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612Y1 - Electric power supply structure - Google Patents

Electric power supply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612Y1
KR200401612Y1 KR20-2005-0025680U KR20050025680U KR200401612Y1 KR 200401612 Y1 KR200401612 Y1 KR 200401612Y1 KR 20050025680 U KR20050025680 U KR 20050025680U KR 200401612 Y1 KR200401612 Y1 KR 200401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insulator
center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6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준구
Original Assignee
강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구 filed Critical 강준구
Priority to KR20-2005-0025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61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612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6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퍼머용 롯드와 같이 착탈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전원잭 사이의 접속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to simplify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jack used in the device for supplying power by detachment, such as a rod for perm.

이를 위해 본 고안에 의한 해결 방법의 요지는 소정 길이의 제1중심 단자가 구비되고, 제1중심 단자의 외주연에는 제1절연체가 형성되며, 제1절연체의 외주연에는 제1외곽 단자가 구비된 제1접속구와, 제1접속구의 제1중심 단자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한 제2중심 단자가 구비되고, 제2중심 단자의 외주연에는 제2절연체가 형성되며, 제2절연체의 외주연에는 제1외곽 단자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한 제2외곽 단자가 구비된 제2접속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가 자성체로 되는 전원 연결 구조가 개시된다.To this end, the gist of the 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center terminal of a predetermined length, a first insulator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and a first outer terminal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insulator. And a second center terminal connect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center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a second insulator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center terminal, and a second insulator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insulator. Disclosed is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connector having a second outer terminal connectable to and detachable from an outer terminal, and the terminal being a magnetic material.

Description

전원 연결 구조{Electric power supply structure}Electric power supply structure

본 고안은 전원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퍼머용 롯드와 같이 착탈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전원 잭 사이의 접속 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전원 연결 구조에 관한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for simplifying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power jack used in the device for supplying power by attaching and detaching, such as a permanent rod.

자동화된 대부분의 장치는 전원에 의하여 동작되는데, 예컨대 퍼머용 롯드와 같이 작은 장치에는 전원의 공급을 자체적으로 연결/단락하는 스위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이들에는 암수의 연결 잭(Jack)을 꽂거나 빼는 것으로 전원을 공급/차단하도록 조작된다.Most automated devices are powered by power sources. Smaller devices, such as permanent rods, typically do not have a separate switch that connects / shortens the supply of power, so they have male and female jacks. It is operated to turn on / off the power by plugging in or unplugging the power).

그런데, 퍼머를 할 때 머리카락의 웨이브를 주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퍼머용 기구인 롯드는 대체적으로는 원통형을 이루는 몸체로 구성되면서도 몸체의 양측단부에 각각 원주방향으로 고무줄을 걸 수 있는 다수개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다.However, rods, which are widely used for giving waves of hair when perming, are generally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but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to hang rubber ba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이러한 롯드를 사용할 시에는 일정량의 머리카락 다발을 퍼머지(紙)나 또는 천 등으로 싸서 롯드의 외주연에 감은 다음, 양측 돌기들을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고무줄로 고정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퍼머액을 사용하여 퍼머를 하였다.When using such a rod, wrap a bundle of hair with a perm or cloth, wrap it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d, and fix the hair with rubber bands using both protrusions. Perm was done.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롯드의 구조는 단순히 머리카락을 감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퍼머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고, 웨이브가 고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웨이브의 다양한 연출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general rod structure used in this way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because it only has a function of winding the hair, and the wave is not uniform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variety of waves.

따라서, 근래에는 롯드의 내부에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를 구비하여 퍼머와 드라이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퍼머 시간을 단축하고 다양한 웨이브의 연출이 가능토록 하는 롯드가 제안된 바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rod has been proposed that has a heater that generates heat by supplying power to the inside of the rod so that the perm and the dry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thereby shortening the perm time and enabling the production of various waves.

상기 퍼머용 롯드는 양측단에 고무를 걸 수 있는 걸고리가 형성되는 원통형을 이루면서 내부에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히팅되는 히터가 설치되고, 그 일측단에는 내부의 히터와 연결되는 +, - 연결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시에는 별도의 퍼머기와 전선으로 연결된 전원잭을 상기 연결단자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The permanent rod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rubber hooks are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heater heated by supply of power is installed therein, and at one end thereof, a + and-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n internal heater is provided. By being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a separate perm and a power jack connected to the wire to the connection terminal.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퍼머용 롯드의 전원 연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1, there is shown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ermanent rod.

