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057A - 리니어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니어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057A
KR20040110057A KR1020030046421A KR20030046421A KR20040110057A KR 20040110057 A KR20040110057 A KR 20040110057A KR 1020030046421 A KR1020030046421 A KR 1020030046421A KR 20030046421 A KR20030046421 A KR 20030046421A KR 20040110057 A KR20040110057 A KR 20040110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linear compressor
embossing
steel
steel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405B1 (ko
Inventor
김경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792,630 priority Critical patent/US7413420B2/en
Priority to CN200410039643A priority patent/CN100595437C/zh
Priority to JP2004085315A priority patent/JP3970858B2/ja
Priority to EP04251770.6A priority patent/EP1489720B1/en
Publication of KR20040110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057A/ko
Priority to US11/889,402 priority patent/US77888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66Valv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고정자에서의 와전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피스톤이 내장된 실린더의 외곽에 배치되어 피스톤을 가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와, 마그네트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실린더의 외주에 배치되는 내측고정자를 구비하되, 내측고정자는 원주방향으로 적층되어 원통형상을 형성하는 다수의 강판과, 다수의 강판이 인서트 몰딩되어 다수의 강판이 원통형상으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원주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강판이 부도체인 수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에 인서트 몰딩되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상태가 고정되므로 강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내측고정자에서의 와전류의 발생 및 와전류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Linear com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고정자에서의 와전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니어 압축기는 냉장고 등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로 사용되어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토출하는 장치이다.
종래 리니어 압축기는 외관을 이루는 밀폐용기 내에 동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모터와, 리니어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유체를 흡입 압축하는 압축장치를 구비한다.
압축장치는 내부에 축방향으로 실린더가 마련된 실린더블록과, 이 실린더블록의 하부에 결합되며 유체의 흡입과 토출을 안내하도록 흡입밸브와 토출밸브를 갖춘 실린더헤드와, 리니어모터의 구동으로 실린더 내를 선형적으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다.
리니어모터는 실린더의 외측에 끼워져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내측고정자와, 내측고정자를 이격되게 감싸도록 배치되는 원통형상의 외측고정자와, 이 외측고정자와 내측고정자 사이에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고정자 및 외측고정자와 상호작용하는 마그네트를 구비한 가동자로 이루어져 있다.
내측고정자는 박판으로 형성된 다수의 강판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어 환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형성되는데, 이러한 다수의 강판은 일단이 실린더 외측에 마련된 홀더에 일단이 끼워진 후, 그 타단이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환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용접에 의해 다수의 강판을 서로 고정할 경우, 고정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강판들은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된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나므로 리니어 압축기가 동작하여 가동자가 진퇴이동할 경우 내측고정자에 와전류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와전류손에 의한 리니어 압축기의 성능저하가 초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고정자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강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내측고정자에서의 와전류 및 와전류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내측고정자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 있어서 엠보싱 제조공정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 있어서 강판 제조공정 및 강판 가결합공정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 있어서 다수의 강판들을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밴딩하는 밴딩공정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 있어서 고정부재 형성공정을 보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밀폐용기 20: 리니어모터
21: 마그네트 22: 외측고정자
23: 내측고정자 231: 강판
232: 엠보싱 233: 고정부재
234: 체결부재 30: 압축장치
31: 실린더블록 32: 실린더
