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476Y1 -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476Y1
KR200404476Y1 KR20050027437U KR20050027437U KR200404476Y1 KR 200404476 Y1 KR200404476 Y1 KR 200404476Y1 KR 20050027437 U KR20050027437 U KR 20050027437U KR 20050027437 U KR20050027437 U KR 20050027437U KR 200404476 Y1 KR200404476 Y1 KR 200404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hydraulic chamber
chuck housing
jaw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27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Priority to KR20050027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30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fluid-pressure means in the ch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6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34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에 관한 것으로 몸체에 공작물삽입구멍(11)이 뚫려 있으며, 내부에 유체가 체워지는 메인유압실(12)과 이 메인유압실(12)에 연통되며 공작물삽입구멍(11)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 1 작동유압실(13)과 다 수의 제 2 작동유압실(14)이 구비된 척하우징(10)과, 상기 척하우징(10)의 메인유압실(12)에 장착되며 이 메인유압실(12)에 채워진 유체를 가압하여 작동유압실의 유압을 증대시키는 유체가압수단(20)과, 척하우징(10)의 제 1 작동유압실(13)에 연계되어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척하우징(10)에 장착되는 메인조우부재(30)와, 상기 제 2 작동유압실(14)에 연계되어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척하우징(10)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조우부재(30)와 동시에 이동하는 연동조우부재(40)와, 상기 제 2 작동유압실(14)에 연계되어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게 척하우징(10)에 장착되는 다 수의 작동조우부재(50)와, 척하우징(10)의 제 1 작동유압실(13)에 장착되어 유체가압수단(20)으로 증대된 유압으로 이 제 1 작동유압실(13)에 연계된 메인조우부재(30)를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척하우징(10)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메인조우작동수단(60)과, 척하우징(10)의 제 2 작동유압실(14)에 장착되고 메인조우작동수단(60)과 연결되어 동시에 작동하여 연동조우부재(40)를 메인조우부재(30)와 동시에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척하우징(10)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연동조우작동수단(70)과, 척하우징(10)의 각 제 2 작동유압실(14)에 장착되어 유체가압수단(20)으로 증대된 유압으로 이 제 2 작동유압실(14)에 연계된 각 조우부재를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척하우징(10)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작동조우작동수단(80)과, 상기 메인조우작동수단(60)을 연동조우작동수단(70)을 연결시켜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는 동시작동연결수단(90)으로 구성되어 유체가압수단(20)에서 증대된 유압으로 메인조우부재(30)와 이 메인조우부재(30)와 연동조우부재(40)가 미세한 시간 차이 없이 동시에 공작물을 조여지도록 이동하여 공작물을 편심없이 척하우징(10)의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과 정확히 일치시켜 물어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조우부재(30)와 이와 함께 작동하는 연동조우부재(40)가 공작물을 물어 고정한 후 다 수의 작동조우부재(50)가 공작물을 물어 고정시킴으로써 공작물을 견고하게 물어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척의 중심과 공작물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킨 상태로 공작물을 물어 고정할 수 있어 진원 가공이 가능하고 회전 절삭 가공 시 그 오차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The Out of Roundness Clamp Chuck For Machines Tools}
본 고안은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척하우징 내부에 채워진 유체의 유압에 의해 조우가 공작물의 중심을 척하우징의 중심에 정확히 일치시켜 공작물을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용 척은 레버의 회전에 의해 스크롤이 회전하면서 그 회전방향에 따라 조우가 공작물을 조이고 푸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롤 척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스크롤 척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척하우징과 척커버 내에 스크롤과 조우를 내장하여 기어레버를 회전시키면 베벨기어가 회전하면서 스크롤에 형성하고 있는 크라운 기어를 회전시키고, 이 크라운기어가 회전하면서 스크롤도 함께 회전되며, 이와 같은 스크롤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롤에 치합된 다수의 조우가 척하우징의 중심측 쪽으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풀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조우가 척하우징의 중심 측으로 이동하여 공작물을 물어 고정한 상태에서 척과 함께 공작물을 회전시키면서 절삭바이트로 공작물을 절삭 가공하거나 척과 함께 공작물은 정지상태로 유지되고 절삭바이트를 회전시키면서 공작물을 가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크롤식 척은 공작물을 조우로 물어 고정하고, 물린 상태를 해제할 때 마다 작업자가 수동으로 기어레버를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공작물을 물어 조이는 힘이 약해 정밀한 가공이 불가능하고 작업 중 조우에서 공작물이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조우가 이동하는 유압식척이 사용되고 있다.
