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297Y1 - 유에스비입력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 - Google Patents

유에스비입력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297Y1
KR200402297Y1 KR20-2005-0026672U KR20050026672U KR200402297Y1 KR 200402297 Y1 KR200402297 Y1 KR 200402297Y1 KR 20050026672 U KR20050026672 U KR 20050026672U KR 200402297 Y1 KR200402297 Y1 KR 200402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hargeable battery
voltage
charging
input terminal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김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기 filed Critical 김성기
Priority to KR20-2005-0026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2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2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전지를 충전하는 USB입력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충전지(70)가 접속되도록 접속단자(12)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일체로 구비되어 컴퓨터(C)의 직류전압이 입력되는 USB입력단자(20)와, 상기 USB입력단자(20)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전압으로 충전지(70)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CM)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USB입력단자를 이용하여 직류전원으로 충전지를 충전함에 따라 안정적이면서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충전기를 경량이면서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에스비입력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CHARGER WITH USB-TERMINAL}
본 고안은 USB입력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USB입력단자를 이용한 직류전원으로 충전지를 충전하여 안정적이면서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경량이면서 슬림하게 충전기를 형성하는 동시에 대량생산을 유도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USB입력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휴대가 간편한 디지털 카메라와 워크맨 및 MP3 따위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충전지로서 방전한 후에는 다시 사용할 수 없는 1차전지와,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저장하여 필요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2차전지 즉, 몇 번이고 충전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충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충전지 가운데 2차전지를 충전하는 충전기는 가정용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게 되는데, 이같이 연결하여 충전하게 되면 충전시에 전력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220V의 교류전원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부피가 커져 보관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USB입력단자를 이용한 직류전원으로 충전지를 충전하여 안정적이면서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경량이면서 슬림하게 충전기를 형성하는 동시에 대량생산을 유도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USB입력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충전지가 접속되도록 접속단자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컴퓨터의 직류전압이 입력되는 USB입력단자, 상기 USB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전압으로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충전모듈은, USB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충전지의 충전에 필요한 필요전압으로 전압강하시키는 전압공급부, 상기 전압공급부에서 공급된 필요전압을 제어하여 충전지로 인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충전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충전모듈은, 충전지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충전상태를 확인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는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전압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필요전압을 제어하면서, 표시부에서 충전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지(70)가 접속되도록 접속단자(12)가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일체로 구비되어 컴퓨터(C)의 직류전압이 입력되는 USB입력단자(20), 상기 USB입력단자(20)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전압으로 충전지(70)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CM)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에는 충전지(70)가 수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홈(14)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14)의 양측에는 충전지(70)의 +단자와 -단자가 접속되는 접속단자(12)가 구비되며, -단자는 충전지(70)의 크기에 따라 탄력적으로 접속되는 스프링단자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14)에 수용되는 충전지는 AA(미국기준으로 국제기준 R06) 또는 AAA(미국기준으로 국제기준 R0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필요에 따라 기타 다른 충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본체(10)에는 USB입력단자(20)가 일체로 구비되어 컴퓨터(C)의 USB포트(1)에 연결되며, 이같이 컴퓨터(C)에 연결된 US입력단자(20)로 4.2∼5.2V의 직류전압이 입력된다.
상술한, 상기 USB입력단자(20)는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는 인텔, 마이크로 소프트, 컴팩, 캐나다 노텔, DEC, IBM, NEC 등의 7개사가 공동으로 제안한 새로운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규격이 다른 글쇠판, 마우스, 프린터, 모뎀, 스피커 따위의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USB입력단자(20)로 입력된 직류전압은 충전모듈(CM)을 통해 충전지(70)를 충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충전모듈(CM)은 전압공급부(30)와, 검출부(50)와, 제어부(40) 및 표시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전압공급부(30)는 USB입력단자(20)를 통해 입력된 4.2∼5.2V의 직류전압을, 충전에 필요한 직류전압 1.2∼5.2V의 필요전압으로 전압강하시켜 직류전압을 공급하게 되며, 이러한 전압공급부(30)는 DC-DC컨버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압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필요전압은 제어부(40)를 통해 충전지(70)로 인가하여 충전지(70)를 충전하게 되며, 이러한 제어부(40)는 검출부(50)에서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필요전압을 충전지(70)에 인가하기도 하면서 차단하는 동시에, 표시부(60)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충전모듈(CM)의 전반적인 제어를 한다.
상기 검출부(50)는 충전지(70)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충전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같이 검출부(50)에서 검출된 신호에 의해 충전지(70)의 충전이 필요하면 제어부(40)에서는 전압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필요전압을 충전지(70)로 인가하고, 검출부(50)에서 검출된 신호에 의해 충전지(70)의 충전이 불필요하게 확인되면 제어부(40)에서는 전압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필요전압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에서는 표시부(60)의 LED를 통해 충전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표시부(60)에서는 충전지(70)의 충전시 적색LED(62)를 현시하고, 충전지(70)의 완충시에는 녹색LED(64)를 현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본체(10)의 접속단자(12)에 접속되도록 충전지(70)를 수용홈(14)에 수용하여, 컴퓨터(C)의 USB포트(1)로 본체(10)에 일체로 구비된 USB입력단자(20)를 연결한다.
이같이 컴퓨터(C)에 연결된 USB입력단자(20)를 통해 4.2∼5.2V의 직류전압이 입력되는데, 이 입력된 직류전압은 전압공급부(30) 즉, DC-DC컨버터에 의해 충전에 필요한 4.2∼5.2V의 필요전압으로 전압강하되어, 제어부(40)를 통해 충전지(70)로 필요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이때, 검출부(50)에서는 충전지(70)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충전상태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 검출부(50)에서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제어부(40)에서는 충전지(70)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전압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필요전압을 충전지(70)로 인가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40)에서는 검출부(50)에서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충전지(70)의 충전이 불필요한 경우에 전압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필요전압을 차단하게 된다.
즉, 검출부(50)에서 검출되는 신호를 기초로 제어부(40)에는 전압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필요전압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제어부(40)에서는 충전지(70)의 충전상태에 따라 표시부(60)를 제어하게 되는데, 충전지(70)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시에는 적색LED(62)를 현시하고, 충전지(70)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완충시에는 녹색LED(64)를 현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USB입력단자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컴퓨터의 직류전원으로 충전지를 충전하게 되므로,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충전지를 충전할 수 있으며, USB입력단자의 특성상 충전기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USB입력단자는 슬림하면서 경량이고, 충전지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의 구성을 간략하게 형성하여 경량으로 충전기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휴대가 간편하고,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컴퓨터에 연결하여 충전지를 충전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USB입력단자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직류전원으로 충전지를 충전하게 되므로,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충전지를 충전하여, 전력소비를 줄이는 동시에 충전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USB입력단자를 이용하여 충전기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충전지를 경량화하여 외관을 심플하게 형성할 수 있으면서, 이에 따라 휴대가 용이하여 충전이 필요한 때에 간편하면서 유용하게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충전모듈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가격을 낮춰 가격졍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USB포트 10 : 본체
12 : 접속단자 14 : 수용홈
20 : USB입력단자 30 : 전압공급부
40 : 제어부 50 : 검출부
60 : 표시부 62 : 적색LED
64 : 녹색LED 70 : 충전지
C : 컴퓨터 CM : 충전모듈

