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248Y1 - Support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upport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248Y1
KR200404248Y1 KR20-2005-0025573U KR20050025573U KR200404248Y1 KR 200404248 Y1 KR200404248 Y1 KR 200404248Y1 KR 20050025573 U KR20050025573 U KR 20050025573U KR 200404248 Y1 KR200404248 Y1 KR 200404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vehicle
adsorption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57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엽
이기익
Original Assignee
김종엽
이기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엽, 이기익 filed Critical 김종엽
Priority to KR20-2005-0025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24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248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 장치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차량의 내부 유리면에 밀착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부가 상기 유리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흡착부를 가압하는 제 1 고정부; 상기 제 1 고정부의 상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제 1 체결부를 형성한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2 고정부의 타단에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제 2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소정의 경로를 따라 회동하도록 일단에 절개부를 형성한 제 3 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고, 사용자 원하는 위치로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older that can fre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Adsorption uni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for this purpose; A first fixing part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part to press the adsorption part to fix the adsorption part to the glass surface; A second fixing par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to be rotatable and forming a first fastening part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second fastening part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art so as to be rotated 360 degrees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having a cutout at one end thereof so that a pedestal for supporting the multimedia apparatus rotat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a third fixing part.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vehicle cradle is easy, it is easy to adjust to the user's desired position.

Description

차량용 거치대{Supporter for vehicle}Vehicle Cradle {Supporter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ra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radle capable of free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ed multimedia device.

최근에 차량의 내부에 텔레비전 방송이나 비디오, CD 등에 저장된 영상 또는 내비게이션 등을 볼 수 있도록 액정 모니터 또는 DMB 기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급속히 확장되고 있다.Recently, the installation of multimedia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monitor or a DMB device so as to view images or navigation stored in television broadcasts, videos, CDs, and the like, is rapidly expanding.

이러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이동하는 차량에 설치되므로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Since the vehicle multimedia apparatus is installed in a moving vehicle, it should be able to maintain a stable installation state, and a conventional vehicle cradle used for this purpose is shown in FIG. 1.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거치대는 고정판(101)에 장착되어 차량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홀더(102)와, 이 홀더(102)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체(103)를 매개로 홀더(10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축(105), 이 지지축(105)의 단부에 결합되며멀티미디어 장치(10)가 거치되는 받침판(108) 등으로 이루어져 홀더(102) 일측에 구비된 고정볼트(104)를 돌림에 따라 지지축(105)이 홀더(102)에 대해 고정되거나 회동 자유롭게 되어멀티미디어 장치(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holder is mounted on a holder plate 101 and fixedly installed inside a vehicle, and a holder (103) is provided through a sphere 103 inserted into the holder 102. Fixed bol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lder 102 consisting of a support shaft 105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105, a support plate 108 coupled to the end of the support shaft 105, on which the multimedia apparatus 10 is mounted, and the like. As the 104 is turned, the support shaft 105 is fixed or fre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older 102 so tha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multimedia apparatus 10 can be adjust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에서, 이 홀더(102)에는 지지축(105)이 회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110)가 형성되는데, 이 개구부(110)의 크기는 구체(10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한되므로 홀더(102)에 대한 지지축(105)의 회동 각도는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멀티미디어 장치의 거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까지 충분히 조절하기가 어려웠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vehicle holder, the opening 102 is formed in the holder 102 so that the support shaft 105 can be rotated, and the size of the opening 110 is to prevent the sphere 103 from being separated. Since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shaft 105 with respect to the holder 102 is limited to be limited.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adjust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multimedia apparatus to a user's desired range.

또한, 종래의 거치대는 홀더(102)와 지지축(105)의 연결부에 하나의 회동중심 만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지지축(105)을 회동시키면 거치된 멀티미디어 장치의 위치와 그 화면 지향 각도가 함께 변할 수 밖에 없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radle is formed of a structure in which only one pivot center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older 102 and the support shaft 105, and thus, when the support shaft 105 is rotated, the position of the mounted multimedia device and the screen orientation angle are combined. It must change.

따라서 멀티미디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유지한 상태에서는 그 위치 조절이 불가능하고, 거치된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는 그 방향 조절이 불가능하여멀티미디어 장치의 설치 상태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is maintained, and the direction cannot be adjusted in a state where the mounted device is maintained, and thu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ultimedia apparatus cannot be freely adjusted as desired by the user.

또한, 종래의 거치대는 받침판(108)에 상하로 긴 안내공(109)을 형성하고, 이 받침판(108)의 고정을 위한 조절 너트(106)를 풀어주면, 이 지지축(105)과 받침판(108)을 체결시키는 고정너트(111)가 안내공(109)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멀티미디어 장치(1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radle forms a guide hole 109 that is vertically long on the support plate 108, and when the adjusting nut 106 for fixing the support plate 108 is released, the support shaft 105 and the support plate ( The fixing nut 111 for fastening the 108 may be moved along the guide hole 109 to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multimedia apparatus 10.

