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229Y1 -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 - Google Patents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229Y1
KR200403229Y1 KR20-2005-0026657U KR20050026657U KR200403229Y1 KR 200403229 Y1 KR200403229 Y1 KR 200403229Y1 KR 20050026657 U KR20050026657 U KR 20050026657U KR 200403229 Y1 KR200403229 Y1 KR 200403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guide
magazine
magazine body
moun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금범
Original Assignee
유금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범 filed Critical 유금범
Priority to KR20-2005-0026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2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2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고안은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개의 클립이 연결된 클립스트랩이 안내되는 클립안내부를 구비하고, 클립안내부를 통과하여온 클립을 하나씩 분리하여 지지줄에 끼워주는 클립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립안내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클립스트랩이 경사진 바닥면에 일단부가 세워져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의 경사 끝부분에 배출구를 구비하는 메거진본체와, 상기 메거진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클립스트랩을 상기 배출구가 구비된 방향으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밀어주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을 전후진시켜 상기 배출구에 하단부가 위치된 최선단의 클립스트랩이 배출구를 통해 상기 클립안내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당김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클립메거진에 많은 수의 클립스트랩을 삽입하여 두고 필요시에 클립안내부로 스트랩 단위로 공급할 수 있어 클립장착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Clip mounting apparatus having clip magazine}
본 고안은 클립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묘연을 지지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하기 위한 클립을 지지줄에 장착하는 클립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양식을 함에 있어서 굴의 유생을 채묘연(굴껍질이나 가리비껍질 등)에 받는 것을 채묘라고 한다. 산란기에 바닷물속에 떠다니는 굴의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체외 수정시기 약 2주후에는 눈이나 다리가 생기며 성숙한 유생이 된다. 이 시기에 채묘연을 해수에 담궈서 유생을 부착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채묘연은 하나의 지지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지되게 하여 여러개를 한번에 해수에 담구게 된다.
도 1에는 종래에 채묘를 위해 지지줄에 채묘연을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6 ~ 7미터의 지지줄(1)의 중간중간에 매듭(3)을 형성하고, 하나의 매듭(3)에 하나의 채묘연(5)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채묘연(5)은 그 중앙을 상기 지지줄(1)이 관통하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채묘연(5)을 지지줄(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매듭(3)을 형성하고, 지지줄(1)의 단부에서 지지줄에 상기 채묘연(5)을 끼우고, 다시 매듭(3)을 형성하고, 다음의 채묘연(5)을 끼우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지지줄(1)에 매듭(3)을 만드는 작업과 채묘연(5)을 끼우는 작업을 반드시 번갈아 가면 반복해야 한다. 이때, 상기 지지줄(1)에 매듭(3)을 형성하는 과정은 매우 번거롭다. 특히, 상기 지지줄(1)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매듭을 형성하는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채묘연(5)을 반드시 매듭(3)을 하나 형성한 후에 하나만을 지지줄(1)에 끼워야 한다. 따라서, 채묘연(5)을 지지줄(1)에 끼우는 작업 또한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줄에 채묘연을 소정 간격으로 지지하기 위한 클립을 지지줄에 장착하는 클립장착장치에 클립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클립메거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다수개의 클립이 연결된 클립스트랩이 안내되는 클립안내부를 구비하고, 클립안내부를 통과하여온 클립을 하나씩 분리하여 지지줄에 끼워주는 클립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립안내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클립스트랩이 경사진 바닥면에 일단부가 세워져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의 경사 끝부분에 배출구를 구비하는 메거진본체와, 상기 메거진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클립스트랩을 상기 배출구가 구비된 방향으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밀어주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을 전후진시켜 상기 배출구에 하단부가 위치된 최선단의 클립스트랩이 배출구를 통해 상기 클립안내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당김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거진본체의 바닥면은 상기 배출구가 구비된 쪽이 중력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상기 밀착판에는 그 중간부분에 상기 메거진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당김레버와 그 양단이 연결되는 구동핀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핀을 중심으로 양단에는 상기 메거진본체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채널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핀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메거진본체의 측면에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메거진본체의 선단에는 가이드봉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의 선단은 상기 당김레버의 연결된 선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봉이 중앙을 관통하게 원통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가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메거진본체에 지지되고 타단은 당김레버의 연결된 선단에 지지된다.
