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526Y1 - Device Transmitting Various Music On Hold for Key-Phone System - Google Patents

Device Transmitting Various Music On Hold for Key-Phon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526Y1
KR200404526Y1 KR20-2005-0029227U KR20050029227U KR200404526Y1 KR 200404526 Y1 KR200404526 Y1 KR 200404526Y1 KR 20050029227 U KR20050029227 U KR 20050029227U KR 200404526 Y1 KR200404526 Y1 KR 200404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ound
key phone
user
phon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2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9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52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526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5Notifying, informing or entertaining a held party while on hold, e.g. Music On 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폰시스템에서 통화보류 모드 설정시 상대방 통화자에게 송출되는 보류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ding sound that is sent to the other party's caller when the call hold mode is set in the key phone system.

본 고안에 따른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는 보류음으로 사용할 음원을 저장하는 사용자음원 저장부 및 외부장치에서 입력된 음원을 사용자음원 저장부에 저장하고 사용자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을 보류음으로 상대방 통화자에게 송출하는 사용자음원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dividual hold sound transmitting device in the key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for storing a sound source to be used as a reserved sound and a sound source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and holds the sound source stored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ser sound input and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the sound to the other party.

본 고안에 의하면 키폰단말기 사용자들이 개별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보류음을 키폰시스템에 미리 저장하고 통화보류 모드 설정시 상대방 통화자에게 보류음으로 송출할 수 있으며 하나의 단말기에서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보류음을 미리 저장해 놓고 그중 하나를 송출할 수도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키폰시스템에 저장된 보류음을 송출하므로 외부에 음향기기를 연결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of key phone terminals can individually store a desired hold sound in advance in the key phone system and send it to the other party as a hold sound when setting the call hold mode.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store them in advance and send one of them. In addition, since it transmits the hold sound stored in the key phone system,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need to connect an external audio device.

Description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Device Transmitting Various Music On Hold for Key-Phone System}Device Transmitting Various Music On Hold for Key-Phone System

본 고안은 키폰시스템에서 통화보류 모드 설정시 키폰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이 상대방 통화자에게 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음성신호를 차단하는 경우 상대방 통화자에게 송출되는 보류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ding sound that is sent to the other party's caller when the voice signal is blocked so that the user's voice is not heard by the other party's voice when the call hold mode is set in the key phone system.

종래의 키폰시스템에는 통화보류 기능이라는 것이 있는데, 통화보류 기능이란, 키폰시스템 사용자가 통화 중 다른 용무를 처리할 필요가 있거나 다른 키폰단말기로 통화 전환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대방 통화자와 키폰시스템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면서 키폰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등이 들리지 않게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통화보류 기능은 통상적으로 키폰단말기의 보류버튼 등을 통하여 실행된다. 키폰단말기 사용자가 보류버튼을 누르면 당해 키폰단말기는 통화보류 모드로 설정되고 키폰시스템과 상대방 통화자 간의 전화연결은 끊어지지 않지만 상대방 통화자는 키폰단말기 사용자 측의 음성을 들을 수 없게 된다.The conventional key phone system has a call hold function. The call hold function is used when the user of the key phone system needs to handle another business during a call or switch to another key phone terminal. This function prevents the user of the phone terminal user's voice from being heard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us. This call holding function is typically executed through a hold button or the like of the keypad terminal. When the user of the key phone terminal presses the hold button, the key phone terminal is set to the call hold mode and the telephone connection between the key phone system and the other party is not disconnected, but the other party cannot hear the voice of the user of the key phone terminal.

이러한 통화보류 기능은 통상적으로 보류음 송출기능과 함께 제공된다. 보류음(MOH, Music On Hold)이란, 키폰단말기 사용자가 통화보류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상대방 통화자에게 송출되는 음향이다. 이러한 보류음은 잠시 기다려 달라는 등의 안내음성이 될 수도 있고 음악이 될 수도 있다.This call hold function is typically provided with a hold tone transmission function. The music on hold (MOH) is a sound that is sent to the other party's caller when the user of the phone terminal is set to the call hold mode. Such a pending sound may be a guide voice such as a wait for a while or music.

