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303Y1 - Vending machine for stick candy - Google Patents

Vending machine for stick can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303Y1
KR200404303Y1 KR20-2005-0028846U KR20050028846U KR200404303Y1 KR 200404303 Y1 KR200404303 Y1 KR 200404303Y1 KR 20050028846 U KR20050028846 U KR 20050028846U KR 200404303 Y1 KR200404303 Y1 KR 200404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y
vending machine
hopper
uni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84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맨코
Priority to KR20-2005-0028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30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303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4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e.g. magazine, being pivotally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10Candy-pulling machines ; Processes or apparatus for making cotton candy or candy flo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Abstract

막대사탕의 판매시 막대사탕의 이송 및 배출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막대사탕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d candy vending machine, which is configured to accurately and stably transfer and discharge rod candy in the sale of rod candy.

그러한 막대사탕 자동판매기는, 내부가 공간부로 이루어지면서 일측에는 동전/지폐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소정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판매하려는 막대사탕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호퍼;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동전/지폐투입기에 소정의 금액이 투입되면 상기 호퍼에 투입된 사탕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스위치 온 상태로 되고 사탕을 선택한 후에는 스위치 오프 상태로 변환되는 선택버튼; 상기 선택버튼의 누름작동에 따라서 소정의 궤적으로 원운동 하면서 호퍼에 담긴 막대사탕을 하나씩 인출하여 한계단씩 상부쪽으로 옮기는 방식으로 막대사탕을 배출구와 연결된 가이드통로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 상기 동전/지폐투입구로 투입되는 금액의 확인 및 확인된 금액에 따라서 상기 선택버튼이 스위치 온/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막대사탕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Such a lollipop vending machine, the inside is made of a space portion, one side of the case is formed coin / bank opening; A hopper form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case and storing a rod candy to be sold therein; A selection button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case and switched to a switch-on state to select a number of candy into the hopper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money is put into the coin / bank input machine; A transfer member for transferring the rod candy to the guide passag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by pulling the rod candy contained in the hopper one by one while moving circularly in a predetermined trajectory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election butt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llipop vending machin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lection button to be switched on / off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of the amount of money input to the coin / bank input.

Description

막대사탕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 FOR STICK CANDY}Candy Bar Vending Machine {VENDING MACHINE FOR STICK CANDY}

본 고안은 막대사탕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사탕의 판매시 막대사탕의 이송 및 배출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막대사탕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llipop ven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llipop vending machine made so that the transfer and discharge of the lollipop can be made accurately and stably during the sale of the lollipop.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동전·지폐·카드 등을 이용하여 상품 등을 판매하는 기계로서, 24시간 무인판매 시스템으로 운용할 수 있으면서 비교적 좁은 면적에도 설치할 수 있고, 판매인력이 필요없는 장점 등으로 인하여 계속적으로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Generally, the vending machine is a machine that sells goods using coins, banknotes, cards, etc., which can be operated by a 24-hour unmanned sales system and can be installed in a relatively small area. The installation is increasing.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커피, 음료, 담배 등을 판매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의 경우이나 근래에는 소비환경 및 소비양식의 변화로 인하여 더욱 다양한 종류의 자동판매기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중에서 막대사탕을 자동으로 판매하는 막대사탕 자동판매기가 알려져 있다.These vending machines are designed to sell coffee, beverages, tobacco, etc., but in recent years, more various types of vending machines have been proposed due to changes in consumption environment and consumption patterns. Lollipop vending machines are known.

이 막대사탕 자동판매기는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한 후 작동버튼을 누르면 모터의 구동으로 벨트 컨베이어가 회전하면서 호퍼에 담긴 하나의 막대사탕을 벨트 컨베이어에 설치된 버킷이 인출하여 이송시켜 투출구로 투입하면 이 막대사탕이 가이드부를 따라서 배출구로 배출되어 구매자가 사탕을 구입할 수 있게된다.This candy bar vending machine presses the operation button after inserting coins or banknotes, and the belt conveyor rotates with the drive of the motor while the bucket installed on the belt conveyor pulls out and transfers the candy to the outlet. The lollipop is discharged along the guide to the outlet so that the buyer can purchase the candy.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막대사탕 자동판매기는 벨트 컨베이어가 설치된 상태에서 동일한 회전궤도로 회전하며 호퍼에 담긴 막대사탕을 인출하는 구조이므로 일정량의 막대사탕이 인출된 후에는 막대사탕의 중앙부에 터널이 생겨 그 이후에는 막대사탕의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ollipops vending machine rotates with the same rotational track while the belt conveyor is installed and draws out the lollipops contained in the hopper. After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thdrawal of the lollipop is not made.