33: 실린더헤드 34: 피스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피스톤이 내장된 실린더의 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가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외주에 배치되는 내측고정자를 구비하되, 상기 내측고정자는 원주방향으로 적층되어 원통형상을 형성하는 다수의 강판과, 상기 다수의 강판이 인서트 몰딩되며 상기 원통형상을 형성하는 다수의 강판 상측, 하측 및 내측을 덮어 상기 다수의 강판이 원통형상으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강판에는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상기 고정부재에 걸리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는 일측에 암나사가 가공되어 상기 내측고정자가 상기 실린더에 체결되게 하는 체결부재가 인서트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의 설치를 위해 상기 다수의 강판 하측을 덮는 고정부재의 두께는 상기 다수의 강판 상측을 덮는 상기 고정부재의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강판 상측을 덮는 상기 고정부재는 1mm에서 3mm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부도체인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 일 끝단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실린더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결합턱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고정자는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결합턱에는 윤활유가 상하로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상하로 형성된 오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하측단에는 상기 실린더가 마련된 실린더블럭과 상기 고정부재가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판에는 이웃한 강판과 가결합되기 위해 일측은 볼록하게 돌출되고 타측은 오목하게 함몰된 엠보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엠보싱은 상기 원통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강판 내주측에 치우치게 다수개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제조방법은, 판재로부터 강판을 제조하는 공정과, 엠보싱을 형성하는 공정과, 엠보싱을 통해 다수의 강판을 가결합하는 공정과, 가결합된 다수의 강판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도록 밴딩하여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공정과, 상기 다수의 강판이 원통형상으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엠보싱은 상기 금속판재에 형성된 후, 상기 엠보싱이 형성된 상기 금속판재가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절단되어 상기 강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판이 프레스를 통해 절단되어 상기 금속판재로부터 제조된 후, 계속해서 프레스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엠보싱을 통해 이웃한 강판에 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판재에는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 엠보싱이 형성된 후, 상기 엠보싱이 마련된 상기 금속판재로부터 프레스 가공을 통해 강판을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엠보싱은 상기 적층된 다수의 상기 강판이 일측으로 밴딩되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강판의 일측에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된 다수의 강판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도록 밴딩하여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공정은 원주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강판들 중 일측 끝단에 위치한 강판의 볼록부가 타측 끝단에 위치한 강판의 오목부에 가결합되게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회로로 이루어진 냉동사이클에서 증발작용을 마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 토출하는 압축장치(30)와, 압축장치(30)를 구동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모터(20)와, 리니어모터(20) 및 압축장치(30)가 내장되는 밀폐용기(10)를 구비한다.
압축장치(30)는 밀폐용기(10)의 하측공간에 배치되는데, 중앙부위에 실린더(32)가 세로방향으로 마련된 실린더블럭(31)과, 실린더블럭(31)의 하부에 장착되어 냉매의 흡입과 토출을 안내하는 실린더헤드(33)를 포함한다. 실린더(31)에는 리니어모터(20)에 의해 선형적으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34)이 설치된다.
실린더헤드(33)에는 실린더(32)내로 냉매가 흡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흡입실(33a)과, 실린더(32)내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실(33b)이 형성되며, 실린더헤드(33)와 실린더블럭(31) 사이에는 흡입공(35a)과 토출공(35b)이 천공된 밸브플레이트(35)와, 피스톤(34)의 왕복 운동에 따라 흡입공(35a)과 토출공(35b)을 개폐하는 흡입밸브(36) 및 토출밸브(3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34)이 실린더(32)로부터 퇴진하면 흡입밸브(36)가 개방되어 흡입실(33a)내의 냉매는 흡입공(35a)을 통해 실린더(32)내로 흡입되며, 반면에 피스톤(34)이 실린더(32) 내측으로 전진하면 토출밸브(37)가 개방되어 실린더(32)내의 냉매는 압축되면서 토출공(35b)을 통해 토출실(33b)로 토출되게 된다.
리니어모터(20)는 실린더(32)의 외곽에 배치되어 피스톤(34)을 진퇴이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21)와, 마그네트(21)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외측고정자(22)와, 외측고정자(22)와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실린더(32)의 외주에 배치되는 내측고정자(23)를 구비하고 있다.
마그네트(21)는 외측고정자(22)와 내측고정자(23) 사이에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이 통상의 가동자(21a)를 통해 피스톤(34)과 연결되어 있어서 피스톤(34)을 가동시키게 된다. 이 때, 피스톤(34)의 상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공진하는 판스프링 타입의 공진스프링(24)이 설치되는데, 이것에 의해 피스톤(34)의 왕복 운동력이 배가되게 된다.
