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158Y1 - assembly for engineering works - Google Patents

assembly for engineering wor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158Y1
KR200403158Y1 KR20-2005-0025798U KR20050025798U KR200403158Y1 KR 200403158 Y1 KR200403158 Y1 KR 200403158Y1 KR 20050025798 U KR20050025798 U KR 20050025798U KR 200403158 Y1 KR200403158 Y1 KR 200403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ivil engineering
fixing
fixing pin
pi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79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병도
Original Assignee
박병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도 filed Critical 박병도
Priority to KR20-2005-0025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15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158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방, 방파제, 산사태방지 벽면, 토사소실방지 벽면, 운동장 계단, 도로의 경사면, 단지 조경벽면 등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핀홀들을 갖는 블록, 적층되는 상기 블록들을 연결 고정시키기 위하여, 아랫단에 위치되는 블록의 핀홀에 끼워지는 하단고정부와 윗단에 위치되는 블록의 핀홀에 끼워지는 상단고정부를 갖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고정핀은 하단고정부와 상기 상단고정부의 위치에 따라 적층되는 상기 블록들의 경사각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used to build a levee, breakwater, landslide prevention walls, earth and sand loss prevention walls, playground stairs, road slopes, landscaping walls only. The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having pinholes penetrating from an upper surface to a lower surface, and a lower fixing part fitted to a pinhole of a block located at a lower end and a block located at an upper end to connect and fix the stacked blocks. It includes a fixing pin having a top fixing to be fitted in the pin hole, the fixing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locks stack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ottom fixing and the top fixing differently.

Description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assembly for engineering works}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assembly for engineering works}

본 고안은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방, 방파제, 산사태방지 벽면, 토사소실방지 벽면, 운동장 계단, 도로의 경사면, 단지 조경벽면 등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to a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used to construct a levee, a breakwater, a landslide prevention wall, an earth and sand loss prevention wall, a playground stairway, a slope of a road, and a landscape wall.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야산이나 구릉 등을 깎아 평탄하게 조성한 부지(아파트 단지 등)나 도로를 시공하는 지역에는 대부분 절토사면(切土斜面)이 존재한다. 이러한 절토사면은 인공적인 절토작업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사면이 균형을 잃어버리기 용이하여 위험하며, 또한 토사의 응집력이 약하기 때문에 비가 많이 내리거나 하면 쉽게 부서져 내려 사태를 일으키게 됨으로, 상기의 사면 둘레로 옹벽을 구축하여 토사 등이 유실되거나 사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In general, cut slopes exist mostly in sites (apartment complexes) or roads that are flattened by cutting mountains and hills. Since the cut slope is formed by artificial cutting work, the slope is easily lost and unbalanced. Also, because the cohesiveness of the soil is weak, the slope is easily broken when it rains a lot or causes a situation. By building the sediment, etc. are prevented from being lost or happening.

이를 위해 그 동안 사면(또는 경사면)을 보강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국내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옹벽이 많이 이용되어 왔는데, 상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성형 및 양생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굴토작업과 성토작업에 막대한 공사비가 소요되며, 또한 대규모 절토 작업에 대한 제약이 많다는 단점이 있었다. To this end, as a plan for reinforcing slopes (or slopes),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s have been used in Korea, and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re not only costly and time-consuming for forming and curing, but also for excavation and fill work. It costs a lot of construction cost, and also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large-scale cutting work.

이에 최근에는 블록을 이용한 옹벽이 널리 시공되고 있다. 블록 옹벽은 다수의 블록으로 축조된 것으로 그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공기가 짧고 시공 비용이 적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 옹벽은 블록 위에 다른 블록을 적층할 때 아래쪽의 블록의 돌기를 위쪽의 블록의 끼움홈에 끼워 맞추어야 하는데, 블록의 몸체에 의해 가려져서 육안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블록은 축조시 옹벽의 경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없는 고정된 타입으로, 옹벽 축조시 옹벽의 경사를 다르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블록을 제작하여 시공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Recently, retaining walls using blocks have been widely constructed. Block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of a plurality of blocks not only beautiful appearance,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short air and low construction cost. However, such a block retaining wall has to fit the projection of the lower block to the fitting groove of the upper block when stacking other blocks on the block,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because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because it is covered by the body of the block.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lock is a fixed type that can not arbitrarily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during construc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f you want to change the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when building the retaining wall has to make a separate block construction.