종래의 통화보류시 보류음 송출기능에서 상대방 통화자에게 송출되는 음향은 키폰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내부음원과 외부기기로부터의 키폰시스템에 입력된 외부음원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외부음원을 보류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부음원 입력단자에 음향기기가 항상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내부음원이나 음향기기에서 입력되는 외부음원을 보류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키폰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키폰단말기에서 통화보류 모드 설정시에 동일한 음원이 보류음으로 송출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call holding function,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s caller can be selected from the internal sound source basically provided by the key phone system and the external sound source input to the key phone system from the external device. In case of sound use, sound equipment should always be connected to external sound source input terminal. When the external sound source input from the internal sound source or the audio device is used as the holding sound, the same sound source is transmitted as the holding sound when the call hold mode is set in all the key phone terminals connected to the key phone system.

이하에서는 종래의 보류음 송출기능을 갖춘 키폰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보류음 송출기능을 구비한 키폰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상기 키폰시스템(110)의 내부에는 내부음원 저장부(111)와 음성신호경로 제어스위치(112)가 있다. 키폰시스템(110)의 표면에는 외부음원 입력단자(113)가 있다. 그리고 키폰시스템(110)에는 음향기기(120)와 키폰단말기(130)가 연결되어 있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key phone system having a conventional reserved sound transmissi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1 is a block diagram of a key phone system having a conventional reserved sound transmission function. Inside the key system 110, there is an internal sound source storage 111 and the voice signal path control switch 112. The external sound source input terminal 113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key phone system 110. In addition, the sound system 120 and the key terminal 130 are connected to the key system 110.

상기 내부음원 저장부(111)는 키폰시스템(11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보류음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내부음원 저장부(111)는 음성신호경로 제어스위치(112)에 연결되어 저장된 음원을 음성신호경로 제어스위치(112)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신호경로 제어스위치(112)는 내부음원, 외부음원, 키폰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중에서 상대방 통화자에게 전송될 음향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음원 입력단자(113)는 음향기기(120)를 연결하여 보류음으로 사용할 음향기기(120)에서 출력되는 음원을 키폰시스템(110)에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음원 입력단자(113)로 입력된 음향기기(120)의 음원은 음성신호경로 제어스위치(112)에 전송된다.The internal sound source storage unit 111 is a part for storing the reserved sound basically provided in the key phone system 110. The internal sound source storage unit 111 is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path control switch 112 and transmits the stored sound source to the voice signal path control switch 112. The voice signal path control switch 112 selects a sound to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s caller from among an internal sound source, an external sound source, and a voice of a key-phone terminal user. The external sound source input terminal 113 connects the sound device 120 to input the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sound device 120 to be used as the reserved sound to the key phone system 110. The sound source of the sound device 120 input to the external sound source input terminal 113 is transmitted to the voice signal path control switch 112.

상기 키폰단말기(130)는 단말기 사용자가 키폰단말기(130)에 연결된 송수화기(132)를 통해 입력한 음성을 음성신호경로 제어스위치(112)에 전송하고 음성신호경로 제어스위치(112)에서 전송되는 상대방 통화자의 음성을 송수화기(132)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키폰단말기(130)에는 보류버튼(131)이 있고 이 보류버튼(131)은 키폰시스템(110)의 음성신호경로 제어스위치(112)에 연결되어 음성신호경로 제어스위치(112)의 동작을 통제한다. 즉, 보류버튼(131)이 눌러지면 음성신호경로 제어부(112)는 키폰단말기(130)에서 전송되는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차단하고 내부음원 저장부(111)에 저장된 내부음원이나 음향기기(120)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음원을 상대방 통화자에게 송출한다.The key phone terminal 130 transmits the voice inputted by the terminal user through the handset 132 connected to the key phone terminal 130 to the voice signal path control switch 112 and the other party transmitted from the voice signal path control switch 112. It serves to output the caller's voice to the handset 132. In addition, the key phone terminal 130 has a hold button 131, which is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path control switch 112 of the key phone system 11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oice signal path control switch 112. do. That is, when the hold button 131 is pressed, the voice signal path control unit 112 cuts off the voice of the terminal user transmitted from the key phone terminal 130 and stores the internal sound source or sound device 120 stored in the internal sound source storage 111. Send external sound source input from to other party's caller.

