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025Y1 - Plate glass comprising a transfer layer formed by offset printing - Google Patents

Plate glass comprising a transfer layer formed by offset prin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025Y1
KR200403025Y1 KR20-2005-0026746U KR20050026746U KR200403025Y1 KR 200403025 Y1 KR200403025 Y1 KR 200403025Y1 KR 20050026746 U KR20050026746 U KR 20050026746U KR 200403025 Y1 KR200403025 Y1 KR 200403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ayer
transfer layer
transfer
ink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74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범
최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파워
Priority to KR20-2005-0026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02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025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ther inorganic material
    • C03C17/23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405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옵셋 인쇄된 전사층을 구비하는 판유리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옵셋 인쇄된 승화 전사지를 사용하여 보다 선명하고 균일하며 경제적으로 각종 문양이 배면상에 형성된 판유리가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 pane with an offset printed transfer layer. More specifically, an offset printed sublimation transfer paper is used to provide a plate glass in which various patterns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more clearly, uniformly and economically.

본 고안의 판유리는 유리 기판; 상기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잉크 수용층; 상기 잉크 수용층 상에 형성되며 옵셋 인쇄에 의해 형성된 전사층; 및 상기 전사층 상에 형성된 보호층을 구비한다.The plate gla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lass substrate; An ink receiving layer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A transfer layer formed on the ink receiving layer and formed by offset printing; And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transfer layer.

Description

옵셋 인쇄된 전사층을 구비하는 판유리{Plate glass comprising a transfer layer formed by offset printing}Plate glass comprising a transfer layer formed by offset printing}

본 고안은 옵셋 인쇄된 전사층을 구비하는 판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옵셋 인쇄된 승화 전사지를 사용하여 보다 선명하고 균일하며 경제적으로 각종 문양이 배면상에 형성된 판유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glass having an offset-printed transfer lay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te glass having various patterns on the rear surface more clearly, uniformly and economically using offset-printed sublimation transfer paper. .

일반적으로 장식용 판유리는 유리의 배면에 다양한 형태의 문양을 인쇄하여 우수한 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제조된 건축용 내외장재, 혹은 가전제품의 내외장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냉장고, 에어콘, 김치 냉장고와 같은 대형 가전제품의 경우, 실내 인테리어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이들 전면부에 장착되는 판유리의 심미성을 개선할 필요가 더욱 커지고 있다.In general, decorative plate glass is used a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building, 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home appliances manufactured to print a variety of patterns on the back of the glass to feel an excellent aesthetic.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arge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air conditioners, kimchi refrigerators have a great effect on the interior of the room, there is a greater need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plate glass mounted on the front part.

상기 판유리에 들어가는 문양의 인쇄방법으로서는 현재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투명한 판유리의 일면 상에 인쇄된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법, 실크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실사출력 등과 같은 다양한 인쇄 방법을 통해 유리의 배면 상에 문양을 형성하여 왔다.Various methods are currently known as a printing method of the pattern which enters the said plate glass. For example, a pattern has been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glass through various printing methods such as a method of attaching a printed film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plate glass, silk screen printing, gravure printing, or actual printing.

그러나 상기 필름 부착법의 경우는 필름에 사용된 잉크가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고가의 세라믹계 도료 혹은 잉크를 사용해야 하므로 경제성이 저하되고, 또한 단순한 색상 및 탁도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film attaching method, since the ink used in the film must use an expensive ceramic paint or ink capable of withstanding high temperatures, economical efficiency is lowered, and simple color and turbidity are pointed out as problems.

상기 실크 스크린 인쇄법의 경우는 대량 생산시 색상의 재현도가 불량하여 인쇄 품질이 저하되고, 인쇄속도가 느리다는 문제가 있어 다품종 소량 생산에만 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그라비아 인쇄법의 경우는 인쇄 품질은 우수하나 인쇄를 위한 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어 소품종 대량생산에만 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실사출력의 경우는 가장 우수한 인쇄품질을 나타내나, 인쇄에 지나치게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인쇄 속도도 느리다는 문제가 있어 샘플용으로서 주로 사용된다는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the silk screen printing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nt quality is lowered due to poor color reproducibility during mass production, and the printing speed is low, so that the silk screen printing method is only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small quantities of various kinds. The gravure print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printing quality is excellent but the cost for printing is excessively consumed and is only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of small items. In addition, the actual output shows the best print quality,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nting cost is excessively consumed and the printing speed is also slow, which is mainly used for samples.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경제성을 뛰어나면서도 우수한 인쇄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옵셋 인쇄된 전사층을 구비하는 판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te glass having an offset-printed transfer layer that can be used in general, and can maintain excellent print quality with excellent economic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1 관점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리 기판;Glass substrates;