도시된 바와 같이, 퍼머용 롯드(1)는 원통형 지지체에 히터 코일이 권선된 히터(2)와, 상기 히터(2)를 외부에서 대략 원통 형태로 감싸며 양단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2)와 전선(4)으로 연결된 제1연결 단자(5), 제2연결 단자(6) 및 그 사이에 절연체(7)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1접속구(8)와, 상기 제1접속구(8)를 히터의 바깥인 동시에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커버(9)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the perm rod (1) is a heater (2) wound around a heater coil on a cylindrical support, and the case (3) surrounding the heater (2)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form and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t both ends And an insulator 7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6, and between the heater 3 and the wire 4, which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ase 3. The first connector 8 is formed, and the cover 9 for fixing the first connector 8 to the outside of the heater and to the inside of the case.

여기서, 상기 제1접속구(8)는 대략 원통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가장 내측에 제1연결 단자(5)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 단자(5)의 외주연을 절연체(7)가 감싸고 있으며, 상기 절연체(7)의 외주연을 다시 제2연결 단자(6)가 감싸는 형태를 한다. 물론, 상기 제1연결 단자(5) 및 제2연결 단자(7)는 각각 전선(4)을 통하여 히터(2)에 연결되어 있다.Here, the first connector 8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pipe shap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 is formed on the innermost side, and the insulator 7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6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sulator 7 again. Of course,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5 and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7 are connected to the heater 2 through the wires 4, respectively.

한편, 전원 잭(10)은 상기 제1접속구(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돌기 형태로 형성된 제1연결 단자(11), 상기 제1연결 단자(5) 외측에 대략 원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제2연결 단자(12), 상기 제2연결 단자(12)를 감싸는 절연 커버(13)로 이루어진 제2접속구(14)와, 상기 제2접속구(14)의 후단에 형성됨 몸체(15)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상기 제1연결 단자(11) 및 제2연결 단자(12)에는 몸체(15)를 통하여 전선(16)이 연결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jack 10 i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formed in the form of a projection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connector 8, the first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pipe shape outsid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 It consists of a second connection port (14) consisting of an insulating cover (13) surrounding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2),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2, and a body (15)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 (14). . Of course, the wire 16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1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2 through the body 15.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종래에는 전원 잭의 제1연결 단자가 롯드의 제1연결 단자에 결합되도록 하고, 전원 잭의 제2연결 단자가 롯드의 제2연결 단자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원 잭에 의해 롯드의 히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By such a structur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f the power jack is convention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f the rod,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of the power jack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of the rod, so that the rod by the power jack To supply power to the heater.

그런데, 미용실에서 퍼머를 할 경우 상기와 같은 롯드를 대략 30~40개 정도 구비하여 머리카락을 일일이 와인딩한 후, 이어서 각각의 롯드에 전원잭을 결합하여야 한다.By the way, when performing a perm in the beauty salon with about 30 to about 40 such rods, and after winding the hair one by one, and then to each of the rods must be coupled to the power jack.

그러나, 종래 전원 연결 구조는 사용자가 일일이 롯드의 제1접속구와, 전원 잭의 제2접속구를 정확히 맞춘후 일정한 힘을 주워 상호 결합해야 함으로써, 그 결합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접속 작업도 힘이 들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전원 접속 작업이 쉽지 않음으로써, 롯드와 전원 잭 사이의 접속 작업 중 이미 와인딩된 머리카락이 뽑히거나 헝클어지는 경우도 많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ower connection structure, the user must align the first connection port of the rod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 of the power jack and pick up a certain force, and thus, the coupling time is long and the connection work is also difficult. There is an uncomfortable problem. Moreover, since the power connection work is not easy as described above, the hair that is already wound is often pulled out or matted during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rod and the power jack.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종래의 롯드는 그 내부의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제조 및 조립성이 좋지 못하여 고가인 단점이 있다.And, in addition to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rod has a dis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parts is large, the manufacturing and assembly is not good and expensive.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형 전기기구의 전원 잭으로서 그 사이의 접속 작업이 편리한 전원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for convenient connection work therebetween as a power jack of a small electric applian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는, 소정 길이의 제1중심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1중심 단자의 외주연에는 제1절연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1절연체의 외주연에는 제1외곽 단자가 구비된 제1접속구와,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중심 단자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한 제2중심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2중심 단자의 외주연에는 제2절연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절연체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1외곽 단자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한 제2외곽 단자가 구비된 제2접속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중심 단자, 제1외곽 단자, 제2접속구의 제2중심단자 및 제2외곽단자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자성체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w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center terminal of a predetermined length, the first insulator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the outer of the first insulator A first connector having a first outer terminal is provided at the periphery, and a second center terminal connect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center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insulator is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center terminal.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insulator includes a second connector having a second outer terminal connect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outer terminal, and includes a first center terminal, a first outer terminal, and a first connector of the first insulator. At least one of the second center terminal and the second outer terminal of the two connection port may be a magnetic material.