막대사탕의 중앙부에 터널이 생기는 이유는 호퍼에 투입된 막대사탕은 막대로 인하여 사탕들끼리 서로 엉켜있는 상태이고, 벨트 컨베이어는 회전궤도가 일정하므로 소정량의 사탕이 인출되면 호퍼에 담긴 사탕에 터널이 생기게되는데, 따라서 종래의 막대사탕 자동판매기는 소정량의 사탕이 판매되면 자판기를 흔들거나 기울여 막대사탕을 섞어 터널형성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The reason why the tunnel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llipop is that the lollipops put into the hopper are entangled with the candy due to the rods, and the belt conveyor has a constant rotational trajectory. Therefore, the conventional lollipops vending machine is to shake the vending machine or tilt the vending machin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the tunnel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candy is sold.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호퍼에 담긴 막대사탕을 소정의 궤적으로 섞어 휘저으면서 하나씩 인출하여 호퍼에서 배출구쪽으로 계단식으로 이송하므로 막대사탕의 이송 및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막대사탕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ull the rod candy contained in the hopper with a predetermined trajectory and withdraw one by one while stirring to transfer stepwise from the hopper to the outlet of the rod candy It is to provide a lollipop vending machine that can be configured to transfer and discharge stably.

본 고안이 제안하는 막대사탕 자동판매기는,Lollipop vending machin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내부가 공간부로 이루어지면서 일측에는 동전/지폐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스;The inside is made of a space portion while one side is formed coin / bank opening;

상기 케이스 내부에 소정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판매하려는 막대사탕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호퍼;A hopper form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case and storing a rod candy to be sold therein;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동전/지폐투입기에 소정의 금액이 투입되면 상기 호퍼에 투입된 사탕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스위치 온 상태로 되고 사탕을 선택한 후에는 스위치 오프 상태로 변환되는 선택버튼;A selection button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case and switched to a switch-on state to select a number of candy into the hopper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money is put into the coin / bank input machine;

상기 선택버튼의 누름작동에 따라서 원운동 하면서 호퍼에 담긴 막대사탕을 하나씩 인출하여 한계단씩 상부쪽으로 옮기는 방식으로 막대사탕을 배출구와 연결된 가이드통로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A transfer member for transferring the rod candy to the guide passag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by pulling the rod candy contained in the hopper one by one and moving upwardly by the limit stages in a circular motion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election button;

상기 동전/지폐투입구로 투입되는 금액의 확인 및 확인된 금액에 따라서 상기 선택버튼이 스위치 온/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lection button to be in a switched on / off st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ney input to the coin / bank input and the confirmed amount;

를 포함하는 막대사탕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Provides a lollipop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상기 이송부재는 일측면이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진 막대사탕 안착부가 형성된 고정베이스와, 선택버튼의 작동으로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원운동 및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원운동하면서 호퍼에 담긴 막대사탕을 하나씩 인출하여 고정베이스의 하단부 첫 번째 안착부에 안착시킴과 아울러 그 다음 안착부에 안착된 사탕을 계단식으로 한계단씩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운동부로 구성된다.The transfer member has a fixed base having a rod candy seat formed on one side thereof in a stepped shape, a drive motor driven by the operation of a selection button,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receives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and converts the circular motion and the rotational motion into a circular motion. And, the conveyor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while drawing the candy in the hopper one by one while moving in a circular motion and seated on the first seat of the lower end of the fixed base, and then transfer the candy seated on the seat to the step by step marginally It consists of an exercise par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막대사탕 자동판매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막대사탕 자동판매기의 측면도로서, 부호 2는 막대사탕 자동판매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를 지칭한다.1 is a front view of a lollipops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lollipops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denotes a case form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lollipops vending machine.

상기 케이스(2)는 내부가 공간부로 형성되어 판자동판매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 및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전면부 외측으로는 자동판매기 내부에 판매하려는 막대사탕을 투입하거나, 자동판매기의 유지보수 및 점검을 위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4)와,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할 수 있도록 동전/지폐 투입구(6)와, 복수의 선택버튼(8)과 디스플레이부(10) 및 스피커(12)가 설치된다.The case (2) is made so that the interior is formed as a space portion so that various components and devices constituting the board copper vending machine can be installed, the outside of the front part to put the candy bar to sell inside the vending machine, or The door (4)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maintenance and inspection, a coin / bank opening (6) for inserting coins or bills, a plurality of selection buttons (8), a display unit (10) and a speaker (12) Is installed.

또한 케이스(2) 내부에는 판매하려는 막대사탕이 투입 저장되는 호퍼(14)와, 상기 선택버튼(8)의 누름작동에 따라서 구동하면서 호퍼(14)에 담긴 막대사탕을 하나씩 인출하여 이송하여 배출구(16)로 배출시키는 이송부재(18)와, 상기 동전/지폐투입구(6)로 투입되는 금액의 확인 및 확인된 금액에 따라서 상기 선택버튼(8)이 스위치 온/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 case (2) inside the hopper (14) to be stored and put the candy to be sold, and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election button (8) to take out the rod candy contained in the hopper 14 one by one to transport the outlet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lection button 8 to be in a switched on / off state according to the transfer member 18 for discharging to the 16 and the amount of money input to the coin / bank input 6 and the confirmed amount of money; 20) is provided.

