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758Y1 -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 - Google Patents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758Y1
KR200401758Y1 KR20-2005-0021476U KR20050021476U KR200401758Y1 KR 200401758 Y1 KR200401758 Y1 KR 200401758Y1 KR 20050021476 U KR20050021476 U KR 20050021476U KR 200401758 Y1 KR200401758 Y1 KR 200401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ming
lens
pointer
target
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주
Original Assignee
권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동주 filed Critical 권동주
Priority to KR20-2005-0021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7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7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2Night sights, e.g. luminescent
    • F41G1/34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 F41G1/345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for illuminating the s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8Telescopic 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Supports or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조준경은, 대물렌즈, 접안렌즈와, 상기 대물렌즈, 상기 접안렌즈 사이에 설치되어 목표물을 확대 조준하기 위한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준경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조준 포인터가 형성된 조준점 표시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조준 포인터는 사거리에 따라 탄도고각을 맞출 수 있도록 표시된 탄도 고각 조정 눈금이 도시되어 있는 것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조준경의 조준 포인터를 보면서 목표물 까지의 거리를 판단하고 탄도 고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투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Scope with focus pointer}
본 고안은 조준경에 관한 것으로, 조준 포인터에 거리 측정 눈금과 탄도 고각 조정점을 포함시키고, 조준점 표시렌즈 외주 주변에 야광 튜브를 배치하여 조준경을 통해 관찰되는 영상의 실제 거리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탄도 고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야간에도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에 관한 것이다.
조준경은 망원경의 원리에 좌표선이나 점을 부가한 것으로 총기 사격자의 목표물 명중률을 높이고 원거리 사격시 목표물을 확대하여 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조준사격을 할 수 있게 총기에 부착하여 사용된다.
도 1은 이러한 조준경이 설치된 소총이 도시되어 있다. 조준경(10)은 무기의 총열(7) 위에 위치한 손잡이부(11)에 고정된다. 도시된 무기(8)는 M-16 소총이지만, 일반적으로 조준경(10)은 다른 여러 종류의 무기에도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손잡이부(11)는 가늠쇠(13)와 정렬된 가늠자(도면중 미도시)를 구비한 기계적인 무기 조준기를 가지며, 그 손잡이부는 통상적으로 야시 조준경(10)이 없을때 무기의 조준선(14)을 제공한다. 가늠쇠와 가늠자와 같은 기계적 조준기를 통과하는 조준선(14)은 목표물까지의 탄환의 경로와 교차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무기(8)와 조작자는 통상적으로 무기가 목표물을 향하도록 조준선(14)을 따라 목표물을 주시한다.
이러한 무기에 장전된 탄환이 날아가는 궤적을 탄도라 한다. 도 2는 무기로 부터 발사된 탄환의 궤적 및 이와 관련된 용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하단에서 탄환을 발사하는 경우 탄환은 지구 중력가속도의 영향으로 f의 궤적을 가진다. 즉, 도면부호 f가 실제 탄도를 나타내다.
도면부호 d는 라인 오브 보어 (Line of bore/총강중심선)로 총탄이 레이저 광선처럼 직선으로 나간다면 그때의 탄도가 라인 오브 보어가 된다. 쉽게 말해, 총구로부터 뻗어나가는 직선을 뜻한다.
도면부호 e는 라인 오브 사이트 (Line of sight/조준선)로 가늠자와 가늠쇠, 혹은 조준경으로 표적을 조준했을 때 표적과 가늠자/가늠쇠를 연결한 직선을 나타낸다. 거의 사격자의 눈(내지는 총)과 표적을 연결한 직선에 가깝다.
도면부호 a는 앵글 오브 엘리베이션 (Angle of elevation/AOE)으로 어떤 표적을 조준할 때, 그것을 조준하는 조준선(가늠자와 가늠쇠를 연결한 선)과 실제 총열에서 뻗어 나온 직선(라인 오브 보어)가 이루는 각도. 즉 총에서 표적까지를 연결한 직선과 총구에서 뻗어 나온 직선의 각도차이를 뜻한다.
도면부호 b는 미드 레인지 트러젝토리 (Mid-range trajectory/MRT, 중간탄도고)로서 표적에서 총을 연결한 직선과 실제 탄환이 지나가는 길, 즉 탄도(Trajectory)의 최대편차를 나타낸다. 탄도는 기본적으로 포물선이지만, 이 포물선이 얼마나 휘어있는지는 MRT로 참고가 가능하다. 같은 거리를 기준으로 본다면 MRT가 작은 쪽이 사정거리가 평균적으로 길고 잘 맞는다.