또한,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중심 단자 또는 제1외곽단자 및 이들 양자 모두의 후단에는 상기 제1절연체에 의해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절연체의 소정 공간에는 상기 제1중심 단자 또는 제1외곽단자 각각이나 이들 양자 모두에 그들을 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이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접속구의 제2중심 단자 및/또는 제2외곽단자들과의 결합 시 상기 제1중심 단자 및/또는 제1외곽단자가 후퇴하면서 상기 스프링이 압축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or the first outer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and both, and the first center terminal or the first space is formed at the predetermined space of the first insulator. Each of the first outer terminals or both of them are further provided with a spring that holds them forward, so that the first center terminal and / or the first terminal when the second center terminal and / or the second outer terminal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the outer terminal retracts, the spring can be compressed.

또한, 청구하지는 않지만, 상기 제1중심 단자에는 상기 스프링을 통해 통전하거나 또는 상기 스프링을 관통하여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claimed, an electric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enter terminal through the spring or through the spring.

또한,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외곽 단자 및 제2접속구의 제2외곽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er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outer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또한, 상기 제1접속구는 상기 제1외곽 단자의 외주연에 상기 제2접속구의 제2외곽 단자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절연성 원통형 커버가 더 형성되고, 접속시 제2접속구의 선단이 위치되는 원통형 커버의 기단부에 자성체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or is further formed with an insulating cylindrical cover so that the second outer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outer terminal, the cylindrical cover that the tip of the second connector is located when connected Magnetic material may be install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또한, 상기 제1접속구는 롯드 케이스 일측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롯드 케이스 내측에 장착된 히터에 제1중심 단자 및 제2외곽 단자가 각각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or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od case, and the first center terminal and the second outer terminal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heater mounted inside the rod case by an electric wire.

더불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는 속이 비어 있는 한쌍의 제1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제1단자의 내측에는 보조 단자가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제1중심 단자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그 외주연에 제1절연체가 형성된 제1접속구와, 상기 제1접속구에 구비된 한쌍의 제1단자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보조 단자에 접촉 및 분리되는 한쌍의 제2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한쌍의 제2단자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그 외주연에 제2절연체가 형성된 제2접속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속구의 보조 단자 또는 제2접속구의 제2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성체일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w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hollow first terminals, and an auxiliary terminal is coupled inside each of the first terminals, and the pair of first center terminals is provided. Ar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having a first insulato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the pair of first terminals provided at the first connector to contact and separate the auxiliary terminal, A second connector having a terminal, and having a second insulato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so that the pair of second terminal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auxiliary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or a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At least one of may be a magnetic material.

또한, 상기 제1접속구는 롯드 케이스 일측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롯드 케이스 내측에 장착된 히터에 제1단자가 각각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or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od case, and the first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heater mounted inside the rod case by a wire.

또한, 상기 제2접속구는, 상기 제1접속구에 결합되어 전원을 통전시킬 수 있도록, 전원 잭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or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ower jack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so as to energize power.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는 예컨대 퍼머용 롯드에 적용되는 경우, 롯드의 제1접속구 또는 전원 잭의 제2접속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성체를 설치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전원 잭을 쉽게 결합/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w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for example, a permanent rod, a magnetic material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of the rod or the second connection port of the power jack, thereby providing a power jack even with a small force. It can be easily combined / detached.

물론, 상기와 같이 접속 작업이 쉬움으로써, 롯드와 전원 잭의 결합 작업 중 이미 와인딩된 머리카락에 무리한 힘이 작용되어 뽑히거나 헝클어지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Of course, the connection operation is easy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hair that is already wound during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rod and the power jack is pulled out or matted.

