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498Y1 -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 Google Patents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498Y1
KR200404498Y1 KR20-2005-0028371U KR20050028371U KR200404498Y1 KR 200404498 Y1 KR200404498 Y1 KR 200404498Y1 KR 20050028371 U KR20050028371 U KR 20050028371U KR 200404498 Y1 KR200404498 Y1 KR 200404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housing
light
led lamp
stand
in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현
Original Assignee
이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현 filed Critical 이석현
Priority to KR20-2005-0028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4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4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wavelength conversion means distinct or spaced from the light-generating element, e.g. a remote phosphor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05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books, i.e. reading lights attachable to b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에 관한 것으로, 통형상으로 그 상하단측이 개방된 몸체하우징과, 상기 몸체하우징 내측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발광되는 LED램프와, 상기 LED램프의 외측에 씌워지도록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부에 결합 구비되고 광확산분말이 첨가된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발광된 빛을 투과시키면서 확산효과를 주게 되는 내측캡과, 상기 내측캡의 외측에 형합되도록 결합 구비되고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빛을 투과시키면서 굴절효과를 주게 되는 외측캡과, 상기 LED램프의 온오프 조작을 위해 상기 몸체하우징상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스위치와,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전기에너지를 제공하게 되는 건전지와, 상기 건전지로부터의 전기를 상기 LED램프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통전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통전수단과, 상기 몸체하우징의 하단측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그 하단측을 폐쇄시키면서 바닥면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마개겸 받침대를 포함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휴대하여 사용하거나 안정적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고, 실제 양초와 같은 무드있는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어 실제 양초를 대신하여 종교의식이나 집안 인테리어용 등으로 적절히 이용될 수 있으며, 광원의 수명도 길고 전기소모량도 적어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STAND TYPE MOOD FLASHLIGHT}
본 고안은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휴대하여 사용하거나 안정적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실제 양초와 같은 무드있는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어 실제 양초를 대신하여 종교의식이나 집안 인테리어용 등으로 적절히 이용될 수 있는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candle)는 파라핀과 같이 고온에서 녹는 재료로 그 원통형의 몸체를 성형하고, 그 중심에는 무명 등의 심지가 삽입되는 등화용품으로서, 그 심지에 불을 붙이면 그 몸체가 점차 녹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를 따라 올라가 심지의 끝 부근에서 연소되면서 발광하게 된다.
이러한 양초는 절이나 교회 등에서 종교의식을 치를 때나 집안에서 전기가 나갔을 경우 등에 주로 사용되는데, 그 촛불에 의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상존하고, 촛농이 떨어져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며, 장시간 켜 놓아야 하는 경우에는 수시로 새로운 초로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불편하고, 연등행사와 같은 야외행사시에는 비, 바람 등의 외부 날씨의 영향으로 쉽게 꺼질 수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그 외관이 실제 양초와 매우 유사하여 실제 양초를 대체하여 이용될 수 있으면서, 화재의 위험성도 없고, 보다 장시간 유지가능하며, 외부 날씨에도 영향받지 않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기양초가 개발되었으며, 그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20-0279411호에는 휴대용 전기양초가 개시되어 있다.