종래의 키폰시스템(110)에서 사용되는 보류음에는 키폰시스템(110) 내부의 내부음원 저장부(111)에서 제공되는 내부음원과 키폰시스템 외부의 음향기기(120)로부터 외부음원 입력단자(113)를 통해 입력되어 제공되는 외부음원이 있다. 우선 키폰단말기(130)를 사용하여 통화를 하는 사용자가 상대방 통화자와 통화중에 보류버튼(131)을 누른 경우, 보류버튼(131)의 통제를 받는 음성신호경로 제어스위치(112)는 키폰단말기(130) 사용자의 음성을 차단하고 내부음원이나 외부음원 중에서 하나를 보류음으로 상대방 통화자에게 송출한다. 여기서 내부음원과 외부음원 중 하나를 보류음으로 선택하는 방법에는 단말기에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두어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게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외부음원 입력단자에 음향기기가 연결되어 음원이 입력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외부음원이 보류음으로 송출되게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In the holding sound used in the conventional key phone system 110, the external sound source input terminal 113 from the internal sound source provided from the internal sound source storage unit 111 inside the key phone system 110 and the sound device 120 outside the key phone system. There is an external sound source provided through the input. First, when a user who makes a call using the key phone terminal 130 presses the hold button 131 during a call with the other party's caller, the voice signal path control switch 112 controlled by the hold button 131 is a key phone terminal ( 130) Blocks the user's voice and transmits one of the internal sound source and the external sound source to the other party's caller as a pending sound. Here, the method of selecting one of the internal sound source and the external sound source as a pending sound may include a method of allowing a user to manually select a switch through the switch that can be manually controlled in the terminal, and an acoust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sound source input terminal. When a sound source is input, there may be a method of automatically sending an external sound source as a reserved sound.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류음 송출장치에 의하면 키폰시스템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내부음원 또는 외부에 연결된 음향기기에서 키폰시스템에 입력된 외부음원이 상대방 통화자에게 보류음으로 송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내부음원을 보류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키폰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동일한 디지털 음향이 항상 송출되어 키폰 사용자와 자주 통화하는 상대방 통화자에게 지루함을 유발시키고 외부음원을 보류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부에 음향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추가적으로 음향기기의 연결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uspended sound transmit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sound source input to the keyphone system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caller as a pending sound by the internal sound source provided by the keyphone system or an externally connected sound device. There is this. If the internal sound source is used as a holding sound, the same digital sound provided by the keyphone system is always transmitted, causing boredom to the other party's caller who frequently talks with the keyphone user, and the external sound source if the external sound source is used as the holding sou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additional sound equipment because it must be used to connec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류음 송출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키폰시스템에서 통화보류 모드 설정시 상대방 통화자에게 송출되는 보류음을 키폰시스템의 내부음원이나 음향기기에 의해 입력되는 외부음원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미리 저장한 음원을 상대방 통화자에게 보류음으로 송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eserved sound transmit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nternal sound source of the key phone system or the external sound input by the audio device when the call hold mode is set in the key phone system, the user previously stored sound source stored in the other party call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transmitting a pending soun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는 보류음으로 사용할 음원을 저장하는 사용자음원 저장부 및 외부장치에서 입력된 음원을 사용자음원 저장부에 저장하고 사용자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을 보류음으로 상대방 통화자에게 송출하는 사용자음원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음원 입출력부는 음원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는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individual hold sound transmitting device in the key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ound source to be used as a pending sound and the sound sourc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And a user sound input /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stored in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to the other party as a pending sound. The user sound source input / output unit may or may not include a codec for converting the format of the sound source data.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는 PC, PDA,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부장치에서 키폰시스템에 맞게 별도로 제작된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외부장치의 OS에 내장된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음원데이터를 키폰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 PC, a PDA, an MP3 player, and the like. The external device may use the interface software manufactured separately for the key phone system or use the interface software built in the OS of the external device to convert the sound source data into the key phone system. Can be sent to.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사용자음원 저장부에 하나 이상의 음원이 저장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음원이 저장되는 경우 키폰단말기 별로 음원이 저장될 수 있고 키폰단말기 별로 음원이 저장되는 경우 각 키폰단말기 별로 하나 이상의 음원이 저장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sound sources may be stored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one or more sound sources are stored, a sound source may be stored for each keyphone terminal and one or more sound sources for each keyphone terminal if the sound source is stored for each keyphone terminal. May be stored.