상기 메거진본체는 장착브라켓에 의해 상기 클립안내부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클립메거진에 많은 수의 클립스트랩을 삽입하여 두고 필요시에 클립안내부로 스트랩 단위로 공급할 수 있어 클립장착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후진가이드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후진가이드부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클립안내부와 줄가이드부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클립메거진의 구성을 보인 측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10)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지지레그(12)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레그(12)는 상기 베이스(10)의 네 모서리에 구비되어 베이스(10)를 지면에서 소정 높이에 지지한다. 상기 베이스(10)와 지지레그(12)의 구성은 본 고안 장치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달리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그레(12)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더 높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10)에는 커버(14)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14)는 상기 베이스(10) 상에 설치된 부품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14)는 상기 베이스(10)의 가장자리를 둘러 결합된다. 상기 커버(14)의 선단 중앙에는 관통슬릿(16)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릿(16)은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안내부(42)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버(14)의 선단 일측에는 레버슬롯(16')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Y하지만, 상기 커버(14)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관통슬릿(16)없이 커버(14)가 형성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는 구동원인 솔레노이드(20)가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20)는 아래에서 설명될 타격레버(40)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솔레노이드(20)에는 플런저(22)가 구비된다. 상기 플런저(22)는 전원이 솔레노이드(20)에 공급되면 솔레노이드(20)에서 돌출된다.
상기 플런저(22)의 선단에는 연결축(24)이 횡으로 관통하여 플런저(22)에 연결링크(26)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링크(26)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후진가이드부(30)의 이동블록(32)과 연결되어 솔레노이드(20)의 구동력을 이동블록(32)으로 전달한다. 상기 연결링크(26)에는 조절볼트(28)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볼트(28)에는 조절너트(28')가 설치된다. 상기 조절볼트(28)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블록(32)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조절너트(28')가 상기 조절볼트(28)상에서 이동됨에 의해 상기 이동블록(32)의 이동 행정이 조정된다.
전후진가이드부(30)는 상기 플런저(2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아래에서 설명될 타격레버(40)를 일직선으로 동작되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타격레버(40)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일직선으로 정확하게 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후진가이드부(30)에는 이동블록(32)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블록(32)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그 일측에 상기 조절볼트(28)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플런저(22)의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이동블록(32)의 이동은 상기 베이스(10) 상에 설치된 고정가이드(34)와 상기 고정가이드(34)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이동블록(32)에 설치되는 이동가이드(36)에 의해 안내된다. 즉, 상기 고정가이드(34)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채널(34')에 상기 이동가이드(36)의 가이드돌부(36')가 안착되어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채널(34')은 횡단면으로 볼 때, 그 내부의 폭이 입구측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부(36')는 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가이드(34)와 이동가이드(36)는 일종의 리니어베어링이다. 상기 고정가이드(34)와 이동가이드(36)를 둘러싸도록 상기 베이스(10)상에는 윤활유저장부(38)가 형성된다. 상기 윤활유저장부(38)에는 윤활유가 저장되어 상기 고정가이드(34)와 이동가이드(36)의 마찰부분에 공급된다.