상기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잉크 수용층;An ink receiving layer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상기 잉크 수용층 상에 형성되며 옵셋 인쇄에 의해 형성된 전사층; 및A transfer layer formed on the ink receiving layer and formed by offset printing; And

상기 전사층 상에 형성된 보호층을 구비하는 판유리를 제공한다.Provided is a plate glass having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transfer layer.

본 고안의 판유리에서,In the pane of the present invention,

유리 기판은 두께 2 내지 18mm의 청유리 또는 백유리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The glass substrate is preferably made of blue glass or white glass having a thickness of 2 to 18 mm;

잉크 수용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투명 수지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The ink receiving layer is preferably made of one transparent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resins, epoxy resins, urethane resins and polyester resins;

전사층은 승화 전사 방식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The transfer layer is preferably formed by a sublimation transfer method;

보호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투명 수지에 TiO2, 탈크 또는 산화철 등의 유색 안료를 첨가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ective layer is preferably formed by adding a colored pigment such as TiO 2 , talc or iron oxide to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or a urethane transparent resin.

이하에서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고안에 따른 판유리는 상술한 전사층을 형성하기 위해 이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 수용층을 우선 형성한 후, 마감으로 상기 전사층 상에 보호층을 더 형성하게 된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 기판(1), 그 위에 형성된 잉크 수용층(2), 상기 잉크 수용층(2) 상에 형성된 전사층(3) 및 상기 전사층(3) 상에 형성된 보호층(4)을 구비하게 된다.The plate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forms an ink receiving layer for accommodating the above-described transfer layer to form the transfer layer, and then further forms a protective layer on the transfer layer as a finish. 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glass substrate 1, the ink receiving layer 2 formed thereon, the transfer layer 3 formed on the ink receiving layer 2, and the protective layer 4 formed on the transfer layer 3. ) Will be provided.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전사층(3)은 종래 사용되어온 실크 스크린 인쇄법이나 실사출력법 등과 달리 옵셋 인쇄법을 채택하여 얻어진 전사지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선명하고 균일하며, 우수한 경제성을 가지며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옵셋 인쇄법은 빠른 인쇄속도를 가지며, 인쇄 품질이 매우 좋아 다품종을 소량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외에는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전사층(3)은 가압 열전사를 통해 유리의 배면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소수성을 갖는 매끄러운 유리 표면상에 전사층 형성용 잉크가 직접적으로 흡수될 수 없어 상기 유리 기판(1)의 표면 상에 미리 잉크 수용층(2)을 형성하게 되는 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transfer layer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ransfer paper obtained by adopting an offset printing method, unlike a silk screen printing method or a real-time printing method,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do. Such an offset printing method has a high printing speed and has a very good print quality, so that it can be used universally except for a small amount of various types of products. Such a transfer layer 3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glass through pressurized thermal transfer, and the transfer layer forming ink cannot be directly absorbed on the smooth glass surface having hydrophobicity, so that the transfer of the glass substrate 1 The ink receiving layer 2 is formed on the surface in advan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고안에 따른 일구현예에서, 상기 전사층(3)은 가압 열전사에 의해 형성되므로 승화 전사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쇄 매체 상에 문양을 미리 인쇄한 후 사용하게 되는 바, 옵셋 인쇄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용매체로서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어느 방법 및 어느 매체나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layer (3) is formed by a pressurized thermal transfer, it is preferable to adopt a sublimation transfer method, to use after printing the pattern in advance on a variety of print media including paper As the offset printing method and the receiving medium used therein, any method and any medium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사층(3)을 소수성 표면인 매끄러운 유리의 표면 상에 형성하기 위하여는 승화 잉크를 수용할 수 있는 잉크 수용층(2)을 유리의 표면 상에 미리 구비하여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바인더를 분무 등의 방법으로 도포하는 것이 좋으며, 이와 같은 바인더의 접착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프라이머층을 미리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form the transfer layer 3 on the surface of smooth glass, which is a hydrophobic surface, an ink receiving layer 2 capable of containing sublimation ink must be provided in advance on the surface of the glass. In order to apply the binder by spraying or the lik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rimer layer in advance so that the adhesion of the binder is better.

