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171Y1 - 와류 특성을 이용한 핸드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와류 특성을 이용한 핸드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171Y1
KR200403171Y1 KR20-2005-0025954U KR20050025954U KR200403171Y1 KR 200403171 Y1 KR200403171 Y1 KR 200403171Y1 KR 20050025954 U KR20050025954 U KR 20050025954U KR 200403171 Y1 KR200403171 Y1 KR 200403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hand dryer
blowing
vortex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석규
Original Assignee
서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석규 filed Critical 서석규
Priority to KR20-2005-0025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1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1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측에 각각 송풍팬을 설치하여 상기 양 송풍팬을 통하여 토출되는 열풍이 와류를 형성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젖은 손을 건조시킬 수 있는 시간/물자 절약형 핸드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는, 종이 타올을 수납 및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타올박스와; 상기 타올박스 하방 중앙부에 사용자의 손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타올박스 양측부 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송풍날개와; 상기 양 송풍날개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열풍을 토출시킴에 따라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날개의 내측에 설치되어 사용자 손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류 특성을 이용한 핸드 드라이어{HAND DRYER USING VORTEX FLOW CHARACTERISTICS}
본 고안은 핸드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측에 각각 송풍팬을 설치하여 상기 양 송풍팬을 통하여 토출되는 열풍이 와류를 형성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젖은 손을 건조시킬 수 있는 시간/물자 절약형 핸드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을 이용하고 난 후에는 위생을 위하여 손을 씻게 된다. 이때, 물에 젖은 손을 건조하는 일은 만만치가 않다. 예전에는 화장실에 수건이 비치되어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할 수 있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한 수건을 공동으로 사용하다 보면 청결하지 못한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종이 타올이나 핸드 드라이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종이 타올은 일반 휴지보다는 두꺼워서 수선처럼 손을 닦기에 적당하다. 위생적이고, 시간이 절약될 뿐만 아니라 간편해서 사람들이 많이 선호하고 있으며, 백화점 등과 같이 서비스를 우선하는 장소에 많이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종이타올은 1 장으로는 양손의 수분을 제거하기 부족하여 보통 3~4 장을 한번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자원 낭비가 심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핸드 드라이어는 본체 내부에 송풍기를 설치하여 이를 통하여 열풍을 쏘아줌에 따라 젖은 손을 건조시키는 장치로서, 설치비는 다소 비싸지만 유지비가 적게들고, 손을 말리면 보송보송해져서 기차역, 터미널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의 선호도가 높다. 그러나, 종래의 핸드 드라이어로 젖은 손을 말리는 경우, 열풍이 한 방향에서만 송풍되기 때문에 젖은 손 전체를 말리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을 이리저리 움직여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열풍의 체류 시간이 짧기 때문에 완전 건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위생적이고 사용하기 편리한 종이 타올의 장점과, 경제적인 핸드 드라이어의 장점을 결합하고, 특히, 상기 핸드 드라이어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이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여 종이 타올은 적게 사용하면서 짧은 시간에 젖은 손을 말릴 수 있는 시간/물자 절약형 핸드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는, 종이 타올을 수납 및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타올박스(10)와; 상기 타올박스(10) 하방 중앙부에 사용자의 손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타올박스(10) 양측부 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송풍날개(20,20')와; 상기 양 송풍날개(20,20')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열풍을 토출시킴에 따라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송풍팬(32,32')과; 상기 송풍날개(20,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사용자 손을 감지하는 센서(40)와; 상기 센서(40)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40)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32,3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구성 및 작동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정면도가 각각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는, 타올박스(10), 송풍날개(20,20'), 송풍팬(32,32'), 센서(40) 그리고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타올박스(10)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구비하는 함체로 구성된다. 상기 타올박스(10) 내부에는 젖은 손의 물기를 제거하는데 이용되는 종이 타올이 수납되며, 일측에는 인출구(1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종이 타올을 한장씩 뽑아 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출구(12)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올박스(10)의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인출구(12)를 상기 타올박스(10)의 측면 또는 상부면에 설치하고, 전면에는 거울을 부착하거나, 광고판 또는 기타 유익한 읽을거리를 부착할 수 있는 게시판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타올박스(10) 하단에는 수평프레임(30)이 구비된다. 상기 수평프레임(30)은 타올박스(1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송풍날개(20,20')를 상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30)은 타올박스(10)의 길이 및 저면부 면적에 상응하거나 그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프레임(30)은 선택적인 사항으로서 생략되는 것도 가능한바, 이 경우에는 상기 타올박스(10)의 하부면에 송풍날개(20,20')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올박스(10) 또는 수평프레임(30)의 하부에는 송풍날개(20,20')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날개(20,20')는 상기 타올박스(10) 또는 수평프레임(30) 하방의 중앙부에 사용자가 손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타올박스(10) 또는 수평프레임(30)의 하부면 양측부에 각각 1개씩 설치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날개(20,20')는 상기 타올박스(10) 또는 수평프레임(30)수평프레임(30)의 하부면 양측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송풍날개(20,20')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구비하는 중공체로 구성되어, 그 내부 공간에는 후술하는 제어부(50), 송풍팬(32,32') 등이 탑재된다.