도면부호 c는 토탈 드롭 (Total drop/최대편차)으로 탄환의 최종 도달위치와 총강중심선의 차이. 이것은 MRT에 4를 곱하면 자동적으로 나온다.
그 어떤 총도 탄도는 도 2와 같이 곡선(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게 된다. 따라서, 총열 지향 각도가 변화하면 미드 레인지 트러젝토리나 사거리 모드 변경된다. 따라서 표적에 명중시키기 위해서는 사거리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따라 앵글오브 엘리베이션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단 탄환을 발사하면 탄환은 하향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다가 25미터에서 총과 일직선이 된다. 따라서 25미터에서 영점을 잡는다. 조준경의 상하좌우 편차를 조정하는 것을 크리크 수정이라 한다. 사거리별로 크리크 숫자가 있다. 사거리 측정기를 이용 거리를 재서 크리크를 수정한 후 사격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크리크 수정을 위해서는 목표물까지의 거리 판단하여야 하나 멀리있는 목표물 사이의 거리를 가늠하는 것과 탄도 고각 설정 방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리 측정 눈금과 탄도 고각 조정 눈금이 포함된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을 제공함으로써 조준 시 조준경을 통해 관찰하는 대상 사이의 거리를 알 수 있고 정확한 조준으로 사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조준점이 표시된 렌즈를 야광 튜브에 의해 조명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도 사용할 수 있는 조준경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물렌즈, 접안렌즈와, 상기 대물렌즈, 상기 접안렌즈 사이에 설치되어 목표물을 확대 조준하기 위한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준경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조준 포인터가 형성된 조준점 표시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조준 포인터는 사거리에 따라 탄도고각을 맞출 수 있도록 표시된 탄도 고각 조정 눈금이 도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준 포인터 상에 사거리에 따라 인체 기준 신장이 매칭될 수 있는 거리 측정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준점 표시렌즈의 외주 주변에 야광물질이 포함된 야광튜브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며, 상기 야광물질은 트리튬(Tritium) 또는 규산염계 또는 황화아연계 또는 인산염계 또는 텅스텐산염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 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조준경은 개인화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준경 렌즈 배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조준 포인터가 형성된 조준점 표시렌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준경은 대물렌즈(10)와 접안렌즈(30)사이에 상의 확대를 위한 렌즈어셈블리(20)가 설치된다.
렌즈 어셈블리(20)는 대물렌즈(10)로 부터 입사된 상을 설정된 배율에 따라 확대하고 촛점을 맞추기 위한 렌즈들의 조립체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조준경의 렌즈 어셈블리에는 조준 포인터가 형성된 조준점 표시렌즈(200)가 포함된다. 조준점 표시렌즈(200)는 무배율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조준점 표시렌즈(200)는 외주 주변에 야광물질이 포함된 야광튜브가 배치되어 야간에 조준점 표시렌즈(200)가 야광 튜브에 의해 조명되어 사격자가 야간에도 이를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야광물질은 트리튬(Tritium) 또는 규산염계 또는 황화아연계 또는 인산염계 또는 텅스텐산염계를 사용할 수 있다. 야광물질에는 라듐염과 같이 긴 반감기를 갖는 방사성 물질을 함유시켜 α선에 의해 상시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점 표시렌즈(200)에 형성된 조준 포인터는 사격자가 목표물을 조준할 수 있도록 하는 타겟과 함께 탄도 고각을 조정 수 있도록 표시된 탄도 고각 조정 눈금(220)과 목표물 까지의 거리를 가늠할 수 있는 거리 측정 눈금(230)이 포함된다.
탄도 고각 조정 눈금(220)은 목표 사거리에 따라 앵글 오브 엘리베이션(고각, angle of elevation)을 맞추기 위한 눈금으로 실험에 의해 설정되어 표시된다. 탄도 고각 조정 눈금(220)은 거리에 따라 고각 조정을 위한 조준점을 표시하는 것이다. 즉, 목표물까지의 거리가 400미터일 경우 도 4에 도시된 조준 포인터에서 '4'라고 표시된 점(+)을 조준점으로 하여 고각을 조정하고, 목표물 까지의 거리가 600미터일 경우 '6'이라고 표시된 점을, 800미터일 경우 '8'이라고 표시된 점을 조준점으로 하여 고각을 조정한다. 도 2로부터 자명하듯이 목표물까지의 거리가 길어질수록 고각(a)이 커지며,이는 실제 목표물보다 상단을 겨냥해야 함을 의미하므로 고각 조정 눈금 '4','6','8'을 위로부터 아래로 차례로 표시함으로써 간단히 해결된다. '4','6','8',과 같은 고각 조정 눈금의 정확한 표시 위치는 총기의 특성에 따라 생산 시 실험에 의해 설정된다.위와 같이 고각 조정을 위한 조준점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알아야 하는데,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가늠하기 위해 거리 측정 눈금(230)이 사용된다.