그러나 이러한 경우 안내공(109)의 방향에 따라 위치 조절 방향이 제한되어 원하는 대로멀티미디어 장치의 거치 상태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the position adjustment direction is limit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guide hole 109,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mounting state of the multimedia device as desired.

또한, 고정볼트(104)를 풀어 각도를 조절하고, 이 조절 너트(106)를 풀어 높이를 조절해야 하므로,멀티미디어 장치의 설치상태 조절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by loosening the fixing bolt 104 to adjust the angle, and to adjust the height by loosening the adjustment nut 106, there is a problem that adjustment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ultimedia device is inconvenient.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멀디미디어 장치의 거치 방향을 3축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holder that can adjust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in the three-axis direc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 장치를 거치하는 차량용 거치대로서, 차량의 내부 유리면에 밀착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부가 상기 유리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흡착부를 가압하는 제 1 고정부; 상기 제 1 고정부의 상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제 1 체결부를 형성한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2 고정부의 타단에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제 2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소정의 경로를 따라 회동하도록 일단에 절개부를 형성한 제 3 고정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holder for mounting a multimedia device, the adsorption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A first fixing part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part to press the adsorption part to fix the adsorption part to the glass surface; A second fixing par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to be rotatable and forming a first fastening part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second fastening part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art so as to be rotated 360 degrees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having a cutout at one end thereof so that a pedestal for supporting the multimedia apparatus rotat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a third fixing par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고정부의 위치가 상기 제 2 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 되도록 하는 리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lead frame further comprises a lead frame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third fixing part vari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또한,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 장치를 거치하는 차량용 거치대로서, 차량의 내부 유리면에 밀착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부가 상기 유리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흡착부를 가압하는 제 1 고정부; 상기 제 1 고정부의 상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제 1 체결부를 형성하고, 타단에 '⊂'자 형상의 회동 프레임을 형성한 제 2 고정부; 상기 제 2 고정부의 회동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제 3 체결부를 형성한 다수의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단부에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제 2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소정의 경로를 따라 회동하도록 일단에 절개부를 형성한 제 3 고정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holder for mounting a multimedia device, the suction uni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A first fixing part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part to press the adsorption part to fix the adsorption part to the glass surface; A second fixing part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to be rotatable to form a first fastening part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rotating frame having a '⊂' shape at the other end thereof; A plurality of rotation part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on frame of the second fixing part to form a third fastening part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third fastening part installed at the end of the rotating part to be rotatable 360 degrees to form a second fastening part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having a cutout at one end so that the pedestal for supporting the multimedia apparatus rotat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Include the governmen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고정부의 지지 프레임이 상기 제 2 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 되도록 하는 리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support frame of the second fixing part further comprises a lead frame to be vari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흡착부의 상면을 덮는 본체; 상기 본체의 중앙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한 중공의 관통부; 상기 흡착부의 상면과 연결되어 상기 관통부의 장공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흡착부와 유리면 사이에 압력이 발생되도록 가압하는 푸시 레버;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제 2 고정부가 회동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fix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main body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art; A hollow penetrating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 central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long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side surface thereof; A push lever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art and moving upward and downward along a long hole of the through part to pressurize pressure to be generated between the adsorption part and the glass surface; And a support frame extending from a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second fixing part so as to rotate.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와 밀착되어 상기 제 2 고정부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fixing par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part to form an uneven part to prevent the second fixing part from flowing.

또한, 상기 제 3 고정부의 절개부 내면은 상기 받침대의 유동 방지를 위한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의 외면에 상기 절개부의 요철부와 대응하는 요철부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utout of the third fixing part is formed with an uneven portion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pedestal, and more preferably, the uneve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neven portion of the cutou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edest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100)는 차량의 내부 유리면에 밀착되는 흡착부(110)와, 흡착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흡착부(110)가 차량 내부의 유리면에 고정되도록 흡착부(110)를 가압하는 제 1 고정부(120)와, 제 1 고정부(120)의 상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는 제 2 고정부(130)와, 제 2 고정부(130)의 타단에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고, 멀티미디어 장치(미도시)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150)가 소정의 경로를 따라 회동하도록 일단에 절개부(141)를 형성한 제 3 고정부(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vehicle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dsorption unit 110 and the adsorption unit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is installed on the adsorption unit 110 The first fixing part 120 for pressing the adsorption part 110 and the one e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ixing part 120 to fix the glass surface inside the vehicle. The government 13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art 130 are installed to be rotatable 360 degrees and ar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pedestal 150 for supporting a multimedia device (not shown) is rotat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a third fixing part 140 having an incision 141 formed at one end thereof.

흡착부(110)는 차량의 전면 내측 유리면(미도시)에 부착되는 원형상의 탄성 재질로 흡착부(110)의 중앙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연결부(111)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111)의 단부에는 소정 크기의 제 1 관통공(112)을 구비한다. 또한, 흡착부(110)의 외주연에는 유리면으로부터 흡착부(110)를 제거하기 위하여 손잡이(113)을 구비한다.The adsorption part 110 is a circular elastic material attached to a glass inner surface (not shown) of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connection part 111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the center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art 110 is formed. The end of the 111 is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hole 112 of a predetermined size. 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ction unit 110 is provided with a handle 113 to remove the suction unit 110 from the glass surface.