상기 이동블록(32)은 복원부재(39)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20) 방향으로 당겨진다. 상기 복원부재(39)는 상기 솔레노이드(20)에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이동블록(32)을 당겨 플런저(22)가 솔레노이드(20)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이동블록(32)에는 타격레버(40)가 연결된다. 상기 타격레버(40)는 장방형의 단면과 긴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62)을 타격하여 하나의 클립(62)이 분리되어 지지줄(60)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10) 상에는 클립안내부(42)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클립안내부(42)는 제1판(43)과 제2판(43')의 사이에 스페이서판(44)이 구비되어 클립공급로(45)를 형성한다. 상기 제1판(43)과 제2판(43')은 클립안내부(42)의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스페이서판(44)은 제1판(43)과 제2판(43')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켜, 클립공급로(45)를 형성한다. 상기 클립공급로(45)는 중력방향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클립(62)이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클립공급로(45)의 하류부에 해당되는 상기 제2판(43') 일부가 개구되어 윈도우(47)를 형성한다. 상기 윈도우(47)는 상기 클립공급로(45)의 내부가 보이도록 하여 클립(62)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상기 제1판(43)이나 제2판(43')중 적어도 하나가 투명부재로 되면 윈도우(47) 없이도 클립(62)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클립공급로(45)의 하부에 해당되는 상기 클립안내부(42)를 횡으로 가로질러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배출슬롯(48)이 형성된다. 상기 클립배출슬롯(48)은 상기 클립안내부(4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타격레버(40)의 선단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타격레버(40)의 선단은 평소에 상기 클립공급로(45)와 만나는 부분에서 후퇴된 위치에 있다.
상기 클립안내부(42)의 하부인 상기 클립배출슬롯(48)의 출구에 인접하여서는 줄가이드부(5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줄가이드부(50)가 상기 클립안내부(4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줄가이드부(50)는 상기 클립배출슬롯(48)을 통해 빠져나오는 클립(62)이 끼워지는 지지줄(60)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줄(60)은 상기 클립(62)이 상기 타격레버(40)에 의해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줄가이드부(50)에는 상기 클립배출슬롯(48)의 출구와 마주보게 줄지지단(52)이 구비된다. 상기 줄지지단(52)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가 구비된다. 상기 줄지지단(52)의 사이 간격은 상기 클립배출슬롯(48)의 폭과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줄지지단(52)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하부는 개방되어 이물질배출부(54)를 형성한다. 상기 이물질배출부(54)는 지지줄(60)에 끼워지지 않고 파손된 클립(62) 등이 낙하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는 파손된 클립(62)이나 이물질에 의해 다음 작업시의 클립(62)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는 조작스위치(56)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스위치(56)는 상기 솔레노이드(2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것이다. 상기 조작스위치(56)에는 조작레버(57)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레버(57)는 작업자가 조작함에 의해 동작신호를 입력받는 것이다. 상기 조작레버(57)는 상기 커버(14)의 레버슬롯(16')을 관통해서 돌출된다. 상기 조작레버(57)는 상기 줄가이드부(50)에서 직선으로 연장된 지지줄(60)이 통과하는 위치에 선단이 구비된다. 도면부호 58은 마그네트스위치로서, 상기 조작스위치(56)에서 전달받은 조작신호로 상기 솔레노이드(20)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와 같이 조작스위치(56)와 마그네트스위치(58)를 사용하지 않고도 솔레노이드(20)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립안내부(42)에 지지되게 클립메거진(70)이 설치된다. 상기 클립메거진(70)은 다수개의 클립스트랩을 보관하고 있다가, 클립스트랩을 한줄씩 상기 클립안내부(42)의 클립공급로(45)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립메거진(70)에는 메거진본체(71)가 구비된다. 상기 메거진본체(71)는 측방향에서 볼 때, 평행사변형 형태의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메거진본체(71)의 내부에는 역시 평행사변형 형태의 납작한 육면체 형상의 내부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공간에는 다수개의 클립스트랩이 세워져 구비된다. 즉, 상기 클립스트랩의 일단부가 메거진본체(71)의 경사진 바닥면에 지지되어 세워진다. 상기 메거진본체(71)의 경사진 바닥면중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는 상기 클립공급로(45)와 연통되는 배출구(72)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72)는 하나의 클립스트랩이 통과할 수 있는 단면적을 가진다.