본 고안의 목적은 현장 여건에 따라 기울기를 다양하게 조정하여 옹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적층되는 블록의 전후 위치 조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블록을 계단식으로 설치한 경우 파라솔 장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ype of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that can adjus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stacked blocks to build the retaining wall by varying the slope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ype of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that can be installed parasol when the block is installed in a cascad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는 양측면에 파라솔을 꽂을 수 있는 장착구멍이 형성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may include a block formed with a mounting hole for inserting the parasol on both sides.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는 적층되는 상기 블록들을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그리고 상기 고정핀이 끼워지는 핀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further includes a fixing pin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tacked blocks; The block may further include pinholes penetrating from an upper surface to a lower surface and to which the fixing pin is fitted.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은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핀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는 상기 블록들을 연결 고정시키기 위하여, 아랫단에 위치되는 블록의 핀홀에 끼워지는 하단고정부와 윗단에 위치되는 블록의 핀홀에 끼워지는 상단고정부를 갖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further includes pinholes penetrating from an upper surface to a lower surface, and the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has a lower end fitted into a pinhole of a block located at a lower end to connect and fix the blocks. The fix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in having an upper end portion inserted into the pinhole of the block located at the upper end.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하단고정부와 상기 상단고정부의 위치에 따라 적층되는 상기 블록들의 경사각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in ma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locks stack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fixing part and the upper fixing part differently.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하단고정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방향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핀홀들은 상기 고정핀의 방향키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in further includes a direction key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fixing portion, the pin holes may further include a slot into which the direction key of the fixing pin can be inserted. .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홀은 상기 블록의 전면과 후면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블록은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에 상기 핀홀과 연결되는 그리고 상기 핀홀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슬롯을 포함하여,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고정핀의 설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hole is located adjacent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block, the block includes a slot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nhole and connected to the pinhole in the front and rear By using the slo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fixing pin is installed.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ar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noted together for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본 고안의 기본적인 의도는 계단식으로 설치하는 경우 파라솔 장착이 가능하고, 옹벽용으로 설치하는 경우 옹벽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는 파라솔 꽂이용 장착구멍과 핀홀을 갖는 블록과, 적층되는 블록들을 연결하는 고정핀을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The basic int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that can be installed parasol when stepped installation, and to adjust the retaining wall slope when installing for retaining wall, to achieve this,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block having a mounting hole and a pinhole for the parasol stand, and a fixing pin connecting the stacked blocks.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block assembly for civil engine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100)는 콘크리트 또는 다른 합성재료로 성형된 블록(110)을 포함한다. 이 블록(110)은 전면(112a), 후면(112b), 상면(112c), 저면(112d) 그리고 양측면(112e)을 갖는 육면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블록의 전면(112a)은 블록(110)들이 축조될 때 옹벽면의 일부로 제공될 수 있다. 블록(110)은 상면(112c) 후단에 단차진 단차면(112c')을 갖으며, 블록 위에 적층되는 블록은 이 단차면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and 2, the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110 formed of concrete or other synthetic material. The block 110 is composed of a six-sided body having a front face 112a, a rear face 112b, an upper face 112c, a bottom face 112d and both sides 112e. The front face 112a of the block may be provided as part of the retaining wall when the blocks 110 are constructed. The block 110 has a stepped stepped surface 112c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112c, and a block stacked on the bloc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forward by the stepped surface.