제 1 고정부(120)는 흡착부(110)의 상면을 덮는 본체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지지 프레임(121)이 형성되고, 이 지지 프레임(121)의 단부에 제 2 관통공(122)을 구비한다.The first fixing part 120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art 110 to form a support frame 1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22 is formed at an end of the support frame 121. ).

또한, 제 1 고정부(120)는 흡착부(110)의 상면을 덮는 본체의 중앙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관통부(123)가 형성되고, 이 관통부(123)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장공(124)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first fixing part 120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a central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art 110 to form a penetrating portion 123. And a long hole 124 in the direction.

또한, 관통부(123)의 상부에는 흡착부(110)가 유리면에 밀착되도록 흡착부(110)의 연결부(111)를 유리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푸시 버튼(125)이 설치되고, 관통부(123)의 외부에는 흡착부(110)와 유리면 사이에 압력이 발생하도록 흡착부(110)의 연결부(111)를 차량의 내측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푸시 레버(127)가 설치되된다. 이 푸시 레버(127)는 지렛대의 원리로 동작한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through part 123 is provided with a push button 125 for pressing the connecting part 111 of the adsorption part 110 in the glass surface direction so that the adsorption part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and the through part 123 is provided. Outside of the push lever 127 is installed to pull the connecting portion 111 of the suction unit 110 in the vehicle inward direction so that pressure is generated between the suction unit 110 and the glass surface. This push lever 127 operates on the principle of a lever.

도면 부호 126은 푸시 버튼(125)의 외주연에 설치된 제 3 관통공이고, 도면 부호 128은 푸시 레버(127)에 설치된 제 4 관통공이다.Reference numeral 126 denotes a third through hol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ush button 125, and reference numeral 128 denotes a fourth through hole provided on the push lever 127.

또한, 도면 부호 129는 연결핀으로서 흡착부(110)에 형성된 제 1 관통공(112)과 장공을 형성한 관통부(124)와 푸시 버튼(125)에 형성된 제 3 관통공(126)과 푸시 레버(127)에 형성된 제 4 관통공을 각각 관통하여 연결시킴으로써 흡착부(110)와 제 1 고정부(120)와 푸시 버튼(125)과 푸시 레버(127)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reference numeral 129 denotes a connecting pin, a first through hole 112 formed in the adsorption part 110, a through part 124 forming a long hole, and a third through hole 126 formed in the push button 125 and a push. By connecting the fourth through-holes formed in the lever 127, respectively, the adsorption part 110, the first fixing part 120, the push button 125, and the push lever 127 may be integrally fixed.

따라서 푸시 레버(127)가 지렛대의 원리로 회동하면 연결핀(129)에 연동된 흡착부(110)가 유리면과 압착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ush lever 127 rotates on the principle of the lever, the adsorption part 110 linked to the connecting pin 129 may be pressed against the glass surface.

제 2 고정부(130)는 멀티미디어 장치(미도시)가 차량 내부의 일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 2 고정부(130)의 일단부에는 제 5 관통공(131)을 형성하여 제 1 체결수단을 통해 제 1 고정부(120)의 지지 프레임(121)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fixing part 130 is a configuration for allowing a multimedia device (not shown) to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vehicle. A fifth through hole 13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fixing part 130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21 of the first fixing part 120 through the first fastening means.

상기 제 1 체결수단은 제 1 너트(133), 와셔(134) 및 제 1 힌지(135)를 구비한다. 즉 제 1 고정부(120)의 지지 프레임(121) 일측에 형성된 제 2 관통공(122)을 통해 제 1 힌지(135)가 인입되어 제 2 고정부(130)의 제 5 관통공(131)을 관통하여 지지 프레임(121)의 타측에 형성된 제 2 관통공(122)으로 인출된다.The first fastening means has a first nut 133, a washer 134 and a first hinge 135. That is, the first hinge 135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22 form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21 of the first fixing part 120, so that the fifth through hole 131 of the second fixing part 130 is formed. It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2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frame 121.

또한, 제 2 고정부(130)를 관통한 제 1 힌지(135)의 단부는 제 1 너트(133)와 체결되어 제 2 고정부(130)가 제 1 힌지(135)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제 1 너트(133)를 제 1 힌지(135)와 더욱 체결하여 제 2 고정부(130)가 소정 위치에서 지지 프레임(1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first hinge 135 penetrating the second fixing part 130 may be engaged with the first nut 133 so that the second fixing part 130 may rotate about the first hinge 135. The first nut 133 is further coupled with the first hinge 135 to allow the second fixing part 130 to be fixed to the support frame 12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또한, 제 2 고정부(130)가 지지 프레임(121)과 밀착하는 제 2 관통공(122)의 외주면에는 제 2 고정부(13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요철부(132)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uneven portion 13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122 in which the second fixing portion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121 to prevent the second fixing portion 130 from flowing.