상기 메거진본체(71)의 내부에는 밀착판(74)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밀착판(74)은 상기 클립스트랩을 메거진본체(71)의 내부공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즉 상기 배출구(72)가 있는 쪽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착판(74)에는 가이드핀(76)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핀(76)은 상기 메거진본체(71)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채널(76')을 따라 이동하면서 밀착판(74)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핀(76)은 상기 밀착판(74)의 양단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판(74)에는 상기 메거진본체(71)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구동핀(78)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핀(78)은 상기 메거진본체(71)에 형성된 가이드슬롯(79)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구동핀(78)은 상기 메거진본체(71)의 양단에 메거진본체(71)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당김레버(8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당김레버(80)가 당겨지면, 상기 밀착판(74)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당김레버(80)은 상기 메거진본체(71)의 양단에 설치된 것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당김레버(80)의 양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동작된다. 상기 당김레버(80)의 선단 측에는 상기 메거진본체(71)에 일단부가 고정된 가이드봉(82)에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봉(82)의 선단은 상기 양단의 당김레버(80)가 연결된 선단(8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선단(80')은 상기 가이드봉(82)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봉(82)중 상기 당김레버(80)의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복원탄성부재(84)가 설치된다. 상기 복원탄성부재(84)는 상기 가이드봉(82)을 둘러싸도록 원통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복원탄성부재(84)는 일단부가 상기 선단(8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거진본체(71)에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복원탄성부재(84)는 상기 당김레버(8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기만 하다면, 그 설치위치나 지지위치는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한편, 도 9에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메거진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메거진과 대응되는 구성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편의를 위해 요지 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거진(170)을 구성하는 메거진본체(171)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하지만, 상기 메거진본체(171)의 내부에 있는 밀착판(174)이 클립스트랩을 밀어줄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탄성부재(184)가 상기 메거진본체(171)의 내부에 위치된다. 즉, 복원탄성부재(184)의 일단부는 상기 밀착판(174)의 배면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메거진본체(171)의 내면 후단에 지지된다.
그리고, 당김레버(180)는 메거진본체(171)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고, 일단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상기 당김레버(180)의 선단은 구동핀(178)과 연결되어 밀착판(174)을 이동시킬 수 있고, 메거진본체(171)의 선단으로는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당김레버(180)가 일정한 궤적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메거진본체(171)의 외면에는 가이드리브(180')가 나란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클립안내부(42)에 설치된 클립메거진(70)에 다수개의 클립스트랩을 차곡차곡 장착한다. 상기 클립스트랩은 상기 밀착판(74)에 의해 밀착되어, 최선단의 클립스트랩은 그 하단부가 상기 배출구(72) 입구에 있게 된다. 즉, 상기 메거진본체(71)의 바닥면에 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다수개의 클립스트랩을 밀어주는 밀착판(74)의 밀착력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당김레버(80)를 당겨주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판(74)이 후진하면서 최선단의 클립스트랩은 자중에 의해 상기 배출구(72)를 통해 상기 클립공급로(45)로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당김레버(8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복원탄성부재(84)의 복원력에 의해 당김레버(80)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가면서 상기 밀착판(74)이 다시 상기 클립스트랩들을 밀어준다. 이와 같이 되면 다시 최선단에 위치된 클립스트랩은 그 하단부가 배출구(72)의 입구에 위치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당김레버(80)를 당겨주면 다시 상기 클립공급로(45)로 전달된다.
먼저, 상기 클립안내부(42)의 클립공급로(45)로 공급된 클립스트랩은 자중에 의해 상기 클립공급로(45)의 하부로 낙하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선단의 하나의 클립(62)은 상기 클립배출슬롯(48)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줄가이드부(50)에 지지줄(60)을 위치시킨다. 즉, 양손으로 지지줄(60)을 줄가이드부(50) 양단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57)를 조작한다. 상기 조작레버(57)의 선단은 상기 줄가이드부(50)에서 연장된 지지줄(60)이 통과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작업자가 지지줄(60)을 잡은 손이나 지지줄(60)로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조작레버(57)가 조작되면, 상기 마그네트스위치(58)가 상기 솔레노이드(20)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솔레노이드(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플런저(22)가 돌출된다. 상기 플런저(22)가 돌출되면, 상기 연결링크(26)를 밀어 전진시키고, 연속적으로 상기 이동블록(32)이 전진하게 된다.