도 5는 블럭들이 계단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앞쪽의 블럭(110) 상면(112c)의 단차면(112c')에 뒤쪽의 블럭(110)이 올려지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방식에 따라 블럭(110)들이 다수개 이어지게 되면 계단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블록(110)은 양측면(112e)에 파라솔(200)을 꽂을 수 있는 반구형의 장착구멍(114)이 형성되어 있어, 도 5에서와 같이 블록(110)들이 계단식으로 시공된 경우, 블록(110)과 블록(110) 사이에는 파라솔(200)을 꽂을 수 있는 원형의 장착공간이 반구형의 장착구멍(114)에 의해 만들어지게 된다. 5 shows that the blocks are installed in a staircase state. The rear block 110 is installed on the stepped surface 112c 'of the upper surface 112c of the front block 110 in a raised state. According to this installation method, if a plurality of blocks 110 are connected, a step is formed. On the other hand, the block 110 has a hemispherical mounting hole 114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parasol 200 on both sides (112e), as shown in Figure 5 when the block 110 is a stepped construction, block ( Between the 110 and the block 110, a circular mounting space into which the parasol 200 can be inserted is made by the hemispherical mounting hole 114.

한편, 블록(110)은 상면(112c)으로부터 하면(112d)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4개의 핀홀(116)들을 갖는다. 2개의 핀홀(116)은 블록(110)의 전면(112a)과 인접하게 위치되며, 나머지 2개의 핀홀(116)은 블록의 후면(112b)과 인접하게 위치된다. 블록(110)은 전면(112a)과 후면(112b)에 핀홀(116)과 연결되는 슬롯(118)을 갖는다. 이 슬롯(118)은 핀홀(116)의 지름(L1)보다 작은 지름(L2)을 갖는다. 작업자는 슬롯(118)을 통해 핀홀(116)에 끼워지는 고정핀(120)의 장착 유무(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lock 110 has four pinholes 116 penet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112c to the lower surface 112d. The two pinholes 116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front side 112a of the block 110 and the remaining two pinholes 116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ar side 112b of the block. The block 110 has a slot 118 connected to the pinhole 116 at the front side 112a and the rear side 112b. The slot 118 has a diameter L2 smaller than the diameter L1 of the pinhole 116. The operator has an advantage of checking whether or not the mounting pin 120 is fitted into the pinhole 116 through the slot 118.

고정핀(120)은 서로 인접하여 적층되는 블록(110)간의 맞물림(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임과 동시에 적층되는 블록(110)들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이기도 하다. 고정핀(120)은 아랫단에 위치되는 블록(110)의 핀홀(116)에 끼워지는 하단고정부(122)와 윗단에 위치되는 블록(110)의 핀홀(116)에 끼워지는 상단 고정부(124) 그리고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플랜지부(126)를 포함한다. 여기서 플랜지부(126)는 아랫단 블록(110)의 핀홀(116) 상단부에 얹혀진다. 한편, 고정핀(120)은 하단 고정부(122)에 돌출된 방향키(128)를 더 포함한다. 하단 고정부(122)의 방향키(128)는 슬롯(118)상에 위치되어, 고정핀(120)의 임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핀(120)의 장착 방향을 정하는데 가이드 역할을 한다. 물론, 고정핀(120)과 핀홀(110)의 단면 모양은 4각이나 5각형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러한 단면을 갖는 경우에는 방향키(미도시됨)를 생략하여도 된다. 적층되는 블록(110)들의 경사각 조절은 고정핀(120)의 하단고정부(122)와 상단고정부(124)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The fixing pin 120 is a coupling means for engaging (coupling) between the blocks 110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is also a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locks 110 stacked. The fixing pin 120 has a lower fixing part 122 fitted into the pinhole 116 of the block 110 located at the lower end and an upper fixing part 124 fitted into the pinhole 116 of the block 110 located at the upper end. And a flange portion 126 connecting them. Here, the flange 126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pinhole 116 of the lower block 110. Meanwhile, the fixing pin 120 further includes a direction key 128 protruding from the lower fixing portion 122. The direction key 128 of the lower fixing part 122 is located on the slot 118, which can prevent any rotation of the fixing pin 120 and serves as a guide in determining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fixing pin 120. Of cours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xing pin 120 and the pinhole 110 may be made of a structure such as a quadrilateral or a pentagon, and if such a cross-section has a direction key (not shown) may be omitted. Tilt angle control of the stacked blocks 11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lower fixing part 122 and the upper fixing part 124 of the fixing pin 120.