제 3 고정부(140)는 제 2 고정부(13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36)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 1 케이스(140a)와 제 2 케이스(140b)를 제 2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하여 제 2 고정부(130)의 돌출부(136)를 중심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third fixing part 140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protrusion 136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art 130. That is, the first case 140a and the second case 140b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means so as to rotate 360 degrees about the protrusion 136 of the second fixing part 130.

상기 제 2 체결수단은 제 2 너트(144), 와셔(145) 및 제 2 힌지(146)를 구비하고, 제 2 힌지(146)가 제 1 및 제 2 케이스(140a 및 140b)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 6 관통공(143)을 관통하여 제 2 너트(144)와 체결된다. The second fastening means has a second nut 144, a washer 145 and a second hinge 146, the second hinge 146 on the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140a and 140b, respectively. The sixth through hole 143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second nut 144.

또한, 제 3 고정부(140)가 제 2 고정부(130)의 돌출부(136)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상기 제 2 너트(144)를 조임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fixing part 140 may be fixed by tightening the second nut 144 at a desired angle while the third fixing part 140 rotates about the protrusion 136 of the second fixing part 130.

또한 제 3 고정부(140)의 타측 단부에는 절개부(141)를 형성하고, 절개부(141)부의 내측 즉 제 1 케이스(140a)의 내측과 제 2 케이스(140b)의 내측에는 요철부(142)를 형성한다.In addition, a cutout 141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fixing part 140, and an uneven portion (b) is formed inside the cutout 141, that is, inside the first case 140a and inside the second case 140b. 142).

절개부(141)는 멀티미디어 장치를 고정하는 받침대(150)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cutout 141 allows the pedestal 150 for fixing the multimedia device to rotate along a predetermined path.

멀티미디어 장치를 고정하는 받침대(150)는 사각 형상의 부재로서, 저면 중심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연장 프레임(151)을 구비하여 받침대(150)가 제 3 고정부(140)에 지지 될 수 있도록 한다.The pedestal 150 for fixing the multimedia apparatus is a rectangular member and includes an extension frame 151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bottom center so that the pedestal 150 can be supported by the third fixing part 140.

또한, 연장 프레임(151)의 외주연에는 제 3 고정부(140)의 절개부(141)에 형성된 요철부(142)와 치합하여 받침대(15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용 요철부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xtension frame 151 is formed with a fixing concave-convex portion to prevent the flow of the pedestal 150 by engaging with the concave-convex portion 142 formed in the cutout 141 of the third fixing portion 140. .

또한, 연장 프레임(151)의 단부에는 회전볼(160)이 볼트(161)를 이용해 체결되어 받침대(150)가 제 3 고정부(140)의 절개부(141)와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ball 160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extension frame 151 using the bolt 161 to allow the pedestal 150 to be coupled to the cutout 141 of the third fixing part 140.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동작을 설명한다.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ra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ra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An operation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example will be described.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 유리면(미도시)에 푸시 버튼(125)을 눌러 흡착부(110)를 밀착하고, 푸시 레버(127)를 이용하여 유리면과 흡착부(110)가 밀착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push button 125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glass surface (not shown) of the vehicle to closely contact the suction part 110, and the glass surface and the suction part 110 are pushed using the push lever 127. Make sure that

또한, 제 1 고정부(120)의 지지 프레임(121)과 연결된 제 2 고정부(130)의 제 1 너트(133)를 풀어 제 2 고정부(130)를 회동시켜 사용자가 하는 각도에서 제 1 너트(133)를 조여 제 2 고정부(130)를 고정한다. In addition, by releasing the first nut 133 of the second fixing part 130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21 of the first fixing part 120 to rotate the second fixing part 130, The second fixing part 130 is fixed by tightening the nut 133.

또한, 제 2 고정부(13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제 3 고정부(140)는 제 2 너트(144)를 풀어 받침대(150)를 360도 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제 3 고정부(140)에 형성된 절개부를 따라 회동시킨 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제 2 너트(144)를 조여 고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hird fixing part 14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art 130 loosens the second nut 144 to rotate the pedestal 150 in the 360 degree direction, or the third fixing part 140. After rotating along the incision formed in the user to tighten the second nut 144 at an angle desired.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200)는 차량의 내부 유리면에 밀착되는 흡착부(110)와, 흡착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흡착부(110)가 차량 내부의 유리면에 고정되도록 흡착부(110)를 가압하는 제 1 고정부(120)와, 제 1 고정부(120)의 상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제 2 고정부(210)와, 제 2 고정부(210)의 타단에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고, 멀티미디어 장치(미도시)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150)가 소정의 경로를 따라 회동하도록 일단에 절개부(141)를 형성한 제 3 고정부(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6 and 7, the vehicle hold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dsorption unit 110 and the adsorption unit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is installed on the adsorption unit 110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120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120 and the first fixing part 120 to press the adsorption part 110 so as to be fixed to the glass surface inside the vehicle is fixed at a constant angle and the length is variable The second fixing part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art 210 are installed to be rotated 360 degrees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pedestal 150 for supporting a multimedia device (not shown) is predetermined. It includes a third fixing part 140 formed with an incision 141 at one end to rotate along the path.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200)는 제 3 고정부(140)의 위치가 제 2 고정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도록 하는 리드 프레임(220)을 더 구비한 것이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is that the vehicle cradl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llows the position of the third fixing part 140 to be vari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210. The lead frame 220 is further provided.