음원을 키폰단말기 별로 지정하는 방법으로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에서 키폰단말기를 지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하나의 키폰단말기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음원 중 보류음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키폰단말기의 보류버튼을 누른 후 해당 음원의 번호를 전화번호 버튼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You can designate the sound source for each keyphone terminal by using the interface software to designate the keyphone terminal, and select the hold sound among one or more sound sources assigned to one keyphone terminal by pressing the hold button on the keyphone terminal. You can use the phone number button to enter the number of.

그리고 키폰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음원데이터의 일정한 섹터에 키폰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키폰단말기 정보와 음원번호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음원데이터의 일정한 섹터에 키폰단말기 정보와 음원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keyphone terminal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certain sector of the sound source data as a method of transmitting keyphone terminal information, and the keyphone terminal information and a sound source may be stored in a certain sector of the sound source data by transmitting the keyphone terminal information and the sound source number information. A method of storing number information can be used.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individual hold sound transmitting device in the key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류음 송출기능을 구비한 키폰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Figure 2 shows a block diagram of a key phone system having a pending sound transmiss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보류음송출장치를 구비한 키폰시스템(210)의 내부에는 종래의 키폰시스템에서와 같이 내부음원 저장부(211)와 음성신호경로 제어스위치(212)가 있다. 키폰시스템(210)의 표면에는 외부음원 입력단자(213)가 있다. 그리고 키폰시스템(210)에는 음향기기(220)와 키폰단말기(230)가 연결되어 있다. 키폰단말기(230)에는 보류버튼(231)과 단말기 송수화기(232)가 연결되어 있다.Inside the key phone system 210 having the reserved sound trans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internal sound source storage unit 211 and a voice signal path control switch 212 as in the conventional key phone system. The external sound source input terminal 213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key phone system 210. In addition, the acoustic device 220 and the key phone terminal 230 are connected to the key phone system 210. The phone terminal 230 is connected to the hold button 231 and the terminal handset 232.

본 고안에 따른 키폰시스템은 키폰시스템 사용자가 내부음원 저장부(211)에 저장된 내부음원이나 음향기기(220)에서 외부음원 입력단자(213)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음원과 별개의 음원을 저장하는 사용자음원 저장부(215)와 사용자음원 저장부(215)에 음원을 입력하거나 사용자음원 저장부(215)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음원 입출력부(214)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A key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for storing a sound source separate from an external sound source inputted through an external sound source input terminal 213 from an internal sound source or sound device 220 stored in an internal sound source storage unit 211 by a key phone system user.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215 and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21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ser sound source input and output unit 214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stored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215.

상기 사용자음원 입출력부(214)는 키폰시스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음원을 사용자음원 저장부(215)에 저장하고 사용자음원 저장부(215)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여 음성신호경로 제어스위치(212)를 통해 보류음으로 상대방 통화자에게 송출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음원 입출력부(214)에는 사용자음원 입력단자(216)가 연결되어 있어 키폰시스템 외부로부터 사용자음원 저장부(215)에 저장할 음원을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sound source input / output unit 214 stores the user sound source input by the user of the key phone system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215 and outputs the sound source stored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215 to control the voice signal path control switch 212. It plays a function to send to the other party's caller with a pending sound. The user sound source input / output unit 214 is connected to the user sound source input terminal 216 to input a sound source to be stored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215 from outside the key phone system.

본 고안에 따른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가 작동되기 위해서는 우선 키폰시스템 사용자가 음원을 사용자음원 저장부(215)에 저장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용자음원 저장과정은 사용자음원 입력단자(216)에 PC를 연결하여 PC에 저장된 음원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PC 이외의 다른 장치 예컨데, PDA나 MP3 플레이어 등을 통해 사용자음원이 입력될 수 있으나 PC를 통해 입력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될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PC를 통해 사용자 음원을 입력하는 경우만 상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사용자음원 입력단자(216)에 연결되는 음원입력 장치로 PC가 사용된 경우, PDA가 사용된 경우, MP3 플레이어가 사용된 경우를 비롯하여 다양한 입력장치가 사용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In order to operate the individual hold sound transmitting device in the key 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keyphone system user first needs to store a sound source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215. The user sound source stor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connecting a PC to the user sound source input terminal 216 to input a sound source stored in the PC. Devices other than a PC For example, a user sound source can be input through a PDA or an MP3 player, etc. However, since the input method through a PC will be most commonly used, only the case of inputting a user sound source through a PC will be described below.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where a PC is used as a sound sourc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sound source input terminal 216, a case where a PDA is used, and a case where various input devices are used, including a case where an MP3 player is used. .