상기 이동블록(32)의 전진은 상기 타격레버(40)의 전진을 만들어 낸다. 이때, 상기 이동블록(32)은 상기 이동가이드(36)가 고정가이드(34)에 안내되어 이동함에 의해 일직선으로 정해진 궤적을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은 이동블록(32)의 이동은 타격레버(40)의 정확한 전진운동을 만들어 상기 클립(62)을 정확하게 타격하도록 한다.
상기 타격레버(40)의 전진에 의해 상기 클립(62)이 타격되면, 클립배출슬롯(48)에 있던 하나의 클립(62)이 클립스트랩에서 분리되어 상기 지지줄(60)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타격레버(40)에 의해 밀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줄(60)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와 같이 하나의 클립(62)이 상기 지지줄(60)에 끼워지도록 상기 타격레버(40)가 동작되고,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타격레버(40), 이동블록(32) 및 플런저(22)는 상기 복원부재(39)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에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타격레버(40)가 후퇴되어 상기 클립공급로(45)의 하부에 해당되는 클립배출슬롯(48)이 비게 되면 상기 클립(62)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배출슬롯(48)에 대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절너트(28')의 위치를 조절하면 상기 이동블록(32),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타격레버(40)의 이동행정이 조정된다. 상기 타격레버(40)의 이동행정이 조정됨에 의해 상기 타격레버(40)에 의해 클립(62)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가 달라진다. 이와 같은 조정은 작업중에 클립(62)이 지지줄(60)에 끼워지는 상태를 보고 조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메거진본체(71)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면에서 볼 때 평행사변형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내부공간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된다.
그리고, 상기 복원탄성부재(84)는 상기 밀착판(74)이 클립스트랩을 밀어줄 수 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면, 어디에 설치되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복원탄성부재(84)를 도 6의 위치에서 메거진본체(71)의 반대쪽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지지봉(82)의 위치로 옮겨져야 하고, 상기 당김레버(80)는 메거진본체(71)의 선단쪽으로는 돌출될 필요가 없다. 물론, 이때, 상기 복원탄성부재(84)는 상기 밀착판(74)이 클립스트랩을 밀어줄 수 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야 하므로, 도 6의 그 것과는 반대되는 탄성경향을 가진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수작업이 아닌 기계작업으로 클립을 지지줄에 삽입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클립을 지지줄에 삽입할 수 있다. 특히, 클립을 클립스트립 형태로 다수개 씩 공급할 수 있어 채묘연을 지지줄에 소정 간격으로 지지되게 하는 작업의 작업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채묘연이 지지줄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후진가이드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후진가이드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클립안내부와 줄가이드부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클립메거진의 구성을 보인 측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타격레버에 의해 클립이 지지줄에 삽입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 실시예의 클립메거진에 의해 클립스트랩이 클립안내부를 전달되는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립메거진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 12: 지지레그
14: 커버 16: 관통슬릿
16': 레버슬롯 20: 솔레노이드
22: 플런저 24: 연결축
26: 연결링크 28: 조절볼트
28': 조절너트 30: 전후진가이드부
32: 이동블록 34: 고정가이드
36: 이동가이드 38: 윤활유저장부
39: 복원부재 40: 타격레버
42: 클립안내부 43: 제1판
43': 제2판 44: 스페이서판
45: 클립공급로 48: 클립배출슬롯
50: 줄가이드부 52: 줄지지단
54: 이물질배출부 56: 조작스위치
57: 조작레버 58: 마그네트스위치
60: 지지줄 62: 클립
70: 메거진 71: 메거진본체
72: 배출구 74: 밀착판
76: 가이드핀 76': 가이드채널
78: 구동핀 79: 가이드슬롯
80: 당김레버 82: 지지봉
84: 복원탄성부재

Claims (7)

  1. 다수개의 클립이 연결된 클립스트랩이 안내되는 클립안내부를 구비하고, 클립안내부를 통과하여온 클립을 하나씩 분리하여 지지줄에 끼워주는 클립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립안내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클립스트랩이 경사진 바닥면에 일단부가 세워져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의 경사 끝부분에 배출구를 구비하는 메거진본체와,