제 2 실시예에서 흡착부(110) 및 제 1 고정부(12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adsorption part 110 and the first fixing part 12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제 2 고정부(210)는 제 1 케이스(210a)와 제 2 케이스(210b)로 형성되고, 제 1 체결수단을 통해 제 1 고정부(120)의 지지 프레임(12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의 각도에서 고정된다. The second fixing part 210 is formed of the first case 210a and the second case 210b,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1 of the first fixing part 120 through the first fastening means. It is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제 1 케이스(210a) 및 제 2 케이스(210b)의 내측에는 리드 프레임(220)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동하고, 리드 프레임(220)을 고정하기 위한 요철부(212)를 구비한다.In addition, inside the first case 210a and the second case 210b, the lead frame 220 is mov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an uneven portion 212 for fixing the lead frame 220 is provided. .

리드 프레임(220)은 제 2 고정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위치를 가변하는 구성으로 외주연에는 제 1 케이스(210a) 및 제 2 케이스(210b)의 내주연에 형성된 요철부(212)와 치합되는 홈부(221)가 형성되고, 제 3 고정부(140)가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부(222)가 형성된다.The lead frame 220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210 and to change the position, and the uneven portion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ces of the first case 210a and the second case 210b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 groove portion 221 meshed with 212 is formed, and a coupling portion 222 is formed to allow the third fixing portion 140 to rotate 360 degrees.

또한, 제 3 고정부(14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3rd fixing part 140 is comprised similarly to the structure of 1st Embodiment.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Referring to Figure 6 and 8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rad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거치대(200)는 차량의 내부 유리면(미도시)에 푸시 버튼(125)을 눌러 흡착부(110)를 밀착하고, 푸시 레버(127)를 이용하여 유리면과 흡착부(110)가 밀착되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vehicle holder 200 presses the push button 125 against the inner glass surface (not shown) of the vehicle to closely contact the adsorption part 110, and the glass surface and the adsorption part 110 using the push lever 127. Make sure that

또한, 제 1 고정부(120)의 지지 프레임(121)과 연결된 제 2 고정부(210)의 제 1 너트(133)를 풀어 제 2 고정부(210)를 회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제 1 너트(133)를 조여 제 2 고정부(210)를 고정한다. In addition, by releasing the first nut 133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210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21 of the first fixing portion 120 to rotate the second fixing portion 210 to the first at an angle desired by the user. The nut 133 is tightened to fix the second fixing part 210.

이 때, 리드 프레임(220)은 제 2 고정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변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가 되도록 조절한 다음 제 1 너트(133)를 조여 제 2 고정부(210)의 길이와 회전 각도를 고정한다.At this time, the lead frame 220 is adjus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210 to be adjusted to a desired length by the user, and then tightens the first nut 133 to match the length of the second fixing part 210. Fix the angle of rotation.

또한, 제 2 고정부(21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제 3 고정부(140)는 제 2 너트(144)를 풀어 받침대(150)를 360도 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제 3 고정부(140)에 형성된 절개부를 따라 회동시킨 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제 2 너트(144)를 조여 고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hird fixing part 14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art 210 loosens the second nut 144 to rotate the pedestal 150 in the 360 degree direction, or the third fixing part 140. After rotating along the incision formed in the user to tighten the second nut 144 at an angle desired.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300)는 차량의 내부 유리면(미도시)에 밀착되는 흡착부(110)와, 흡착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흡착부(110)가 상기 유리면에 고정되도록 흡착부(110)를 가압하는 제 1 고정부(120)와, 제 1 고정부(120)의 상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에 '⊂'자 형상의 회동 프레임을 형성한 제 2 고정부(310)와, 제 2 고정부(310)의 회동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제 1 회전부(320) 및 제 2 회전부(330)와, 제 1 및 제 2 회전부(320 및 330)의 단부에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체결부를 형성하고, 멀티미디어 장치(미도시)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150)가 소정의 경로를 따라 회동하도록 일단에 절개부(141)를 형성한 제 3 고정부(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9 and FIG. 10, the vehicle hold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adsorption unit 110 and the adsorption unit 11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glass surface (not shown) of the vehicle. The first fixing part 120 for pressurizing the adsorption part 110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ixing part 120 are rotatably installed so that the part 110 is fixed to the glass surface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econd fixing part 310 having a '⊂'-shaped rotating frame formed at the other end, and the first rotating part 3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ng frame of the second fixing part 310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second rotatable part 330 and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able parts 320 and 330 are rotatably installed to form a fastening part to be fixed at an angle, and to support a multimedia device (not shown). An incision (at one end) so that the pedestal 150 rotat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a third fixing part 140 forming 141.