Claims (3)

  1. 충전지(70)가 접속되도록 접속단자(12)가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일체로 구비되어 컴퓨터(C)의 직류전압이 입력되는 USB입력단자(20),
    상기 USB입력단자(20)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전압으로 충전지(70)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CM);
    을 포함하는 USB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CM)은,
    상기 USB입력단자(20)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충전지(70)의 충전에 필요한 필요전압으로 전압강하시키는 전압공급부(30),
    상기 전압공급부(30)에서 공급된 필요전압을 제어하여 충전지(70)로 인가하는 제어부(40),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충전지(7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6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CM)은, 충전지(70)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충전상태를 확인하는 검출부(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검출부(50)에서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전압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필요전압을 제어하면서, 표시부(60)에서 충전지(7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
KR20-2005-0026672U 2005-09-15 2005-09-15 유에스비입력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 KR200402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672U KR200402297Y1 (ko) 2005-09-15 2005-09-15 유에스비입력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672U KR200402297Y1 (ko) 2005-09-15 2005-09-15 유에스비입력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297Y1 true KR200402297Y1 (ko) 2005-11-29

Family

ID=4370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672U KR200402297Y1 (ko) 2005-09-15 2005-09-15 유에스비입력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2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3420U (ja) 携帯式ワイヤレス充電器
EP1610438A2 (en) Mobile charger
EP2023458A1 (en) A multi power supply system for a portable device
US20090051312A1 (en) Battery charger
US20100301808A1 (en) Charg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JP2005323486A (ja) コンピュータポートを備えた携帯式電源
US20150295426A1 (en)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US8593106B2 (en) Dual-chargeable battery pack in a power supply
US20110241602A1 (en) Power supply device
WO2009105113A1 (en) External device charging while notebook is off
CN202663159U (zh) 移动电源
KR200402297Y1 (ko) 유에스비입력단자가 일체로 구비된 충전기
JP3147870U (ja) 可変式充電装置
CN201445067U (zh) 太阳能充电包
JP3188034U (ja) 掌型交流/直流ポータブル電源
CN202696222U (zh) 多功能太阳能充电器
US20150372521A1 (en) Portable Power Bank
KR101143522B1 (ko) 배터리 급속 충전기
CN202616841U (zh) 一种商务移动充电器
CN201054506Y (zh) 一种能够在接与不接外部电源时给手持设备供电或充电的电子配件
KR200379930Y1 (ko) 휴대용 다중 직류전압 공급장치
US10734823B2 (en) Power supply device
KR200326784Y1 (ko) 2차 전지를 이용한 충전 겸용 휴대용 단말기 보조 배터리
KR20030063259A (ko) 2차 전지를 이용한 충전 겸용 휴대용 단말기 보조 배터리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충전과 휴대용 단말기 전원공급 방법
US20090045770A1 (en) Headgear assembly capable of collecting solar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