이 유압식척은 척하우징 내부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가이드홈이 파여진 웨지플런저를 내장하고, 이 웨지플런지의 경사가이드홈에 조우를 결합하여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웨지플런저를 전, 후진 시키면 경사가이드홈을 따라 조우가 축방향으로 조여지거거나 풀리면서 공작물을 물어 고정시키거나 풀어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인이 동일 자로 출원하는 '공작기계용 멀티 유압 척'에서는 척하우징 내에 유체를 저장하여 이 저장된 유체를 유체가압수단으로 가압하여 유압을 증대시키고 증대된 유압으로 다 수의 조우를 척하우징 중심으로 이동시켜 공작물을 물어 고정시키는 것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유압식척은 웨지플런저를 전, 후진 시키는 유압실린더는 방향전환밸브, 유압펌프, 저장탱크로 구성된 유압유니트에 유압을 공급 받아 작동되므로 설치비용이 많고, 원형 공작물을 파지할 경우 척의 중심에 정확히 일치시켜 파지하기가 어려워 원형 공작물의 정밀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 본 출원인이 출원한 '공작기계용 멀티 유압 척'은 척하우징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유체가압수단으로 가압하여 유압을 증대시키는 구조로서 유체가압수단에 의해 증대된 유압이 유체유압수단과 가까운 조우 측에 먼저 전달되고, 점차적으로 그 거리에 비례하여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유체가압수단에 의해 증대된 유압이 척하우징에 결합된 각 조우로로 전달되는 데 차이가 발생되어 각 조우가 미세한 차이를 두고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공작물을 물어 고정시키게 되므로 공작물이 척의 중심에서 미세하게 편심되어 물어 고정되어 공작물을 절삭도구를 사용하여 가공할 경우 정밀한 가공이 불가능하고 오차가 크게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유체가압수단에 의해 증대된 유압으로 다 수의 조우부재가 동시에 이동하여 공작물의 중심을 척의 중심과 일치시켜 물어 고정한 후 다른 다 수의 조우부재가 공작물을 물어 고정시킴으로써 공작물이 척의 중심과 일치된 상태로 견고히 고정된 상태로 정밀가공이 가능하고 가공 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에 공작물삽입구멍(11)이 뚫려 있으며, 내부에 유체가 체워지는 메인유압실(12)과 이 메인유압실(12)에 연통되며 공작물삽입구멍(11)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 1 작동유압실(13)과 다 수의 제 2 작동유압실(14)이 구비된 척하우징(10)과;
상기 척하우징(10)의 메인유압실(12)에 장착되며 이 메인유압실(12)에 채워진 유체를 가압하여 작동유압실의 유압을 증대시키는 유체가압수단(20)과;
척하우징(10)의 제 1 작동유압실(13)에 연계되어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척하우징(10)에 장착되는 메인조우부재(30)와;
상기 제 2 작동유압실(14)에 연계되어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척하우징(10)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조우부재(30)와 동시에 이동하는 연동조우부재(40)와;
상기 제 2 작동유압실(14)에 연계되어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게 척하우징(10)에 장착되는 다 수의 작동조우부재(50)와;
척하우징(10)의 제 1 작동유압실(13)에 장착되어 유체가압수단(20)으로 증대된 유압으로 이 제 1 작동유압실(13)에 연계된 메인조우부재(30)를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척하우징(10)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메인조우작동수단(60)과;
척하우징(10)의 제 2 작동유압실(14)에 장착되고 메인조우작동수단(60)과 연결되어 동시에 작동하여 연동조우부재(40)를 메인조우부재(30)와 동시에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척하우징(10)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연동조우작동수단(70)과;
척하우징(10)의 각 제 2 작동유압실(14)에 장착되어 유체가압수단(20)으로 증대된 유압으로 이 제 2 작동유압실(14)에 연계된 각 작동조우부재(50)를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척하우징(10)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작동조우작동수단(80)과;