상술한 잉크 수용층(2) 형성용 바인더로서는 상기 전사층(3)의 문양이 유리의 전면부를 통해 잘 투과되어 보일 수 있도록 가급적 투명한 색상의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투명 바인더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적절한 방법으로 이들에 첨가제를 부가함으로써 이들이 갖는 성능상의 미차를 해소할 수 있어 어떤 투명 바인더라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잉크 수용층(2)의 두께는 약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승화된 잉크를 적절히 수용하기가 곤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As the binder for forming the ink receiving layer 2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use a binder of transparent color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pattern of the transfer layer 3 can be easily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As such a transparent binder,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a urethane resin, a polyester resin, or the lik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particula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by adding an additive to them by a suitable method known in the ar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erformance difference they have, so that any transparent binder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The thickness of the ink receiving layer 2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about 10 to 50 µm, preferably 20 to 40 µm, and more preferably 30 to 40 µm. If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it is difficult to properly accommodate the sublimed ink, which is not preferable.

본 고안에 따른 일구현예에서, 상기 전사층(3) 및 잉크 수용층(2)이 형성되는 유리 기판(1)으로서는 배면 상의 인쇄 모양이 보일 수 있는 투명 유리, 혹은 반투명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로서는 백유리, 청유리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유리 자체의 물성을 보면 백유리가 좋으나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가격이 고가이므로 특수한 용도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이 곤란하며, 청유리의 경우 그 물성이 백유리에 비해 다소 떨어지나 가격이 저렴하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청유리나 백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2 내지 18mm 정도를 사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glass substrate 1 on which the transfer layer 3 and the ink receiving layer 2 are formed, transparent glass or translucent glass or the like, which can be seen on the back surface, may be used. As the kind, white glass, blue glass, or the like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view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glass itself, white glass is good, but most of it depends on imports, so the price is high, so it is difficult to use it for special purpose.In the case of blue glass, its physical properties are somewhat lower than that of white glass, but the price is generally low. It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blue glass or white glass may be used, and the thickness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bout 2 to 18 mm which is generally used.

유리 기판(1)상에 잉크 수용층(2) 및 전사층(3)을 형성한 후에는 이와 같은 전사층이 묻어나오거나, 주변 환경에 의해 쉽게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층(4)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호층(4)은 상술한 전사층(3)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인쇄 문양이 유리기판(1)의 전면을 통해 보다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유색을 띠게 하는 것이 좋으며, 가급적 백색을 띠게 하는 것이 인쇄 문양을 보다 잘 표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보호층(4)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유색 페인트와 같은 도료를 직접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아크릴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투명 수지에 TiO2, 탈크, 산화철 등의 유색 안료를 첨가하고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보호층(4)의 두께는 전사층(3)의 충분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1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After the ink receiving layer 2 and the transfer layer 3 are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1, the protective layer 4 is formed so that such a transfer layer does not come out or is easily damag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rotective layer 4 serves to protect the above-described transfer layer 3, but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printing pattern colored so that it can be more clearly express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 preferably. Whitening is preferred because it can better represent the print patter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rder to form such a protective layer 4, it is also possible to form by applying a paint, such as colored paint directly, by adding a colored pigment such as TiO 2 , talc, iron oxide to acrylic, epoxy, urethane-based transparent resi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ating film. Such a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4 is preferably formed to a sufficient thickness so that sufficient protection of the transfer layer 3, i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0 to 200㎛, preferably 30 to 100㎛ good.