상기 동전/지폐 투입구(6)의 내측으로는 투입된 동전 또는 지폐를 인식할 수 있는 금액확인 센서(미도시)가 설치되는데, 이 금액 확인센서는 자동판매기에 통상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side the coin / bank input 6, an amount checking sensor (not shown) capable of recognizing an input coin or a banknote is installed, and this amount checking sensor may be applied to a conventionally installed and used machine in a vending machin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선택버튼(8)은 동전/지폐투입구(6)에 소정의 금액이 투입되면 금액확인 센서가 이를 확인하여 일정금액 이상의 투입이 확인되면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스위치 온 상태로 작동 가능하게 되고, 이를 누르면 이송부재(18)가 작동되면서 호퍼(14)에 투입된 사탕을 하나씩 인출하면서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한계단씩 상부쪽으로 이송시켜 배출구(16)로 배출하도록 하여주고, 작동이 완료되면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스위치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있다.The select button 8 is operable in a switched-on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money is input into the coin / bank input 6 and the amount checking sensor checks this and when input of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is confirmed. When this is pressed, the conveying member 18 is operated to take out the candy put into the hopper 14 one by one while transferring to the upper portion by a marginal end as described later to discharge to the discharge port 16, and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 The control is switched to the switched off state by the control of 20).

또한 상기 선택버튼(8)은 본 고안의 막대사탕 자동판매기에 부가적으로 게임팩(미도시)이 제공되어 게임기능이 제공될 경우 게임버튼으로 사용되며, 이때 디스플레이부(10) 및 스피커(12)에서는 게임과 관련된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여 준다.In addition, the selection button 8 is provided as a game pack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candy bar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game button when the game function is provided, wherein the display unit 10 and the speaker 12 ) Outputs video and sound related to the game.

그리고 막대사탕 자동판매기가 자동판매기의 역할만 할 수 있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0) 및 스피커(12)에서 막대사탕의 판매 및 자동판매기의 기기의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매자에게 흥미를 끌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광고영상 및 음향이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f the lollipop vending machine can only serve as a vending machine, the display unit 10 and the speaker 12 allow the naked eye to visually identify the sale of the lollipop and the operation of the vending machine. It may be configured to repeatedly output the advertising image and sound to attract.

상기 호퍼(14)는 사탕이 투입 및 저장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를 갖추며, 호퍼(14)의 일측면은 이송부재(18)가 호퍼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사탕을 인출할 수 있도록 절제되어 있다.The hopper 14 has a predetermined space so that candy can be inserted and stored, one side of the hopper 14 is cut so that the transfer member 18 can withdraw the candy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opper.

상기 이송부재(18)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진 막대사탕 안착부(22)가 형성된 고정베이스(24)와, 선택버튼(8)의 작동으로 구동하는 구동모터(26)와, 이 구동모터(2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원운동 및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원운동하면서 호퍼(14)에 담긴 막대사탕을 하나씩 인출하여 고정베이스(24)의 하단부 첫 번째 안착부(22)에 안착시킴과 아울러 그 다음 안착부에 안착된 사탕을 계단식으로 한계단씩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운동부(28)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3 to 6, the transfer member 18 is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selection base 8 and the fixed base 24 having the rod candy seat 22 having one side formed in a step shape. The drive motor 26,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or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26 to convert the circular motion and rotational motion, and the rod candy contained in the hopper 14 while being connected in circular motion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It draws out one by one and seats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22 of the lower end of the fixed base 24, and then includes a conveyor movement unit 28 for transferring the stepped candy step by step marginally.

상기 고정베이스(24)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한쌍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들 플레이트에는 뒤에서 설명되는 동력적달부의 주구동부 및 보조구동부가 운동 가능하게 컨베이어 운동부(28)에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홀이 형성된다.The fixed base 24 is formed in the form of a pair of plates arranged in parallel directions at regular intervals, these plates are to be connected to the conveyor movement unit 28 so as to be able to move the main drive unit and the auxiliary drive unit of the power delivery described later. A predetermined hole is formed so that it can be.

이러한 고정베이스(24)의 전면으로는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진 막대사탕 안착부(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베이스(24)는 하부면이 케이스(2)에 고정된 고정판(30)에 고정되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base 24 is formed with a rod candy seating portion 22 formed in a step shape, respectively. The fixed base 24 is maintained in a state where the lower surface is fixed to the fixed plate 30 fixed to the case (2).

상기 컨베이어 운동부(28)는 고정베이스(24)의 막대사탕 안착부(22)와 동일한 형상의 이송턱(32)이 전면에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컨베이어 운동부(28)는 고정베이스(24)의 내측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동력전달부를 통하여 운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 배치된다.The conveyor movement portion 28 is composed of a pair of plate structure formed on the front of the transfer jaw 32 of the same shape as the rod candy seating portion 22 of the fixed base 24, this conveyor movement portion 28 is fixed It is fixedly disposed in a state capable of movement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 a state located inward of the base 24.