그 기술을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살펴보면, 실제 양초의 몸체와 같은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는 양초하우징(10)의 상부에 발광수단으로 꼬마전구(30)가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꼬마전구(30)의 외측에는 촛불모양의 투명커버(40)가 씌워지며, 양초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게 되는 건전지(50)가 장착되고, 양초하우징(10)의 하단은 나사체결식으로 탈착되는 마개(60)에 의해 폐쇄되며, 사용자가 터치식으로 온오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전기양초(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주용도가 휴대용이므로 세워서 사용할 수는 없어 종교의식이나 집안 인테리어용 등으로는 적절히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단지 꼬마전구(30)를 이용하고 그 외측에는 발광된 빛을 먼거리까지 난반사시키기 위한 투명커버(40)가 구비되므로, 실제로는 양초와 같은 은은하면서 무드있는 분위기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꼬마전구(30)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고, 또한 전구(30)의 전기소모량도 많아 건전기(50)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불편하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쉽게 세워서 이용할 수 있고, 실제 양초와 같은 무드있는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발광수단과 건전지의 교체주기도 길어 편리하면서 경제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는, 통형상으로 그 상하단측이 개방된 몸체하우징과, 상기 몸체하우징 내측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발광되는 LED램프와, 상기 LED램프의 외측에 씌워지도록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부에 결합 구비되고 광확산분말이 첨가된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발광된 빛을 투과시키면서 확산효과를 주게 되는 내측캡과, 상기 내측캡의 외측에 형합되도록 결합 구비되고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빛을 투과시키면서 굴절효과를 주게 되는 외측캡과, 상기 LED램프의 온오프 조작을 위해 상기 몸체하우징상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스위치와,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전기에너지를 제공하게 되는 건전지와, 상기 건전지로부터의 전기를 상기 LED램프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통전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통전수단과, 상기 몸체하우징의 하단측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그 하단측을 폐쇄시키면서 바닥면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마개겸 받침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그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100)는, 양초 몸체와 같은 원통형으로 그 상하단측이 개방되는 몸체하우징(110)과, 몸체하우징(110) 내측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발광되는 발광수단인 LED(Light Emitting Diode)램프(120)와, LED램프(120)의 외측에 씌워지도록 몸체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 구비되며 촛불모양의 원추형태로서 광확산분말(light diffusion powder)(미도시)이 첨가된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발광된 빛을 투과시키면서 확산효과를 주게 되는 내측캡(cap)(130)과, 내측캡(130)의 외측에 형합되도록 결합 구비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빛을 투과시키면서 굴절효과를 주게 되는 외측캡(140)과, LED램프(120)의 온오프 조작을 위해 몸체하우징(110)상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스위치(150)와, 몸체하우징(110) 내측에 구비되어 전기에너지를 제공하게 되는 건전지(160)와, 건전지(160)로부터의 전기를 LED램프(120)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통전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몸체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통전수단(170)과, 몸체하우징(110)의 하단측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그 하단측을 폐쇄시키면서 바닥면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부(186)를 일체로 구비하는 마개겸 받침대(180)를 포함한다.
몸체하우징(110)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측면상의 소정위치에는 스위치(150)가 내부로부터 관통하여 외부 노출되도록 하는 스위치삽입홀(1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 외주연상에는 나사결합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LED램프(120)는 바람직하게 고휘도용의 것이 이용될 수 있고, 종래의 꼬마전구(30)에 비해 빛 자체가 맑고 투명하며, 그 수명 또한 상대적으로 길면서 전기소모량도 현저히 적고, 그 색상은 엘로우색이 약간 들어가 실제 촛불과 같은 색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 이용되게 된다.
내측캡(130)은 전체적으로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그 하단측이 몸체하우징(110)의 상단 내측으로 압입에 의한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게 되고, 그 재질은 기본적으로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그 재질내에 광확산분말이 첨가된 것이 이용되게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광확산분말은 내측캡(130)의 외측면상에 골고루 도포되는 방식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이때 광확산분말은 휘발성용제 및 접착제 등과 혼합되어 스프레이 방식으로 뿌려져 도포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기본적인 합성수지 재질에 광확산분말을 적절히 분산 혼합되도록 한 다음 통상의 사출성형을 통해 광확산분말이 내부에 분산되어 위치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확산분말을 첨가하는 이유는 LED램프(120)로부터 발광된 후 투과되는 빛을 확산시켜 사방으로 퍼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은은한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외측캡(140)은 바람직하게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면이 내측캡(130)의 외측면과 완전히 밀착되도록 상부로부터 형합 끼움되어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만약 외측캡(140)이 그 내측면을 통해 내측캡(130)의 외측면측과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그들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부가 존재하게 된다면 내측캡(130) 자체의 원추형태에 의해 만들어지는 촛불모양의 경계선이 하나의 띠로 형성되지 않고 두개의 띠로 형성되게 됨으로써 내측캡(130)에 의한 완전한 촛불형상을 구현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외측캡(140)은 그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두께부가 완전히 충전되도록 형성되며, 그 외형은 바람직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기타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외측캡(140)은 투과되는 빛에 대해 굴절효과를 주어 보다 아름답도록 하는 심미성을 제고시키면서, 내측캡(130)측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내측캡(130)의 외측면상에 도포되어 있는 광확산분말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스위치(150)는 바람직하게 손가락 등으로 눌러서 온오프시킬 수 있는 푸쉬타입의 것이 이용될 수 있으나, 기타 슬라이딩 타입이나 터치방식 등의 것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건전지(160)는 통상적인 봉형 건전지나 버튼형 건전지가 이용될 수 있다.
