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824Y1 -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 - Google Patents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824Y1
KR200403824Y1 KR20-2005-0028101U KR20050028101U KR200403824Y1 KR 200403824 Y1 KR200403824 Y1 KR 200403824Y1 KR 20050028101 U KR20050028101 U KR 20050028101U KR 200403824 Y1 KR200403824 Y1 KR 200403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lip body
phone
phone ca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20-2005-0028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8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립몸체와 걸림돌기가 형성된 탄성편을 일체로 사출성형하고, 별도의 합성수지재의 착탈버튼으로 클립과 폰케이스 간의 착탈을 달성하며, 모든 부품이 금속이 아닌 합성수지 사출물을 적용하여 그 내구성과 통관절차에 따른 번거러움을 해결한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아주 간단한 구조로 일체형의 클립몸체와 그 클립몸체에 끼워지는 착탈버튼만으로 형성되기에 제작비의 감소를 가져오며, 조립의 용이성도 함께 가진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의 클립몸체에는 자체의 탄성력을 가진 탄성편을 사용하기에 종래의 금속성의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던 클립에 비하여 내구성이 높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클립에는 모든 부품이 합성수지 재로 제작되어, 금속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통관절차에서 금속탐지기에 걸릴 우려가 없다.

Description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A nonmetal clip of phone}
본 고안은 핸드폰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립몸체와 걸림돌기가 형성된 탄성편을 일체로 사출성형하고, 별도의 합성수지재의 착탈버튼으로 클립과 폰케이스간의 착탈을 달성하며, 모든 부품이 금속이 아닌 합성수지 사출물을 적용하여 그 내구성과 통관절차에 따른 번거러움을 해결한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클립이란 폰케이스(폰홀더)의 배면에 부착되어 벨트나 손목에 감는 밴드에 착용하여 핸드폰을 홀딩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핸드폰을 간단하게 휴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핸드폰 클립은 많은 문제점이 있기에 종래 실용신안 등록된 (등록제 20-028308호) 등록권을 설명하며, 그 문제점을 집어본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등록권은 핸드폰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 전면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홈(34)이 형성되고, 배면 중앙부분에 관통구멍(36)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36) 둘레에 결합홈(37)이 형성된 케이스(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2)의 슬라이드홈(34)에 결합되어 이를 따라 수직 이송되고 하부에 작동구멍(41)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2)의 관통구멍(36)을 향하도록 작동구멍(41) 상측에 경사진 누름면(42)이 형성된 록커(38)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2)의 관통구멍(36)에 삽입되는 기부(44)와 상기 기부(44) 일측에 형성되어 록커(38)의 작동구멍(41) 내에 위치되는 연동돌부(45)와, 상기 록커(38)의 누름면(42)에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연동돌부(45) 상면에 누름면(42)과 평행한 경사를 이루는 가이드면(46)이 형성된 작동편(43)이 있다.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일측이 상기 케이스(32)의 결합홈(37)에 끼워져 관통구멍(36) 내의 작동편(43)을 지지하는 캡(48)이 형성되고, 상기 캡(48)과 작동편(43) 사이의 관통구멍(36) 내에 구비되어 작동편(43)의 가이드면(46)을 록커(38)의 누름면(42) 측으로 탄성 밀착시키는 압축코일스프링(47)이 형성된 형태이다.
즉, 그 작동을 설명하자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32)의 배면에 그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밸트에 걸 수 있는 클립(5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2)의 내부에는 관통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의 관통구멍(36)에는 작동편(43)이 끼워지며 그 내부에 압축코일스프링(47)이 내재되며 캡(48)으로 씌워져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만일 케이스(32)의 가이드(33)에 끼워진 록커(38)의 누름구(39)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록커(38)는 하향하며 하단에 형성된 작동구멍(41)도 하향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 작동구멍(41)에는 상기 작동편(43)의 연동돌부(45)가 끼워진 상태이기에, 상기 록커(38)의 작동구멍(41)이 하향하며 누름면(42)을 이용하여 작동편(43)의 가이드면(46)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면(46)과 누름면(42)은 테이퍼진 상태로 구성되기에 그 가압은 작동편(43)을 탄성스프링(49)의 탄성력을 이기며 후퇴시키는 작동을 발생시키기에 연동돌부(45)가 폰케이스의 착탈편(1)에서 떨어지게 만드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작용은 상기 케이스(32)의 가이드(33)에서 폰케이스를 손쉽게 빼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고안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구성요소가 필요하여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비가 많이 발생한다.