상기 고정베이스(24) 및 컨베이어 운동부(28)들 사이의 배치간격은 막대사탕(100)의 사탕직경보다 작은 폭을 유지하여 설치되어 막대사탕 안착부(22)와 이송턱(32)에서 막대사탕(100)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Arrangement interval between the fixed base 24 and the conveyor movement unit 28 is installed to maintain a width smaller than the candy diameter of the lollipop 100, the lollipops in the lollipop seat 22 and the transfer jaw 32 100 is to be transported while maintaining a seated state.

그리고 막대사탕 안착부(22)와 이송턱(32)은 사탕이송 및 안착시 사탕이 안정적으로 놓여져 지지될 수 있도록, 전면 선단부가 측면에서 보아 하부쪽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하향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사탕이 안착부와 이송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도 4 및 도 5 참조)And the candy bar seat 22 and the transfer jaw 32 is formed by a downward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ide to the bottom so that the candy can be stably placed and supported when the candy is transported and seated candy It is configured to prevent falling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the conveying portion (see FIGS. 4 and 5).

또한 컨베이어 운동부(28)의 이송턱(32)중에서 호퍼(14)에 담긴 막대사탕을 실질적으로 인출하는 이송턱은 하나의 막대사탕만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한번에 두 개의 막대사탕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나의 막대사탕만이 인출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jaw that substantially pulls out the rod candy contained in the hopper 14 of the transfer jaw 32 of the conveyor movement unit 28 is formed to a size that can be seated only one rod candy so that the two rod candy at a time Only one lollipop can be withdrawn while preventing it.

상기 동력전달부는 구동모터(26)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구동축(34)과, 이 구동축(34)의 구동력에 의하여 컨베이어 운동부(28)를 회전운동 시키면서 지지하는 주구동부(36) 및 보조구동부(38)로 이루어진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drive shaft 34 rotating by the drive of the drive motor 26, and a main drive unit 36 and an auxiliary drive unit 38 supporting the conveyor moving unit 28 while rotating the conveyor movement unit 28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shaft 34. )

상기 주구동부(36)는 구동축(34)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스프로켓(40) 및 한쌍의 구동회전판(42)과, 상기 구동회전판(42)들 사이에 컨베이어 운동부(28)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44)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주구동부(36)의 외측에는 하우징(46)이 설치되어 상기 부품의 보호 및 부품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구동모터(26) 및 일측 구동회전판(42)은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로 하우징(4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The main drive unit 36 includes a drive sprocket 40 fixed to the drive shaft 34 and a pair of drive rotary plates 42, and hinge pins that hinge-couple the conveyor moving unit 28 between the drive rotary plates 42. It is composed of a 44, the housing 46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drive portion 36 is to be able to protect the component and the fixed support of the component. Substantially, the driving motor 26 and the one side driving rotary plate 42 are rotatably fixed to the housing 46 by fixing members such as screws.

상기 보조구동부(38)는 주구동부(36)의 구동스프로켓(40)과 체인(48)으로 연결되는 피동스프로켓(50)과, 이 피동스프로켓(50)의 회전중심점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동축(52)과, 이 피동축(52)에 일측단이 고정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이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한 상태로 하우징(54)에 힌지 고정되는 한 쌍의 피동회전판(56)들과, 상기 피동회전판(56)들 사이에 컨베이어 운동부(28)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58)으로 이루어진다.The auxiliary driving unit 38 is a driven sprocket 40 connected to the drive sprocket 40 and the chain 48 of the main drive unit 36, and a pivot which is rotatably fixed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en sprocket 50 Coaxial 52 and a pair of driven rotating plate 56 is fixed to one side end is fixed to the driven shaft 52 and the other one is hinged to the housing 54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 A hinge pin 58 for hinge coupling the conveyor movement portion 28 between the driven rotating plate (56).

상기 주구동부(36)의 하우징(46)과 보조구동부(38)의 하우징(54)은 나사나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로 고정베이스(24)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의 마주하는 면은 개방부로 형성되어 체인(48)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The housing 46 of the main driving unit 36 and the housing 54 of the auxiliary driving unit 38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fixed base 24 by a fixing member such as a screw or a bolt, and the opposing surface of one side is formed as an open portion. To allow the chain 48 to pass through.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운동부(28)를 힌지 결합하는 주구동부(38) 및 보조구동부(38)의 힌지핀(44)(58)은 힌지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싱베어링으로 대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nge pins 44 and 58 of the main drive unit 38 and the auxiliary drive unit 38 hinged to the conveyor movement unit 28 may be replaced by bushing bearings so that the hinge action can be made more smoothly.