더불어, 본 고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는 그 내부의 구성이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어서 제조 비용이 싸고 또한 조립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w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ternal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e number of parts is low,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easy to assemble.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고안의 기본구조를 퍼머용 롯드에 적용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를 단면도로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c는 주요부 결합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2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y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rod for perm as a cross-sectional view, Figure 2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2a, Figure 2c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또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도 2a의 주요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3A and 3B,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A is shown.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퍼머용 롯드(130)에 연결되는 상태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적용 대상물을 이로서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state connected to the rod for permanent 130 is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t is obvious that the applicatio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100)는 제1접속구(110) 및 제2접속구(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속구(110)는 전기장치 예컨대 퍼머용 롯드(130)의 케이스(131)의 일측에 설치되어, 히터(132)에 전선(115,116)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접속구(120)는 전원 잭(140)의 몸체(141) 일측에 설치되어 전선(125,126)이 연결되어 있다.As shown, the power connect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110 and a second connector 120. The first connector 1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131 of the rod 130 for an electric device, and is connected to the heater 132 by wires 115 and 116,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is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141 of the power jack 140, the wires (125, 126) are connected.

상기 제1접속구(110)는 제1중심 단자(111), 제1절연체(112) 및 제1외곽 단자(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중심 단자(111)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의 직경이 다른 영역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1중심 단자(111)의 끝단에는 히터(132)에 연결되는 전선(115)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절연체(112)는 제1중심 단자(111)를 대략 감싼다. 그러나, 상기 제1중심 단자(111)의 앞단과 끝단은 상기 제1절연체(11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제1외곽 단자(113)는 상기 제1절연체(112)의 외주연에 대략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외곽 단자(113)는 도전체인 동시에 자성체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외곽 단자(113)에는 히터(132)에 연결되는 전선(116)이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외곽 단자(113)의 외주연에는 절연성 원통형 커버(114)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원통형 커버(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롯드(130)의 케이스의(131) 일측에 결합 또는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기 제1접속구(110)가 롯드(130)의 케이스(131)에 고정되고 절연을 완벽히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connector 110 includes a first center terminal 111, a first insulator 112, and a first outer terminal 113. The first center terminal 11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diameter of one end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ther region. Of course, an electric wire 115 connected to the heater 132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111. The first insulator 112 substantially surrounds the first center terminal 111. However, the front end and the end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111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insulator 112. The first outer terminal 11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ring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insulator 112. The first outer terminal 113 may be a conductor and a magnetic material. Of course, a wire 116 connected to the heater 132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terminal 113. In addition, an insulating cylindrical cover 114 is furth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outer terminal 113, and the cylindrical cover 114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case 131 of the rod 130 as shown. By being coupled or integrally installed, the first connector 110 as a whole is fixed to the case 131 of the rod 130 and serves to completely insulate.

상기 제2접속구(120)는 제2중심 단자(121), 제2절연체(122) 및 제2외곽 단자(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2중심 단자(121)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1중심 단자(111)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제2중심 단자(121)의 직경은 상기 제1중심 단자(111)의 직경과 거의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끝단에는 전선(125)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절연체(122)는 상기 제2중심 단자(121)를 대략 감싼다. 그러나, 상기 제2중심 단자(121)의 앞단과 끝단은 상기 제2절연체(12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제2외곽 단자(123)는 상기 제2절연체(122)의 외주연에 대략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이러한 제2외곽 단자(123)는 도전체인 동시에 자성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외곽 단자(113)가 도전성 자성체이면 상기 제2외곽 단자(123)는 도전성 비자성체일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상기 제2외곽 단자(123)가 도전성 자성체이면 상기 제1외곽 단자(113)는 도전성 비자성체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외곽 단자(113) 및 제2외곽 단자(123)는 도전성으로 서로 극성이 다른 자성체일 수도 있다. The second connector 120 includes a second center terminal 121, a second insulator 122, and a second outer terminal 123. The second center terminal 121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can be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first center terminal 111. Of course, the diameter of the second center terminal 121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111, and the wire 125 is connected to the end. The second insulator 122 substantially surrounds the second center terminal 121. However, the front end and the end of the second center terminal 121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insulator 122. The second outer terminal 12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ring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insulator 122. In addition, the second outer terminal 123 may be a conductor and a magnetic material. Here, if the first outer terminal 113 is a conductive magnetic material, the second outer terminal 123 may be a conductive nonmagnetic material. On the contrary, if the second outer terminal 123 is a conductive magnetic material, the first outer terminal 113 may be a conductive nonmagnetic material. In addition, the first outer terminal 113 and the second outer terminal 123 may be magnetic material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여기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속구(110)의 제1중심 단자(111)는 제2접속구(120)의 제2중심 단자(121)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구(110)의 제1절연체(112)는 제2접속구(120)의 제2절연체(122)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구(110)의 제1외곽 단자(113)는 제2접속구(120)의 제2외곽 단자(123)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롯드(130)의 케이스(131)에 설치된 제1접속구(110)는 전원 잭(140)의 몸체(141)에 설치된 제2접속구(120)와 근접되면 자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접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전원 잭(140)을 통하여 상기 롯드(130)는 소정 전원을 인가 받는다.Here, as shown in FIG. 2C, the first center terminal 111 of the first connecto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enter terminal 121 of the second connector 120. In addition, the first insulator 112 of the first connector 1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sulator 122 of the second connector 120. In addition, the first outer terminal 113 of the first connecto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terminal 123 of the second connector 120. Therefore, when the first connector 110 installed in the case 131 of the rod 130 is close to the second connector 120 installed in the body 141 of the power jack 140, the first connector 110 is automatically bonded by magnetic force and electrically. The rod 130 is applied with a predetermined power through the power jack 140.