PC의 사용자음원을 키폰시스템(210)에 입력하는 방법은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PC와 키폰시스템을 케이블로 연결하고 PC에서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면 PC와 키폰시스템(210)이 연결되고 플래시 메모리나 MP3 플레이어를 PC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음원데이터를 키폰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는 별도로 제작할 수도 있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PC의 OS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method of inputting the user sound source of the PC to the key phone system 210 may be implemented using interface software. When the PC and the key phone system are connected by cable and the interface software is executed on the PC, the user sound source data is keyed in the same way as the PC and the key phone system 210 are connected and the flash memory or MP3 player is connected to the PC to transfer data. To the system. Such interface software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or may use interface software that is basically provided in a commonly used PC OS.

PC에서 케이블 등을 통해 사용자음원 입력단자(216)에 다양한 형식의, 예를 들어 MP3 형식, OGG 형식 또는 WAV 형식의, 음원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음원데이터는 사용자음원 입출력부(214) 내부의 코덱을 통해 당해 키폰시스템(210)에서 사용하는 압축형식으로 변환되어 사용자음원 저장부(215)에 저장된다. 이상에서 사용자음원 입출력부(214)에 코덱이 포함된다고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코덱은 본 고안에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코덱이 포함되지 않는다면 사용자음원 입력단자(216)에 음원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당해 키폰시스템(210)에서 사용하는 압축형식의 음원데이터를 입력해 주어야 한다. 만약 입력된 음원데이터가 당해 키폰시스템(210)의 압축형식이 아니면 PC의 인터페이스소프트웨어에서 오류메세지를 출력하고 입력된 음원데이터를 사용자음원 저장부(215)에 저장하지 않는다. 사용자음원 입출력부(214)에 코덱이 포함되어 있다면 사용자음원 입력단자(216)에 입력하는 음원데이터는 어떠한 형식이어도 무방하다. 코덱이 음원데이터를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코덱을 포함시키는 것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데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코덱으로 인해 키폰시스템(210)의 생산비가 증가하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음원 입출력부(214)에 코덱이 포함된 경우와 포함되지 않은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코덱은 사용자음원 입출력부(214)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외부에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Sound source data in various formats, such as MP3 format, OGG format or WAV format, can be input to the user sound source input terminal 216 via a cable or the like from a PC. The input sound source data is converted into a compression format used by the key phone system 210 through a codec inside the user sound input / output unit 214 and stored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215.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user sound source input / output unit 214 includes a codec, the codec may or may not b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dec is not included, when the sound source data is input to the user sound source input terminal 216, the sound source data of the compressed format used in the key phone system 210 should be input. If the input sound source data is not the compressed form of the key phone system 210, an error message is output from the interface software of the PC and the input sound source data is not stored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215. If the user sound source input / output unit 214 includes a codec, the sound source data input to the user sound source input terminal 216 may be in any format. This is because the codec can convert the sound source data into an appropriate format. Including the codec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advantageous for the user's convenience, but also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production cost of the key phone system 210 due to the codec.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oth a case in which a codec is included and a case in which the user sound input / output unit 214 is not included. The codec may be included in the user sound input / output unit 214 or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outside.