도 4a 및 도 4b는 블록과 고정핀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울기의 옹벽을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4A and 4B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retaining walls of various inclinations are constructed using blocks and fixing pins.

도 4a에서 사용되는 고정핀(120)은 하단고정부(122)와 상단고정부(124)가 동일선상에 형성된 타입이다. 이러한 타입의 고정핀(120)을 사용하면 블록들이 수직한 상태로 적층된다. 그리고, 도 4b에서 사용되는 고정핀(120)은 상단고정부(124)가 하단고정부(122)에 비해 X폭만큼 뒤로 물러난 타입으로, 이러한 타입의 고정핀(120)을 사용하면 블록(110)들이 X 거리만큼 뒤로 물러난 상태로 적층된다. 즉, 도 4b에서와 같이, 하단고정부(122)와 상단고정부(124)의 위치가 상이한 고정핀(120)을 사용하면 윗단에 쌓이는 블록의 적층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옹벽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The fixing pin 120 used in FIG. 4A is a type in which the lower fixing part 122 and the upper fixing part 124 are formed on the same line. Using this type of fixing pin 120, the blocks are stacked in a vertical state. And, the fixing pin 120 used in FIG. 4b is a type in which the upper fixing part 124 is backed by an X width relative to the lower fixing part 122, and when the fixing pin 120 of this type is used, the block ( 110 are stacked with the X distance back. That is, as shown in FIG. 4B, when the fixing pin 120 having different positions of the lower fixing part 122 and the upper fixing part 124 is used, the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tacking position of the blocks stacked on the upper end. will be.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는 서로 다른 경사각이 나올 수 있는 다양한 타입의 고정핀들을 준비한다면 현장 여건에 따라 최적의 기울기를 갖는 견고한 옹벽을 구출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As such, the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ecial effect to rescue a solid retaining wall having an optimal inclination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if various types of fixing pin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are prepared.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블록과 고정핀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and the fixing pin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an take various form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abov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o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는 옹벽의 경사도를 현지 상황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하여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토목공사용 옹벽 어셈블리는 계단식으로 설치한 경우 파라솔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ecial effect to build the retaining wall by freel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local situation. Civil engineering retaining wal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ating area for the citizens because the parasol can be installed in a stepped installation.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면도;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a 선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2.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기울기의 옹벽을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시공상태 도면들이다.4A and 4B are construction stat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taining wall of various inclinations is constructed.

도 5는 블럭들이 계단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at the blocks are installed in a staircase stat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블록110: block