한편, 상기 제1접속구(110)의 원통형 커버(114) 내측으로는 제2접속구(120)의 제2외곽 단자(123)가 결합됨으로써, 제2접속구(120)의 각 단자(121, 123)들이 그에 대응하는 제1접속구(110)의 각 단자(111, 113)들과 정합(整合)되도록 가이드 하게 하며, 또한 제1접속구(110)로부터 제2접속구(120)가 잘 분리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접속구(110)의 제1외곽 단자(113) 및/또는 제2접속구(120)의 제2외곽 단자(123)는 자성체이기 때문에 그 자체의 성질로 인하여 한번 결합되면 소정의 접합력을 계속적으로 유지함으로 상호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더불어, 이와 같이 상기 제1접속구(110)의 제1외곽 단자(113) 및/또는 제2접속구(120)의 제2외곽 단자(123)는 자성체이기 때문에 상호간의 결합 작업에 드는 힘은 전혀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자(111, 113, 121, 123)들은 통전체임으로 자성체로서 기능하는 경우 자계간섭으로 자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통전시 스파크가 발생되면 자력이 손쉽게 열화될 수 있으므로, 원통형 커버(114)의 기단부에 자성체가 설치되어 있으며, 접속시 제2접속구의 선단을 인입하여 통전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outer terminal 123 of the second connector 120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cover 114 of the first connector 110 so that each terminal 121 and 123 of the second connector 120 is coupled. Guide them to be matched with the terminals 111 and 113 of the first connector 110 corresponding thereto, and also prevent the second connector 12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or 110. . Of course, since the first outer terminal 113 of the first connector 110 and / or the second outer terminal 123 of the second connector 120 is a magnetic material, once bonded due to its own properties, a predetermined bonding force is achieved. It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keeping the. In addition, since the first outer terminal 113 of the first connector 110 and / or the second outer terminal 123 of the second connector 120 is a magnetic material, there is no force required for coupling work between them. can do. In addition, each terminal (111, 113, 121, 123) is a whole body, when the magnetic force can be reduced by magnetic interference when the function as a magnetic body, in particular, the magnetic force can be easily deteriorated when a spark occurs during energization, the cylindrical cover ( A magnetic body is provided at the proximal end of 114), and when connected, the end of the second connector can be drawn in and kept in energized state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더불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외곽 단자(113){또는 제2외곽 단자(123)}는 대략 원형 링 형태이거나 또는 대략 직사각 형태 즉, 부분적으로만 자성체일 수도 있으나, 여기서 그 제1외곽 단자(113){또는 제2외곽 단자(123)}의 형상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3A and 3B, the first outer terminal 113 (or the second outer terminal 123)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ring shape or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at is, a magnetic material only partially. Here, the shape of the first outer terminal 113 (or the second outer terminal 123)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도 4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 4b를 참조하면, 그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A,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a cross-sectional view, and referring to FIG. 4B,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thereof is shown.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전원 연결 구조(200)는 상술한 전원 연결 구조(100)와 유사하므로 유사한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는 생략하며, 여기서는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since the power connection structure 200 is similar to the power connection structure 100 described above,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tails thereof ar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here.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속구(210)의 제1중심 단자(211)의 후단에는 상기 제1절연체(212)에 의해 소정 공간(225)이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절연체(212)의 소정 공간(225)에는 스프링(226)이 더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스프링(226)의 일측에는 상기 제1중심 단자(211) 및/또는 제1외곽단자(213)가 위치될 수 있는데, 도 4a, 도 4b에서는 제1중심 단자(211)가 위치되도록 도시하였다. 더욱이, 상기 제1중심 단자(211)에는 상기 스프링(226)을 관통하여 전선(215)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중심 단자(211)는 제2외곽 단자(223)보다 약간 더 돌출될 수 있다.As illustrated, a predetermined space 225 is further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211 of the first connector 210 by the first insulator 212. In addition, a spring 226 is further provid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225 of the first insulator 212. Of course, the first center terminal 211 and / or the first outer terminal 213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spring 226, so that the first center terminal 211 is located in FIGS. 4A and 4B. Shown. In addition, an electric wire 215 is connected to the first center terminal 211 through the spring 226. The first center terminal 211 may protrude slightly more than the second outer terminal 223.