또한, 외측고정자(22)는 내측고정자(23)와 소정의 공극이 형성되게 배치되어 마그네트(21)의 외곽을 감싸게 되는데, 이것은 반경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강판(231)과, 강판(231)들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권선된 코일(22a)을 포함하여 전원공급 시 자장을 형성하게 한다. 이러한 외측고정자(22)를 고정하기 위해, 실린더블럭(31)의 하부에서 외향 연장된 프레임부(31a)에는 볼트를 통해 고정프레임(31b)이 체결된다. 즉, 프레임부(31a)와 고정프레임(31b) 사이에 외측고정자(22)를 배치한 후 볼트를 체결하면, 외측고정자(22)는 실린더블럭(31) 상부에 견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내측고정자(23)는 외측고정자(22)에서 형성된 자장과 마그네트(21)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실린더(32)의 외주에 배치되는 것으로, 내측고정자(23)의 상세한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내측고정자(23)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32)의 외주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내측고정자(23)는 금속재 박판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강판(231)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각 강판(231)의 외면에는 이웃한 강판(23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측고정자(23)를 이루는 각 강판(231)에는 이웃한 강판(231)과 가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다수의 엠보싱(232)이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232)은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은 볼록하게 돌출되며 그 타측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볼록한 볼록부(232a)가 이웃한 강판(231)의 오목부(232b)에 끼워짐으로써 다수의 강판(231)이 서로 가결합되어 적층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엠보싱(232)은 두개가 내측고정자(23)의 일측에 치우치게 상하로 나란히 마련되는데, 이는 엠보싱(232)을 통해 다수의 강판(231)이 결합되도록 한 후, 엠보싱(232)이 마련된 측이 내측고정자(23)의 내주측이 되도록 밴딩할 수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내측고정자(23)에는 이와 같이 엠보싱(232)을 통해 가결합되어 원통형상을 이룬 강판(231)들이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강판(231)들을 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233)가 구비된다.
고정부재(233)는 원주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강판(231)의 내측단 및 상,하단을 감싸 고정하는 것으로, 원주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강판(231)이 인서트 몰딩되어 다수의 강판(231)이 원통형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재(233)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이면서 용이하게 용융되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이루어져, 강판(231)들은 서로 절연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고정부재(233)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내측고정자(23)에서의 와전류 발생 및 그에 따른 와전류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고정부재(233)의 내측 하단에는 실린더(32)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측고정자(23)가 실린더(32)에 고정되게 하는 결합턱(233a)이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결합턱(233a)은 내측고정자(23) 결합턱을 통해 실린더(32)에 설치되었을 때, 고정부재(233)가 실린더(32)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실린더(32)측에서 발생한 열이 용이하게 방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결합턱(233a)에는 오목하게 오일홈(233b)이 형성되는데, 오일홈(233b)은 실린더(32)와 내측고정자(23) 사이에 고인 윤활유를 하측으로 안내하기위한 것으로 결합턱(233a)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부재(233) 하단에는 고정부재(233)의 하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 돌출부(233c)가 다수개 대칭되게 마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돌출부(233c)는 내측고정자(23)가 돌출부(233c)를 통해 실린더블록(31)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내측고정자(23)의 고정부재(233) 하면과 실린더블록(31) 사이의 공간이 윤활유가 통과하는 오일통로로 작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린더(32)와 내측고정자(23) 사이로 유입된 윤활유는 결합턱(233a)에 마련된 오일홈(233b)과 돌출부(233c)에 의해 마련된 실린더블록(31)과 내측고정자(23)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각 강판(231)에는 그 양측에 오목하게 고정홈(231a)이 형성되는데, 이는 고정부재(233)가 인서트 몰딩에 의해 성형되는 과정에서 용융 수지가 고정홈(231a)에 유입된 후 응고되도록 함으로써, 강판(231)들이 고정부재(233)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내측고정자(23)에는 내측고정자(23)가 실린더(32)에 고정되게 하는 체결부재(234)가 포함되어 있다. 체결부재(234)는 스크류(38) 등의 체결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234a)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고정부재(233)의 재질인 수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갖는 금속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내측고정자(23)가 실린더(32)에 고정되게 하는 스크류(38) 등의 체결수단이 고정부재(233)에 비하여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스크류(38)를 고정부재(233)에 직접 체결할 경우, 리니어 압축기의 사용에 따라 고정부재(233)가 마모되어 고정부재(233)와 실린더(32)의 체결이 헐거워질 소지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암나사(234a) 인접부에 상기에 제시한 돌출부(233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234)는 고정부재(233)의 일단 양측에 강판(231)들과 함께 인서트 몰딩을 통해 고정부재(233)에 고정되며, 체결부재(234)의 일측에는 스크류(38)가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234a)가 가공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고정자(23)는 스크류(38)를 통해 실린더블록(31)에 고정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강판(231)의 상측을 덮는 고정부재(233)의 단부는 그 두께가 1mm에서 3mm 사이로 형성되는데, 이는 고정부재(233)를 형성하는 용융된 수지가 몰드금형 내에 주입되었을 때, 용융된 수지가 몰드금형(M) 내에서 용이하게 유동하며 내부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하되, 가동자(21a)의 진퇴이동거리가 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리니어 압축기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리니어 압축기의 제조방법은, 금속판재(O)에 엠보싱(232)을 형성하는 공정과, 엠보싱(232)이 형성된 금속판재(O)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절단하여 강판(231)을 형성하는 공정과, 엠보싱(232)을 통해 다수의 강판(231)을 적층하며 가결합하는 공정과,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강판(231)을 밴딩하여 다수의 강판(231)이 원통형상으로 배치되게 하는 공정과, 원통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강판(231)에 몰딩을 통해 고정부재(233)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엠보싱(232)을 형성하는 공정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속판재(O)를 엠보싱(232)의 형성을 위한 제 1 프레스(P1)로 가공하여 이를 통해엠보싱(23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금속판재(O) 일측에는 볼록하게 돌출되어 볼록부(232a)가 형성되며 금속판재(O) 타측에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오목부(232b)가 형성된다.