이러한 동력전달부의 작동으로 운동하는 컨베이어 운동부(28)는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운동하면서, 구동모터(26)가 구동하면 이와 연결된 구동축(34)의 회전으로 구동스프로켓(40)은 회전운동하고, 구동회전판(42)은 구동축(34)을 중심으로 원운동하게되며, 이와 동시에 구동스프로켓(40)과 체인(48)으로 연결된 피동스프로켓(50)도 피동축(5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피동회전판(56)들도 피동축(5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한다.Conveyor movement unit 28 that moves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while moving in sequence as shown in Figs. 7a to 7e, when the drive motor 26 is driven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34 connected to the drive sprocket 40 ) Rotates, the driving rotary plate 42 is circular movement around the drive shaft 34, and at the same time the driven sprocket 50 is connected to the drive sprocket 40 and the chain 48 also the driven shaft 52 While rotating around the driven plate 56 also rotates about the driven shaft (52).

이에 따라 컨베이어 운동부(28)는 구동회전판(42) 및 피동회전판(56)에 힌지핀(44)(58)으로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축(34)과 피동축(52)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구동회전판(42) 및 피동회전판(56)의 일측에 연결된 힌지핀(44)(58)의 회전반경을 유지하면서 원운동 하게된다.Accordingly, the conveyor movement unit 28 is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e shaft 34 and the driven shaft 52 in the state that is fixedly supported by the hinge pin 44, 58 to the drive rotary plate 42 and the driven rotary plate 56 The circular motion is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rotation radius of the hinge pins 44 and 58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iving rotary plate 42 and the driven rotary plate 56.

이와 같이 컨베이어 운동부(28)가 원운동하면서 이송턱(32)이 호퍼(14)에 담긴 막대사탕들을 휘저으면서 하나의 막대사탕을 인출하여 고정베이스(24)의 하단부의 사탕안착부(22)에 안착시키며, 이러한 작용이 반복적 행하여지면서 컨베이어 운동부(28)는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운동하면서 고정베이스(24)의 사탕안착부(22)에 안착된 사탕은 이송턱(32)이 잡아서 계단형으로 이루어진 그 상부쪽 사탕안착부로 한계단씩 이송하면서 호퍼(14)에서는 계속적으로 하나의 사탕을 인출한다.As the conveyor movement unit 28 moves in a circular manner, the transfer jaw 32 pulls out one lollipop while stirring the lollipops contained in the hopper 14 to the candy seat 22 of the lower end of the fixed base 24. As this action is repeatedly performed, the conveyor movement part 28 moves in sequence as shown in FIGS. 7A to 7E, and the candy seated on the candy seating part 22 of the fixed base 24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jaw 32. ), The hopper 14 continuously draws out one candy while transferring it to the upper end of the candy seat having a stepped shape.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고정베이스(24)에 형성된 각각의 사탕안착부(22)에 막대사탕(100)이 모두 안착된 후, 상기와 동일하게 컨베이어 운동부(28)가 원운동하면서 호퍼(14)에서 하나의 사탕을 인출하면서 고정베이스(24)의 최상부 사탕안착부(22)에 위치하던 막대사탕(100)은 컨베이어 운동부(28)의 최상부에 위치한 이송턱(32)이 잡아서 이송하여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베이스(24)의 상부를 통과할 때 막대사탕이 걸리면서 이송턱(32)에서 이탈되어 가이드통로(60)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Through this process, all the lollipops 100 are seated on each of the candy seating portions 22 formed in the fixed base 24, and one of the hoppers 14 moves in a circular motion as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The candy bar 100, which is located on the top candy seat 22 of the fixed base 24, withdraws the candy of the candy, is transported by the transfer jaw 32 located at the top of the conveyor movement unit 28, and is shown in FIG. As it passes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base 24, the rod candy is caught and separated from the transfer jaw 32 to fall in the direction of the guide passage (60).

한편, 상기 가이드통로(60)에는 사탕의 배출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센서(62)가 설치되며, 이 카운팅센서(62)는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20)에서 사탕의 배출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passage 60 is provided with a counting sensor 62 for counting the discharge of the candy, the counting sensor 6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 to discharge the candy from the control unit 20 You can check whether it is done.

따라서 예를 들어 컨베이어 운동부(28)가 호퍼(14)에서 사탕을 인출하지 못하여 막대사탕의 배출작용시 카운팅센서(62)에서 카운팅하지 못하면, 이 신호가 제어부(20)로 전달되어 구동모터(26)를 계속 구동시켜 컨베이어 운동부(28)를 작동시켜서 그 다음번의 막대사탕이 배출되도록 작용한다.Thus, for example, when the conveyor movement unit 28 does not pull out the candy from the hopper 14 and counts in the counting sensor 62 when the candy is discharge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0 to drive the motor 26. ) Is operated to operate the conveyor movement unit 28 so that the next lollipop is discharged.