이와 같이 하여, 제2접속구(220)가 제1접속구(210)에 결합하게 되면, 먼저 상기 제2접속구(220)의 제2중심 단자(221)가 상기 제1접속구(210)의 제1중심 단자(211)를 일측으로 밀게 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심 단자(211)의 후부에 스프링(226)이 설치된 경우에는 이 스프링(226)을 압축되면서 상기 제1중심 단자(211)가 소정 거리 후퇴하게 되고, 또한 제2접속구(220)의 제2외곽 단자(223)가 제1접속구(210)의 제1외곽 단자(213)에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제2접속구(220)의 제2중심 단자(221)가 먼저 제1접속구(210)의 제1중심 단자(211)에 접속되고, 이어서 제2외곽 단자(223)가 제1외곽 단자(213)에 접속되며, 이는 폭이 좁아 접촉면적이 작을 수 있는 제1중심 단자(211)가 먼저 접속되고 최후로 단락 되도록 하여 통전의 확실성을 담보하면서 접속시 전기적 스파크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제1외곽 단자(213) 및 제2외곽 단자(223)를 - 극성으로 하게 되면, 상호간의 접속시 전기적 스파크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second connector 22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210, first, the second center terminal 221 of the second connector 220 is the first center of the first connector 210. The terminal 211 is pushed to one side. At this time, when the spring 226 i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211 as shown, the first center terminal 211 is retrac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226, and also the second The second outer terminal 223 of the connector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terminal 213 of the first connector 210. By this action, the second center terminal 221 of the second connector 220 is first connected to the first center terminal 211 of the first connector 210, and then the second outer terminal 223 is first connected. It is connected to the outer terminal 213, which narrows the width so that the first center terminal 211, which may have a small contact area, is connected first and finally short-circuited,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electrical spark during connection while ensuring certainty of energization. You can do it. In addition, when the first outer terminal 213 and the second outer terminal 223 are -polarized, an electrical spark phenomen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t the time of mutual connection.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주요부 평면도이며, 도 5c는 결합 단면도이다.5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plan view of a main part, and FIG. 5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ination.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300) 역시 제1접속구(310)와 제2접속구(3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A, the power connection structur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first connector 310 and a second connector 320.

상기 제1접속구(310)는 속이 비어 있는 한쌍의 제1단자(311)와, 상기 각 제1단자(311)의 내측에 설치된 보조 단자(312)와, 상기 한쌍의 제1중심 단자(311)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그 외주연에 형성된 제1절연체(313)를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or 310 includes a pair of hollow first terminals 311, an auxiliary terminal 312 provided inside each of the first terminals 311, and the pair of first center terminals 311. It includes a first insulator 31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so that th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제2접속구(320)는 상기 제1접속구(310)에 구비된 한쌍의 제1단자(311)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보조 단자(312)에 접촉 및 분리되는 한쌍의 제2단자(321)와, 상기 한쌍의 제2단자(321)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그 외주연에 형성된 제2절연체(32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or 320 is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terminals 311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or 310,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second terminals 321 contacted to and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terminal 312. And a second insulator 322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so that the pair of second terminals 3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여기서, 상기 제1접속구(310)의 보조 단자(312) 또는 제2접속구(320)의 제2단자(321)들은 도전체이면서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성체일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15,316 및 325,326은 전선이다.Here, the auxiliary terminal 312 of the first connector 310 or the second terminal 321 of the second connector 320 may be a conductor and at least one of them may be a magnetic material. 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s 315,316 and 325,326 are wires.