이와 같은 구성 요소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옵셋 인쇄된 전사층을 구비하는 판유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준비된 유리 기판(1)의 배면 상에 투명 바인더를 도포한 후 이를 건조하여 잉크 수용층(2)을 형성한 후, 별도의 옵셋 인쇄를 통해 얻어진 전사지를 상기 잉크 수용층 상에 가압 열전사시켜 전사층(3)을 형성하고, 상기 전사층(3)의 표면 상에 유색 도료를 도포한 후 건조시켜 보호층(4)을 형성하여 판유리를 제조하게 된다.Plate glass having an offset printed transfe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mponent can be produced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a transparent binder is coated on the prepared back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 and then dried to form an ink receiving layer 2, and then a transfer sheet obtained by separate offset printing is press-heat-transferred onto the ink receiving layer. (3) is formed, a colored paint i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 layer 3, and then dried to form a protective layer 4 to produce a plate glass.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유리 기판(1)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 등을 충분히 세척하여 이를 제거한 후, 그 배면 상에 잉크 수용층(2)을 형성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잉크 수용층(2)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투명 바인더를 스크린 인쇄법, 스프레이 인쇄법, 롤러 인쇄법 등에 의해 도포한다. 이때의 두께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약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잉크 수용층(2)은 전사층(3)의 잉크를 고르게 수용해야 하므로 가급적 두께의 편차가 적고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된 투명 바인더는 건조 공정을 거치게 되는 바, 상기 유리기판(1)의 변성을 유발하지 않도록 150 내지 200℃)의 온도 범위에서 약 1분 내지 120분간, 바람직하게는 5분 내지 20분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온의 건조 공정은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준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고온 건조 외에 자연 건조법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주변 온도에 따라 1시간 내지 10시간의 장시간이 요구될 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More specifically, first, various foreign substances and the like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 are sufficiently washed and removed, and then the ink receiving layer 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The various transparent binders as described above are applied by screen printing, spray printing, roller printing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at this time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about 10 to 50 µm, preferably 20 to 40 µm, and more preferably 30 to 40 µm. Since the ink receiving layer 2 should accommodate the ink of the transfer layer 3 even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k receiving layer 2 be uniformly coated with as little variation in thickness as possible. The coated transparent binder is subjected to a drying process, and may be performed for about 1 minute to 120 minutes, preferably 5 minutes to 20 minutes in a temperature range of 150 to 200 ° C., so as not to cause degeneration of the glass substrate 1. Can be. This high temperature drying process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drying time. Even in the case of using a natural drying method in addition to such high temperature drying, a long time of 1 hour to 10 hours is required depending on the ambient temperatur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와 같이 잉크 수용층(2)을 유리기판(1) 상에 형성한 후에는 상기 잉크 수용층(2) 상에 전사층(3)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사층(3)은 승화전사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바, 별도의 옵셋 인쇄 공정을 통해 승화 전사지에 원하는 문양을 옵셋 방식으로 인쇄 한 후, 이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가능한 승화전사지는 종이 등의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2°내지 6°까지의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전사지에 인쇄된 문양은 열전사에 의해 유리 기판(1) 상에 형성되는 바, 이를 위해서는 전사지를 상기 잉크 수용층(2)에 밀착시킨 다음 고온의 열프레스로 가압하여 전사지에 인쇄된 잉크가 열에 의하여 승화되어 상기 투명한 잉크 수용층(2) 상에 침투하는 상태로 열전사된다. 이 때의 열프레스 온도는 상기 유리 기판(1)의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도록 170 내지 250℃)의 온도에서 0.1 내지 20분 정도 가압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가압 열전사하게 되면, 전사지에 인쇄된 문양의 잉크가 승화하여 상기 투명한 잉크 수용층(2)에 침투하여 전사층(3)이 형성되므로 상기 잉크 수용층(2)과 전사층(3) 사이에는 공극이나 기포의 발생 없이 정밀한 전사층(3)의 형성이 가능해진다.After the ink receiving layer 2 is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1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layer 3 is formed on the ink receiving layer 2. The transfer layer 3 adopts a sublimation transfer method, and after printing a desired pattern on the sublimation transfer paper by an offset method through a separate offset printing process, it is used. The sublimation transfer paper usable here can use a variety of media such as paper, it is also possible to give a variety of colors from 2 ° to 6 °. The pattern printed on the transfer paper is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1 by thermal transfer. To this end, the transfer paper is adhered to the ink receiving layer 2 and then pressurized with a high temperature heat press to print the ink on the transfer paper. Sublimated by heat and thermally transferred in a state of infiltrating on the transparent ink receiving layer (2). The hot press temperature at this time is preferably pressurized at a temperature of 170 to 250 ° C. for about 0.1 to 20 minutes so as not to chang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glass substrate 1. Under the above conditions, pressurized thermal transfer causes the ink of the pattern printed on the transfer paper to sublimate and penetrate the transparent ink receiving layer 2 to form the transfer layer 3, thereby forming the ink receiving layer 2 and the transfer layer 3. The formation of the precise transfer layer 3 can be performed without generating voids or bubbles therebetween.