상기 메인조우작동수단(60)을 연동조우작동수단(70)을 연결시켜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는 동시작동연결수단(9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작업자가 공작물을 파지하기 위하여 척하우징(10)의 공작물삽입구멍(11)에 공작물을 삽입한 후 유체가압수단(20)을 작동시켜 메인유압실(12)의 유압이 증대되고 이 유압은 제 1 작동유압실(13)로 전달되어 메인조우작동수단(60)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 메인조우작동수단(60)이 작동되면 동시작동연결수단(90)으로 연결된 연동조우작동수단(70)이 동시에 작동하여 메인유압실(12)에서 증대된 유압이 각 제 2 작동유압실(14)로 전달되는 미세한 차이 없이 메인조우부재(30)와 연동조우부재(40)가 동시에 이동하여 공작물을 동시에 물어 고정하게 됨으로써 공작물을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에 편심없이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정면도로서, 척하우징의 전면에 공작물삽입구멍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된 조우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이 조우가이드홈에 메인조우부재와 작동조우부재가 각각 공작물삽입구멍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의 A - A' 단면도로서, 유체가압수단과 메인조우작동수단 및 작동조우작동수단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도 2의 B - B' 단면도로서, 메인작동수단에 동시작동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 연동조우작동수단과, 연결되지 않은 작동조우작동수단을 비교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본 고안의 배면도로서 척하우징의 후면에 동시작동연결수단으로 메인조우작동수단과 연동조우작동수단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척하우징(10)은 원형몸체를 가지며, 그 중심에 공작물을 삽입할 수 있는 공작물삽입구멍(11)이 뚫려져 형성되며, 그 전면에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후술될 메인조우부재(30)와 작동조우부재(5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우가이드홈(15)이 형성된다.
이 조우가이드홈(15)은 메인조우부재(30)와 작동조우부재(50)가 결합되어 이 메인조우부재(30)가 작동조우부재(50)가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척하우징(10)은 내부에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척하우징(10)의 외측으로 개방된 메인유압실(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메인유압실(12)에는 유체가 채워져 일정유압을 가진다.
척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유압실(12)에 연통되어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형성되는 제 1 작동유압실(13)과, 이 제 1 작동유압실(13)에 연통되며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 2 작동유압실(14)이 구비된다.
이 제 1, 2 작동유압실(13, 14)은 상기 척하우징(10)의 조우가이드홈(15)에 대응되는 갯수와 위치로 척하우징(10)의 내부로 형성되고 메인조우부재(30)와 작동조우부재(50)를 각각 작동시키는 메인조우작동수단(60)과 연동조우작동수단(70), 작동조우작동수단(80)이 각각 내장되도록 척하우징(10)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메인유압실(12)에는 이 메인유압실(12)에 일정유압으로 채워진 유체를 가압하는 유체가압수단(20)이 장착되며, 이 유체가압수단(20)은 외주면에 연속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척하우징(10)에 나사결합되어 그 단부가 메인유압실(12)의 내부로 위치하며 공구로 회전되는 승하강볼트부재(21)와;
외주면이 메인유압실(12)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승하강볼트부재(21)의 단부에 구비되며 유체가압피스톤부재(22)로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볼트부재(21)의 상부면에는 공구를 결합하여 돌릴 수 있는 공구결합홈(21a)이 형성되며 이 공구결합홈(21a)은 육각 렌찌를 결합하여 돌릴 수 있도록 육각형상으로 파여진다.
또 유체가압피스톤부재(22)의 외주면에는 유체가압피스톤부재(22)와 유압실을 실링시키는 오링(22a)이 결합된다.
즉, 작업자가 공구를 상기 공구결합홈(21a)에 결합시킨 후 유체가압피스톤부재(22)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승하강볼트부재(21)를 회전시키면 유체가압피스톤부재(22)가 하강하면서 메인유압실(12)의 유체를 가압하여 유압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증대된 유압은 일차적으로 메인유압실(12)과 직접 연통된 제 1 작동유압실(13)로 전달되고, 이 제 1 작동유압실(13)을 통해 각 제 2 작동유압실(14)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척하우징(10)의 제 1 작동유압실(13)에는 상기 척하우징(10)의 조우가이드홈(15)에 결합되는 메인조우부재(30)가 연계된다.