상기 카운팅센서(62)는 통상의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unting sensor 62 may be made of a conventional limit switch,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막대사탕 자동판매기의 사용은, 먼저 호퍼(14)에 막대사탕을 투입한 상태에서 동전/지폐투입구(6)에 동전이나 지폐를 넣으면 그 내부에서 도시되지 않은 금액확인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로 전송한다.The use of the lollipops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put a coin or banknote in the coin / bank input 6 in the state that puts the lollipops in the hopper (14) is not shown inside the amount confirmation sensor This is detec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

그러면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배출할 막대사탕의 개수를 설정하면서 선택버튼(8)은 스위치 온 상태로 전환되며, 이때 선택버튼(8)을 누르면 구동모터(26)가 구동하면서 구동축(34)의 회전으로 주구동부(36) 및 보조구동부(38)가 구동한다.Then, the selection button 8 is switched to the on state while setting the number of the lollipops to be discharg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 At this time, when the selection button 8 is pressed, the driving motor 26 is driven and the driving shaft 34 is driven. The main driving unit 36 and the auxiliary driving unit 38 are driven by the rotation of.

이러한 작용으로 구동스프로켓(40)은 회전운동하고 구동회전판(42)은 구동축(34)을 중심으로 원운동하며, 이와 동시에 구동스프로켓(40)과 체인(48)으로 연결된 피동스프로켓(50)도 피동축(5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피동회전판(56)들도 피동축(5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며, 이때 컨베이어 운동부(28)는 구동회전판(42) 및 피동회전판(56)에 고정 지지된 상태로 고정베이스(24)의 내측에서 소정의 회전반경으로 원운동을 하게 된다.The drive sprocket 40 is rotated by this action and the drive rotary plate 42 is circularly moved about the drive shaft 34. At the same time, the driven sprocket 50 connected by the drive sprocket 40 and the chain 48 is also avoided. While rotating about the coaxial 52, the driven rotating plate 56 also rotates about the driven shaft 52, wherein the conveyor movement unit 28 is fixedly supported by the driving rotating plate 42 and the driven rotating plate 56. The circular motion at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inside the fixed base 24 in a closed state.

이와 같이 컨베이어 운동부(28)가 원운동하면서 컨베이어 운동부(28)의 하단부에 형성된 이송턱(32)은 호퍼(14)에 담긴 막대사탕들을 휘저으면서 하나의 막대사탕을 인출하여 고정베이스(24)의 하단부측 사탕안착부(22)에 안착시킨다.As such, the conveying jaw 3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veyor motion part 28 while the conveyor motion part 28 moves in a circular motion draws out one bar candy while stirring the lollipops contained in the hopper 14. The lower end side is seated on the candy seat 22.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용이 반복적 행하여지면서 컨베이어 운동부(28)의 운동으로 고정베이스(24)의 사탕안착부(22)에 안착된 사탕은 이송턱(32)이 잡아서 계단형으로 이루어진 그 상부쪽 사탕안착부로 이송하면서 호퍼(14)에서는 계속적으로 하나의 사탕을 인출하게 된다.And the candy is seated on the candy seating portion 22 of the fixed base 24 by the movement of the conveyor movement portion 28 as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the upper side of the candy seat is formed by the transfer jaw 32 is stepped The hopper 14 continuously withdraws one candy while transferring to the portion.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고정베이스(24)에 형성된 각각의 사탕안착부(22)에 막대사탕(100)이 모두 안착된 후, 상기와 동일하게 컨베이어 운동부(28)가 원운동하면서 호퍼(14)에서 하나의 사탕을 인출하면서 고정베이스(24)의 최상부 사탕안착부(22)에 위치하던 막대사탕(100)은 컨베이어 운동부(28)의 최상부에 위치한 이송턱(32)이 잡아서 이송하여 고정베이스(24)의 상부를 통과할 때 막대사탕이 걸리면서 이송턱(32)에서 이탈되면서 가이드통로(60)로 투출된다.Through this process, all the lollipops 100 are seated on each of the candy seating portions 22 formed in the fixed base 24, and one of the hoppers 14 moves in a circular motion as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Lollipop 100, which is located on the top candy seat 22 of the fixed base 24 while withdrawing the candy, is transported by the transporting jaw 32 located on the top of the conveyor movement unit 28 and fixed to the fixed base 24. When passing through the top of the rod candy is taken out from the conveying jaw (32) is discharged into the guide passage (60).

이렇게 투출된 막대사탕은 가이드통로(60)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카운팅센서(62)가 카운팅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20)로 전달하고, 이 제어부(20)에서는 금액만큼의 사탕이 카운팅센서(62)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배출 개수가 만족되면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모터(26)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선택버튼(8)은 스위치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The rod candy discharged in this way is discharged through the guide passage 60 and the counting sensor 62 counts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20. In this control unit 20, the amount of candy is counted by the counting sensor 62. When the number of discharges is satisfied, the drive button 26 is stopp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 and the selection button 8 is switched to the switched off state.