즉, 다수의 부품의 결합으로 클립을 형성시켜야 하기에 각각의 부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금형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는 그 금형을 제작하는 비용도 많이 발생되지만, 그에 따라 조립이나 제작도 손쉽지 않다는 것이다.
둘째, 종래의 클립에는 금속성인 압축코일스프링(47)과 비틀림스프링(49)이 내장된 상태이기에 통관의 과정에서 저지를 받을 소지가 많다.
즉, 금속탐지기에 의해 탐지되어 별도의 조사를 받을 소지도 많으며, 이는 통관절차에 많은 시간을 빼앗길 소지도 있고, 여행 자체를 번거롭게 할 소지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고안은 핸드폰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립몸체와 걸림돌기가 형성된 탄성편을 일체로 사출성형하고, 별도의 합성수지재의 착탈버튼으로 클립과 폰케이스간의 착탈을 달성하며, 모든 부품이 금속이 아닌 합성수지 사출물을 적용하여 그 내구성과 통관절차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결한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핸드폰을 착용하기 위한 클립에 있어서,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밴드삽입공과, 전면 중심부로 돌출 성형된 폰케이스삽입구와, 상기 폰케이스삽입구의 내부에 편의 형태로 내려서며 전면부로 돌출된 걸림돌기와 돌기가 형성된 탄성편이 일체로 사출 성형된 클립몸체와; 판의 형태이며, 상단에 손잡이돌기들이 성형되고, 하단 좌우 양측으로 째진 후크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 중심 끝단에 걸림돌기연동공이 구성된 착탈버튼이; 상기 착탈버튼이 상기 클립몸체의 폰케이스삽입구 상부로부터 끼워지며, 착탈버튼의 가압시 그 끝단이 클립몸체의 걸림돌기를 가압하여 돌기를 홈에서 빼내고 폰케이스를 착탈하는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클립몸체의 밴드삽입공에는, 밴드나 밸트에 착용하여 핸드폰케이스로 사용할 수 있는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핸드폰을 착용하기 위한 클립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클립을 이루는 부품이 거의 일체로 성형 된다는 점과 그 클립에 금속성의 부품의 적용을 철저히 배제했다는 점 및 그에 따라 클립의 제조와 생산이 용이하고 통관절차에 있어서 저지될 여지를 제거한 고안이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도시된 도 2 내지 6에 있어서,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밴드삽입공(11)과, 전면 중심부로 돌출 성형된 폰케이스삽입구(12)와, 상기 폰케이스삽입구(12)의 내부에 편의 형태로 내려서며 전면부로 돌출된 걸림 돌기(13)와 돌기(B)가 형성된 탄성편(14)이 일체로 사출 성형된 클립몸체(10)가 있다.
또한 판의 형태이며, 상단에 손잡이돌기(21)들이 성형되고, 하단 좌우 양측으로 째진 후크부(22)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22) 중심 끝단에 걸림돌기연동공(23)이 구성된 착탈버튼(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착탈버튼(20)이 상기 클립몸체(10)의 폰케이스삽입구(12) 상부로부터 끼워지며, 착탈버튼(20)의 가압시 그 끝단이 클립몸체(10)의 걸림돌기(13)를 가압하여 돌기(B)를 홈(C)에서 빼내고 폰케이스(31)를 착탈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종래의 그것과는 달리 클립몸체(10)의 내부에 탄성스프링을 수용하는 형태의 것이 아니고, 상기 클립몸체(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탄성편(14)을 구성하되, 그 전면부로 걸림돌기(13) 까지도 일체로 성형을 한다.