제 1 실시예와 제 3 실시예의 차이점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300)는 제 2 고정부(310)의 단부에 좌우 회동 가능한 다수의 프레임 즉 제 1 회전부(320)와 제 2 회전부(330)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is that the vehicle cradl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frames that can be rotated left and right at the ends of the second fixing part 310, that is, the first rotating part 320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And 330.

또한,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의 차이점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300)는 제 2 고정부(310)의 단부가 제 2 고정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제 2 고정부(310)의 단부에 좌우 회동 가능한 제 1 회전부(320)와 제 2 회전부(330)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is that in the vehicle cradl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end of the second fixing part 310 does not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310. The first rotating part 320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330 can be rotated at the ends of the second fixing part 310.

제 3 실시예에서 흡착부(110) 및 제 1 고정부(12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adsorption part 110 and the first fixing part 12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제 2 고정부(310)는 일측이 제 1 고정부(120)의 지지 프레임(121)과 제 1 힌지(135)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고정부(310)가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제 1 너트(133)와 제 1 힌지(135)를 체결하여 고정한다.One side of the second fixing part 310 is rotatably connected through the support frame 121 and the first hinge 135 of the first fixing part 120, and the second fixing part 310 is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first nut 133 and the first hinge 135 are fastened to each other so as to be fixed.

또한, 제 2 고정부(310)는 타측에 '⊂'자 형상의 연결 프레임을 설치하여 제 1 및 제 2 회전부(320 및 3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연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된 제 1 회동 프레임(311)은 제 1 회전부(320)와 결합되고, 하측에 설치된 제 2 회동 프레임(313)은 제 2 회전부(330)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part 31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 shape connecting fram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arts 320 and 330 can be installed. That is, the first rotating frame 311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frame is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part 320, and the second rotating frame 313 provided on the lower side is coupled to the second rotating part 330.

또한, 제 1 및 제 2 회동 프레임(311 및 313)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회전부(320 및 330)가 회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제 3 체결수단이 구성된다. 상기 제 3 체결수단은 제 3 너트(314)와 제 3 힌지(315)를 구비하고, 제 3 힌지(135)는 제 1 및 제 2 회동 프레임(311 및 313)에 형성된 관통공(312)를 관통하여 제 1 및 제 2 회전부(320 및 330)가 제 3 힌지(315)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ird fastening means are configured in the first and second pivot frames 311 and 313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parts 320 and 330 can be rotated and fixed, respectively. The third fastening means has a third nut 314 and a third hinge 315, the third hinge 135 is a through hole 312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pivot frames 311 and 313 Through it,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arts 320 and 330 may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bout the third hinge 315.

또한, 제 3 너트(314)는 제 3 힌지(315)와 체결되어 제 1 및 제 2 회전부(320 및 330)가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hird nut 314 is engaged with the third hinge 315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arts 320 and 330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제 1 회전부(320)는 일측에 제 1 회동 프레임(311)과 결합하기 위한 제 1 결합 프레임(321)이 형성되고, 제 1 결합 프레임(321)의 단부에는 제 3 힌지(315)가 관통하는 관통공(322)을 구비한다. 또한, 관통공(322)이 형성된 제 1 결합 프레임(321)의 외주연을 따라 제 1 회전부(320)가 제 2 고정부(310)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323)를 구비한다.The first rotating unit 320 is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frame 321 for coupling with the first rotation frame 311 on one side, the third hinge 315 penetrates through the end of the first coupling frame 321 The through hole 322 is provided. In addition, the uneven part 323 is provided to prevent the first rotating part 320 from flowing from the second fixing part 310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upling frame 321 in which the through hole 322 is formed. .

제 2 회전부(330)는 일측에 제 2 회동 프레임(313)과 결합하기 위한 제 2 결합 프레임(331)이 형성되고, 제 2 결합 프레임(331)의 단부에는 제 3 힌지(315)가 관통하는 관통공(332)을 구비한다. 또한, 관통공(332)이 형성된 제 2 결합 프레임(331)의 외주연을 따라 제 2 회전부(330)가 제 2 고정부(310)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333)를 구비한다.The second rotating part 330 has a second coupling frame 331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rotation frame 313 on one side, and the third hinge 315 penetrates through the end of the second coupling frame 331. The through hole 332 is provided. In addition, the uneven part 333 is provided to prevent the second rotating part 330 from flowing from the second fixing part 310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oupling frame 331 in which the through hole 332 is formed. .