    상기 메거진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클립스트랩을 상기 배출구가 구비된 방향으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밀어주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을 전후진시켜 상기 배출구에 하단부가 위치된 최선단의 클립스트랩이 배출구를 통해 상기 클립안내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당김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거진본체의 바닥면은 상기 배출구가 구비된 쪽이 중력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에는 그 중간부분에 상기 메거진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당김레버와 그 양단이 연결되는 구동핀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핀을 중심으로 양단에는 상기 메거진본체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채널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핀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메거진본체의 측면에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메거진본체의 선단에는 가이드봉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의 선단은 상기 당김레버의 연결된 선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봉이 중앙을 관통하게 원통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가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메거진본체에 지지되고 타단은 당김레버의 연결된 선단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거진본체는 장착브라켓에 의해 상기 클립안내부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는 상기 메거진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당김레버는 구동핀에 의해 밀착판과 연결되며 메거진본체의 외면에 형성된 가이드리브에 의해 그 이동이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
KR20-2005-0026657U 2005-09-15 2005-09-15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 KR200403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657U KR200403229Y1 (ko) 2005-09-15 2005-09-15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657U KR200403229Y1 (ko) 2005-09-15 2005-09-15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229Y1 true KR200403229Y1 (ko) 2005-12-08

Family

ID=4370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657U KR200403229Y1 (ko) 2005-09-15 2005-09-15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2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311B1 (ko) * 2015-09-11 2016-12-23 황백용 채묘연 고정구 결합 장치
KR20170088564A (ko) * 2016-01-25 2017-08-02 김윤공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311B1 (ko) * 2015-09-11 2016-12-23 황백용 채묘연 고정구 결합 장치
KR20170088564A (ko) * 2016-01-25 2017-08-02 김윤공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
KR101851991B1 (ko) * 2016-01-25 2018-06-11 김윤공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568350U (zh) 外科线形切割吻合器的夹紧厚度调节机构
ES2610921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centrar lateralmente un cajón o similar sobre una guía de extracción y un dispositivo de enganche provisto del dispositivo
KR200403229Y1 (ko) 클립메거진을 구비한 클립장착장치
CN104229487B (zh) 磁铁送料装置
US2880545A (en) Fish lure equipment
KR20190062590A (ko) 보우스트링 해제기
FI107628B (fi) Laite pitkänomaisten keinoruohokuitujen työntämiseksi maahan
KR20090016372A (ko) 파스너 부착 장치
KR20070093644A (ko) 다품종 파종기
KR200401807Y1 (ko) 클립장착장치
CN116195406B (zh) 玉米播种机
JP3643359B2 (ja) スライド式の播種器
CN216853440U (zh) 一种用于移虫的调节机构
EP0806506A2 (en) Flat heald/dropper-drawing/separating method and apparatus
CN111165416B (zh) 一种鱼类标记回放装置
CN215335935U (zh) 一种水培菜的植物led照明装置
CN209861567U (zh) 用于无底秧盘的顶苗装置及取苗机
KR20170011669A (ko) 인삼씨 파종 장치
CN212501025U (zh) 腕带便携式无人机
CN215602699U (zh) 一种牛蛙专用养殖饲料台
EP4227631A1 (en) Speargun for underwater fishing
CN216873846U (zh) 一种传动链条调整机构及使用该机构的播种用排种器
CN216983166U (zh) 一种水产养殖业用可分类养殖的养殖箱
CN219282908U (zh) 一种显示器支臂
CN212065376U (zh) 一种鱼菜共生观赏鱼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