상술한 열전사 온도 및 시간은 유리기판(1)의 두께 및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기술된 범위 이외의 다른 적절한 범위의 온도 및 시간이 유리기판(1)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서 당업자들에게는 어려움 없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described thermal transfer temperature and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thickness and type of the glass substrate 1, and a suitable range of temperature and tim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range may be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glass substrate 1. It can be set without difficulty.

전사층(3)을 형성한 이후에는 보호층(4)을 형성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보호층(4)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전사층(3)이 묻어나오거나, 주위 환경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백색을 포함하는 유색 배경을 상기 전사층(3)에 제공함으로써 각종 문양이 시각적으로 보다 잘 표현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호층(4)은 상기 전사층(3)의 열전사 공정에 이어서 수행되며, 유색 페인트와 같은 도료 혹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투명 수지에 TiO2, 탈크, 산화철 등의 유색 안료를 첨가하여 얻어진 코팅액을 스크린인쇄, 스프레이, 혹은 롤러로 코팅하여 층을 형성하게 된다. 형성된 층은 상기 유리 기판(1)의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도록 170 내지 25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분 정도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물론 자연건조도 가능하며 이 경우는 1 내지 10시간의 충분한 건조시간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transfer layer 3 is formed, the protective layer 4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layer 3 is buried or damag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role of suppressing, and in addition to providing a colored background including a white to the transfer layer (3) serves to help the various patterns can be better visually represented. Such a protective layer 4 is performed following the thermal transfer process of the transfer layer 3, and is a paint such as colored paint or colored acrylic such as TiO 2 , talc, iron oxide, or the like in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or a urethane transparent resin. The coating liquid obtained by adding the pigment is coated by screen printing, spraying, or roller to form a layer. The formed layer is subjected to a process of drying for about 10 to 2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170 to 250 ℃) so as not to chang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glass substrate (1). Natural drying is of course also possible, in which case it is desirable to give sufficient drying time of 1 to 10 hours.

이와 같은 보호층(4)의 두께는 전사층(3)의 충분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1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Such a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4 is preferably formed to a sufficient thickness so that sufficient protection of the transfer layer 3, i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0 to 200㎛, preferably 30 to 100㎛ good.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얻어진 판유리는 옵셋 인쇄된 전사지를 사용하므로 그 배면 상에 각종 다양한 문양이 균질하고도 선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경제성도 우수하여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건축 내외장재 뿐만 아니라, 에어콘, 냉장고, 김치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제품의 전면부에 유용하게 사용하여 뛰어난 장식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Since the plate glass obtained through such a process uses an offset-printed transfer paper, various patterns are homogeneously and vividly formed on the back surface thereof, and it is also economical and can be used universally. In particular, as well a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building, it is useful to the front of the home appliances such as air conditioners, refrigerators, kimchi refrigerators, etc. to exhibit an excellent decorative effect.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Example 1

3.2 X 350 X 450 mm 크기의 청유리(주식회사 금강유리 제조)를 세척하여 표면 상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한 후, 아크릴계 투명 바인더 (주식회사 삼화페인트 제조, Grade: SC 글라스코트(#TPI))를 스크린 인쇄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유리의 배면 상에 25㎛ 두께로 형성한 후, IR 소부기 25M(주식회사 유진기계 제조)를 사용하여 180℃)에서 10분간 건조하여 잉크수용층(2)을 형성하였다.3.2 X 350 X 450 mm sized blue glass (manufactured by Geumgang Glass Co., Ltd.) was washed to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and then an acrylic transparent binder (manufactured by Samwha Paint Co., Ltd., Grade: SC glass coat (#TPI)) was screen printed. After forming to a thickness of 25㎛ on the back of the glass using, using an IR sweep machine 25M (manufactured by Eugene Machinery Co., Ltd.) for 10 minutes at 180 ℃) to form an ink receiving layer (2).