통전수단(170)은 통전가능한 재질, 바람직하게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음극연결용 철핀(172), 양극연결용 철핀(174), 원형단자(176) 및 탄발스프링(178) 등으로 구성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마개겸 받침대(180)는 그 중앙부에 원형으로 소정깊이 함몰된 함몰부(182)가 형성되고, 이 함몰부(182)의 내측 주연상에는 나사결합부(184)가 형성되어 있어, 이 함몰부(182)로 몸체하우징(110)의 하단측이 조금 삽입되도록 몸체하우징(110)의 하단 외주연상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결합부(114)와 그 나사결합부(184)가 상호 나사체결되어 결합을 이루게 됨으로써 몸체하우징(110)의 하단측을 폐쇄하게 되며, 즉 마개겸 받침대(180)는 밧데리캡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마개겸 받침대(180)는 그 중앙의 함몰부(18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다리부(186)를 또한 구비하며, 이 다리부(186)는 통상적인 삼발이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덧붙여,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100)는 그 LED램프(120)와 스위치(150)가 위치되는 몸체하우징(110)의 내부 부분에 또한 회로기판(125)을 구비하여, 이 회로기판(125)의 프로그램된 바에 따라 다양한 발광모드를 구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100)는 그 외측캡(140)의 평편한 상면상에 반사용 스티커(190)가 부착 구비되어 LED램프(120)로부터 상향되는 빛을 바닥쪽으로 반사시켜 빛이 하부측으로 모이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세워진 상태에서 독서등으로 원활히 이용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그 작용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몸체하우징(110)상에 노출된 스위치(15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내장된 건전지(160)로부터 통전수단(170)을 통해 전기가 회로기판(125) 및 LED램프(120)측으로 공급되면 LED램프(120)가 발광되게 되는 것이며, 휴대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그 몸체하우징(110) 부분을 파지하여 들고 다니면서 등화용도로 이용할 수 있고, 한편 각종 종교의식이나 실내 인테리어용 등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테이블 위와 같은 바닥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세워지도록 한 다음 원활히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발광수단인 LED램프(120)측의 캡(130, 140)은 이중구조로 되어 있어, LED램프(120)로부터 발광된 빛이 우선 내측캡(130)을 투과하면서 내측캡(130) 재질 자체에 첨가되어 있는 광확산분말과의 접촉에 의해 그 일부가 확산되면서 사방으로 퍼지게 되어 보다 은은한 느낌의 빛으로 바뀌게 되고, 이어서 외측캡(140)을 투과하면서 전체적으로 굴절되어 보다 아름다운 빛으로 그 심미성이 제고되게 된다. 이에 따라, 실제 양초의 촛불과 같이 매우 심미스러우면서 무드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필요시점에서는 그 외측캡(140)의 상면상에 반사용 스티커(190)를 부착시켜 독서등으로 원활히 이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상에서 두가지 역할을 하는 마개겸 받침대(180)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몸체하우징(110)의 하단측은 통상적인 마개로 폐쇄되고, 필요시점에서 별도의 받침대를 통해 세워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휴대하여 사용하거나 안정적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고, 실제 양초와 같은 무드있는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어 실제 양초를 대신하여 종교의식이나 집안 인테리어용 등으로 적절히 이용될 수 있으며, 광원의 수명도 길고 전기소모량도 적어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전기양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전기양초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용 전기양초 10 : 양초하우징
30 : 꼬마전구 40 : 투명커버
50 : 건전지 60 : 마개
100 :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110 : 몸체하우징
112 : 스위치삽입홀 114 : 나사결합부
120 : LED램프 125 : 회로기판
130 : 내측캡 140 : 외측캡
150 : 스위치 160 : 건전지
170 : 통전수단 172 : 음극연결용 철핀
174 : 양극연결용 철핀 176 : 원형단자
178 : 탄발스프링 180 : 마개겸 받침대
182 : 함몰부 184 : 나사결합부
186 : 다리부 190 : 반사용 스티커

Claims (7)

  1. 통형상으로 그 상하단측이 개방된 몸체하우징과,
    상기 몸체하우징 내측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발광되는 LED램프와,
    상기 LED램프의 외측에 씌워지도록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부에 결합 구비되고 광확산분말이 첨가된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발광된 빛을 투과시키면서 확산효과를 주게 되는 내측캡과,