그리고 막대사탕이 가이드통로(60)로 통과하여 배출구(16)로 배출되면 구매자가 사탕을 꺼내면 된다.And when the candy bars pass through the guide passage 60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6, the buyer can take out the candy.

이러한 사탕의 배출작용시 디스플레이부(10) 및 스피커(12)에서는 기기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 및 음향이 출력되고, 제품의 판매가 완료되면 이 디스플레이부(10) 및 스피커(12)를 통하여 구매자에게 흥미를 끌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광고영상 및 음향이 출력된다.When the candy is discharged, the display unit 10 and the speaker 12 output an image and sound for confirm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 and when the sale of the product is completed, through the display unit 10 and the speaker 12. The advertisement image and sound are repeatedly output to attract the buy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막대사탕 자동판매기는, 컨베이어 운동부가 소정의 운동반경으로 호퍼를 통과하면서 막대사탕을 휘저어 섞으면서 인출하므로 막대사탕에 터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막대사탕의 배출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ick candy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raws the conveyor movement part while stirring the stick candy while passing the hopper at a predetermined radius of motion, there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a tunnel in the stick candy and stably discharging the stick candy. I can keep it.

또한 막대사탕의 이송을 호퍼에서부터 배출구쪽으로 한계단씩 계단형으로 이송시키므로 이송단계에서 사탕이 이송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of the lollipops from the hopper to the outlet step by step in the step-by-step to prevent the can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ransfer member in the transfer step.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막대사탕 자동판매기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lollipops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막대사탕 자동판매기의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lollipops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막대사탕 자동판매기를 구성하는 이송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transfer member constituting the candy bar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막대사탕 자동판매기를 구성하는 이송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conveying member constituting the candy bar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막대사탕 자동판매기의 이송부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사시도.Figure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ember of the candy bar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막대사탕 자동판매기의 이송부재를 구성하는 고정베이스와 컨베이어 운동부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Figure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fixed base and the conveyor movement portion constituting the transfer member of the lollipops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막대사탕 자동판매기가 막대사탕을 이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onveying the lollipops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내부가 공간부로 이루어지면서 일측에는 동전/지폐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스;The inside is made of a space portion while one side is formed coin / bank opening; 상기 케이스 내부에 소정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판매하려는 막대사탕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호퍼;A hopper form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case and storing a rod candy to be sold therein;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동전/지폐투입기에 소정의 금액이 투입되면 상기 호퍼에 투입된 사탕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스위치 온 상태로 되고 사탕을 선택한 후에는 스위치 오프 상태로 변환되는 선택버튼;A selection button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case and switched to a switch-on state to select a number of candy into the hopper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money is put into the coin / bank input machine; 상기 선택버튼의 누름작동에 따라서 소정의 궤적으로 원운동 하면서 호퍼에 담긴 막대사탕을 하나씩 인출하여 한계단씩 상부쪽으로 옮기는 방식으로 막대사탕을 배출구와 연결된 가이드통로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A transfer member for transferring the rod candy to the guide passag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by pulling the rod candy contained in the hopper one by one while moving circularly in a predetermined trajectory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election button; 상기 동전/지폐투입구로 투입되는 금액의 확인 및 확인된 금액에 따라서 상기 선택버튼이 스위치 온/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lection button to be in a switched on / off st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ney input to the coin / bank input and the confirmed amount; 를 포함하는 막대사탕 자동판매기.Lollipops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사탕이 투입 및 저장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를 갖추며, 그 일측면은 이송부재가 호퍼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사탕을 인출할 수 있도록 절제부로 형성되는 막대사탕 자동판매기.2. The lollipop vending machine of claim 1, wherein the hopper has a predetermined space to allow the candy to be inserted and stored, and one side thereof is formed as a cutout to allow the transfer member to withdraw the candy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opp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일측면이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진 막대사탕 안착부가 형성되며 하부가 고정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베이스와, 선택버튼의 작동으로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원운동 및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원운동하면서 호퍼에 담긴 막대사탕을 하나씩 인출하여 고정베이스의 하단부 첫 번째 안착부에 안착시킴과 아울러 그 다음 안착부에 안착된 사탕을 계단식으로 한계단씩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운동부를 포함하는 막대사탕 자동판매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veying member has a rod candy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one side is formed in a step shape and the lower portion is fixed to the fixed plate, a drive motor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selection button,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receives the transmission and converts it into a circular motion and a rotational motion, and pulls out the stick candy contained in the hopper while connected in the circular motion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one by one and seated on the first seat of the lower end of the fixed base and then seated Candy bar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conveyor movement unit for transferring the stepped candy step by step marginall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 및 컨베이어 운동부는 각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플레이트 형태의 구조를 갖추며, 상기 컨베이어 운동부는 고정베이스의 내측으로 위치된 상태로 동력전달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원운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 배치되는 막대사탕 자동판매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xed base and the conveyor movement unit has a pair of plate-like structure which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a constant interval, the conveyor movement portion is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fixed base to power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lollipop vending machine that is fixed and placed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circular motion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 및 컨베이어 운동부의 배치간격은 막대사탕의 사탕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설치되어 막대사탕 안착부와 이송턱에서 막대사탕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 막대사탕 자동판매기.5. The rod candy of claim 4, wherein an arrangement interval of the fixed base and the conveyor movement unit is smaller than the candy diameter of the rod candy and is transport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where the rod candy is seated at the rod candy seating portion and the transfer jaw. vending machin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막대사탕 안착부와 이송턱은 사탕이송 및 안착시 사탕이 안정적으로 놓여져 지지될 수 있도록, 전면 선단부가 하부쪽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하향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사탕이 안착부와 이송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막대사탕 자동판매기.According to claim 3, The rod candy seating portion and the transfer jaw is formed so that the candy can be stably placed and supported during the candy transfer and seating, the front end portion is formed with a downward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lower side candy and the seating portion Lollipops vending machine configured to prevent falling from the conveying uni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운동부의 최하부에 위치한 이송턱은 컨베이어 운동부의 작동으로 호퍼에 담긴 사탕을 인출할 때 하나의 막대사탕만이 인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막대사탕 자동판매기.4. The lollipop vending machine of claim 3, wherein the transfer jaw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nveyor moving part is formed such that only one lollipop can be taken out when the candy contained in the hopper is drawn out by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moving par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운동부의 사탕인출시 컨베이어 운동부가 소정의 궤적으로 원운동하며 호퍼를 통과하여 막대사탕을 휘저어 섞으면서 인출하도록 이루어진 막대사탕 자동판매기.4. The lollipop vending machine of claim 3, wherein the conveyor movement unit moves in a circular motion to a predetermined trajectory and withdraws the candy by stirring the candy bar through the hopp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컨베이어 운동부를 원운동 시키면서 지지하는 주구동부와, 상기 주구동부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며 컨베이어 운동부에 지지되어 원운동시키는 보조구동부로 이루어진 막대사탕 자동판매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a drive shaft rotated by the drive of the drive motor, the main drive unit for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shaft while supporting the circular motion of the conveyor movement, and the main drive unit is connected to the chain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A lollipop vending machine consisting of an auxiliary drive unit that is supported by a conveyor motion unit and moves circularly.
KR20-2005-0028846U 2005-10-10 2005-10-10 Vending machine for stick candy KR20040430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846U KR200404303Y1 (en) 2005-10-10 2005-10-10 Vending machine for stick can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846U KR200404303Y1 (en) 2005-10-10 2005-10-10 Vending machine for stick can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303Y1 true KR200404303Y1 (en) 2005-12-21