116 : 핀홀 116: pinhole

118 : 슬롯118: slot

120 : 고정핀120: fixed pin

Claims (7)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에 있어서:In the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양측면에 파라솔을 꽂을 수 있는 장착구멍이 형성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comprising a block having a mounting hole for inserting the parasol on both sid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는The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적층되는 상기 블록들을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을 더 포함하고;A fixing pin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tacked blocks; 상기 블록은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그리고 상기 고정핀이 끼워지는 핀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The block is a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inhole penet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fixing pin is fit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블록은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핀홀들을 더 포함하고,The block further includes pinholes penetrating from an upper surface to a lower surface, 상기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는The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상기 블록들을 연결 고정시키기 위하여, 아랫단에 위치되는 블록의 핀홀에 끼워지는 하단고정부와 윗단에 위치되는 블록의 핀홀에 끼워지는 상단고정부를 갖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The civil engineering block further comprises a fixing pin having a lower fix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pinhole of the block located at the lower end and an upper fix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pinhole of the block located at the upper end to fix the blocks. assembly.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하단고정부와 상기 상단고정부의 위치에 따라 적층되는 상기 블록들의 경사각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The fixing pin is a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locks stack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fixing and the upper fixing.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하단고정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방향키를 더 포함하고, The fixing pin further includes a direction key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fixing portion, 상기 핀홀들은 상기 고정핀의 방향키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The pinholes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slot into which the direction key of the fixing pin can be inserted.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핀홀은 상기 블록의 전면과 후면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The pinholes are located adjacent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block, 상기 블록은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에 상기 핀홀과 연결되는 그리고 상기 핀홀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슬롯을 포함하여,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고정핀의 설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The block includes a slot connected to the pinhole on the front and the rear a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nhole, civil engineering block, characterized in that whether the fixing pin is installed through the slot assembly.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에 있어서:In the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핀홀들을 갖는 블록; 및A block having pinholes penetrating from an upper surface to a lower surface; And 적층되는 상기 블록들을 연결 고정시키기 위하여, 아랫단에 위치되는 블록의 핀홀에 끼워지는 하단고정부와 윗단에 위치되는 블록의 핀홀에 끼워지는 상단고정부를 갖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되;Further comprising a fixing pin having a lower fixing portion to be fitted into the pinhole of the block located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fixing portion to be fitted into the pinhole of the block located at the upper end in order to connect and fix the blocks to be stacked;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하단고정부와 상기 상단고정부의 위치에 따라 적층되는 상기 블록들의 경사각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블록 어셈블리.The fixing pin is a civil engineering block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locks stack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fixing and the upper fixing.
KR20-2005-0025798U 2005-09-07 2005-09-07 assembly for engineering works KR20040315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798U KR200403158Y1 (en) 2005-09-07 2005-09-07 assembly for engineering 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798U KR200403158Y1 (en) 2005-09-07 2005-09-07 assembly for engineering wor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158Y1 true KR200403158Y1 (en) 2005-12-09

Family

ID=43704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798U KR200403158Y1 (en) 2005-09-07 2005-09-07 assembly for engineering wor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15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498B1 (en) 2009-07-04 2012-05-09 이정수 Block for retaining wa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498B1 (en) 2009-07-04 2012-05-09 이정수 Block for retaining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6725A (en) Retaining wall with the function of angle adjustmetnt for precast panel
KR102135594B1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KR20150098535A (en) a prefabricated retaining block and all its adjuncts for assembling the block.
KR100504231B1 (en) A slope protection equipment for construction
US7614830B1 (en) Pre-cast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KR200403158Y1 (en) assembly for engineering works
KR200402396Y1 (en) retaining wall block for planting
KR100736852B1 (en)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conwall
KR100742335B1 (en) Landscape architecture for cutting ground using natural ston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714041B1 (en) Structure for install strut
KR102511387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reinforced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0374618Y1 (en)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JPH0533346A (en) Greening reinforcing earthwork construction and greening block
JP3131502U (en) Mountain retaining plate for lining work
KR102191389B1 (en) Bar connec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KR101989872B1 (en) Retaining wall using natural stone
KR100679866B1 (en) Equipment of steel mold for construction work
KR101017979B1 (en) Environment garden-stone retaining wall
KR100515789B1 (en) Shoring structure of concrete base slab for prefabricate structure
JP2005097999A (en) Protrusion sidewalk structure and foundation part block used for the same
KR101963833B1 (en) Construction method of self retained rock slope retaining wall
KR200399768Y1 (en) A Block for Constructing a Breasting Wall with Slant
KR100719281B1 (en) A Block assembly for retaining wall
JP2016084641A (en) Overhanging sidewalk block
KR102494390B1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with plantation panel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