거리 측정 눈금(230)은 목표 사거리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 기준 신장(이하 175cm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이 매칭될 수 있는 눈금이다. 조준경의 배율과 같은 특성에 따라 조준경을 통해 관찰하는 목표물은 거리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므로 조준경을 통해 관찰되는 크기를 이용하여 역으로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신장에 해당하는 목표물이 조준 포인터의 어느 크기에 해당하는지를 관찰하면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게 된다. 즉, 175cm 정도의 키를 가진 목표물을 조준경으로 관찰하여 어느 거리 측정 눈금(230)에 해당하는 지를 찾는다. 인체 표준 신장의 목표물이 도면부호 230의 4로 표시된 눈금에 맞는다면 목표물과의 거리가 400m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목표물까지의 거리가 400m로 목측되었다면, 탄도 고각 조정 눈금(220) 중에서 '4'라고 표시된 눈금을 조준점으로 하여 표적을 조준하고 사격을 행하면 고각이 일치하여 정확한 사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조준경을 사용하면 레이저 거리 추적장치와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사격자가 용이하게 조준 포인터를 이용하여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판단하고, 탄도 고각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탄도 고각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준경의 조준 포인터만 관찰하면 목표물 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으며 탄도 고각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야간에도 조준 포인터가 형성된 조준점 표신 렌즈가 자체 발광하므로 별도의 조명장치 없이 조준경을 보고 목표물을 조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조준경은 목표물 명중룰을 크게 향상시키고 별도의 조명장치 없이 야간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조준경이 장착된 총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 2는 탄도와 탄도에 관련된 용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준경 렌즈 배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준점 표시렌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6)

  1. 대물렌즈, 접안렌즈와,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접안렌즈 사이에 설치되어 목표물을 확대 조준하기 위한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준경에 있어서,
    상기 렌즈어셈블리는 조준 포인터가 형성된 조준점 표시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조준 포인터는 사거리에 따라 탄도고각을 맞출 수 있도록 표시된 탄도 고각 조정 눈금이 도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 포인터 상에 사거리에 따라 인체 기준 신장이 매칭될 수 있는 거리 측정 눈금이 더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점 표시렌즈의 외주 주변에 야광물질이 포함된 야광튜브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야광물질은 트리튬(Tritium) 또는 규산염계 또는 황화아연계 또는 인산염계 또는 텅스텐산염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야광물질은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점 표시렌즈는 무배율 렌즈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
KR20-2005-0021476U 2005-07-22 2005-07-22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 KR200401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476U KR200401758Y1 (ko) 2005-07-22 2005-07-22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476U KR200401758Y1 (ko) 2005-07-22 2005-07-22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758Y1 true KR200401758Y1 (ko) 2005-11-22

Family

ID=4370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476U KR200401758Y1 (ko) 2005-07-22 2005-07-22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7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343A (ko) 2017-12-14 2019-06-24 오정민 조준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343A (ko) 2017-12-14 2019-06-24 오정민 조준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15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aiming point information
US20230112868A1 (en) Optical system with cant indication
JP3406301B2 (ja) 改良された望遠式照準器およびそのための焦点板
US8286384B2 (en) Ballistic range compensation for projectile weapon aiming based on ammunition classification
US7712225B2 (en) Shooting calibration systems and methods
US8046951B2 (en) Rangefinders and aiming methods using projectile grouping
US7421816B2 (en) Weapon sight
US8074394B2 (en) Riflescope with image stabilization
US11480411B2 (en) Range-finding and compensating scope with ballistic effect compensating reticle, aim compensation method and adaptive method for compensating for variations in ammunition or variations in atmospheric conditions
US20200072576A1 (en) Reticles,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20190120595A1 (en) Embedded cant indicator for rifles
US9170067B2 (en) Embedded cant indicator for rifles
US20150253108A1 (en) Ballistic range finding reticle for modern sporting rifle
JP7263373B2 (ja) 照準点情報を計算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210033370A1 (en) Turret cap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aiming point information
KR200401758Y1 (ko) 조준 포인터를 구비한 조준경
JP2023526659A (ja) マルチロール型観察光学機器用レティ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