Family

ID=4370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846U KR200404303Y1 (en) 2005-10-10 2005-10-10 Vending machine for stick can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303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373B1 (en) 2011-01-19 2011-05-03 박종환 Crank type golf ball auto suppling apparatus
KR101062444B1 (en) * 2008-10-08 2011-09-06 주유덕 Product taking out device for vending machine
CN109979091A (en) * 2019-04-25 2019-07-05 东莞嘉丰机电设备有限公司 A kind of lollipop vending mach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444B1 (en) * 2008-10-08 2011-09-06 주유덕 Product taking out device for vending machine
KR101032373B1 (en) 2011-01-19 2011-05-03 박종환 Crank type golf ball auto suppling apparatus
CN109979091A (en) * 2019-04-25 2019-07-05 东莞嘉丰机电设备有限公司 A kind of lollipop vend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9598A (en) Dispensing apparatus for tennis ball containers
EP2141665B1 (en) Money item dispensing apparatus
US20100210200A1 (en) Coin mechanism
KR200404303Y1 (en) Vending machine for stick candy
JPH07320112A (en) Coin processor
JPH08202935A (en) Commodity carrying-out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JP7447727B2 (en) Coin handling equipment and coin handling equipment
KR200257879Y1 (en) Vending machine
CN217024005U (en) Game machine and conveying mechanism thereof
CN113383373B (en) Coin transport unit and coin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1224824A (en) Recovery conveying device for money and game recording medium
KR200237262Y1 (en) Vending and game machine
KR20100039694A (en) A discharge system of goods for vending machine
JP3255745B2 (en) Automatic product unloading device with brim
JP2000259887A (en) Coin hous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coin receiving and paying machine
JPH08315242A (en) Article payout device
KR950005898B1 (en) Coin transfering equipment for vending machine
JPH0691052A (en) Method for extracting cork ball, and ball dispenser utilizing this method
JP3974020B2 (en) Banknote change machine of Pachislot Island
JPH03123990A (en) Coin processor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JP2004038846A (en) Commodity storage device of vending machine
JP2006209628A (en) Bill stacker device
JPH10289346A (en) Automatic change dispenser
JP2007000362A (en) Game machine
JPH03296188A (en) Coin processor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