제 1 및 제 2 회전부(320 및 330)의 타측에는 각각 제 3 고정부(140)가 연결되고, 제 3 고정부(14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된다.The third fixing part 14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arts 320 and 330, respectively,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fixing part 14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한편,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300)의 제 2 고정부(310)는 제 2 실시예의 구성과 같이 제 2 고정부(31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리드 프레임(미도시)을 설치하여 제 1 및 제 2 회동 프레임(311 및 313)의 위치가 제 2 고정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나타낸 설명과 도면에 근거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310 of the vehicle cradl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lead frame (not shown) so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310 is variable a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 frames 311 and 313 such th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 frames 311 and 313 can be adjus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310 is illustrated and illustrate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on the basis of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1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rad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9 and 11,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거치대(300)는 차량의 내부 유리면(미도시)에 푸시 버튼(125)을 눌러 흡착부(110)를 밀착하고, 푸시 레버(127)를 이용하여 유리면과 흡착부(110)가 밀착되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vehicle holder 300 presses the push button 125 against the inner glass surface (not shown) of the vehicle to closely contact the adsorption part 110, and uses the push lever 127 to form the glass surface and the adsorption part 110. Make sure that

또한, 제 1 고정부(120)의 지지 프레임(121)과 연결된 제 2 고정부(310)의 제 1 너트(133)를 풀어 제 2 고정부(310)를 회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제 1 너트(133)를 조여 제 2 고정부(310)가 고정되도록 한다. In addition, by loosening the first nut 133 of the second fixing part 310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21 of the first fixing part 120, the second fixing part 310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310 may be rotated. Tighten the nut 133 so that the second fixing part 310 is fixed.

또한, 제 2 고정부(31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회전부(320 및 330)는 제 3 너트(314)를 풀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제 1 및 제 2 회전부(320 및 330)가 고정되도록 제 3 너트(314)를 조여 고정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arts 320 and 33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art 310 loosen the third nut 314 so that they can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The second nut 314 is tightened to fix the second rotating parts 320 and 330.

또한, 제 2 고정부(31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각각의 제 3 고정부(140)는 제 2 너트(144)를 풀어 받침대(150)를 360도 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제 3 고정부(140)에 형성된 절개부(141)를 따라 회동시킨 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제 2 너트(144)를 조여 고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third fixing parts 14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art 310 loosens the second nut 144 to rotate the pedestal 150 in the 360 degree direction, or the third fixing part ( After rotating along the cutout 141 formed in the 140, the user tightens and fastens the second nut 144 at a desired angl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고, 사용자 원하는 위치로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asy installation of a vehicle holder, and has an advantage of easy adjustment to a user's desired position.

또한, 차량용 거치대의 설치시 흡착부의 지지력을 증대시켜 거치대의 설치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installation stability of the cradle by increasing the bearing capacity of the adsorption portion when installing the vehicle cradle.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수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install a plurality of multimedia device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ease of use.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vary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the change.

도 1 은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cradle.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radle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8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8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hol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11 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rad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in the drawings)

100, 200, 300: 거치대 110: 흡착부100, 200, 300: holder 110: adsorption unit

120: 제 1 고정부 121: 지지 프레임120: first fixing portion 121: support frame

125: 푸시 버튼 127: 푸시 레버125: push button 127: push lever

130, 210, 310: 제 2 고정부 133: 제 1 너트130, 210, 310: second fixing part 133: first nut

140: 제 3 고정부 144: 제 2 너트140: third fixing portion 144: second nut

150: 받침부 160: 회전볼150: base 160: rotating ball

220: 리드 프레임 320: 제 1 회전부220: lead frame 320: first rotating part

330: 제 2 회전부330: second rotating part

Claims (8)