이와는 별도로 종이 상에 하이델베르그 5°인쇄기를 사용하여 옵셋 인쇄한 승화전사지를 가압열프레스기(동성프레스 제조)를 사용하여 210℃)의 온도에서 약 40초간 가압하여 전사층(3)을 상기 잉크 수용층(2) 상에 형성하였다.Separately, the sublimation transfer paper offset-printed using a Heidelberg 5 ° printing machine on a paper is pressed for about 40 seconds at a temperature of 210 ° C. using a pressurized heat press (manufactured by the same press) to transfer the transfer layer 3 to the ink receiving layer ( 2) formed on.

이어서, 색소로서 백색안료인 TiO2가 2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된 아크릴계 수지(주식회사 삼화페인트 제조, Grade: SC 글라스코트(#TPI))를 스크린 인쇄법을 사용하여 상기 전사층(3) 상에 30㎛의 두께로 도포한 후, IR 소부기 25M(주식회사 유진기계 제조) 180℃)에서 10분간 건조하여 보호층(4)을 형성하여 목적하는 판유리를 제조하였다.Subsequently, an acrylic resin (Ti glass, manufactured by Samwha Paint Co., Ltd., Grade: SC glass coat (#TPI)) containing TiO 2 , a white pigment as a pigment, was used on the transfer layer 3 by screen printing. After coating to a thickness of 30㎛, dried for 10 minutes at IR swelling machine 25M (manufactured by Eugene Machinery Co., Ltd. 180 ℃) for 10 minutes to form a protective layer (4) to prepare the desired plate glass.

실시예 2Example 2

3.2 X 350 X 450 mm 크기의 청유리(주식회사 금강유리 제조)를 세척하여 표면 상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에폭시계 투명 바인더 (주식회사 국도화학 제조, KSR177:G5022MX75:YD011EC75=1:0.5:1(중량비))를 스크린 인쇄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유리의 배면 상에 25㎛ 두께로 도포한 후, 4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여 잉크수용층(2)을 형성하였다.3.2 x 350 x 450 mm sized blue glass (manufactured by Geumgang Glass Co., Ltd.) was washed to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and then epoxy-based transparent binder (KSR177: K5022MX75: YD011EC75 = 1: 0.5: 1 (weight ratio) )) Was appli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glass using a screen printing method to a thickness of 25 μm, and then naturally dried for 4 hours to form the ink receiving layer 2.

이와는 별도로 종이 상에 하이델베르그 5°인쇄기를 사용하여 옵셋 인쇄한 승화전사지를 가압열프레스기(동성프레스 제조)를 사용하여 210℃)의 온도에서 약 40초간 가압하여 전사층(3)을 상기 잉크 수용층(2) 상에 형성하였다.Separately, the sublimation transfer paper offset-printed using a Heidelberg 5 ° printing machine on a paper is pressed for about 40 seconds at a temperature of 210 ° C. using a pressurized heat press (manufactured by the same press) to transfer the transfer layer 3 to the ink receiving layer ( 2) formed on.

이어서, 색소로서 백색안료인 TiO2가 2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된 에폭시 수지(주식회사 국도화학 제조, KSR177:G5022MX75:YD011EC75=1:0.5:1(중량비))를 스크린 인쇄법을 사용하여 상기 전사층(3) 상에 30㎛의 두께로 도포한 후, 4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여 보호층(4)을 형성하여 목적하는 판유리를 제조하였다.Subsequently, the transfer of the epoxy resin (TiO 2 , a white pigment as a pigment) in an amount of 20% by weight using a screen printing method was carried out using a screen printing method. After the coating on the layer (3) with a thickness of 30㎛, and dried for 4 hours to form a protective layer (4) to prepare the desired plate glass.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판유리는 실크스크린인쇄법 등과 같은 종래의 방법을 통해 얻어진 판유리와 비교하여 선명도가 90%에 이를 정도로 우수하고, 유리면 전체에 걸쳐 인쇄 문양의 균일도가 개선되었으며, 상기 옵셋인쇄법을 통해 얻어지는 승화전사지의 경우 다량을 인쇄하는데 보다 적은 시일이 소요되므로 생산성도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판유리는 건축용 내외장재 혹은 각종 가전제품의 전면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plate glas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is superior to the plate glass obtain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such as silk screen printing, so that the sharpness reaches 90%, the uniformity of the printing pattern is improved over the entire glass surface, the offset printing method In the case of the sublimation transfer paper obtained through the printing it takes less time to print a large amount can be improved productivity. Therefore, the plate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front and back of the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r various home appliances.