사용자음원 저장부(215)에 저장되는 사용자음원은 키폰단말기 별로 저장되게 된다. 키폰단말기 별로 사용자음원을 저장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음원 데이터의 일정한 섹터를 키폰단말기를 지정하는 포인터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단말기 사용자는 사용자음원을 입력하는 경우 자신의 단말기를 지정하여 입력한다. PC에서 사용자음원을 입력하는 경우에 별도로 제작된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가 있다면 소프트웨어에 음원데이터를 입력하는 단말기를 지정하도록 구현하면 되고, OS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단말기별로 폴더가 만들어져 있어 해당 폴더에 음원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단말기 지정이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가 지정되어 입력된 사용자음원이 사용자음원 저장부(215)에 저장된 후에는 지정된 단말기를 통해 통화보류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만 상대방에게 해당 사용자음원을 송출하게 된다. The user sound source stored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215 is stored for each key phone terminal. As a method of storing a user sound source for each keyphone terminal, there is a method of using a certain sector of user sound source data as a pointer for designating a keyphone terminal. When the terminal user inputs a user sound source, the terminal user designates and inputs his terminal. If the user inputs the user sound source from the PC, if there is a separate interface software, the user can implement the terminal to input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software.If using the interface software provided by the OS, a folder is created for each terminal. The terminal designation may be implemented by storing sound source data in a folder. After the designated user sound source is stored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215, the terminal transmits the user sound source to the counterpart only when the call hold mode is set through the designated terminal.

하나의 키폰단말기에서 여러 개의 사용자음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단말기를 지정하는 외에 해당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음원 번호를 지정하여야 한다. 여기서 사용자 음원 번호를 지정하는 방법도 단말기를 지정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키폰단말기에 여러 개의 사용자음원이 저장된 경우, 키폰단말기 사용자는 여러 개의 사용자음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대방 통화자에게 보류음으로 송출할 수 있다. 당해 키폰단말기에 해당하는 여러 개의 보류음 중에서 보류음을 선택하는 방법은 키폰단말기에서 보류버튼을 누른 후 각 사용자음원에 해당하는 번호를 단말기의 전화번호 버튼으로 입력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보류버튼을 누른 후 일정한 시간 내에 사용자음원 번호를 누르지 않으면 당해 키폰단말기의 1번 사용자음원이 보류음으로 송출된다.Multiple user sources may be used in one key phone terminal. In this case, in addition to designating a terminal, a user sound source number for the corresponding terminal must be specified. In this case, the method of designating a user sound source number may be implemented through interface software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of designating a terminal. When a plurality of user sound sources are stored in one key phone terminal, the user of the key phone terminal may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user sound sources and transmit the pending sound to the counterpart caller. The method of selecting a holding sound among a plurality of holding sounds corresponding to the key phon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pressing a holding button on the key phone terminal and inputt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user sound source as a phone number button of the terminal. If the user sound source number is not press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hold button is pressed, the user sound source 1 of the corresponding key-phone terminal is sent out as a hold sound.

본 고안에 의하면 키폰단말기 사용자들이 개별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보류음을 키폰시스템에 미리 저장하고 통화보류 모드 설정시 상대방 통화자에게 보류음으로 송출할 수 있으며 하나의 단말기에서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보류음을 미리 저장해 놓고 그중 하나를 송출할 수도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키폰시스템에 저장된 보류음을 송출하므로 외부에 음향기기를 연결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of key phone terminals can individually store a desired hold sound in advance in the key phone system and send it to the other party as a hold sound when setting the call hold mode.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store them in advance and send one of them. In addition, since it transmits the hold sound stored in the key phone system,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need to connect an external audio device.