상기 송풍팬(32,32')은 좌우 송풍날개(20,20')의 내부 공간에 각각 1 개씩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32,32')은 통상의 드라이어와 같은 구성으로서 내부에 열원을 포함하여 열풍을 불어줄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는 제약이 없다. 상기 송풍팬(32,32')은 토출되는 열풍의 방향이 상기 양 송풍날개(20,20') 사이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양 송풍날개(20,20')의 내측에는 상기 송풍팬(32,32')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송풍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날개(20,20')의 일측에는 타올박스(10)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한 종이 타올을 폐기할 수 있는 휴지통(6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지통(60)은 송풍날개(20,20')의 외측에 별로도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휴지통(6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날개(20,20')의 전면으로부터 서랍식으로 출납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좌우 송풍팬(32,32')으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서로 반대방향으로 흘러가는 열풍이 만나면서 소용돌이를 일으켜, 소위 '와류 현상'이 발생한다. 종래의 핸드 드라이어의 경우, 열풍이 한쪽 방향에서만 토출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을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열풍을 젖은 손의 구석구석에 쬐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전체 손의 건조 시간도 그만큼 길어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와 같이 와류를 형성하는 구성에 의하면, 열풍이 소용돌이를 일으키면서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을 움직이지 않더라도 구석구석 열풍이 전달되어 효과적으로 손 전체를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류로 인한 열풍이 개구부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건조 시간도 현저하게 감소되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고안자는 상기와 같은 와류 현상을 실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와류 형성 실시예는 상기 송풍팬(32,32')의 위치를 변화시킴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3 에 이러한 와류 형성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3 의 (a) 및 (b) 에는 좌우 양 송풍팬(32,32')의 설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된 와류 형성 실시예가 도시된다. 양 송풍팬(32,32')은 도 3 의 (a) 에 도시된 실시예 1 과 같이, 양 송풍날개(20,2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우 송풍팬(32,32')으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다가 개구부 중앙 부근에서 만나게 되어 하방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와류가 형성된다.
양 송풍팬(32,32')은 또한 도 3 의 (b) 에 도시된 실시예 2 와 같이, 양 송풍날개(20,20')의 하부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던 열풍이 만나 개구부 내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와류가 형성된다.
도 3 의 (c) 내지 (f) 에는 좌우 양측의 송풍팬(32,32')이 서로 높이차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와류 형성 실시예 3 내지 6 이 각각 도시된다.
도 3 의 (c) 에 도시된 실시예 3 의 경우, 하나의 송풍팬(32 또는 32')은 송풍날개(20 또는 20') 상부에, 다른 하나는 송풍날개(20' 또는 20) 하부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각각 개구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진행하던 열풍이 송풍날개(20,20')의 내측과 충돌하여 하방 또는 상방으로 방향이 전환되면서 두 흐름이 서로 뒤엉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도 3 의 (d) 에 도시된 실시예 4 의 경우, 일측 송풍날개(20') 말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며, 이 절곡부 내측에 송풍팬(32')이 설치된다. 반대편 송풍팬(32)은 송풍날개(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절곡부 구성은 상부에서 진행하는 열풍과 하부에서 진행하는 열풍이 충돌할 수 있는 개연성을 더욱 높여주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절곡부에 설치된 송풍팬(32')으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은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상부의 열풍 흐름과 충돌할 개연성이 더욱 높아져서 와류가 더욱 잘 형성된다.