    상기 내측캡의 외측에 형합되도록 결합 구비되고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빛을 투과시키면서 굴절효과를 주게 되는 외측캡과,
    상기 LED램프의 온오프 조작을 위해 상기 몸체하우징상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스위치와,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전기에너지를 제공하게 되는 건전지와,
    상기 건전지로부터의 전기를 상기 LED램프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통전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통전수단과,
    상기 몸체하우징의 하단측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그 하단측을 폐쇄시키면서 바닥면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마개겸 받침대를 포함하는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캡은,
    촛불모양의 원추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캡은,
    그 외측면상에 상기 광확산분말이 도포되는 방식으로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캡은,
    상기 광확산분말이 내부에 분산되어 위치되도록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겸 받침대는,
    그 다리부가 삼발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6.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된 바에 따라 다양한 발광모드를 구현하게 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캡의 상면상에 부착 구비되어 상향되는 빛을 바닥쪽으로 반사시켜 야간에 독서등으로 이용가능하도록 하게 되는 반사용 스티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KR20-2005-0028371U 2005-10-05 2005-10-05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KR200404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371U KR200404498Y1 (ko) 2005-10-05 2005-10-05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371U KR200404498Y1 (ko) 2005-10-05 2005-10-05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498Y1 true KR200404498Y1 (ko) 2005-12-23

Family

ID=3900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371U KR200404498Y1 (ko) 2005-10-05 2005-10-05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4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8318A2 (en) * 2009-06-18 2010-12-23 Greer Keith G Flashlight with pivotable leg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8318A2 (en) * 2009-06-18 2010-12-23 Greer Keith G Flashlight with pivotable legs
WO2010148318A3 (en) * 2009-06-18 2011-04-07 Greer Keith G Flashlight with pivotable le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1342B2 (en) Colored lens LED simulated wick flameless candle
US7182489B2 (en) Electrical candle lamp
US8672506B2 (en) Solar candle light insert module
US20050248952A1 (en) Lighting device for pumpkins and other similar articles
US20080158863A1 (en) Electrical Candle with Micro-Control Means
US20060232958A1 (en) Flameless taper candle
US9057500B2 (en) Flashlight
US11536428B2 (en) Lighting apparatus with elastic unit to press power switch
CN102022621A (zh) 提灯装置
US20020196622A1 (en) Combination flashlight and candle lantern
KR200404498Y1 (ko)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KR200469393Y1 (ko) 촛불 전기 양초
KR20080001969U (ko) 촛대 일체형 전기 양초
CN208048535U (zh) 一种照明水杯及其杯盖
CN201589075U (zh) 具有台灯照明功能的led手电筒
US9371971B2 (en) Flashlight insert for an oil-type lighter
KR200215685Y1 (ko) 양초등
CN220540981U (zh) 一种露营灯
CN209672221U (zh) 一种led蜡烛灯泡
CN103836490A (zh) 一种可变光条形台灯
CN217482633U (zh) 一种仿玻璃户外防水电池供电或太阳能电子蜡烛
US11460183B2 (en) Lighting apparatus
CN201934907U (zh) 便携式蜡烛灯
KR200393544Y1 (ko) 다기능 촛불 랜턴
CN205174047U (zh) 一种笔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