엠보싱(232)이 형성된 금속판재(O)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강판(231)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즉, 엠보싱(232)이 형성된 금속판재(O)는 금속판재(O)를 소정 형상으로 절단하기 위한 제 2 프레스(P2)에 공급되어 절단되며 강판(231)으로 제조된다. 이 때, 제 2 프레스(P2)에 의해 절단된 강판(231)은 제 2 프레스(P2) 하측에 적층되는데, 강판(231)은 제 2 프레스(P2)에 의해 절단되어 제조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제 2 프레스(P2)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엠보싱(232)을 통해 적층되어 있는 강판(231)들에 가결합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엠보싱(232)이 형성된 금속판재(O)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절단하여 강판(231)을 형성하는 공정과, 엠보싱(232)을 통해 다수의 강판(231)을 적층하며 가결합하는 공정은 제 2 프레스(P2)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엠보싱(232)을 통해 가결합된 다수의 강판(231)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밴딩되어 다수의 강판(231)들이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원통형상의 지그(J)가 마련되어 지그(J)의 외주면에 가결합되어 있는 강판(231)들의 엠보싱(232)이 형성되어 있는 측 끝단이 지지되어 밴딩된다.
이에 따라 가결합되어 있는 강판(231)들은 밴딩된 후, 가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강판(231)들 중 일 끝단에 배치되어 있는 강판(231)의 볼록부(232a)가 타 끝단에 배치되어 있는 강판(231)의 오목부(232b)에 삽입됨으로 강판(231)들은 원통형상으로 가결합된다.
이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가결합된 다수의 강판(231)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몰드금형(M) 내에 삽입된 후,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어 고정부재(233)가 형성됨으로써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는 강판(231)들이 최종적으로 고정되어 내측고정자(23)가 완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조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내측고정자(23) 제조는 금속판재(O)에 엠보싱(232)을 가공한 후, 엠보싱(232)이 가공된 금속판재(O)를 절단하여 다수의 강판(231)을 제조한다. 계속해서 다수의 강판(231)을 원주방향으로 적층하여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밴딩하고, 다수의 강판 일단 양측에 체결부재(234)를 배치한다. 계속해서 이러한 상태의 강판(231) 및 체결부재(234)를 고정부재(233)의 인서트 몰딩을 위한 몰드금형에 넣은 후, 용융되어 있는 상태의 수지를 몰드금형에 공급하여 응고시킴으로써 고정부재(233)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재(233)는 강판(231)들의 상,하단 및 내측단을 덮도록 형성되므로 강판(231)들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상태로 고정된다.