도 3 의 (e) 에 도시된 실시예 5 의 경우, 양측 송풍날개(20,20') 말단부가 모두 내측으로 절곡된다. 그러나, 여기서는 송풍팬(32,32')이 상기 절곡부에 설치되지는 않고 도 3 의 (c) 에 도시된 실시예 3 과 같이 양 송풍날개(20,20')의 직선부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절곡부 구성은 하방에서 진행하는 열풍이 개구부 하측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고 상방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일종의 가이드 벽으로서 작용한다.
도 3 의 (f) 에 도시된 실시예 6 의 경우, 양측 송풍날개(20,20') 말단부가 모두 내측으로 절곡되되, 하나의 송풍팬(32 또는 32')만이 일측 절곡부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절곡부에 설치된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이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와류 형성이 더 용이해지고, 타측 절곡부 구성으로 인해 열풍이 개구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날개(20,20')의 내측에는 센서(40)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40)는 기존의 핸드 드라이어가 사람의 손이 가까이 접근하는 경우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것과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물체 반사형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체 반사형 센서는 적외선을 방출하여 물체가 접근하면 물체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함으로써 전원의 ON/OFF 동작이 이루어지는 센서이다. 물체 반사형 센서는 센서의 작동거리를 적당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경우, 물체의 최대 거리가 양 송풍날개(20,20') 범위 내에 들어오기 때문에 센서의 동작 거리 조정에도 기존의 핸드 드라이어보다 유리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송풍팬(32,32') 및 센서(40)의 작동은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송풍팬(32,32')과 센서(40)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로 구성된다. 도 4 에는 상기 회로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은 송풍팬(32,32')과 센서(40)에 함께 연결되어 전원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로는 릴레이회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40)로부터 물체가 감지되면 릴레이회로에 의해 송풍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송풍팬(32,32')이 작동하고, 물체가 사라지면 센서(4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송풍팬(32,32')의 전원이 차단되어 송풍팬(32,32')의 작동이 중지된다. 상기 제어부(5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날개(20,20')의 일측 내부 공간에 내설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험예 >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1. 와류 발생 확인 실험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를 작동할 경우 실제로 와류가 발생하는 지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실에서 분자모형 및 결정 모형 제작에 사용하는 지름 30 mm 의 스티로폼 구를 핸드 드라이어의 송풍날개(20,20') 사이 개구부에 채우고 송풍팬(32,32')을 작동시켜 열풍을 불어주면서 스티로폼 구의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송풍팬(32,32')의 작동후 스티로폼 구의 움직임 변화를 연속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 5 에 나타내었다. 연속 촬영된 사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티로폼 구는 개구부 내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소용돌이치면서 이동하였다. 따라서, 개구부 내에서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2. 수분 건조 시간 확인 실험
핸드 드라이어는 젖은 손을 건조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발생한 와류가 수분을 효과적으로 건조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도 3 에 도시된 다양한 와류 형성 실시예에 따라 발생한 와류가 얼마나 수분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수분의 건조 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염화코발트(CoCl2)를 사용하였다.