또 상기 척하우징(10)의 각 제 2 작동유압실(14)에는 상기 척하우징(10)의 조우가이드홈(15)에 결합되는 작동조우부재(50)가 연계되며, 제 2 작동유압실(14)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에는 연동조우부재(40)가 연계되며 본 고안에서는 메인조우작동수단(60)과 120도 간격으로 위치한 2 개의 제 2 작동유압실(14)에 각각 연동조우부재(40)가 연계되어 장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
이 메인조우부재(30)와 연동조우부재(40), 작동조우부재(50)는 후면에 내측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이동경사가이드홈(100)이 파여져 형성되며 이 이동경사가이드홈(100)은 그 경사면이 후술될 메인조우작동바(63)와 작동조우작동바(83)에 형성된 이동경사돌기(110)에 대응되는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어 이동경사돌기(110)가 결합되어 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 메인조우부재(30)와 연동조우부재(40), 작동조우부재(50)는 후면에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이동경사가이드홈(100)이 파여진 마스터조우(30a)와;
상기 마스터조우(30a)의 전면에 장착 고정되며, 그 일단이 척하우징(10)의 공작물삽입구멍(11) 측으로 돌출되어 공작물을 직접 물어 고정시키는 소프트조우(30b)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작동유압실(13)에는 상기 메인조우부재(30)를 작동시키는 메인조우작동수단(60)이 구비되며, 이 메인조우작동수단(60)은 척하우징(10)의 후면에 장착되어 제 1 작동유압실(13)을 차단하는 커버판(61)과;
몸체는 제 1 작동유압실(13)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내벽을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후면에 상기 커버판(61)을 관통하여 척하우징(10)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연결수단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돌기부(62a)가 돌출되고 그 앞 측에 제 1 작동유압실(13)의 유체가 채워지는 메인피스톤부재(62)와;
상기 메인피스톤부재(62)의 앞 측에 제 1 작동유압실(13)을 관통하여 척하우징(1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단부에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이동경사돌기(110)가 구비된 메인조우작동바(63)와;
상기 메인피스톤부재(62)와 커버판(61) 사이에 장착되어 이 메인피스톤부재(6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메인피스톤리턴스프링(6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피스톤부재(62)의 외주면과 상기 메인조우작동바(63)의 외주면에는 각각 제 1 작동유압실(13)에 채워진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1, 2 실링링(62b, 63a)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메인조우작동수단(60)과 동시작동연결수단(90)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작동하는 연동조우작동수단(70)은 메인조우작동수단(60)과 120도 간격으로 위치한 각 제 2 작동유압실(14)에 장착된다.
이 연동조우작동수단(70)은 척하우징(10)의 후면에 장착되어 제 2 작동유압실(14)을 차단하는 커버판(61)과;
몸체는 제 2 작동유압실(14)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내벽을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후면에 상기 커버판(61)을 관통하여 척하우징(10)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연결수단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돌기부(72a)가 돌출되고 그 앞 측에 제 2 작동유압실(14)의 유체가 채워지는 연동피스톤부재(72)와;
상기 연동피스톤부재(72)의 앞 측에 제 2 작동유압실(14)을 관통하여 척하우징(1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단부에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이동경사돌기(110)가 구비된 연동조우작동바(73)와;
상기 연동피스톤부재(72)와 커버판(61) 사이에 장착되어 이 연동피스톤부재(7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연동피스톤리턴스프링(74)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연동피스톤부재(72)의 외주면과 상기 연동조우작동바(73)의 외주면에는 각각 제 2 작동유압실(14)에 채워진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3, 4 실링링(72b, 73a)이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각 작동유압실에는 각 작동조우부재(50)를 작동시키는 작동조우작동수단(80)이 구비되며, 이 작동조우작동수단(80)은 척하우징(10)의 후면에 장착되어 작동유압실을 차단하는 커버판(61)과;
몸체는 제 2 작동유압실(14)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내벽을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그 앞 측에 메인유압실(12)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채워지는 작동피스톤부재(82)와;
상기 작동피스톤부재(82)의 앞 측에 작동유압실을 관통하여 척하우징(1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단부에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진 이동경사돌기(110)가 구비된 작동조우작동바(83)와;
상기 작동피스톤부재(82)와 커버판(61) 사이에 장착되어 이 작동피스톤부재(8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작동피스톤리턴스프링(84)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작동피스톤부재(82)의 외주면과 상기 작동조우작동바(83)의 외주면에는 각각 제 2 작동유압실(14)에 채워진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5, 6 실링링(82a, 83a)이 각각 결합된다.