그래서 만일 폰케이스(31)가 상기 클립몸체(10)의 폰케이스삽입구(12)에 끼워진 상태라면, 그 폰케이스(31)의 배면에 구성된 체결공(32)에 상기 탄성편(14)의 걸림돌기(13)가 걸릴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일단 폰케이스(31)가 상기 클립몸체(10)의 폰케이스삽입구(12)에 끼워지게 되면,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시된 걸림돌기(13)의 하단에 구성된 돌기(B)는 폰케이스(31)의 체결구(33) 체결공(32) 외부로 다수개로 형성된 홈(C)에 끼워져, 만일 폰케이스(31)를 회전시킬 경우 딸깍하는 클릭 작용을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 클립몸체(10)의 폰케이스삽입구(12)에 착탈버튼(20)을 내재하고 있다.
즉 끼워질 폰케이스(31)의 배면에 구성되는 체결공(32)이 형성된 체결구(33) 배후로 착탈버튼(20)이 끼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착탈버튼(20)의 상부에 구성된 손잡이돌기(21)를 누르게 되면, 상기 착탈버튼(20)은 상기 탄성편(14)과 면접한 상태에서 폰케이스삽입구(12)의 내부로 하향하게 된다.
이때 도 2 내지 4에서 보이듯, 상기 착탈버튼(20)은 그 끝단에 좌우 양측으로 째진 후크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에 걸림돌기연동공(23)이 형성되어 있다.
결국 상기 착탈버튼(20)의 하향은 상기 걸림돌기연동공(23)에 수용된 상태로 폰케이스의 체결공(32)에 끼워진 걸림돌기(13)를 밀어주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즉, 걸림돌기연동공(23)의 내주면으로 상기 걸림돌기(13)의 테이퍼면(A)을 밀어 주기에, 그 압력은 걸림돌기(13)가 성형되어 있는 탄성편(14)을 밀게 되고, 탄성편(14)이 밀리게 되면 상기 폰케이스(31)의 체결구(33)에 성형된 체결공(32)에서 걸림돌기(13)가 빠져나오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상기 탄성편(14)의 돌기(B)는 체결구(33)의 홈(C)에 끼워져 있다가, 역시 탄성편(14)이 밀리게 되면 상기 홈(C)에서 빠져 나온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22)는 일단 끼워진 착탈버튼(20)이 클립몸체(10)에서 필요 이상으로 쉽게 빠져 나오는 것을 막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작동하고 난후 핸드폰 사용자는 폰케이스(31)를 상기 클립몸체(10)의 폰케이스삽입구(12)의 상부로 빼내는 작동을 수행하여 클립과 폰케이스(31) 간의 체결을 해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의 클립은 상기 클립몸체(10)의 밴드삽입공(11)에, 밴드(60)나 밸트(70)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도 5와 6에서처럼, 클립몸체(10)에 형성된 밴드삽입공(11)에 밴드(60)나 밸트(70)를 끼워 넣어, 핸드폰을 손에 착용할 수도 있고 허리에 착용할 수도 있다.
즉, 종래의 클립은 밸트(70)에는 착용할 수 있었지만, 팔에 감는 밴드(60)에는 적용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팔에 감는 밴드(60)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하던 밸트(70)에 착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고안은 아주 간단한 구조로 일체형의 클립몸체와 그 클립몸체에 끼워지는 착탈버튼만으로 형성되기에 제작비의 감소를 가져오며, 조립의 용이성도 함께 가진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의 클립몸체에는 자체의 탄성력을 가진 탄성편을 사용하기에 종래의 금속성의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던 클립에 비하여 내구성이 높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클립에는 모든 부품이 합성수지 재로 제작되어, 금속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통관절차에서 금속탐지기에 걸릴 우려가 없다.