염화코발트는 6 수화물일 때는 적색을 띠고 있다가 1 수화물이 되면 청자색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성질은 시료 중의 수분을 확인하는데 자주 이용되는데, 푸른색 염화코발트가 붉은색으로 변하면 시료에 물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핸드 드라이어 모형에 따른 수분 건조 확인 실험에서는 이러한 성질을 역으로 이용하여 수분을 함유한 붉은색의 염화코발트 수용액 1mL 를 종이 타올에 묻혀 핸드 드라이어의 개구부에 놓고 수분이 모두 증발하여 푸른색으로 변할때 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각 실시예 별로 5 회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핸드 드라이어의 와류 형성 실시예에 따른 수분 건조 시간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핸드 드라이어를 대표할 수 있는 모형이 필요하였다. 그래서, 개선된 핸드 드라이어와 같은 종류의 송풍팬 2 개를 장치한 기본형 핸드 드라이어를 제작하여 이를 비교예로 이용하여 동일한 실험을 실시한 후, 와류를 발생하는 핸드 드라이어와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아래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핸드 드라이어의 와류 형성 실시예에 따른 수분 건조 시간 측정 결과
구분 수분 건조 시간 측정 결과
1회 2회 3회 4회 5회 평균
비교예 125.9 119.5 122.4 119.3 125.2 122.46
실시예 1 101.7 102.6 97.6 98.7 108.1 101.74
실시예 2 106.4 99.2 101.8 103.3 97.6 101.66
실시예 3 96.2 92.7 98.9 92.1 95.1 95.00
실시예 4 104.8 101.4 103.1 108.2 97.5 103.00
실시예 5 83.9 81.9 84.2 82.1 86.5 83.72
실시예 6 99.9 87.8 103.0 100.5 98.7 99.98
실험결과 모든 형태의 와류 발생 핸드 드라이어가 대조군으로 사용한 비교예 핸드 드라이어에 비하여 수분 건조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와류를 이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핸드 드라이어를 제작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실시예 5 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가 수분을 건조하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는데, 비교예에 비하여 사용 시간을 약 30% 가량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종래의 핸드 드라이어 사용 시간 분석 실험
종래 사용중인 핸드 드라이어의 사용 시간을 분석하기 위하여 화장실에 설치된 핸드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손을 씻을 후 물기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핸드 드라이어의 사용 시간을 측정하였다. 다음과 같은 사양의 핸드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측정된 실험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1) 최대 소비 전력 : 온풍 - 1,700W / 냉풍 - 76W
(2) 센서 방식 : 적외선 감지식
(3) 중량 : 3.5 Kg
(4) 규격 : 220 ×250 ×210 mm
(5) RPM : 2,000
표 2. 종래 사용중인 핸드 드라이어 사용 시간 분석 결과
회수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평균
시간(초) 65.88 61.58 68.84 63.16 64.32 67.23 64.76 60.98 62.41 66.54 64.57
시간 측정 결과 손의 물기가 완전히 제거되어 보송보송해질 때까지 걸린 평균 사용 시간은 64.57 초로 약 1 분간 손을 말리며 서 있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시간은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혼잡한 공공장소에서 혼자 사용하기에는 긴 시간이다. 예를 들어, 학교의 경우 휴식 시간이 10 분인 점을 생각해보면 핸드 드라이어를 쉬지 않고 사용하여도 9 명의 학생만이 핸드 드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고, 나머지 학생들은 휴지나 개인 손수건을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하여야 한다. 사람이 많이 다니는 고속도로의 휴게소에서도 핸드 드라이어를 연속적으로 사용한다고 가정하여도 핸드 드라이어 한 대당 1 시간 동안 55 명의 사람만이 핸드 드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핸드 드라이어의 경우 완전 건조까지의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 사용시 건조 시간 측정 실험
(1) 종이 타올 1 장으로 물기 제거 후 핸드 드라이어 사용
손에 물을 충분히 적신 후에 종이 타올 1 장만을 사용하여 물기를 살짝 제거한 후 핸드 드라이어를 사용했을 때 손이 건조되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내었다.
표 3. 종이 타올(1 장)로 물기 제거 후 핸드 드라이어 사용 시간 분석 결과
회수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평균
시간(초) 18.31 15.11 16.95 19.41 18.70 20.67 14.95 16.05 16.31 17.63 17.41
측정 결과 종이 타올 1 장으로는 젖은 손의 물기를 약 25 ~ 30 % 정도만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핸드 드라이어 사용 시간 측정 결과 평균 사용 시간이 17.41 초로 핸드 드라이어만 사용했을 때 보다 사용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핸드 드라이어의 사용 시간을 평균 47초 가량 단축한 것으로 핸드 드라이어의 사용 시간을 약 30 % 정도로 줄일 수 있는 시간이다.
(2) 종이 타올과 핸드 드라이어 동시 사용의 경우 사용 시간 분석
종이 타올 1 장을 핸드 드라이어와 동시에 사용하여 손을 건조시킬 때의 사용 시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내었다.
