)가 하우징(3)의 이면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3)의 둘레에 안내홈(30)을 형성시키고, 축수(54)에 상기 안내홈(30)에 삽입되어 걸리는 돌기(56)를 형성시켜 보조부착장치(5)의 설치위치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에는 상기 압력조절부(4)가 볼트축(2)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압력조절부(4)는 다양하게 변형실시 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수단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흡착구 설치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흡착판(1)을 설치시키고자하는 벽체에 밀착시킨 후 압력조절부(4)를 동작시켜 볼트축(2)을 후퇴시키게 되면 흡착판(1)의 중심이 후퇴되면서 흡착판(1) 내부가 진공되어 벽체에 흡착구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흡착구의 설치가 완료되면 피부착물의 하중이 전가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보조부착장치(5)를 이동시키고, 링크(51)를 힌지축(55)을 중심으로 회동시킨 다음 부착판(52)에 설치된 양면테이프(53)를 벽면에 고정 부착시키는 것으로 흡착구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흡착구의 취약부인 하중 전가방향의 대향부에 별도의 보조부착장치가 설치됨에 따라 흡착구의 흡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흡착구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흡착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흡착판 2. 볼트축
3. 하우징 4. 압력조절부
5. 보조부착장치 51. 링크
52. 부착판 53. 양면테이프
54. 축수 55. 힌지축

Claims (6)

  1. 흡착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흡착구에 전가되는 하중의 진행방향과 대향되는 부위에 별도의 보조부착장치(5)를 부가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착장치(5)가 흡착판(1)과 연결되는 링크(51)와, 링크(51)의 선단에 형성되는 부착판(52)과, 부착판(52)의 전면에 설치되는 양면테이프(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구.
  3. 제 2 항에 있어서, 흡착판(1)에 축수(54)를 형성시키고, 링크(51)의 일단에 상기 축수(54)와 연결되는 힌지축(55)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구.
  4. 제 1 항에 있어서, 흡착구가 흡착판(1)의 이면 중앙에 피부착물이 설치되는 걸이구(10)가 형성되고, 보조부착장치(5)가 흡착판(1)의 이면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구.
  5. 제 1 항에 있어서, 흡착구가 흡착판(1)과 흡착판(1)에 매립 설치되는 볼트축(2)과, 상기 흡착판(1)의 이면에 설치되어 흡착판(1)을 지지하는 하우징(3)과, 상기 하우징(3)을 관통하는 볼트축(2)에 체결되어 흡착판(1)의 흡착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4)로 형성되고, 보조부착장치(5)가 하우징(3)의 이면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에 보조부착장치(5)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안내홈(30)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구.
KR20-2005-0028544U 2005-10-06 2005-10-06 흡착구 KR200404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544U KR200404805Y1 (ko) 2005-10-06 2005-10-06 흡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544U KR200404805Y1 (ko) 2005-10-06 2005-10-06 흡착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974A Division KR20070036916A (ko) 2005-09-30 2005-09-30 흡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805Y1 true KR200404805Y1 (ko) 2005-12-28

Family

ID=4929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544U KR200404805Y1 (ko) 2005-10-06 2005-10-06 흡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8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113015A3 (en) Flexible fixture
EP1367301A4 (en) SEAL
WO2007050796A3 (en) Bone fastening assembly and bushing and screw for use therewith
WO2007146740A3 (en) Edge mount shelf light assembly
EP3175872A3 (en) Component module for a reduced pressure treatment system
WO2007149778A3 (en) Low-profile, aimable lighting assembly
CA2626012A1 (en) Multifunction aquarium cleaning device
WO2004045671A3 (en) Microstructure roller system
AU4981100A (en) Cable sway reduction device
WO2008083672A3 (de) Gehäuse für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anordnung eines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s in einem gehäuse
BRPI0503812A (pt) montagem de mola de ar com fixação de encaixe
EA200702511A1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опорная рамка для настенной установки упомянутог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EP1130951A3 (en) Hermetic enclosure having air pressure adjustable function
ITTV20040065U1 (it) Dispositivo di fissaggio di una puleggia.
EP1647646A3 (de) Randprofil eines Wandelements
KR200404805Y1 (ko) 흡착구
CA2579996A1 (en) Suction fluid collector for medical applications
KR20070036916A (ko) 흡착구
EP1881562A3 (en) Connector configuration
USD543896S1 (en) Fastening clip
USD607577S1 (en) Door
EP1106917A3 (en) A reversible fixing device for a lighting apparatus to be encased in a support panel such as a false ceiling
USD529091S1 (en) Electronics laboratory
DE50211442D1 (de) Anbauleuchte
USD558559S1 (en) Interconnecting alignment and support unit with latch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