이 동시작동연결수단(90)은 척하우징(10)의 후면에 장착되어 메인조우작동수단(60)과 연결되는 각 연동조우작동수단(70)에 각각 고정볼트(92)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판(91)으로 구성된다.
즉, 메인피스톤부재(62)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연결돌기부(62a)를 통해 고정볼트(92)로 연결판(91)에 고정되는 것이고 이 연결판(91)에 연결되는 연동조우작동수단(70)의 작동피스톤부재(82)는 제 2 연결돌기부(72a)를 통해 고정볼트(92)로 연결판(91)에 고정되어 메인조우작동수단(60)과 연동조우작동수단(70)이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척하우징(10) 내부의 메인유압실(12)과 메인피스톤부재(62) 앞 측의 제 1 작동유압실(13), 연동피스톤부재(72)와 작동피스톤부재(82) 앞 측의 제 2 작동유압실(14)에는 각각 일정 압력을 가지고 유체가 채워진다.
이 상태에서 공작물삽입구멍(11)에 삽입된 공작물을 물어 고정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공구결합홈(21a)에 공구를 결합하여 승하강볼트부재(21)를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승하강볼트부재(21)가 하강하면서 유체가압피스톤부재(22)를 하강시켜 메인유압실(12)의 유체를 가압하여 유압을 증대시키게 되는 것이다.
메인유압실(12)에서 증대된 유압은 일차적으로 제 1 작동유압실(13)로 전달되어 메인피스톤부재(62)를 밀어 척하우징(10)의 뒤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메인피스톤부재(62)가 뒤로 이동하면 연결판(91)에 의해 연결된 연동피스톤부재(72)도 따라서 같이 동시에 같이 척하우징(10)의 뒤로 이동되는 것이다.
메인피스톤부재(62)와 연동피스톤부재(72)가 뒤로 이동하면 메인조우작동바(63)의 이동경사돌기(110)가 메인조우부재(30)와 작동조우부재(50)의 이동경사가이드홈(100)에서 빠져 나오게 되면서 메인조우부재(30)와 작동조우부재(50)가 이동경사가이드홈(100)의 경사면을 타고 공작물삽입홈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여 공작물을 물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유압실(12)의 증대된 유압은 제 1 작동유압실(13)에 가까이 있는 제 2 작동유압실(14)로 미세한 차이를 가지고 전달되면서 메인피스톤부재(62)와 연결되지 않은 작동피스톤부재(82)를 뒤로 밀어 후퇴시킨다.
작동피스톤부재(82)가 뒤로 밀리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조우부재(50)가 미세한 차이를 두고 순차적으로 공작물을 물어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유압실(12)에서 증대된 유압으로 메인피스톤부재(62)와 이와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는 연동피스톤부재(72)로 인해 메인조우부재(30)와 몇 개의 연동조우부재(40)가 함께 이동하여 공작물이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에서 한번에 물려 편심되지 않게 고정된 후 다른 작동조우부재(50)가 미세한 차이를 가지고 공작물을 물어 고정하게 되므로 공작물의 중심과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물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작물이 물린상태로 척하우징(10)과 함께 회동하여 절삭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같은 중심을 가지고 회전하게 되어 정밀한 절삭작업이 가능하고, 진원 가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이 완료된 후 가공된 공작물을 풀 경우에는 작업자가 공구결합홈(21a)에 공구를 결합하여 승하강볼트부재(21)를 승강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메인유압실(12)의 유압이 줄어들면서 메인피스톤부재(62)과, 연동피스톤부재(72), 작동피스톤부재(8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메인피스톤리턴스프링(64)과 연동피스톤리턴스프링(74), 작동피스톤리턴스프링(84)의 탄성력에 의해 메인피스톤부재(62)와 연동피스톤부재(72), 작동피스톤부재(82)가 척하우징(10)의 앞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메인피스톤부재(62)와 작동피스톤부재(82)가 앞 측으로 이동하면 메인조우작동바(63)의 이동경사돌기(110)가 메인조우부재(30)와 작동조우부재(50)의 이동경사가이드홈(100)으로 삽입되면서 메인조우부재(30)와 작동조우부재(50)가 이동경사가이드홈(100)의 경사면을 타고 척하우징(10)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여 공작물을 물어 고정시킨 것이 풀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유체가압수단에서 증대된 유압으로 메인조우부재와 이 메인조우부재와 연동조우부재가 미세한 시간 차이 없이 동시에 공작물을 조여지도록 이동하여 공작물을 편심없이 척하우징의 공작물삽입구멍의 중심과 정확히 일치시켜 물어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조우부재와 이와 함께 작동하는 연동조우부재가 공작물을 물어 고정한 후 다 수의 작동조우부재가 공작물을 물어 고정시킴으로써 공작물을 견고하게 물어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척의 중심과 공작물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킨 상태로 공작물을 물어 고정할 수 있어 진원 가공이 가능하고 회전 절삭 가공 시 그 오차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 는 도 1의 A - A' 단면도