표 4. 종이 타올(1 장)과 핸드 드라이어 동시 사용시 사용 시간 분석 결과
회수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평균
시간(초) 14.25 15.17 12.20 14.13 15.24 13.78 14.65 12.11 16.42 15.35 14.33
핸드 드라이어의 사용 시간을 측정한 결과 평균 사용 시간이 더 줄어서 14 초 가량이면 손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이는 핸드 드라이어만을 사용하여 물기를 제거했을 때(64.57) 보다 무려 50.24 초나 시간을 절약한 것으로 약 80 % 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시간이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한 방향으로만 바람이 송풍되는 종래의 핸드 드라이어의 단점을 개선하여 바람이 나오는 곳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핸드 드라이어의 효율이 기존의 제품에 비해 30 % 가량 향상된다.
또한, 종래 핸드 드라이어에 타올박스를 부착하여 종이 타올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자원 및 외화 절약 효과가 있고, 핸드 드라이어의 사용 시간을 80 % 가량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핸드 드라이어를 사용했을 때 보다 사용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기 때문에 에너지 자원 절약 효과와 공공장소에 많은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다양한 실시예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구동 회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와류 형성 확인을 위한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연속 촬영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타올박스 12 : 인출구
20,20' : 송풍날개 30,30': 수평프레임
32,32' : 송풍팬 34,34' : 송풍구
40 : 센서 50 : 제어부
60 : 휴지통

Claims (6)

  1. 종이 타올을 수납 및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타올박스(10)와;
    상기 타올박스(10) 하방 중앙부에 사용자의 손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타올박스(10) 양측부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송풍날개(20,20')와;
    상기 양 송풍날개(20,20')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열풍을 토출시킴에 따라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송풍팬(32,32')과;
    상기 송풍날개(20,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사용자 손을 감지하는 센서(40)와;
    상기 센서(40)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40)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32,3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특성을 이용한 핸드 드라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송풍팬(32,32')은 서로 높이차를 가지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특성을 이용한 핸드 드라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송풍날개(20,20') 중 적어도 하나의 말단은 내측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송풍팬(32,32') 중 하나는 상기 절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특성을 이용한 핸드 드라이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날개(20,20')에는 사용된 종이 타올을 수거할 수 있도록 휴지통(6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특성을 이용한 핸드 드라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통(60)은 상기 송풍날개(20,20')의 내측에 수납되어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특성을 이용한 핸드 드라이어.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40)는 물체 반사형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특성을 이용한 핸드 드라이어.
KR20-2005-0025954U 2005-09-08 2005-09-08 와류 특성을 이용한 핸드 드라이어 KR200403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954U KR200403171Y1 (ko) 2005-09-08 2005-09-08 와류 특성을 이용한 핸드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954U KR200403171Y1 (ko) 2005-09-08 2005-09-08 와류 특성을 이용한 핸드 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171Y1 true KR200403171Y1 (ko) 2005-12-08

Family

ID=4370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954U KR200403171Y1 (ko) 2005-09-08 2005-09-08 와류 특성을 이용한 핸드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1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6201B1 (en) Ventilated cat litter box
US20100192399A1 (en) Hand drying apparatus
CN205612382U (zh) 一种带有除臭功能的暖房用烘干装置
KR200403171Y1 (ko) 와류 특성을 이용한 핸드 드라이어
US5855027A (en) Automatic bathroom door and toilet flushing system
JPH0956640A (ja) 手乾燥装置
CN206228267U (zh) 可折叠肥皂盒
CN206138082U (zh) 排湿系统及消毒柜
CN105755764B (zh) 智能晒衣架
KR20140000230U (ko) 스마트 전동식 빨래건조대
CN206880437U (zh) 一种公共洗手间的洗手台镜面柜结构
CN213344660U (zh) 一种多功能自动吹干设备
CN210541259U (zh) 纸巾干手机
CN209568290U (zh) 一种智能晾晒架主机
CN206942210U (zh) 一种多功能双层安全玻璃淋浴间
CN214017336U (zh) 一种热吹风装置
CN208166253U (zh) 一种新型电梯控制柜
CN207734091U (zh) 一种智能吹脚机
CN207854387U (zh) 一种水厂信息监控装置
KR20190015425A (ko) 우산 드라이어
CN213640695U (zh) 一种壁挂结构及壁挂式热吹风装置
CN213940573U (zh) 一种带疫情防控功能的洗浴装置
CN210748974U (zh) 一种新型公共场所用卫生服务装置
CN213903472U (zh) 一种健康家居监测系统
CN213464870U (zh) 一种浴巾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