이 때, 인서트 몰딩된 고정부재(233)는 부도체인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강판(231)들 상호간의 전기적인 접속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또, 이와 같이 고정부재(233)가 인서트 몰딩되는 과정에서 용융된 수지의 일부가고정홈(231a)에도 유입되므로, 강판(231)들이 고정홈(231a)을 통해 고정부재(233)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내측고정자(23)는 스크류(38) 등의 체결수단이 실린더블록(31)을 관통하여 체결부재(234)의 암나사(234a)에 체결함으로써 설치가 간단히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내측고정자는 원주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강판이 부도체인 수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에 인서트 몰딩되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상태가 고정되므로 강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내측고정자에서의 와전류의 발생 및 와전류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내측고정자는 체결부재에 마련된 암나사에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실린더에 간단히 고정되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부수적인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7)

  1. 피스톤이 내장된 실린더의 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가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외주에 배치되는 내측고정자를 구비하되,
    상기 내측고정자는 원주방향으로 적층되어 원통형상을 형성하는 다수의 강판과, 상기 다수의 강판이 인서트 몰딩되며 상기 원통형상을 형성하는 다수의 강판 상측, 하측 및 내측을 덮어 상기 다수의 강판이 원통형상으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강판에는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상기 고정부재에 걸리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일측에 암나사가 가공되어 상기 내측고정자가 상기 실린더에 체결되게 하는 체결부재가 인서트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설치를 위해 상기 다수의 강판 하측을 덮는 고정부재의 두께는 상기 다수의 강판 상측을 덮는 상기 고정부재의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강판 상측을 덮는 상기 고정부재는 1mm에서 3mm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부도체인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 일 끝단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실린더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결합턱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고정자는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결합턱에는 윤활유가 상하로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상하로 형성된 오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하측단에는 상기 실린더가 마련된 실린더블럭과 상기 고정부재가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에는 이웃한 강판과 가결합되기 위해 일측은 볼록하게 돌출되고 타측은 오목하게 함몰된 엠보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은 상기 원통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강판 내주측에 치우치게 다수개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12. 판재로부터 강판을 제조하는 공정과, 엠보싱을 형성하는 공정과, 엠보싱을 통해 다수의 강판을 가결합하는 공정과, 가결합된 다수의 강판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도록 밴딩하여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공정과, 상기 다수의 강판이 원통형상으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리니어 압축기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은 상기 금속판재에 형성된 후, 상기 엠보싱이 형성된 상기 금속판재가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절단되어 상기 강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제조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이 프레스를 통해 절단되어 상기 금속판재로부터 제조된 후, 계속해서 프레스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엠보싱을 통해 이웃한 강판에 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제조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에는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 엠보싱이 형성된 후, 상기 엠보싱이 마련된 상기 금속판재로부터 프레스 가공을 통해 강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제조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은 상기 적층된 다수의 상기 강판이 일측으로 밴딩되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강판의 일측에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리니어 압축기 제조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결합된 다수의 강판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도록 밴딩하여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공정은 원주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강판들 중 일측 끝단에 위치한 강판의 볼록부가 타측 끝단에 위치한 강판의 오목부에 가결합되게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제조방법.
KR1020030046421A 2003-06-20 2003-07-09 리니어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919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92,630 US7413420B2 (en) 2003-06-20 2004-03-04 Linear compress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200410039643A CN100595437C (zh) 2003-06-20 2004-03-12 内部定子以及具有这种内部定子的线性压缩机
JP2004085315A JP3970858B2 (ja) 2003-06-20 2004-03-23 リニア圧縮機及びその製造方法
EP04251770.6A EP1489720B1 (en) 2003-06-20 2004-03-26 Linear Compressor
US11/889,402 US7788804B2 (en) 2003-06-20 2007-08-13 Linear compress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275 2003-06-20
KR20030040275 2003-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057A true KR20040110057A (ko) 2004-12-29
KR100919405B1 KR100919405B1 (ko) 2009-09-29

Family

ID=3738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421A KR100919405B1 (ko) 2003-06-20 2003-07-09 리니어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4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4757A (ja) * 1983-12-22 1985-07-18 Shinko Electric Co Ltd リニアパルスモ−タにおけるコアユニツトの製造方法
KR200297308Y1 (ko) * 1997-12-23 2003-0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리니어압축기
KR100373097B1 (ko) * 2001-01-04 2003-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니어압축기
KR100497528B1 (ko) * 2003-04-16 2005-07-01 에이테크솔루션(주) 리니어 모터용 코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405B1 (ko) 2009-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8804B2 (en) Linear compress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1580427B1 (en) Structure for fixing motor stator of reciprocating compressor
US6641374B2 (en) Cylinder head cover structure of hermetic motor-driving type compressor
JP4546476B2 (ja) 往復動式圧縮機のモータ固定子固定装置及びその固定方法
US7264451B2 (en) Frame of reciprocating compressor
US7385319B2 (en) Motor fixing structure of reciprocating compressor
EP1681756B1 (en) Stator of a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919405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355671B1 (ko) 리니어 압축기의 내측코어와 실린더블록의 구조와 결합방법
KR100349709B1 (ko) 리니어압축기의고정자
JP4109250B2 (ja) 往復動式圧縮機の固定子固定装置
KR100520072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0543327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0175868Y1 (ko) 리니어압축기
KR100444952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압축기용 고정자의 제조방법
US20050232790A1 (en) Linear compressor
KR100608695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내측고정자 고정 구조
KR100273430B1 (ko) 선형 압축기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US20040223861A1 (en) Linear compressor
KR20040095544A (ko) 리니어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