더불어, 본 고안을 퍼머용 롯드에 적용하는 경우라면, 상기 제1접속구(310)는 롯드의 케이스 일측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롯드의 케이스 내측에 장착된 히터에 제1단자(311)가 각각 전선(315,116)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접속구(320)는, 상기 제1접속구(310)에 결합되어 전원을 통전시킬 수 있도록, 전원 잭(340)의 일측에 설치된 동시에 전선(325,126)에 연결될 수 있어서 퍼머용 롯드에 그대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이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od for perm, the first connector 31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ase of the rod,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terminal 311 is connected to a heater mounted inside the case of the rod, respectively, the wires ( 315, 116).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or 320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ower jack 340 and connected to the wires 325 and 126 at the same time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310 so as to energize power. It is shown empirically that it can be used as it is.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속구(310)의 제1단자(311)에 제2단자(32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자(311) 내측에 설치된 보조 단자(312)가 자성체이므로, 상기 제2단자(321)는 상기 보조 단자(312)에 자기력으로 강하게 접속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2접속구(320)를 제1접속구(310)에 살짝만 결합시켜도 상기 보조 단자(312)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2접속구(320)의 제2단자(321)가 상기 제1단자(311) 내측에 강하게 결합된다.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5B, the second terminal 32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311 of the first connector 310. At this time, since the auxiliary terminal 312 provided inside the first terminal 311 is a magnetic material, the second terminal 321 is strong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terminal 312 by magnetic force. That is, even if a user only slightly couples the second connector 320 to the first connector 310, the second terminal 321 of the second connector 320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auxiliary terminal 312. Strong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31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연결 구조는 제1접속구 또는 전원 잭의 제2접속구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성체를 설치함으로써, 힘들이지 않고 자동으로 전원 잭을 쉽게 결합하고 또한 작은 힘으로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magnetic material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or the second connection port of the power jack, effortlessly and automatically easily combine the power jack easily and easily separated by a small force It can be effected.

물론, 상기와 같이 접속/분리작업이 쉬움으로써, 퍼머용 롯드에 적용된 경우에 전원 잭의 결합 작업 중 이미 와인딩된 머리카락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뽑히거나 헝클어지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f course,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pplied to the rod for per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pulling or matting by applying excessive force to the hair already wound during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power jack.

더불어, 본 고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는 그 내부의 구성이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어서 제조 비용이 싸고 또한 조립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ow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internal configuration and a small number of parts,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easy to assembl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연결 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just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pow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utility model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any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can be variously modified.

도 1은 종래의 퍼머용 롯드의 전원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rod for permanent.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2c는 주요부 결합 확대 단면도이다.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2a, Figure 2c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도 3a 및 도 3b는 도 2a의 주요부 평면도이다.3A and 3B are top plan views of the main part of FIG. 2A.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결합 단면도이다.Figure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주요부 평면도이며, 도 5c는 결합 단면도이다.5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plan view of a main part, and FIG. 5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ina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본 고안에 의한 전원 연결 구조100; Pow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0; 제1접속구 111; 제1중심 단자110; First connector 111; 1st center terminal

112; 제1절연체 113; 제1외곽 단자112; First insulator 113; First outer terminal

114; 원통형 커버 115,116; 전선114; Cylindrical cover 115,116; wire

120; 제2접속구 121; 제2중심 단자120; Second connector 121; 2nd center terminal

122; 제2절연체 123; 제2외곽 단자122; Second insulator 123; 2nd outer terminal

125, 126; 전선 130; 롯드125, 126; Wire 130; Lotte

140; 전원 잭140; Power jack

Claims (8)