도 3 은 도 2의 B - B'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배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척하우징 11 : 공작물 삽입구멍
12 : 메인유압실 13 : 제 1 작동유압실
14 : 제 2 작동유압실 20 : 유체가압수단
30 : 메인조우부재 40 : 연동조우부재
50 : 작동조우부재 60 : 메인조우작동수단
70 : 연동조우작동수단 80 : 작동조우작동수단
90 : 동시작동연결수단

Claims (6)

  1. 몸체에 공작물삽입구멍(11)이 뚫려 있으며, 내부에 유체가 체워지는 메인유압실(12)과 이 메인유압실(12)에 연통되며 공작물삽입구멍(11)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 1 작동유압실(13)과 다 수의 제 2 작동유압실(14)이 구비된 척하우징(10)과;
    상기 척하우징(10)의 메인유압실(12)에 장착되며 이 메인유압실(12)에 채워진 유체를 가압하여 작동유압실의 유압을 증대시키는 유체가압수단(20)과;
    척하우징(10)의 제 1 작동유압실(13)에 연계되어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척하우징(10)에 장착되는 메인조우부재(30)와;
    상기 제 2 작동유압실(14)에 연계되어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척하우징(10)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조우부재(30)와 동시에 이동하는 연동조우부재(40)와;
    상기 제 2 작동유압실(14)에 연계되어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게 척하우징(10)에 장착되는 다 수의 작동조우부재(50)와;
    척하우징(10)의 제 1 작동유압실(13)에 장착되어 유체가압수단(20)으로 증대된 유압으로 이 제 1 작동유압실(13)에 연계된 메인조우부재(30)를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척하우징(10)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메인조우작동수단(60)과;
    척하우징(10)의 제 2 작동유압실(14)에 장착되고 메인조우작동수단(60)과 연결되어 동시에 작동하여 연동조우부재(40)를 메인조우부재(30)와 동시에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척하우징(10)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연동조우작동수단(70)과;
    척하우징(10)의 각 제 2 작동유압실(14)에 장착되어 유체가압수단(20)으로 증대된 유압으로 이 제 2 작동유압실(14)에 연계된 각 조우부재를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척하우징(10)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작동조우작동수단(80)과;
    상기 메인조우작동수단(60)을 연동조우작동수단(70)을 연결시켜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는 동시작동연결수단(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체가압수단(20)은 외주면에 연속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척하우징(10)에 나사결합되어 그 단부가 메인유압실(12)의 내부로 위치하며 공구로 회전되는 승하강볼트부재(21)와;
    외주면이 메인유압실(12)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승하강볼트부재(21)의 단부에 구비되며 유체가압피스톤부재(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3. 상기 메인조우작동수단(60)은 척하우징(10)의 후면에 장착되어 제 1 작동유압실(13)을 차단하는 커버판(61)과;
    몸체는 제 1 작동유압실(13)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내벽을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후면에 상기 커버판(61)을 관통하여 척하우징(10)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연결수단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돌기부(62a)가 돌출되고 그 앞 측에 제 1 작동유압실(13)의 유체가 채워지는 메인피스톤부재(62)와;
    상기 메인피스톤부재(62)의 앞 측에 제 1 작동유압실(13)을 관통하여 척하우징(1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단부에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이동경사돌기(110)가 구비된 메인조우작동바(63)와;
    상기 메인피스톤부재(62)와 커버판(61) 사이에 장착되어 이 메인피스톤부재(6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메인피스톤리턴스프링(6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조우작동수단(70)은 척하우징(10)의 후면에 장착되어 제 2 작동유압실(14)을 차단하는 커버판(61)과;
    몸체는 제 2 작동유압실(14)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내벽을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후면에 상기 커버판(61)을 관통하여 척하우징(10)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연결수단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돌기부(72a)가 돌출되고 그 앞 측에 제 2 작동유압실(14)의 유체가 채워지는 연동피스톤부재(72)와;