도 1은 본 고안의 일구현예에 따른 옵셋 인쇄된 전사층을 구비하는 판유리의 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ayer structure of a plate glass having an offset printed transfer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에 사용된 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symbols used in drawings

1: 판유리 2: 잉크 수용층1: plate glass 2: ink receiving layer

3: 승화전사층 4: 보호층3: sublimation transfer layer 4: protective layer

Claims (5)

유리 기판;Glass substrates; 상기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잉크 수용층;An ink receiving layer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상기 잉크 수용층 상에 형성되며 옵셋 인쇄에 의해 형성된 전사층; 및A transfer layer formed on the ink receiving layer and formed by offset printing; And 상기 전사층 상에 형성된 보호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셋 인쇄된 전사층을 구비하는 판유리.And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said transfer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은 두께 2 내지 18mm의 청유리 또는 백유리로 되어 있는 옵셋 인쇄된 전사층을 구비하는 판유리.2. The pane of claim 1, wherein the glass substrate has an offset printed transfer layer of blue or white glass having a thickness of 2 to 18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수용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투명 수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셋 인쇄된 전사층을 구비하는 판유리.The plate gla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k receiving layer is made of one transparent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resins, epoxy resins, urethane resins, and polyester resi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층은 승화 전사 방식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셋 인쇄된 전사층을 구비하는 판유리.The plate glas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layer is formed by a sublimation transfer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투명 수지에 TiO2, 탈크 또는 산화철 등의 유색 안료를 첨가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셋 인쇄된 전사층을 구비하는 판유리.The plate glass having an offset-printed transfer lay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by adding a colored pigment such as TiO 2 , talc or iron oxide to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or a urethane transparent resin. .
KR20-2005-0026746U 2005-09-16 2005-09-16 Plate glass comprising a transfer layer formed by offset printing KR20040302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46U KR200403025Y1 (en) 2005-09-16 2005-09-16 Plate glass comprising a transfer layer formed by offset prin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46U KR200403025Y1 (en) 2005-09-16 2005-09-16 Plate glass comprising a transfer layer formed by offset print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674 Division 2005-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025Y1 true KR200403025Y1 (en) 2005-12-07

Family

ID=4370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746U KR200403025Y1 (en) 2005-09-16 2005-09-16 Plate glass comprising a transfer layer formed by offset prin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02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830B1 (en) * 2008-01-23 2014-02-07 (주)엘지하우시스 Ink compositions for gravure printing, building materials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830B1 (en) * 2008-01-23 2014-02-07 (주)엘지하우시스 Ink compositions for gravure printing, building materials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6316A1 (en) Methods for printing on glass
CN201044988Y (en) Heat transfer film capable of carrying out large-area continuous heat-transfer printing
CN103171351B (en) Preparation method of high-fidelity heat sublimation transfer paper base function material
US20050181140A1 (en) Decoration method
JPS6339436B2 (en)
RU2624336C1 (en) Multilayer decorative composition, being art image media, and method of its producing
KR200403025Y1 (en) Plate glass comprising a transfer layer formed by offset printing
CN101913299A (en) Making method of application-free transfer paper and utilization method thereof
KR100780887B1 (en) offset print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296922B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coloured glass plate
KR100575117B1 (en) A composition of coloring agent for retro-reflectives.
CN208884255U (en) Thermal transfer printing glass fibre wallhanging
GB2325182A (en) Decorating an article
CN102587157A (en) High-emulation oil painting fabric printing process
US20060080788A1 (en) Method for the pictorial coloring of wood surfaces and a colored wood substrate
CN109970357A (en) A kind of electrodeless gradual change coloured silk steel gla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368884Y1 (en) Door for furniture with pattern using dye sublimation ink
CN1623798A (en) Surface-decorating method for plastic articles
KR100482764B1 (en) A manufacturing process and a product of a sublimation heating-transfer color print MDF
RU2051044C1 (en) Method for producing images on articles
KR101045220B1 (en) Interior material compositon for surface treat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ceburg interior material using thereof
KR200294655Y1 (en) A sublimation heating-transfer color print MDF
JPH07216800A (en) Production of decorative sheet
JPH0699550A (en) Manufacture of decorative plate
KR20010110285A (en) Process for preparing aluminum decorative elements with thermal adhesive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