도 1은 종래의 보류음 송출기능을 구비한 키폰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1 is a block diagram of a key phone system having a conventional reserved sound transmission func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류음 송출기능을 구비한 키폰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Figure 2 shows a block diagram of a key phone system having a pending sound transmiss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보류음 송출기능을 구비한 키폰시스템에 있어서,In the key-phone system having a holding sound transmission function, 보류음으로 사용할 음원을 저장하는 사용자음원 저장부 및User soun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ound source to be used as a hold sound and 외부장치에서 입력된 음원을 사용자음원 저장부에 저장하고 사용자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을 보류음으로 상대방 통화자에게 송출하는 사용자음원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individual hold sounds in a keyphone system, comprising: a user sound source input / output unit for storing a sound source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in a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and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stored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as a pending sound to a counterpart caller; .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사용자음원 입출력부는 음원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는 코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And the user sound source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 codec for converting the format of the sound source dat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외부장치는 PC, PDA,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The external device is an individual hold sound transmitting device in a key pho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C, PDA, MP3 player and the lik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외부장치에서 키폰시스템에 맞게 별도로 제작된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가 실행되어 음원데이터를 키폰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individual hold sound in the key pho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rnal software is executed to interface software produced separately for the key phone system to transmit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key phone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외부장치에서 외부장치의 OS에 내장된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가 실행되어 음원데이터를 키폰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 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individual hold sound in the key pho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rnal software is executed in the interface software built in the OS of the external device to transmit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key phone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사용자음원 저장부에 하나 이상의 음원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individual hold sounds in a key pho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ound source is stored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사용자음원 저장부에 키폰단말기 별로 음원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individual hold sound in the keypho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source is stored for each keyphone terminal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사용자음원 저장부에 키폰단말기 별로 하나 이상의 음원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individual hold sounds in a key pho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sound sources are stored for each key phone terminal in the user sound source storage unit.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음원을 키폰단말기 별로 지정하는 방법으로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에서 키폰단말기를 지정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dividual hold sounds in a key phone system, characterized by using a method of designating a key phone terminal in the interface software as a method of designating a sound source for each key phone terminal.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하나의 키폰단말기에서 하나 이상의 음원 중 보류음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키폰단말기의 보류버튼을 누른 후 해당 음원의 번호를 전화번호 버튼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Individual hold sound in the keypho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method of selecting a hold sound among one or more sound sources in one key phone terminal by pressing the hold button of the key phone terminal and then inputting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as a phone number button Dispenser.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키폰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음원데이터의 일정한 섹터에 키폰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dividual hold sounds in a key phone system, characterized by using a method of storing key phone terminal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sector of sound source data as a method of transmitting key phone terminal information.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키폰단말기 정보와 음원번호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음원데이터의 일정한 섹터에 키폰단말기 정보와 음원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의 개별보류음 송출장치.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dividual hold sounds in a key phone system, comprising using the method of storing key phone terminal information and sound source number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sector of sound source data as a method of transmitting key phone terminal information and sound source number information.
KR20-2005-0029227U 2005-10-13 2005-10-13 Device Transmitting Various Music On Hold for Key-Phone System KR20040452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227U KR200404526Y1 (en) 2005-10-13 2005-10-13 Device Transmitting Various Music On Hold for Key-Phon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227U KR200404526Y1 (en) 2005-10-13 2005-10-13 Device Transmitting Various Music On Hold for Key-Phon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526Y1 true KR200404526Y1 (en) 2005-12-23

Family

ID=3900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227U KR200404526Y1 (en) 2005-10-13 2005-10-13 Device Transmitting Various Music On Hold for Key-Phon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52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262B1 (en) Cellular telephone accessory device for a personal computer system
CN100358381C (en) Mobile telephone set and its control method
RU2376727C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ound communication with possibility of noiseless selection and transmission of audio messages
KR101154997B1 (en) Terminal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shortened number thereof
KR20100015606A (en) Messaging system
JP2004312662A (en)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outputting effect sound/background sound by using key button on communication
KR200404526Y1 (en) Device Transmitting Various Music On Hold for Key-Phone System
KR20000053865A (en)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office having the replay function of background music
US20050153689A1 (en) Portable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ellular phone thereof
KR200456781Y1 (en) Bluetooth controller
CN201039265Y (en) Blind phone dialer
KR100413387B1 (en) Headset for Modulated Vo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30018950A (en) Method of using cellular phone for recording sound
JP3425899B2 (en) Portable audio equipment mobile phone system
JP2005295253A (en) Information processor
KR100362525B1 (en) Device for conversion ringing tone and calling tone into melody or special sound
KR200311152Y1 (en) Moving doll capable of receiving voice message
JP5902436B2 (en)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AND VOICE DATA TRANSMISSION METHOD
KR20060117136A (en) Background sound transmission method and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KR20040008987A (en) Apparatus for outputting some sounds as receiving signal in mobile terminal
JP2001197201A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ringer tone during incoming call waiting
JP2008258686A (en) Terminal device and conference system
JPH11122675A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voice reply mess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5300264A (en) Telephone set with emergency gall function
KR20050009306A (en) A mobile telephone having audio source mixing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