물론 이는 통관의 번거로움을 보다 쉽게 하여, 여행시 발생되는 절차의 번거러움을 해결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의 핸드폰 클립과 그 폰케이스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핸드폰 클립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클립이 밴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클립이 밸트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클립몸체 11; 밴드삽입공
12; 폰케이스삽입구 13; 걸림돌기
14; 탄성핀 20; 착탈버튼
21; 손잡이돌기 22; 후크부
23; 걸림돌기연동공 50; 폰케이스
60; 밴드 70; 밸트

Claims (2)

  1. 핸드폰을 착용하기 위한 클립에 있어서,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밴드삽입공(11)과, 전면 중심부로 돌출 성형된 폰케이스삽입구(12)와, 상기 폰케이스삽입구(12)의 내부에 편의 형태로 내려서며 전면부로 돌출된 걸림돌기(13)와 돌기(B)가 형성된 탄성편(14)이 일체로 사출 성형된 클립몸체(10)와;
    판의 형태이며, 상단에 손잡이돌기(21)들이 성형되고, 하단 좌우 양측으로 째진 후크부(22)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22) 중심 끝단에 걸림돌기연동공(23)이 구성된 착탈버튼(20)이;
    상기 착탈버튼(20)이 상기 클립몸체(10)의 폰케이스삽입구(12) 상부로부터 끼워지며, 착탈버튼(20)의 가압시 그 끝단이 클립몸체(10)의 걸림돌기(13)를 가압하여 돌기(B)를 홈(C)에서 빼내고, 폰케이스(31)를 착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몸체(10)의 밴드삽입공(11)에는,
    밴드(60)나 밸트(70)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
KR20-2005-0028101U 2005-09-30 2005-09-30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 KR200403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101U KR200403824Y1 (ko) 2005-09-30 2005-09-30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101U KR200403824Y1 (ko) 2005-09-30 2005-09-30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824Y1 true KR200403824Y1 (ko) 2005-12-14

Family

ID=4370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101U KR200403824Y1 (ko) 2005-09-30 2005-09-30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8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2382A1 (en) * 2006-06-02 2007-12-13 Joongang T & C Co., Ltd The belt clip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2382A1 (en) * 2006-06-02 2007-12-13 Joongang T & C Co., Ltd The belt clip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06772B (zh) 用于电子设备的附接系统
CN210672315U (zh) 可穿戴设备
WO2017080011A1 (zh) 一种手表
US20190350320A1 (en) Wearable Device and Main Body of Wearable Device
CN212545952U (zh) 一种磁吸表扣及可穿戴设备
CA2129978A1 (en) Quick strap fastening device
CN211608393U (zh) 可穿戴设备、电子设备及绑带
JP6527537B2 (ja) 携帯時計とそのブレスレット
CN101511217B (zh) 带扣
CN106687007A (zh) 将带状物一端与一个物体连接的快速锁定装置
CN112205722A (zh) 可穿戴设备
KR200403824Y1 (ko) 비금속재의 핸드폰 클립
CN110881757A (zh) 快拆表带及手表
CN112244447A (zh) 一种手表
CN111387652A (zh) 一种磁吸搭扣及可穿戴设备
CN212036336U (zh) 一种磁吸表扣及一种手表
CN112534359B (zh) 用于附接腕带的装置
CN209732784U (zh) 一种可穿戴设备及可穿戴设备连接结构
KR20130042296A (ko) 케이스의 잠금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케이스
CN208850745U (zh) 一种新型的自动皮带扣头
CN212574380U (zh) 一种腕带式电子产品
CN218889390U (zh) 表带伸缩机构及智能手表
CN219047614U (zh) 一种快速拆装机构以及智能手表
CN212545948U (zh) 一种磁吸搭扣及可穿戴设备
CN219892501U (zh) 一种卡托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