소정 길이의 제1중심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1중심 단자의 외주연에는 제1절연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1절연체의 외주연에는 제1외곽 단자가 구비된 제1접속구; 및,A first connector provided with a first center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first insulato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and a first outer terminal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insulator; And,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중심 단자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한 제2중심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2중심 단자의 외주연에는 제2절연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절연체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1외곽 단자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한 제2외곽 단자가 구비된 제2접속구A second center terminal which is connectable to and detachable from a first center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is provided, and a second insulator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enter terminal, and a first outer edg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insulator. Second connection port with a second outer terminal connectable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terminal 를 포함하며, Including;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중심 단자, 제1외곽 단자, 제2접속구의 제2중심단자 및 제2외곽단자 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자성체인 전원 연결 구조.At least one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the first outer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the second center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second outer terminal are magnetic bodies.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중심 단자 또는 제1외곽단자 및 이들 양자 모두의 후단에는 상기 제1절연체에 의해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절연체의 소정 공간에는 상기 제1중심 단자 또는 제1외곽단자 각각이나 이들 양자 모두에 그들을 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 구조.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or the first outer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and both, and the first center terminal or the first outer terminal is formed at the predetermined space of the first insulator. Power suppl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terminals or both of them are further provided with a spring which holds them forwar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접속구의 제1외곽 단자 및 제2접속구의 제2외곽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 구조.At least one of the first outer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outer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1접속구는 상기 제1외곽 단자의 외주연에 상기 제2접속구의 제2외곽 단자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절연성 원통형 커버가 더 형성되고, 접속시 제2접속구의 선단이 위치되는 원통형 커버의 기단부에 자성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 구조.The first connector is further formed with an insulating cylindrical cover so that the second outer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outer terminal, the base end of the cylindrical cover where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nector is located Power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material is installed on.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1접속구는 롯드 케이스 일측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롯드 케이스 내측에 장착된 히터에 제1중심 단자 및 제2외곽 단자가 각각 전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 구조.The first connection por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d case, and the power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enter terminal and the second out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heater mounted inside the rod case, respectively, by wires. 속이 비어 있는 한쌍의 제1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제1단자의 내측에는 보조 단자가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제1중심 단자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그 외주연에 제1절연체가 형성된 제1접속구; 및,A pair of hollow first terminals is provided, and an auxiliary terminal is coupled to the inside of each of the first terminals, and a first insulator is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so that the pair of first center terminals ar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 first connector; And, 상기 제1접속구에 구비된 한쌍의 제1단자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보조 단자에 접촉 및 분리되는 한쌍의 제2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한쌍의 제2단자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그 외주연에 제2절연체가 형성된 제2접속구A pair of second terminals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terminal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port, respectively, contacted and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terminal, are provide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s of the pair of second terminals ar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econd connection hole formed with a second insulator 를 포함하며, Including; 상기 제1접속구의 보조 단자 또는 제2접속구의 제2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 구조.At least one of the auxiliary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or the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is a magnetic material.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접속구는 롯드 케이스 일측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롯드 케이스 내측에 장착된 히터에 제1단자가 각각 전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 구조.The first connection por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d case,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heater mounted inside the rod case,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connection structure.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제2접속구는, 상기 제1접속구에 결합되어 전원을 통전시킬 수 있도록, 전원 잭의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 구조.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the power suppl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ower jack to enable the power supply.
KR20-2005-0025680U 2005-09-06 2005-09-06 Electric power supply structure KR20040161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680U KR200401612Y1 (en) 2005-09-06 2005-09-06 Electric power supply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680U KR200401612Y1 (en) 2005-09-06 2005-09-06 Electric power supply structu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997A Division KR20070027421A (en) 2005-12-06 2005-12-06 Electric power supply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612Y1 true KR200401612Y1 (en) 2005-11-21

Family

ID=4370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680U KR200401612Y1 (en) 2005-09-06 2005-09-06 Electric power supply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61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1199B1 (en) Electrical connection
CN204761200U (en) Binding post and motor of using thereof
US10944195B1 (en) Detachable power cord structure for portable hair curler
US6604954B2 (en) Power plug with safety feature
KR200401612Y1 (en) Electric power supply structure
GB2167953A (en) Hair curling implement
KR20070027421A (en) Electric power supply structure
KR101810127B1 (en) Wire connecting apparatus for high voltage connector
KR100776310B1 (en) Electric power supply structure
JPH01137091U (en)
CN206834909U (en) Motor connectors and motor
CN217134771U (en) Plug connector for motor wire
JP2648078B2 (en) Modular appliance plug
CN221041801U (en) Socket
KR101198145B1 (en) Power plug
CN220797377U (en) Rivet ring and power line
KR200354312Y1 (en) electric wire coupling device
AU2019101358A4 (en) Temperature-controlled extension socket dedicated for intelligent home fan
CN215451839U (en) DC connects and DC connecting wire
KR20120006224U (en) Insulation cap for connecting socket
CN218472322U (en) Conducting strip, stator module and external rotor electric machine that motor was used
CN214631959U (en) Telescopic cleaning tool
JP2002093517A (en) Intermediate connector of high-voltage cable
CN205790736U (en) A kind of direct current straight inserting head
CN220138903U (en) Short circuit subassembly and short circui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