멀티미디어 장치를 거치하는 차량용 거치대로서,As a vehicle holder for mounting a multimedia device, 차량의 내부 유리면에 밀착되는 흡착부;Adsorption uni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상기 흡착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부가 상기 유리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흡착부를 가압하는 제 1 고정부;A first fixing part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part to press the adsorption part to fix the adsorption part to the glass surface; 상기 제 1 고정부의 상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제 1 체결부를 형성한 제 2 고정부; 및A second fixing par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to be rotatable and forming a first fastening part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상기 제 2 고정부의 타단에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제 2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소정의 경로를 따라 회동하도록 일단에 절개부를 형성한 제 3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거치대.A second fastening part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part to be rotatable 360 degrees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having a cutout at one end thereof so that the pedestal for supporting the multimedia apparatus rotat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Vehicle cradle with three fasten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고정부의 위치가 상기 제 2 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 되도록 하는 리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The vehicle cradl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ead frame such that a position of the third fixing part is variable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멀티미디어 장치를 거치하는 차량용 거치대로서,As a vehicle holder for mounting a multimedia device, 차량의 내부 유리면에 밀착되는 흡착부;Adsorption uni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상기 흡착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부가 상기 유리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흡착부를 가압하는 제 1 고정부;A first fixing part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part to press the adsorption part to fix the adsorption part to the glass surface; 상기 제 1 고정부의 상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제 1 체결부를 형성하고, 타단에 '⊂'자 형상의 회동 프레임을 형성한 제 2 고정부;A second fixing part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to be rotatable to form a first fastening part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rotating frame having a '⊂' shape at the other end thereof; 상기 제 2 고정부의 회동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제 3 체결부를 형성한 다수의 회전부; 및A plurality of rotation part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on frame of the second fixing part to form a third fastening part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상기 회전부의 단부에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제 2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소정의 경로를 따라 회동하도록 일단에 절개부를 형성한 제 3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거치대.A third fixing part installed at the end of the rotating part to be rotatable 360 degrees to form a second fastening part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having a cutout at one end so that the pedestal for supporting the multimedia apparatus rotat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Vehicle cradle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의 지지 프레임이 상기 제 2 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 되도록 하는 리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The vehicle cradle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lead frame such that the support frame of the second fixing part is vari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흡착부의 상면을 덮는 본체;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fixing part comprises: a body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art; 상기 본체의 중앙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한 중공의 관통부; A hollow penetrating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 central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long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side surface thereof; 상기 흡착부의 상면과 연결되어 상기 관통부의 장공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흡착부와 유리면 사이에 압력이 발생되도록 가압하는 푸시 레버; 및A push lever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art and moving upward and downward along a long hole of the through part to pressurize pressure to be generated between the adsorption part and the glass surface; And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제 2 고정부가 회동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And a support frame extending from a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second fixing part so as to rotat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와 밀착되어 상기 제 2 고정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The vehicle crad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econd fixing part is formed in an uneven pa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part to prevent the second fixing part from flowing.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고정부의 절개부 내면은 상기 받침대의 유동 방지를 위한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The vehicle crad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cutout of the third fixing part forms an uneven portion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pedest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외면에 상기 절개부의 요철부와 대응하는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The vehicle cradl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n uneven portion corresponding to an uneven portion of the cutout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edestal.
KR20-2005-0025573U 2005-09-05 2005-09-05 Supporter for vehicle KR20040424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573U KR200404248Y1 (en) 2005-09-05 2005-09-05 Support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573U KR200404248Y1 (en) 2005-09-05 2005-09-05 Supporter for vehic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276A Division KR100627875B1 (en) 2005-09-05 2005-09-05 Supporter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248Y1 true KR200404248Y1 (en) 2005-12-20

Family

ID=4370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573U KR200404248Y1 (en) 2005-09-05 2005-09-05 Support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248Y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789B1 (en) * 2007-08-23 2009-01-14 주식회사세림코텍 Supporter for vehicle
KR100911045B1 (en) 2008-07-07 2009-08-06 (주)현대유비스 Terminal stand for vehicles
KR100919839B1 (en) * 2008-06-17 2009-09-30 (주)백금티앤에이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equipment in vehicle
KR101124166B1 (en) * 2009-12-04 2012-03-27 손대업 Clamp apparatus for light
KR101411916B1 (en) * 2007-05-18 2014-06-26 노상철 Attachable monitor for automobiles
CN112937460A (en) * 2019-12-11 2021-06-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Display moving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916B1 (en) * 2007-05-18 2014-06-26 노상철 Attachable monitor for automobiles
KR100878789B1 (en) * 2007-08-23 2009-01-14 주식회사세림코텍 Supporter for vehicle
KR100919839B1 (en) * 2008-06-17 2009-09-30 (주)백금티앤에이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equipment in vehicle
KR100911045B1 (en) 2008-07-07 2009-08-06 (주)현대유비스 Terminal stand for vehicles
KR101124166B1 (en) * 2009-12-04 2012-03-27 손대업 Clamp apparatus for light
CN112937460A (en) * 2019-12-11 2021-06-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Display mov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875B1 (en) Supporter for vehicle
KR200404248Y1 (en) Supporter for vehicle
US7384021B2 (en) Rotation mechanism for televisions
KR840002517Y1 (en) Attach-ment
US20080217826A1 (en) Suction plate and cradle for an automobile having the same
JP4495284B2 (en) Display support device
KR200439994Y1 (en) A monitor supporter for car
US20090201661A1 (en) Angle regulating apparatus of a display device
JP2995183B1 (en) One-touch fixing device and detachable mechanism used therefor
KR100357128B1 (en) A monitor support structure
US7573700B2 (en) Support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JP5199558B2 (en) Display support mechanism
KR200428218Y1 (en) Adsorption holder
JP2008267564A (en) Apparatus mounting device
US20230160418A1 (en) Wall-mounted holder
KR100535248B1 (en) Swivel device for video display appliance
KR100628118B1 (en) Flat Type Display Device
JPH08181935A (en) Stand for monitor installation
CN213629583U (en) Camera fixed bolster
KR19990074340A (en) Automatic Screen Rotation Structure of Monitor
KR100339357B1 (en) An adapter for connecting a video display to its stand
KR200295586Y1 (en) Objust an angle equipment of a prop for pdp tv
KR100878789B1 (en) Supporter for vehicle
KR200250354Y1 (en) Sign board fixture appartus
KR100399397B1 (en) Signe board fixture appar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