    상기 연동피스톤부재(72)의 앞 측에 제 2 작동유압실(14)을 관통하여 척하우징(1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단부에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이동경사돌기(110)가 구비된 연동조우작동바(73)와;
    상기 연동피스톤부재(72)와 커버판(61) 사이에 장착되어 이 연동피스톤부재(7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연동피스톤리턴스프링(7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우작동수단(80)은 척하우징(10)의 후면에 장착되어 작동유압실을 차단하는 커버판(61)과;
    몸체는 제 2 작동유압실(14)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내벽을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그 앞 측에 메인유압실(12)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채워지는 작동피스톤부재(82)와;
    상기 작동피스톤부재(82)의 앞 측에 작동유압실을 관통하여 척하우징(1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단부에 공작물삽입구멍(11)의 중심을 향해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진 이동경사돌기(110)가 구비된 작동조우작동바(83)와;
    상기 작동피스톤부재(82)와 커버판(61) 사이에 장착되어 이 작동피스톤부재(8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작동피스톤리턴스프링(8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시작동연결수단(90)은 척하우징(10)의 후면에 장착되어 메인조우작동수단(60)과 연결되는 각 연동조우작동수단(70)에 각각 고정볼트(92)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판(9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KR20050027437U 2005-09-23 2005-09-23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KR200404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7437U KR200404476Y1 (ko) 2005-09-23 2005-09-23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7437U KR200404476Y1 (ko) 2005-09-23 2005-09-23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533A Division KR100639412B1 (ko) 2005-09-23 2005-09-23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476Y1 true KR200404476Y1 (ko) 2005-12-23

Family

ID=3908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27437U KR200404476Y1 (ko) 2005-09-23 2005-09-23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4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412B1 (ko)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CA1070987A (en) Clamping device
US5971380A (en) Fluid-actuated workholding apparatus
CN111230547B (zh) 一种回转机床柔性快捷装夹夹具及装夹方法
CN101850427A (zh) 立式转塔车床
FI117593B (fi) Järjestely lastuavaan työstöön
KR100641874B1 (ko) 소프트조우 퀵 체인지 척
KR20150021415A (ko) 전장 패널의 홀 가공을 위한 유압 펀칭장치
CN112809389B (zh) 高效活塞钻镗孔一体机
KR100248281B1 (ko) 교환가능한처크시스템
KR200404476Y1 (ko) 공작기계용 진원 클램프 척
CN112449616B (zh) 加工工具
EP3849744B1 (en) Device for restraining/locking mechanical parts on machine tools
CN117001363A (zh) 行星齿轮轴的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KR200402497Y1 (ko) 공작기계용 멀티 유압척
US20050150336A1 (en) Snap-ring groove cutting tool for portable line boring machine
KR100639413B1 (ko) 퀵 체인지 척
KR200491067Y1 (ko) 유압식 척 조오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CN212249863U (zh) 一种跟管钻具偏心套的压齿装置
JP2002227591A (ja) トンネル掘削機のカッター装置
CN111594071A (zh) 双缸双动钻杆夹持器
KR200402499Y1 (ko) 퀵 체인지 척
CN104439415A (zh) 一种液压马达壳体专用双弹簧销钻模
KR101370252B1 (ko) 공작기계용 멀티 자동앵귤러 어태치먼트 장치
CN217800397U (zh) 一种用于加工钻头排粉槽的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